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작성일 2010.02.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무대에 관심이 많은 대학 졸업생 입니다. ^^ 지식인에서 글을 읽고 질문드려요

지방에 있는 3년제 실내디자인과를 나왔고요. 22살 입니다.

 진로를 정해서 이제 취업을 해야할 나이인데 갈피를 못잡겠어요....

제발 도와주세요... 현업에 종사하시고 계시는 분이시니 아주 깊숙히 아실거라 생각해서

쪽지 드려요^^

 

1.저는 끼가 많고 무대에 나가기 좋아하고 무대에 나가면 뭐랄까.

아이디어가 마구 떠오르고 무대에 서면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춤 추는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주위 분들도 저에게는 '끼'가 있다고 말씀도 해 주셨구요...

'무대체질'이라는 말도 학교 다닐때 많이 들었고요. 축제때도 엠티때도 수업시간때도 꼭 무대에

나갔었어요. 항상 상을 타곤했어요.

 

2.반면 선물을 포장하거나 실내공간을 아름답고 데코(실내코디네이션) 하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느낍니다.

아름다운 fabric을 보면 아름답게 디자인하고 싶고요.. 파티도 아주 좋아해요. 특히 결혼식의 파티장이나

다양한 파티장에서 테이블을 데코하거나 파티장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도 좋아해요.

혹시 빅토리안 시크릿 이라는 란제리 브렌드를 아세요?

"victorias secret" 매년 패션쇼를 할때면 화려한 무대에서 가수와 유명 댄서들을 불러 멋진

무대를 장식해요. 그 무대를 보고 정말 황홀감에 아직도 잊혀지지가 않아요.

이렇듯 의상에도 관심이 많고 무대연출 쪽에도 관심이 많고 좋아해요.

 

 

저의 고민은 가수&연예인&뮤지컬 배우&레크레이션강사&파티브렌드쪽으로 무모한 도전을 할것인가.

아니면 전공과 관련있는 무대디자인 쪽으로 갈것인가.... 하는 것이 고민이에요...

 

처음 실내디자인과를 진학하려고 했던것도 저의 선택이었어요.

어렷을때부터 뭐든 색이나 형태가 아름답게 정돈된게 좋았고 예쁘게 만드는 것을 좋아했어요.

가정현편이 좋지 못해서 집이 아름답지 못했거든요. 그래서 집을 아름답게 꾸며야겠다. 라는 생각이

강해서 실내디자인과를 선택하게 되었어요. 틀에 박힌 것이 싫어서 없으면 만들고 아름답게 예쁘게

만들고............... 그러던 중 저에게는 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하지만 돈을 벌어서 독립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서.... 쉽게 '끼'가 필요한 쪽으로의 도전을

머뭇 거리고 있어요...

 

무대 디자인을 하면 공연도 많이 볼 수 있고 가수들도 많이 볼 수 있고 월급을 받으면

그 돈으로 연기나 댄스학원을 다니면서 연기자나 댄서가 되는 쪽으로 생각을 하고 있거든요.

 

나중에 회사원이 되어서도 춤을 출것 같아요....... 그때 못이뤘던 것들때문에 인생에

낙오자가 되었다는 느낌이 가득한 삶을 살게 될 것같아요.... 어떤 선택이 좋은 선택인지

정말 모르겠어요... 당장은 돈이 필요하고 독립을 해야하는데  무대디자이너의 삶을

살면서 그 일을 병행 할 수 있을지요 .... 솔직히 두렵기도 해요...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너무 막막해요...

 

제가 생각해 낸 방법이 몇가지가 있어요.

 

1. 무대디자인회사에 입사하여 일을 배운다. 배우면서 오페라, 뮤지컬, 이벤트, 공연 등을

접할 기회가 있으니 나와 관련된 분야를 보면서 무대디자인 일도 배울 수 있으니

낮에는 회사에서 일을 하고 밤에는 댄스학원을 다니며 춤연습을 한다.

어느정도 돈이 모아지면 미국으로 유학을 간다. -> 미국에서 댄스 가수로 도전을 한다.

->가수생활을 한 뒤 패브릭 디자이너가 된다.

 

2. 레크레이션 회사에 입사한다.

