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

금오신화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19.01.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이 책을 읽고 문제를 풀어야되는데 조금 급해서요...

줄거리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금오신화 줄거리 #금오신화 용궁부연록 줄거리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줄거리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줄거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금오신화 줄거리


 <금오신화>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등의 다섯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신화新話)란 말을 붙인 점에서 알 수 있듯이,이야기는 당대 독자들이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형식의 이야기’였을 것임이 틀림없다.
 다섯편 가운데 처음 세 편은 죽은 여인 또는 전설 속 선녀와의 사랑 이야기이고,뒤의 두 편은 염라국과 용궁에 다녀온 선비가 그곳에서 듣고 본 이야기를 적은 기록이다.
 모두 사람과 귀신과의 사랑 또는 이계異界)로의 진입을 다루고 있는 셈인데,여기에 등장하는 남주인공들은 모두 현실에서 좌절의 쓴 경험을 맛본 인물들이다.그러므로 이들이 엮어내는 낭만적 환상은 어디까지나 현실의 불행을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가 빚어낸 ‘가상현실’일 뿐이다.



1. 만복사 저포기(줄거리)
 전라도 남원에 사는 노총각 양생은 어느 날 만복사의 불당을 찾아가서 부처님께 저포놀이를 청했다. 그가 지면 부처님에게 불공을 드릴 것이요, 부처님이 지면 그에게 아름다운 배필을 중매해 달라고 부탁하는 내기였다. 서생은 두 번 저포를 던졌다. 그 결과 서생이 이겼다. 서생은 불좌 밑에 숨어서 배필이 될 여인이 나타나기를 기다렸다. 그 때 문득 아름다운 아가씨가 나타났는데, 이 여인도 부처님 앞에서 자신의 외로운 신세를 하소연 하면서 좋은 배필을 점지해 달라고 기원하였다. 이를 본 서생이 그 여인 앞으로 뛰어나가 회포를 말하니 두 사람은 정이 통해져 하룻밤을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런데 실은 이 여인은 인간이 아니라 왜구의 난리통에 죽은 처녀의 환신(幻身)이었다. 이튿날 여인은 서생에게 자기가 사는 동네로 가기를 권했다. 서생은 거기서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 사흘 뒤 그가 돌아오게 되었을 때 여인이 서생에게 신표로서 은주발 한 개를 선사하였는데 그것은 그 여인의 무덤에 매장한 부장품이었다. 다음 날-이 날은 여인의 대상(大喪)인 동시에 잿날이었다. - 그들은 보련사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재가 끝난 뒤 여인은 인연이 끝내 그 여인을 잊지 못하여 장가도 들지 않고 지리산에 들어가서 약초를 캐면서 평생을 마쳤다.

2. 이생규장전(줄거리)
 송도에 이씨 성을 가진 서생(글 읽는 선비를 가리키는 말)과 최씨 성을 가진 아가씨가 살고 있었다.
 어느날 이생이 최처녀집 담밖에 있는 나무 아래서 쉬다가 문득 담 안을 엿보았다. 온갖 꽃들이 만발한 꽃 사이 누각에서 아름다운 여인이 수를 놓고 있다가 시를 읋는게 아닌가! 자기의 외로운 마음과, 이성을 향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였다. 이생도 그 시에 답하는 시를 지어 기와쪽에 매달아 담 안으로 던져보냈다. 두 사람은 그 날 저녁 최처녀집 뜰에서 만나 사랑을 약속한다. 그날부터 이생은 최처녀 집에 며칠을 머문다. 시간이 흐르는지 멈췄는지 모를 만큼 즐거운 나날이었다. 그 뒤로도 이생은 저녁이면 어김없이 최처녀를 찾았다.
 아들의 행실을 이상히 여긴 이생의 아버지는 농사 감독이나 하라며 영남으로 쫓아보냈다. 이 소식을 들은 최처녀는 너무나 상심하여 병에 걸려 자리에 누웠다. 딸자식이 죽게 되었다고 걱정하던 최처녀의 부모는 딸에게 자초지종을 듣고는 이생 집에 청혼을 했다. 이생 부모도 마음을 돌리고 결혼을 허락했다. 끊어졌던 사랑이 이어져 부부가 된 뒤 두 사람은 서로 공경하고 극진히 사랑했다. 이생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그러나 홍건적이 서울을 점령하자 이생 가족도 피난을 가게 되었다. 그러다가 부부가 서로 헤어지고 부인 (최처녀)은 도적에게 사로잡혔다. 도적들을 꾸짖으며 정조를 지킨 부인은 한칼에 죽임을 당했다. 난리가 끝난 뒤 집에 돌아온 이생은 옛날 최처녀를 만나 사랑하던 작은 누각에 올라가 한숨지으며 지난 날을 생각해보았다. 그때 사랑하는 아내가 다가왔다. 아내가 이 세상 사람이 아니라는 걸 알면서도 이생은 반가워 어쩔 줄을 몰랐다. 두 사람은 두서너해 동안 바깥 출입을 하지 않고 즐거운 나날을 보냈다. 그러던 어느날 저녁 부인은 이제 슬픈 이별이 닥쳐왔다고 말한다. 이생도 부인과 함께 황천으로 떠나길 바랐지만 그럴 수 없는 노릇이었다. 부인이 떠난 뒤 두서너 달 만에 이생도 세상을 떠났다.


