보컬로이드란?

보컬로이드란?

작성일 2013.12.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보컬로이드뜻좀상세히알려주시고..유명한아이들이랑,파생캐릭터,유명한아이들노래,신상정보(사진가지고설명하시면더욱좋습니다.)좀알려주세요..제가아는애들은미구,린,렌,카이토,메이코,가쿠포,구미,루카,시유,보라,릴리,미키,피코,루이,레이,올리버,올리비아등등알고있습니다..파생캐도몇알고있긴한데..누가몇세데인지도몰라서..ㅜㅜ질문이길어서죄송합니다..ㅜㅜ좀상세히알려주세요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최종 확인 버전: 2013-12-26 20:49:38

VOCALOID
언어 영어(E) · 일본어(J) · 한국어(K) · 중국어(C) · 스페인어(S)
세대 회사 제품
1

ZERO-G LEON(E·♂) LOLA(E·♀) MIRIAM(E·♀)
크립톤 MEIKO(J·♀) KAITO(J·♂)
2

ZERO-G PRIMA(E·♀) SONIKA(E·♀) TONIO(E·♂)
크립톤 하츠네 미쿠(J·♀) 카가미네 린·렌(J·♀/♂) 메구리네 루카(J/E·♀)
CV04 (J·♂)
인터넷 GACKPOID(J·♂) MEGPOID(J·♀) LILY(J·♀)
GACHAPOID(J·♂)
AHS SF-A2 miki(J·♀) 카아이 유키(J·♀) 히야마 키요테루(J·♂)
네코무라 이로하(J·♀)
야마하 VY1(J·♀) VY2(J·♂)
Kioon 우타타네 피코(J·♂)
PowerFX Sweet Ann(E·♀) Big Al(E·♂)
3

스튜디오 딘 아오키 라피스(J·♀) 메루리(J·♀)
야마하 VY1V3(J·♀) Mew(J·♀) VY2V3(J·♂)
ZOLA PROJECT(J·♂) 히비키 루이(J·♂) 스즈네 링(J·♀)
인터넷 VOCALOID3 MEGPOID(J/E·♀) CUL(J·♀) VOCALOID3 LILY(J·♀)
VOCALOID3 GACKPOID(J·♂) Galaco(J·♀) 코코네(J·♀)
AHS 유즈키 유카리(J·♀) 도호쿠 즌코(J·♀)
1st PLACE IA(J·♀)
모에재팬 토네 리온(J·♀) 보컬로이돌(J·♀)
ZERO-G Avanna(E·♀)
VocaTone Oliver(E·♂) YOHIOloid(E/J·♂)
SBS Artech 시유(K/J·♀)
LAWSON 아키코로이드(J·♀)
Voctro Labs Bruno(S·♂) Clara(S·♀) MAIKA(S·♀)
VOCALOID ™ 뤄톈이(낙천의)(C·♀) 옌허(언화)(C·♀)
EXIT TUNES MAYU(J·♀)
크립톤 KAITO V3(J/E·♂) 하츠네 미쿠 V3(J/E·♀) MEIKO V3(J·♀)
Mac네 나나 제작 위원회 Mac네 나나(J/E·♀)
Music Airport Inc Ueki-loid(J·♂)
(이탤릭체는 2013-12-25 현재 아직 출시되지 않은 보컬로이드)

같이 보기
관련 프로그램 UTAU 보카리나 (VORA · 카일린) ALT VOICEROID
관련 사이트 니코니코 동화 크리크루
관련 캐릭터 FL-Chan 듀파모 사이아트
관련 항목 VOCALOID 오리지널 곡 ( 주간 랭킹 · 전설입성 · 노래방 수록목록 · 환상광기곡 )

Contents

1 개요
2 연대기
2.1 1세대 ~ 하츠네 미쿠까지(시작과 흥행)
2.2 2세대 : 보컬로이드 번성기
2.2.1 2세대의 침체기
2.2.2 2세대 : 재부흥기
2.3 3세대, 폭풍전야
2.3.1 3세대 : 초기(2011년말~2012년 중반)
2.3.2 3세대 : 중기(2012년말~)
3 VOCALOID 일람
3.1 1세대
3.2 2세대
3.3 3세대
3.4 동인에서 파생된 캐릭터
3.5 기타
3.5.1 AH-Software의 VOICEROID(TTS)
4 그외
4.1 매드무비로 보컬로이드화된 캐릭터 및 인물
4.2 관련 기술 : 사이버 가수 (마니주 엔터테인먼트)
5 관련 항목