파티나 공연등에 참석하여 사회자로서 그 동안 진행해왔던 진부한 사회를 하는 대신

나의 '춤'과 '끼'로 새로운 레크레이션 파티브렌드를 만드는 ceo가 된다.

 

 

창의력이 뛰어나단 소리를 주변에서 많이 들었고. 무언가를 항상 만들고 창조하려는 성향을 가진

사람입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저에게 좋은 선택일
까요?.... 어떤 선택이 나와 어울리는 내일을 만드는 선택일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in english #안녕하세요 일본어 #안녕하세요 짤 #안녕하세요 読み方 #안녕하세요 노래 #안녕하세요 영어로 #안녕하세요 저는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고 있는 스트리머 케인입니다 #안녕하세요 意味 #안녕하세요 中文翻譯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말 죄송합니다. 요즘 지방 출장이 과다하여 거의 2달동안 인터넷을 못하고 있었습니다..ㄷㄷ;

님께서 성심성의것 써주신 글을 읽고 또 읽어 보았습니다.

 

거두절미 하고 본론으로 들어 가겠습니다.

 

일단 무대쪽 그러니까 음....쉽게 말해서 무대의 규모는 객석의 규모에 비례 하여서 소극장과 대극장으로

나뉘어 집니다. 보통 서울 서초동에 있는 예술의 전당은 오페라 하우스 개석만 2천석이 넘습니다.

이런 극장들을 굳이 소극장과 대극장으로 나눈다면 대극장으로 분류 합니다.

그외 객석 규모가 천석이나 5백석 믿으로 가면 소극장으로 분류가 됩니다.

 

한마디로 대극장 "예술의전당" "세종" "리틀앤젤스" "엘지아트센터" "충무아트홀" 대전아트홀" 등등 이런

무대들은 대극장으로 분류가 됩니다.

 

일단 내가 그 쪽으로 가고 싶다. 이러면 4년제 대학에 면접볼때 영어로 대화 합니다. 실례로 지금 예술의 전당에 있는 알바생들이 미국 대학 석사, 학사, 심지어 박사 까지 따고 30대를 넘어서 거기서 한달에 90만원 받고 공연시간이 보통 저녁에 10시에서~11시에 끝나는대 그 때까지 대기하고 나무 나르고 무대 물건 나르고

그러고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물론 계약직은 사정이 좀 좋겠지만 그 쪽 계야직 형들이나 동생들이 학벌이 당장 삼성에 취직해도 남아도는

스펙입니다. 제작년에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계약직 뽑았는대 4년제는 기본에 옆에서 일어 하는 사람은

일어로 면접보시고 영어로 하시는 분은 영어로 면접, 불어로 하시는 분들은 불어로 면접을 보시더군요..ㄷㄷ;

 

일단 현재 예술의전당이 이정도의 스펙을 요구 합니다. 당연히 요즘은 정규직 없에 버렸습니다. 이제는

아웃소싱으로 해서 MBC미술파트 처럼 아예 외부에서 사람 사서 쓴다고 합니다. 상당히 살벌합니다.ㅠ

 

또한 무대에 있는 무대 감독님들은 평균 구력 10년이상의 믿바닥 부터 노가다로 제작도 해보시고 작화도 해보시고 무대 전환도 해보시고 거기에 기본 영어는 덤으로 또한 뮤지컬이나 오페라 같은 공연은 악보까지

다 보시고 그렇게 하고 계십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에서 당연히 공부는 4년제 나오셔야하고 외국가서 또

엄청나게 공부하시고 다시 조감독으로 몇년 개고생하시고 그리고 나서 감독으로 올라 오시는분들이 많으 십니다.

 

무대 미술에 대해서 한말씀 적겠습니다. 무대미술은 작화,장치 제작,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한마디로

정말로 힘들고 막노동인대 엄청난 구력과 포스의 기술이 있어야 하는 일입니다.

 

"지킬앤하이드"라는 뮤지컬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에서 처음으로 제작한 회사가 "무대중심"이라는 회사입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에서 "지킬앤하이드"초연을 할 때 제작한 회사입니다.

 

"지킬앤하이드를"만들려고 2달동안 하루에 4시간씩 자면서 만들었습니다. 참 옛날 생각 나는군요.

