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독 되려면

영화감독 되려면

작성일 2023.08.18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초6입니다 영화감독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영화감독 되려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앙대, 동국대, 서울예대, 한예종,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입시 전형에 맞춰서 지금부터 촬영 편집 영상기획 유튜브 운영 등을 해보세요. 입시공부도 잘해야 합니다.

좋은 연극영화학과만 가도 본인이 하고 싶은 영화 일 다 할 수 있어요. 다른 쓸데없는 거 알려주는 인간들 답에 정신 팔리지 마시고 제 말 듣고 나아가세요.

그리고 시나리오 작법서 서점에 많습니다. 또 드라마 대본들도 출판 돼 있어요 그런 걸 모조리 사서 외우듯이 다 읽으세요. 그러면 20대 초반 쯤에 감독 될 것입니다. 이러한 답변을 똑바로 하기 위해서 20년 걸렸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십니까! 답변드려요.

영화감독이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를 따라 진행해보세요.

1. 관련 분야에 대한 공부: 영화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나리오 작성, 영상 편집, 연출 등에 대한 지식을 쌓아보세요.

2. 영화 제작에 대한 경험 쌓기: 학교나 지역 사회에서 영화 제작에 관련된 동아리나 활동에 참여해보세요. 영화 제작 프로세스를 실제로 경험하고,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전문 교육 받기: 영화 감독을 진지하게 생각한다면, 전문 교육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술 대학이나 영화 학교에서 영화 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작품 제작 및 발표: 스스로 작품을 만들어 보고, 관객들에게 발표해보세요. 작품을 통해 자신의 스타일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네트워킹: 영화 산업은 네트워킹이 중요합니다. 산업 내에서 유명한 감독이나 제작자와 연결되는 것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화 축제나 산업 행사에 참여하며 다른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관계를 형성해보세요.

6.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 영화 산업은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분야입니다. 지속적으로 최신 트렌드와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자신의 작품을 통해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단계를 따라가면 영화감독이 되기 위한 준비가 되어갈 것입니다. 열정과 노력을 투여하여 꿈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답변확정은 답변자에게 힘이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서울필름아카데미 영화감독과정에서

등록하시면 영화감독이 됩니다.

PBL 교육으로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지속적인 교육을 받으려며 아카데미 산하

청소년영화학교에 다니시면 됩니다.

https://www.seoulfilmacademy.com/film-director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영화감독도 점점 스펙이 좋아지는 추세입니다.

충무로 시대처럼 현장에서 조연출 10년씩 하게되면

메가폰을 잡는 건 사라졌습니다. 제작비가 수백억

들어가는 영화계도 출신대학-스펙이 매우 좋습니다.

현장에도 무작정 나가면 청소-잡일만하며 이것조차

표준계약서로 인해 비용을 줘야하니 쓰지않습니다.

현장은 아카데미나 대학이 아니므로 매우 엄하며

누구도 친절히 신경써주거나 가르쳐주진 않습니다.

이것도 몇 년을 하게될지, 10년을 하게될지 기약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영화과 대학을 가는 건 이러한

프리프로덕션-프로덕션 과정을 연습하는 셈입니다.

▲ 영화감독 출신 주요대학

영화과 특성상 연령대가 높습니다. 봉준호 감독또한

한국영화아카데미(KAFA)를 다녔고, 최근 한예종에

30대 이후까지도 지원합니다.

영화감독은 기본적으로 프리랜서이며 작품당계약직

입니다. 최근의 영화시장은 안정을 추구하기때문에

교육받지않은 감독을 선호하지 않는 편입니다.

출신대학이 인맥을 쌓고, 시스템을 익히며, 동시에

감독이 될 확률을 높히는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막내부터 시작해 감독이 된다는 것, 90년대 과거엔

그랬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릅니다. 영화계

많은 대기업이 진출했고, 표준계약서가 생겼으며,

안정을 추구하는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출신대학과 스펙, 수상경력 등이 없다면

영화감독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영화현장보조를

하며 기약없이 보냅니다.

수 십억-수 백억씩 제작비가 들어가는 프로젝트에

검증되지 않은 출신대학과 스펙의 감독에게 맡기지

않는 추세입니다.

▲ 영화영상 주요서적

https://cafe.naver.com/lordby/20556

영화과 (기출영화목록)

http://cafe.naver.com/lordby/21215

영화과 (기출실기서적)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영화과 (반영비율·기출실기)

이러한 서적들은 영화과 입시자료로 써도 될것이고

실질적인 단편제작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어디부터

시작해야할지 감을 잡을 때 유용합니다.

연출, 구도, 장치, 색, 미장센 등을 이해해서 해보면

도움이 될겁니다. 브이로그처럼 찍어볼수도 있겠고

영상학 구도분석을 통해서 해볼수도 있을겁니다.