3. 취유부벽정기(줄거리)
 송도 부호의 아들 홍생(洪生)이 유람을 겸한 장사를 하기 위해 평양으로 가서 친구들과 같이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취흥을 이기지 못하여 홀로 작은 배를 타고 부벽정(浮碧亭) 아래에 이르러, 정자 위로 올라가서 난간을 의지하고 고국의 흥망을 탄식하며 시를 지어 낭랑히 읊고는 삼경(三更)이 되어 돌아가려 하는데 갑자기 발자국 소리가 들려온다.
 홍생은 영명사의 중이 찾아오는가 생각했으나, 뜻밖에도 한 미인이 좌우에 시녀를 거느리고 비단 부채를 들고 나타나는데, 그 위의(威儀)가 엄숙하고 정숙하여 마치 귀족 집안의 처녀 같았다고 하거니와, 홍생이 시녀의 내영(來迎)을 받아 누상으로 올라가서 그 미인과 인사를 나누게 된다.
 그 미인의 신분은 은왕의 후예요, 기자왕의 딸로서, 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로 정절을 지켜 죽기를 기다리는데, 신선이 된 선조(先祖)가 나타나 불사약을 주어 그 약을 먹고 수정궁의 상아가 되었다는 것이다.
 홍생이 부벽류에서 그 선녀와 하룻밤을 지내며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부르다가 날이 새자 그 선녀는 승천하고, 홍생은 집에 돌아와 그 선녀를 생각하며 사모하던 끝에 병이 걸렸는데, 그 선녀의 시녀가 나타나, "우리 아가씨가 상제(上帝)께 아뢰어 견우성(牽牛星) 막하(幕下)의 종사(從事)를 삼았으니 올라 오라"고 일러주는 꿈을 꾸고 난 뒤, 목욕을 하고 옷을 갈아입은 후, 분향하고 누웠다가 세상을 떠났는데, 빈장(嬪葬)한 지 몇 달이 지나도 안색이 변하지 않았다.


4.남염부주지(줄거리)
 경주에 사는박생(朴生)은 유학(儒學)으로 대성하겠다는 포부를 지니고 열심히 공부하였으나 과거에 실패하여 불쾌함을 이기지 못하였다. 그러나 뜻이 높고 강직한 데다 인품이 훌륭하여 주위의 칭찬을 받았다 그는 귀신·무당·불교 등의 이단에 빠지지 않고자 유교 경전을 읽기도 하고, 세상의 이치는 하나뿐이라는 내용의 철학논문인 <일리론(一理論)>을 쓰기도 하여 뜻을 더욱 확고하게 다졌다.

 어느 날 꿈에 저승사자에게 인도되어 염부주(炎浮洲)라는 별세계에 이르러 염왕(閻王)과 사상적인 담론을 벌였다. 유교·불교·미신·우주·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통하여 염왕과 의견 일치에 이름으로써, 자신의 지식이 타당한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염왕은 박생의 참된 지식을 칭찬하고 그 능력을 인정하여 왕위를 물려주겠다고 선위문(禪位文)을 내려주고는 세상에 잠시 다녀오라고 하였다. 꿈을 깬 박생은 가사를 정리하고 지내다가 얼마 뒤 병이 들었는데, 의원과 무당을 물리치고 조용히 죽었다.