거기에 셋업까지 7주일 밤새고 졸면서 잠꼬대 하면서 코엑스에 설치한 기역이 납니다...ㄷㄷ;;

 

이것을 제작할려면 어떻게 할 까요?

1) 각 무대 제작회사에서 입찰을 합니다. 우리회사는 얼마면 말들겠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그럼 페이가 비슷한 회사를 살펴보고 낙찰이 되면 낙찰된 회사와 조인을하고 상의를 하게됩니다.

2) 그 당시 기획사에서 DVD2장 짜리 오리지널판 "지킬앤하이드"를 던저 주시고 똑같이 만들라고 하더군요.

그 때가 2005년 이였나 생각이 안나는군요.-_-;

3) 하루 종일 계속 그 것만 봅니다. 그리고 비슷한건 고가구 집가서 아예 사버립니다. 몇백만원 짜리하는거요. 이것만 구하러 다닐려고 일주일 걸리더군요.

4) 그리고 모대학 교수님이 디자인한 음....7장짜리였나 디자인된 것을 주시고 제작자와 상의를 합니다.

가베는 뒤로 몇짜 땡겨야되고 상수하수는 에서 오는 가리돔은 어쩌구 저쩌구...배경막은 이렇게 해라 등등

5)제작은 교수와 교수 시다인 어시스던트와 같이 합니다. 어시스던트가 4년제 나오고 조교인대 몇년째

교수님옆에서 배우고 있습니다. 외국에서 공구 까지 하고 오신분이...ㄷㄷ;;

6)제작을 합니다. 장치조는 무대와 셋트제작 작화조는 배경막및 소품에 색을 입히는 작업입니다.

예를들어 무대가 대리석이면 대리석의 질감을 살려 색을 칠하게 됩니다. 참......인간의 한계에 달하는 기야 말고 머신이 되야하는 시간이죠.

7) 제작을 완료하면 가 조립을 해봅니다. 디자인에 살려서 잘 만들었는지 그 느낌이 맞는지 혹은 도면과

똑같은지....완료가 되면 다시 분해해서 해당 공연장으로 이동 후 셋업즉 조립을 하게 됩니다.

8) 셋업 완료후 공연소속된(쉽게 발레를 공연하면 국립오페라단에 소속이 되어있는) 무대감독이 오셔서 셋업된 무대와 조명을 조율 하면서 맞춰 나갑니다.

8) 음향감독님이 오셔서 각 막마다(1막2막3막...)음향에 맞는 소리를 셋팅합니다. 마이크도 체크 합니다.

조감독이 무대에 올라와서 하루 죙일 아~아~아~마이크 테스트~아~아~아~ 하루죙일 이말만 합니다.

9)배우자가 옵니다. 각막마다 맞추면서 감독과 상의를 합니다. 그 당시 조승우 씨가 오시더군요...키 작던대..

10) 어느정도 셋업이 완료가 되면 리허설을 합니다. 리허설 도중 마음에 안드는 장치나 혹은 불필요한 장치를 없에거나 동선에 방해가 되는 것들은 다시 편하게 보수합니다.

11) 공연 당일 최종 리허설을 합니다.

12) 공연~

 

보통 무대 시스템이 이렇습니다. 대극장은 무대기술부가 따로 있습니다. 정말로 무대에 필요한 종언을 하는 곳입니다. 다른 공연을 하로 오는 공연팀들에게 우리 무대를 빌려주고 관리 감독 하는 곳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님께서 공연쪽으로 가신다고 하셨는대요.^^

공연쪽이 그렇게 쉽게 혹은 내가 하고싶은것만 가지고 하는곳이 아닙니다. 내가 싫어도 해야되고 때론 좋와도 해야 됩니다. 특히나 요즘은 학벅을 만이 따지고 있어서 정말 큰 물에서 놀고 싶다면 편입해서 4년제 나오시고 공연쪽에 알바나 기타 등등으로 가셔서 1년정도 경험을 쌓아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아직 22살이라

배울것도 수두룩 하시고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많이 배우셔야 됩니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전공 하신다고 하셨습니다. 크게 보십시요. 인테리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인테리어 디자인만 하는게 아닙니다. 그 회사에서 인테리어 외에 이것도 해라 저것도 해라 많은걸 시킵니다.