[edit]

1 개요 

일본 야마하(YAMAHA)사에서 개발한 음성 합성 엔진과 이 엔진을 사용한 소프트웨어 및 이미지 캐릭터. 에디터 제품군은 Editer, Editer For Cubase, Editer for Cubase Neo, Editer SE가 존재한다. 각 제품군들이 자세한 정보는 추가바람. 지원 운영체제는 2013년 10월 기준으로 WindowsOS X.[1][2] VOCALOID Editer For Cubase,For Cubase Neo[3]라는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큐베이스와 연동이 가능해졌다. 크립톤사의 하츠네 미쿠로 널리 알려져있으며 이들 캐릭터들은 니코니코 동화 등의 사이트를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대중사이에서 보컬로이드의 인지도가 높아지자 일부에서는 오토튠을 떡칠한 가수및 아이돌을 풍자하는말로도 쓴다.

인간의 음성을 함성하는 기술은 이전에도 많이 있었(녹음된 음성 조각들을 연결 조합하는 기본적인 TTS 기술도 다수였으며, 실시간으로 파형을 합성해서 음성을 합성하는 기술 또한 존재한다)지만, 그 용도가 대부분 산업용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반해 보컬로이드는 억양과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노래'를 합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는 차이가 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기존에 존재하던 MIDI 파일 제작 프로그램들과 동일하다. 거기에 VOCALOID는 각 음에다가 거기에 해당하는 발음을 삽입함으로서 노래를 부르게 된다.

이러한 컨셉은 잠재적인 유저 층을 넓히는 데 기여하여 넓은 사용자 저변을 만들어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합성 음성이라는 태생 때문에 선호하는 계층을 제외하고는 이질감이나 거부감을 불러일으켜 확장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 역시 피할 수 없다. 최근 도요타 자동차에서 하츠네 미쿠를 캐릭터로 미국, 일본, 한국 등 전 세계에 신형 코롤라 광고를 때렸을 때 열광과 경멸(?)로 시각이 양분되었던 과거가 이를 반증한다.

가끔 한국에서 소개될 때 사이버 가수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VOCALOID는 어디까지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회사에서 의인화시키고 음원을 내는 사이버 가수와는 차이가 있다.
[edit]

2 연대기 

[edit]

2.1 1세대 ~ 하츠네 미쿠까지(시작과 흥행) 

보컬로이드 엔진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는 회사는 영국의 ZERO-G와 일본의 크립톤(Crypton)이 대표적으로, 이곳에서 발표한 초대 보컬로이드는 MEIKO외 다수가 있었지만, 일부 음악 관계자들과 아마추어 음악인들을 중심으로 화제가 되었을뿐 지금과 같은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2005년 영국의 뮤지션 Mike Oldfield의 앨범 Light + Shade에서 보컬을 ZERO-G사의 Vocaloid 1 Miriam과 VirSyn의 Cantor로 처리하였는데 대중음악에서 정식으로 보컬로이드를 차용한 예가 되겠다.

허나 크립톤이 야심차게 준비한(하지만 지금과 같은 돌풍은 상상도 못한) VOCALOID2 하츠네 미쿠가 발매되었다. 이것이 전설의 시작.

일본 인터넷이 한창 크기 시작할 때 UCC 커뮤니티인 니코니코 동화가 만들어지고, 이곳이 일본에서 유투브를 대체한 생산 컨텐츠의 성지가 되면서, 일본산 음악 프로그램이었던 하츠네 미쿠의 진가가 발휘되기 시작한다. 미쿠는 니코니코 동화를 통해 대인기를 얻게된다. 그 덕분에 묻혀졌던 보컬로이드 둘(일본어가 지원되는 MEIKO와 KAITO)도 같이 알려지기발굴 시작했다.

그리고 보컬로이드가 꽤나 인기를 끌게 되면서 다른 회사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된다.
[edit]

2.2 2세대 : 보컬로이드 번성기 

하츠네 미쿠 등의 인기에 덩달아 도전한 것이 영원한 콩라인 주식회사 인터넷의 VOCALOID2 시리즈. 이미지 컬러를 입힌 캐릭터성과 MIDI 기반의 장식적인 목소리에에 치중한 크립톤의 보컬로이드와 달리, 인터넷 社는 담당 성우의 재현을 중시한다는 개성을 들고 나온다. 그런 덕에 인터넷사의 보컬로이드는 담당 성우와 목소리가 굉장히 비슷한 편.