5. 용궁부연록(줄거리)
 시문에 능한 한생(韓生)이 표연(瓢淵)에 살고 있는 용왕이 보낸 사자를 따라 용궁으로 들어간다. 청의 동자(靑衣童子)의 안내를 받아 함인지문(含仁之問)을 지나 수정궁을 들어가니, 조강신, 낙하신, 벽란신의 세 신왕(神王)이 초대되어 와 있다. 용왕은 한생을 초대한 이유로서, 용왕의 딸의 화촉동방을 꾸밀 가회각(佳會閣)을 새로 지었기로, 그 상량문을 부탁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에 한생이 상량문을 지어 주자 용왕은 잔치를 벌여 한생을 대접하는데, 먼저 미녀 10여명이 나와 벽담곡을 부르고, 총각 10여 명이 나와 회풍곡을 부르니, 용왕도 옥룡적을 불어 수룡음을 읊는다. 또 곽 개사가 나와 팔풍무를 추며 노래를 부르고, 현 선생이 나와 구공무를 추며 노래 부른다. 숲 속의 도개비와 산 속에 사는 괴물들도 나와 휘파람을 불며 노래를 불렀다.

 이에 삼신이 각각 시를 지었으며, 한생도 20운을 지어 올렸다. 그리고 용궁의 문물을 구경시켜 달라고 하여 여러 누각과 보물들을 두루 구경하고, 용왕이 주는 명주 두 알과 빙초 두 필을 받아 가지고 나온다.


금오신화 앞부분 줄거리좀 알려주세요ㅠ...

저 책 읽으신분들중에 혹시 앞부분 줄거리 아시는분 계실까요..? 금오신화에 수록된 다섯 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만복사저포기: 남원의 노총각 양생(梁生)과 죽은...

금오신화 줄거리

금오신화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8월30일까지요 만포사저포기 산 남자와 죽은 여자의 사랑을 그린 애정 소설이며, 구조유형상 명소설(명혼소설) 또는 시애소설(시애소설)...

금오신화 줄거리좀 알려 주세요!!!!

... 금오신화 줄거리 ⑴ 만포사저기(萬福寺樗蒲記) ①줄거리 산 남자와 죽은 여자의 사랑을 그린 애정 소설이며, 구조유형상 명소설(명혼소설) 또는 시애소설(시애소설)이라고...

금오신화-달도없는 빈하늘의 기이한...

... 근데 인터넷에 아무리 찾아봐도 없어서 그런데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 ㅠㅠ 저 지금... 이 금오신화는 500년 전 매월당 김시습(1435 ~ 1493)이 쓴 단편 소설집 한문으로 쓴...

금오신화 줄거리...

안녕하세요 보충시간에 금오신화가 나왔는데요.. 쌤이 내용 알아오라고 하셔서..ㅎㅎ... 내용 좀 알려주세요..ㅎ 용궁부연록 : 시문에 능한 한생(韓生)이 표연에 살고 있는...

홍길동전와 금오신화

홍길동전, 금오신화 줄거리좀 알려주세요~ 숙제인데.. 책읽기가 시러서여..ㅋ 꼭 부탁드려요,.. 홍길동전 ■줄거리 주인공 홍길동은 세종조, 서울에 사는 홍 정승의 둘째...

줄거리좀 알려주세요!!^^

... /국어시간수필읽기 /금오신화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 독서록 써가야 되는데,, 시간이 없어서 못 읽거든요,, 죄송하지만 아시는 분 있으시면 줄거리 좀 써주세요,,,ㅜㅜ...

읽고 대충 멀 느낄까여??알려주세요

... 좀만 알려주세요.. 금오신하는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전기(傳奇) 소설 단편이고 우리... (1)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 김시습의 『금오신화』중에서 ■ 줄거리 전라도...

남염부주지 줄거리 좀 알려주세요

금오신화 중에서 남염부주지 줄거리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급합니다ㅠ 내공 100!! 걸겠습니다!! 경주에 사는박생(朴生)은 유학(儒學)으로 대성하겠다는 포부를 지니고 열심히...

금오신화줄거리 좀!!!!!!!!! 빨리

금오신화에 줄러리좀 알려주세요~! 빨랑요. 줄거리는 30~40까지 한가지더 너무 많이쓰지마세요 40줄 넘지마세요 빨리빨리빨리!!!! HAFS 人은 아니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