입장 바꿔서 생각하시면 님이 사장이라고 생각해보십시요. 돈이되는건 다 하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테리어의 작은 울타리를 보지 마시고 더 큰 울타리 광고 기획 홍보 시디 등등 큰 울타리를 보시고 더 공부하시고 더 많이 경험 쌓으시길 간절히 추천 드립니다. 내가 대학교에서 인정받았다...혹은 창의성이 너무 좋다...하지만 인정받고 창의성이 좋은걸 회사에서 인정받아야 되는것입니다.

 

사장이든 뭐든 일단 경험과 노하우가 있어야 되는것입니다. 정말 경험과 기술을 준비 하십시요.

쉽게 마라톤 시합이 있습니다. 마라톤시합에 나갈려면 운동하고 연습하고 충분이 휴식하고 잘 먹어야 하고

그리고 시합에 나가는 것입니다. 그 시합만 바라보고 준비 하는것입니다.

 

님도 지금은 힘들고 너무 어려워도 시합만 바라보고 항상 준비 하십시요. 시합때 까지 죽을 힘을 다해 공부하시고 많은 경험을 쌓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시합이 되면 바로 달릴수 있게 셋팅 하십시요.

 

무대디자인도 그냥 해서 되는게 아닙니다. 아주 큰 대기업에서는 홍대나 외국 유학파들로 구성된 디자이너가 널렸습니다. 거기서도 어렸을때 제작에 알바로 개고생하면서 배우고 공부하고 그런 분들이 많습니다.

 

님께서 "난 학벌보다는 실력으로 승부하겠어"라고 하시면 한번 뛰어 들어 보십시요. 좋은 경험하게 되실겁니다. 디자인도 인맥이 있어야 다른대서 오더를 따서 하던가 혹은 공부를 잘해서 학벌이 뛰어나서 대학 조교로 들어가서 교수 시다로 하든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현재 무대디자이너 하시는 분들이 평균 연령이 40대가 넘으신분들이 계시고 여성분들은 32살이신대 하도 공부만 하셔서 머리카락이 위가 없습니다. 인테리어 디자인 하나를 맞기면 정말 와~소리 날정도로 잘합니다. 놀랍더군요. 학벌은 홍대 3수해서 들어가고 외국에서 대학졸업하고 오신분입니다. 얼마전에 취직하신분입니다. 영어는 거의 작살나게 하십니다. 하지만 제가 짬밥으로 밀어 버립니다. 끝~

 

줄줄이 쓰다가 정신없이 써서 뭔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오탈자 검수 안했습니다. 양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님께서 한가지를 정하시고 그냥 달려 가십시요. 아까운 시간 지나 갑니다. 뭐든일은 힘들고 어렵습니다.

 

보잘것 없는 저를 불러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손톱 만큼이라도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_ _)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한달전 인스타를 통해 밴드 주식방에 들어갔어여. 처음에는 주식정보.... 계속 밴드톡이나 텔레그램으로 소통했구요 ✥ 안녕하세요, 주식,증권 분야 지식iN...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혹시 업비트 에 트럼프코인 머라고 검색하면은나오나요...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업비트에는 트럼프...

안녕하세요퓨ㅠㅠ

안녕하세요. 제가입사하자말자 그만둔다고이번말까지하고... ㅠㅠ 원래5/31일까지 한다햇는데앞당겨서 이번말까지그만둔다고햇어요퓨ㅠㅠ 안녕하세요. 로시컴...

안녕하세요 23년 5월 9일 입사해서...

안녕하세요 23년 5월 9일 입사해서,24년 6월28일 퇴사하는 데 회계년도로 연차를... 0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신제철 입니다. 입사일 기준이...

안녕하세요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네이버 답변 보다가 잘 아시는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쇼핑몰 운영중인데요... 참고사진처럼 인스타그램 연관채널이 붙어지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ThePoTo 입니다....

안녕하세요 직장인 금융소득에대해서.

안녕하세요 회사를 다니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최근에 주식을 시작했는데... ✥ 안녕하세요, 주식,증권 분야 지식iN 절대신 TesTia입니다. ✥ ✅️ 국내 주식일 경우...

안녕하세요 휴일 문의건

안녕하세요 ! 지식인에 질문해도 답이 안올라와서 혹시나 문의드립니다 . 저희...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신제철 입니다. 휴무일과 관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