하지만 결과적으로 인터넷社의 가구포이드는 성우를 맡은 각트의 똘끼개성과 일러스트의 부담스러움으로 인하여 인터넷社 최대의 오산이라고 불리며 개그 소재로나 사용되게 되고, 거꾸로 크립톤社는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 등을 순조롭게 발매하면서 업계 1위 자리를 지켜나간다. 이것이 니코니코 동화의 제2부흥기라고도 하고, 보컬로이드 시장이 최고조로 상승하기 시작한 때였다.

한편, 미쿠의 곡들이 유투브로 역수출되자, 관련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외국에서도 보컬로이드 2세대를 기반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게 된다. 이것이 2세대 영문 보컬로이드들. 물론 미쿠의 등쌀에 눌려서 그리 흥하진 못했다(...)

이후, 인터넷 社에서는 야심차게 메구포이드를 준비하지만, 이 또한 일본식 동인문화가 그들에게 부요한 2인자 캐릭터 이미지를 넘어서지 못하고 침몰(...) 이후, 구미는 몇 년 동안 공기로이드라는 별칭을 얻는다.

그리고 크립톤社와 인터넷社의 아성에 도전을 던진 3번째 보컬로이드 관련 회사가 나온다.

AH-Software에서는 2009년 12월 4일에 2종의 보이스로이드를 포함해 무려 5종의 신제품을 발매했는데. 목소리는 나쁘지 않았지만, 기존 팬들의 텃세와 미묘한 캐릭터성(...)으로 인하여 조용히 묻힌다. 보컬로이드 설정 중에는 여성형 소학생과 남성형 선생님도 있었는데, 전부 미묘하다는 평.

그리고 2세대 보컬로이드의 침체기라고 부를 수 있는 시기가 오게 된다.
[edit]

2.2.1 2세대의 침체기 

2세대 보컬로이드는 숫자가 적었고 팬들의 알력이 셌기 때문에, 어느 정도 떡밥이 순환하고 소강 상태에 접어들자 슬슬 보컬로이드 회의론이 돌기 시작했다.

곡들의 전체적인 수준이 아득하게 상승한 것도 이런 침체기에 한몫을 했다. '보컬로이드P들은 가명을 쓰고 있는 프로나 프로를 지망하는 준프로 밖에 없다'는 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던 무렵이었고, 예전처럼 아마추어가 반장난 삼아 만든 곡이 인기를 얻는 경우도 사라졌다.
그리고 퀄리티가 높고 상업 수준에 가까운 곡들을 제작해오던 유명P들이 여기저기 기획사들과 손을 잡고 프로로 데뷔하며 공백이 발생. 또한 그들을 동경하는 다른 유저들도 너도나도 비슷한 곡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이전의 만인지향적인 곡들보다는 추상적인 개념의 곡들이 늘어 보컬로이드는 중2병이나 좋아하는 장르라고 배척까지 받기도 했고, 명곡으로 추앙받는 곡들도 예전과는 달리 니코니코 동화 전반에 걸쳐 유행하는 사례는 줄어들게 됐다.
또한 높아진 눈높이 덕분에 퀄리티가 낮은 일명 발조교 곡들이 까이며 초보들이 입문장벽 역시 이전에 비할 수 없을만큼 높아졌다.

그리고 우타이테들이 인기를 얻기 시작한 것도 원인 중 하나. 아무래도 기계 목소리에 익숙해질 수 없었던 많은 사람들이 보컬로이드의 곡을 커버해 부르는 '불러보았다' 층으로 넘어가버렸고, 이에 따라 '불러보았다'는 보컬로이드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팬층을 가지는 장르로 성장했다.
참고 : 니코동 인기장르 재생수/마이리스트 통계(2011년)
[edit]

2.2.2 2세대 : 재부흥기 

니코니코 동화의 실력자들이 대부분 프로로 빠지고 나서, 팬들의 무한 캐릭터 덕질로 인해서 공백이 찾아온 보컬로이드 시장을 되살린 건, MMD를 통한 영상 제작의 재발견이 시작하면서부터이다.

특히 보컬로이드 2 세대의 침체기를 부흥시킨 주인공은 1년이 넘게 공기화되어 있었던 인터넷社의 메구포이드라고 평가받는다. 그동안의 쏟아져 나왔던 양산작들의 기계음에 질리기 시작한 팬들은 사람같은 목소리를 가진 구미의 신곡들에게로 관심을 돌렸고, 보컬로이드판은 그럭저럭 예전의 인기를 회복하게 된다.

그리고 노래 부문에서 미쿠의 인기가 줄어드는 대신, 성능이 좋고 사람 목소리에 가까운 메구포이드가 치고 올라오면서 세대교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은 모습마저 연출하게 된다. 실제로, 보컬로이드 2세대 말기에는 오히려 구미가 미쿠를 압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보컬로이드 엔진의 제작사인 야마하는 이전부터 준비하고 있던 새로운 사업을 벌리게 되는데...
[edit]

2.3 3세대, 폭풍전야 

2011년 6월, VOCALOID 3이 발표되었다. 
보컬로이드 3세대의 최대 특징은, 보컬로이드 시장의 다각화, 세계화.

2011년 10월 전후로 발매되는 보컬로이드 3세대만 해도 최소 4~5가지 이상이며, 보컬로이드 3 세대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모두 합치면 언어만 3가지로서 일본어 보컬로이드가 총 5종 이상, 영어 보컬로이드가 3종, 한국어 보컬로이드가 1종이다.

콩라인에서 벗어난 인터넷社에선 구미 3 에디션과 신 캐릭터 CUL, 한국에서는 SBS ARTECH의 시유, 본사인 야마하에서도 캐릭터를 입힌 히비키 루이와 스즈네 링과 MEW, 스튜디오 딘에서 제작하는 아오키 라피스일명 보석사탕, 그 밖에 영문권에서도 영어 보컬로이드 3종, 스페인어 보컬로이드 2종이 추가 되고, 일본 국내에서도 5~10종이 넘는 보컬로이드가 계획되는, 그야말로 2세대 중반의 침체기 이상의 데스매치가 벌어지게 되었다(...)

참고로 VOCALOID3이 나온다고 당장 2세대 보컬로이드들이 죽는건 아니다. 어차피 엔진은 공통이고 제각각의 제품들은 음성 라이브러리나 마찬가지. 때문에 야마하의 VOCALOID3 Editor만 구입하여 2세대 보컬로이드를 임포트시켜 사용하면 2세대들도 3세대와 똑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결국 2세대와 3세대의 가장 큰 차이점은, 2세대와 V3 에디터를 따로따로 구입하느냐, 아니면 다 묶여져있는 3세대 하나만 구입하느냐의 차이(…). 크립톤이 음성 라이브러리 확장팩인 Append만 내면서 3세대 보컬로이드의 발표를 서두르지 않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edit]

2.3.1 3세대 : 초기(2011년말~2012년 중반) 

10월 VY1, MEW, 보컬로이드3 메구포이드가 발매 되었는데 역시나 보컬로이드3 메구포이드 신곡만 줄줄 올라오고 있다. MEW는 묘하게 공기화. 국내에서는 발매된 SBS ARTECH의 보컬로이드인 시유에 대해서는 시유(VOCALOID) 참조.
다만 기존 보컬로이드 팬들의 텃세는 여전한 편.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 반전이 일어나는데, 외국산 캐릭터들보다 발매가 미뤄지고 있는 일본 보컬로이드들이 가성으로 녹음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즉, 조금 치사한 방법이지만, 기존 보컬로이드들이 평탄한 목소리를 기반으로 녹음한 것에 비해서, 아직 발매가 미뤄지고 있는 일본의 3세대 보컬로이드들은 콧소리를 섞거나 노래하는 음성에 가까운 목소리를 기준으로 두고 있다.[4] 이로 인해서, MIDI 기반의 기계음에 의존하고 있던 크립톤社는 물론, 2세대 수준의 보컬로이드 시장을 계산하고 있던 인터넷社도 뒤통수를 거하게 얻어맞은 셈이 되었다(...)

이로 인해서 기존 팬들도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태. 실제 성능은 제작사에서 조율한 데모곡이나 프로모션에 비해 낮겠지만, 기존에 최대 인기주로 부상한 구미조차도 우습게 보일 정도로 좋은 음성을 가진 보컬로이드가 나온다면, 기존의 보컬로이드 시장이 한번에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

다만 3세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이 지배적. 3세대의 엔진인 VOCALOID3는 사실 2세대의 VOCALOID2에 비해 그렇게까지 획기적으로 진화하지는 못했다. 야마하가 강조하던 '더욱 자연스러운 음성'이라는 것은 음소연쇄 부분이 2세대의 2음절에서 3음절로 늘어난 것 뿐이라, 기술적으로는 정말 미묘하게 좀 더 듣기 좋아진 수준에 불과. 그외에는 그냥 인터페이스가 개량된 정도고, 몇몇 기능도 추가되긴 했지만 오히려 사라진 기능도 있다. 3세대들의 발음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그저 음성 라이브러리 덕분이며, 미쿠의 성공으로 고취된 야마하가 성급하게 개발을 서둘러서 나온 물건이라는 평까지 있을 정도. 2세대와 3세대의 가장 큰 차이는 'Ctrl+Z를 무한히 쓸 수 있게 된 점[5]'이라는 비아냥도 있다. 실제로 3세대들은 2세대들과는 달리 판매량이 땅바닥을 기고 있으며, 크립톤 역시 3세대는 검토중이라는 발언만 되풀이하며 3세대에 뛰어드는 걸 꺼리는 분위기로 일관히고 있다.

2012년이 되자 자연의적P, kemu 등의 유명P들이 3세대 보컬로이드인 IA 등으로 곡을 내면서 수십만 재생수를 기록하자 해당 P들의 기존 팬들 중에서는 왜 2세대인 미쿠, 구미 등으로 곡을 내지 않느냐며 반발하고 있는 사람들과 반대로 덕분에 3세대 보컬로이드가 떴다는 사람들로 갈리고 있는 상황.

2012년 4월 현재 가장 흥하는 3세대 보컬로이드는 IA.
그 다음으로 유즈키 유카리CUL아오키 라피스등이 뒤따른다.

일단 대부분의 3세대 보컬로이드들의 성능은 2세대 기준으로 좋은 편이다. 다만 중요한 건 보컬로이드의 성공은 성능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2012년 하반기 현재 하츠네 미쿠에 버금가는 인기를 가진 GUMI나 IA가 성능이 좋아서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다른 보컬로이드보다 특별하게 성능이 뛰어나다기보다 회사의 마케팅, 유명P의 사용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성능이 많이 주목을 받은 것에 가깝다.
물론 일부 3세대 보컬로이드들의 실패는 성능에만 신경을 썼다기보다 디자인이나 마케팅 미스에 가까운 것도 많지만.
[edit]

2.3.2 3세대 : 중기(2012년말~) 

아지랑이 프로젝트나 종언의 서표 등의 보컬로이드 곡 프로젝트가 인기를 얻고, 3세대 새로운 보컬로이드를 만든 회사들이 해당 프로젝트를 밀어줌에 따라서 보컬로이드가 너무 상업화되고 있다 라는 우려가 터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결국 오와타P는 '디 엔드'라는 곡을 익명으로 만들고(이후에 제작자 공개) 그 곡의 PV가 아지랑이 프로젝트를 만든 진(자연의 적P)에 대한 루머를 실었기에 결국 오와타P, 진, 미에노히토(PV 제작자), 그리고 IA를 만든 회사 1st PLACE가 강제정모를 하게 되었고 오해가 풀리게 되었다.

하지만 일이 끝난 것은 아니었으니, 그전부터 민감한 소재의 곡을 많이 쓰던 호보니치P는 이 일을 지오와타\(^0^)/라는 곡으로 정면으로 겨냥한 곡을 냈고, 이 곡에 동조하는 사람들 또한 늘어나면서 2013년의 보컬로이드는 혼돈의 카오스에 빠지고 있다...

한편 한국의 경우 시유가 발매되면서 생긴 보컬로이드 투고 사이트인 크리크루가 여러 문제점으로 침체를 겪고 나서 결국 폐쇄되었다. 그 여파로 시유 자체도 인기가 팍 식어버린 상황. 크리크루가 흑역사가 되면서 당초 기대했던 한국의 독자적인 보컬로이드 창작 문화 형성도 그다지 진전은 없는 상황.[6]

이와 더불어서 미쿠의 성공을 바라보고 보컬로이드3에 새로 뛰어들었던 회사들이 기대 이하의 성과를 거두면서 '보컬로이드'라서 뜨는게 아니었다는 걸 알게되고 차기 보컬로이드 라이브러리 출시계획을 접어서 보컬로이드3로 거품이 생긴 시장의 거품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중. 그나마 3세대에서 선전하고 있는 IA마저 프로젝트 전용 보컬로이드로 전락하고 있으니... 사실 보컬로이드3뿐만아니라 보컬로이드2를 비롯한 전체 보컬로이드의 열기가 많이 식은 상태. 니코동만 가봐도 주간 보컬로이드 랭킹 각곡의 조회수가 3위 이상만 빼면 예전에 비해 적어졌으니. 그나마 랭킹에 오르는 것들도 조회수나 코멘트, 마이리스트의 힘이 아닌 '선전빨'인 경우가 많다. 결국 돈의 힘(…). 덕분에 제2의 침체기라는 평이며, 침체기 수준이 아니라 이미 완전히 망했다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 와중에 EXIT TUNES에서는 자사에서 음반으로 나온 VOCALOID 곡들을 리듬게임 사운드 볼텍스에 판권계약해서 VOCALOID 팬들이 아닌 리듬게임 플레이어들에게도 VOCALOID 곡을 알리려고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동방볼텍스 사볼 뿐 아니라 리플렉 비트팝픈뮤직유비트 소서 같은 다른 비마니 시리즈에도 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미 이렇게 망해가는 보컬로이드판을 살리고자, 결국 하츠네 미쿠를 만든 크립톤 퓨쳐 미디어에서는 하츠네 미쿠 V3를 출시했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아직 출시 초반이니 확신은 할 수 없지만 KAITO조차 V3가 나왔을 때 곡이 나와줬음을 감안하면 이미 보컬로이드판에 대한 관심은 초창기보다 매우 떨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2013년 말의 상황은 보컬로이드판을 되살리기 위한 지금까지의 모든 노력들이 헛수고가 되어버린 상황. 답이 없다. VOCALOID 자체가 오와콘이나 다름없이 되어버린 상황. 그나마 다행이라 볼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악조건들 속에서도 IA를 비롯한 신 3세대 보컬로이드의  흥행을 이어나가기도 한다. 일단은 오와콘 취급에서 한숨을 돌린 셈. 물론 IA를 제외한 나머지는 기존의 메이저 보컬로이드에 비하면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

2013년 9월경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던 아지랑이 프로젝트가 종결되었다. 이제 굵직한 보컬로이드 프로젝트로는 종언의 서표 정도가 남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프로듀서들의 세대교체가 크게 진행되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기존에 중간정도의 인기를 끌던 프로듀서들이 메이저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레루리리. 또한 Polyphonicbranch, 666 같은 신생 프로듀서들의 곡들이 VOCALOID 주간랭킹에 많이 오르는것을 볼 수 있다. 어찌보면 좋은 현상일지도 모른다. 다만, 이들과 메이저P들과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적어도 뇌장작렬 걸이라든지 천본앵이라든지 아지랑이 프로젝트 부속 곡들이 장수하는걸 보면….
[edit]

3 VOCALOID 일람 

[edit]

3.1 1세대 

  • ZERO-G
  • Crypton
[edit]

3.2 2세대 

(이탤릭체는 2013-12-25 기준으로 아직 미출시)
[edit]

3.3 3세대 

(이탤릭체는 2013-12-25 기준으로 아직 미출시)
[edit]

3.4 동인에서 파생된 캐릭터 

[edit]

3.5 기타 

  • UTAU - 보컬로이드와 유사해보이지만 기반이 다르다. 항목 참조.
  • FL-Chan - 보컬로이드는 아니지만 탄생 배경때문에 추가함.
  • DTM매거진 - 말그대로 컴퓨터 작곡 및 컴퓨터용 작곡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다루는 잡지. 보컬로이드의 태생이 DTM소프트웨어니만큼 적극적으로 밀어주고 있다.
  • 아쿠메 이쿠 - Studio S에서 만든 VOC...ALOID....
  • 보카리나 - 티젠스사에서 개발한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음성합성 엔진.
[edit]

3.5.1 AH-Software의 VOICEROID(TTS) 

보컬로이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이지만 이름이 아무리 봐도 이쪽으로 노리고 지은 듯한비슷한데다 미키/유키/키요테루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이쪽에 링크해 둔다. 노렸구나 AHS
[edit]

4 그외 

원래 노래를 부르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그런지 평탄 어조를 만들기가 생각보다 어렵다. 보컬로이드로 만든 웃음소리는 왠지 무섭다.[8] 최신 TTS 기술들이 주력으로 기술을 개발중인 '자연스러운 음 연결과 억양 생성' 관련 부분을 모두 빼고 모든 억양 조절을 유저에게 떠넘겼기 때문.

국내에서는 크립톤社와 인터넷社의 보컬로이드만 알려져 있다. 영어 보컬로이드는 듣보잡이다. 일본어 전용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굳이 다른나라 언어(주로 영어)를 사용해서 만드는걸 보면 단순히 노래하는 프로그램이라서 뜬건 아니라는걸 알수 있다.

여담이지만 야가미 라이토는 이런 저런 매드무비로 인해 보컬로이드 같은 모습을 보여줘서 이 단어를 따서 바카야로이드(바카야로(바보자식)+보컬로이드)란 별명이 생겼으며 또한 여러 애니메이션에서 매드무비로 인해 보컬로이드 같은 모습을 보여준 여러 캐릭터들에게도 해당된다.

또한 브로리와 그의 아버지 파라거스역시도 니코동에서 브로리로이드라고 불린다...

2010년 11월 14일에는 비주얼 록 밴드 가젯토(흑집사 오프닝을 불렀다)가 트위터에서 'VOCALOID곡을 작품으로 취급하는 현상을 기뻐할 수 없다. 그런 기계와 아티스트를 같은 수준으로 취급하는건 제정신 박힌 행동이라고 볼 수 없다'라는 글을 남겨 시끄러워지기도 했다.

참고로, 팡야에서 보컬로이드 의상(미쿠, 린, 렌)이 유료 아이템으로 등장했는데, 이게 또 국내에서도 판매되었다. 2009년 8월 말까지만 판매되었던 한정 아이템이었지만 2012년 10~11월에 품목을 늘려서 다시 한정판매를 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는 일본판 라테일에서도 보컬로이드가 나왔다. (국내에서도 나온다는 소문이 있다.)[9] 미쿠의 의상이라든가, 액세서리(파)라든가(…).[10] 미쿠와 루카가 우선 11월 11일에 발매되었고, 그 후에 린, 렌이 25일 발매. 그리고 그 외에 이 넷은 11월에 망토로 판매되기도 했다.[11]증거물(?)

2012년 10월 일본 경제연구소에서 오타쿠를 대상으로한 각 분야의 시장규모를 조사한 결과 보컬로이드의 시장규모[12]는 사실상 최하위인 63억엔 규모로 집계되었다[13]. 특성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성우 시장 규모의 절반도 안되는 수준. 웹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붐이 생기기는 쉽지만, 웹으로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이 오히려 부작용으로 작용해 돈이 오고가는 시장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는 모양이다.

1961년에 IBM 7094가 부른 Daisy Bell이(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에서 HAL9000이 부른 노래로 유명하다) 세계 최초로 컴퓨터가 부른 노래인데, 이 영상의 댓글에 "우왕, 최초의 보컬로이드당! ~(^o^)~" 드립이 나오고 있다.(...) 원리는 비슷하긴 한데...

보컬로이드를 잘 모르는 한국 국민들은 어쩐지 대부분 애니매이션으로 알고 있다. 3D애니메이션이라니 발전했네요 MMD때문인가?
[edit]

4.1 매드무비로 보컬로이드화된 캐릭터 및 인물 

[edit]

4.2 관련 기술 : 사이버 가수 (마니주 엔터테인먼트) 

참고로 마니주 엔터테이먼트는 보컬로이드 관련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Zero-G 사의 보컬로이드 계열 합성음원 소스 'Miriam' 솔루션를 구매하여 해당 제품을 이용한 '사이버가수 음원'을 제작한다[14]. '사이버 가수' 로 유명했던 '다테 쿄코'나 '아담'과는 달리 그림자 가수가 아닌 합성 음원을 이용해 생산성을 도모했지만 결과는 그다지 좋지 못했다.[15] 만들어진 사이버 가수들은 각 항목에 언급.[16] #
----
  • [1] 하츠네 미쿠V3은 크립톤사의 피아프로 스튜디오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이걸 이용해 Mac을 지원한다. 오오 크립톤 오오.
  • [2] VOCALOID Editer For Cubase Neo 를 이용하여 지원, 다만 Mac 전용 큐베이스가 깔린 경우에만 한정하여 지원한다. 사용 가능 라이브러리도 2013년 10월 기준으로 VY1V3 Neo 뿐(Neo는 이 에디터에 대응한다는 의미이다.)영원히 고통받는 OS X 사용자들
  • [3] OS X과 Windows를 동시 지원하는 버전, 이외에도 차이점이 있다면 추가바람.
  • [4] 전부 그런 것은 아니다. 공개된 것에 비해서 발매가 이상하게 느렸던 스즈네 링아오키 라피스 정도. 왜 안 나오나 했더니, 뒤통수를 준비하고 있었군요?
  • [5] Undo 기능을 말하는 것인데, 2세대에서는 바로 이전에 실행한 작업까지 밖에 되돌릴 수 없었다.
  • [6] 하지만 크리크루의 영향으로 한국의 동인 창작 및 보컬로이드 팬덤의 문제점을 되짚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7] 남성에 가까운 중성이라 한다
  • [8] 당장 악의 딸 처음 부분만 들어 봐도…
  • [9] 라테일 운영진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결정된게 아니라고 한다.하지만,국내에도 보컬로이드 덕후팬들이 많으니 국내에 나올 가능성은 많다는 것이다.만약,진짜로 국내에 나온다면 라테일을 하는 팬들이 환호할 것이다.물론 OTL하는 팬도 있겠지만…. 결국 2012년 8월달에 진짜로 나왔다.
  • [10] 참고로 카가미네 린,렌 의상이 나왔다고 한다. 언제 출시 되었는지는 수정바람.
  • [11] 그리고 메이코도 망토로 나왔다. 언제 나왔는지는 수정바람.
  • [12] 본체 소프트, 앨범, 2차창작 및 관련상품 포함.
  • [13] 참고로 최대규모는 3800억엔 규모의 온라인 게임, 그 다음은 690억엔 규모의 동인지 시장.
  • [14] 보컬로이드 솔루션 회사, 보컬로이드 인터넷 유저, 마니주 엔터테인먼트의 관계는 언리얼 엔진의 개발사 에픽게임즈, UDK를 만지는 아마추어 게임제작자, 언리얼 엔진을 라이센스받아 게임을 제작하는 게임 개발사 정도로 비유할 수 있겠다.
  • [15] 주로 당시 풀3D 렌더링된 가수의 외형을 방송 출연 분량만큼 양산하는 것이 비용상 힘들었기 때문이었다.
  • [16] 한국어는 일본어에 비해 발음이 많아서 녹음하기 굉장히 힘들어 개발도 힘들다. UTAU 의 경우 딱 가나만큼의 음성샘플을 제공한다. 그치만 영어도 하는데 한국말도 마음먹으면 할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판매량이 시원찮을 것이라는 사실. 안습...

보컬로이드는 사람인가요

... 알기론 보컬로이드는 다른사람의 목소리를가져오거나... 이세돌이 보컬로이드라는 말 같지도않는 소리를 지껄려... 부르는게 보컬로이드 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이해가...

보컬로이드 노래 질문

... 모미아게오 샤카아게오 이거 보컬로이드가 부른거예요? 초록색머리 보컬로이드... 초록색머리 보칼로이드는 GUMI (구미) 가 있어요 옛날보컬로이드라면 미쿠 머리를...

보컬로이드

보컬로이드는 왜 비주류 장르인가요??? 진짜그냥궁금증 윗댓님 답변에 이어 말씀드리자면 보컬로이드 자체가 일본... 현재는 안타깝게도 한국에서 일반인분들이 보컬로이드를...

보컬로이드 덕질방법

... 보컬로이드중에 미쿠를 덕질하고 싶은데 제가 지금까지 애니랑 리겜밖에 파본적이 옶어서 보컬로이드는 어떻게 어디서부터 덕질해야할지 모르겠어요ㅠㅠㅠ 보컬로이드는...

보컬로이드? 일본 노래 찾아주세요ㅠㅠ

... 안올리시고 보컬로이드 노래 만드시는 분이고 뭔가...... 찾아주세여ㅠㅠ 보컬로이드? 일본 노래 찾아주세요ㅠㅠ... 안올리시고 보컬로이드 노래 만드시는 분이고 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