△ 영화과

(기출영상+영화감독+시나리오작가)

국내 영화감독 중에서는 나운규, 유현목, 김기영,임권택

감독 등이 원조입니다. 김기덕, 이창동, 이명세, 홍상수

감독등이 이후입니다. 전성기는 봉준호, 박찬욱, 나홍진

감독 인지도있게 열고있습니다.

헐리우드는 시나리오작가 영역이 따로있고 분업화가

확실합니다만 국내는 영화감독이 시나리오까지 직접

쓰면서 각색-연출까지 하는경우가 태반입니다.

▲ 박훈정 <신세계>(2012)

시나리오 작가로 작품을 쓰더라도 결국 감독의

이름으로 올라가는 것이고, 고생한 것에 비해

얻는 게 적다는 인식이 있기때문입니다. 처음에

시나리오작가로 시작해도 결국 감독을 합니다.

초기에는 시나리오 공모전에 당선되어야하고,

몇 번 성과를 내면 연출(감독)의 기회를 얻고,

그 이후에는 시나리오+연출까지 하는겁니다.

대표적으로는 <신세계>의 박훈정 감독이있고

인지도가 낮을 때는 각본을 통해 입증하고,

어느정도 검증되면 연출메가폰을 잡습니다.

▲ 영화사-배급사-제작사

영화감독이라는 직업은 회사원처럼 규정된 방식이

있는 게 아니니 대학에 가서 단편과 독립의 스텝,

인맥까지 베이스를 깔아두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장편상업영화는 최근에 제작비가 몇 백억씩 들어가니

아무래도 쉽지않습니다. 취미로 영화를 찍고싶다면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말고 스마트폰으로 가볍게

일상부터 찍어보면 됩니다.

먼저 각본을 쓰고, 그걸 연출하고, 편집하고, 촬영해서

음향까지 넣어보는 과정을 해보면됩니다. 스마트폰에

담은것을 영상화하는 것만해도 시간이 꽤 걸릴겁니다.

이런 현실성있는 접근을 한 번 해보면 영화연출이

어느정도로 난이도가 있는지 고민하게되고 접근도

효과적으로 해볼수 있을겁니다. 단편영화 보조나

스탭으로 참여해보는 것도 도움이됩니다.

▲ 메이저 영상대회 목록

영화감독은 멀리봐서는 단편영화를 만들고 시나리오

공모전에 당선되어야하며, 가깝게는 영화과로갑니다.

영화제에서 입상한 후 작품을 제작사 등에 보냅니다.

감독은 대부분 프리랜서 개념입니다. 누군가 채용을

하지는 않습니다. 스타감독의 경우 가끔 소속사를

두는 경우도 있으니 작품계약이 기본입니다.

▲ CJ 시나리오 공모전

영화연출/시나리오 메이저대회에서 수상경력은

시나리오, 연출력 등을 검증받았다는 겁니다.

영화감독은 기본적으로 프리랜서에 작품 당 계약

형태이며 극소수를 제외하면 계약직 형태입니다.

그 이후에는 이러한 스펙을 바탕으로 직접 제작사

컨택을해서 피칭(Piching)을 합니다.

연락이 먼저오는 경우도 있고 천차만별입니다.

자신의 단편 필모를 주고 장편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기획방식 등을 소개 후 제작자 및 투자자를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영화감독을 하겠다는 지원자는 전국의 수 만명이

있으니 피칭할 기회를 얻는 게 가장 어렵습니다.

​컨택되어 이야기가 진행되면 캐스팅하고, 투자받고,

기획하고, 프리프로덕션 과정으로 제작합니다.

이러한 인맥을 얻기위해 메이저영화과로 진학합니다.

영화계는 알음알음 인맥으로 이어져있기 때문입니다.

실력이 가장 중요하지만 인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과정도 일반적인 예시일 뿐이며 꼭 정해진 방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박찬욱 감독도 외화수입 영화사

편집기사로 일하다 기회를얻어 감독이됩니다.

하지만 90년대 전후와는 달리 지금은 현장에서 버텨도

수 백억씩 투입되는 연출기회를 얻기 매우 어렵습니다.

2000년대부터 대기업의 투자가 들어오고, 2014부터

표준계약서가 생기는 등 영화도 거대산업이 됐습니다.

최근 상위권 대학이나 영화과를 나와 한예종 전문사나

한국영화아카데미(KAFA)까지 진학하는 등등 스펙이

상향평준화되고 있습니다.

【영상학과-영화과 순위】(인풋)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중앙대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한양대

동국대

(성균관대)

세종대

단국대

(서울예대)

경희대

숭실대

국민대

건국대

인하대

서경대

용인대

부산대

(청주대)

(경성대)

상명대

명지대

성결대

추계예대

수원대

대진대

동서대

공주대

동아방송대

중부대

동의대

한국영상대

서일대

순천향대

평택대

한서대

청운대

목원대

전주대

.

.

.

▲ 영화감독 출신 주요대학 (아웃풋)

https://cafe.naver.com/lordby/46496

영상이미지 앵글-미장센-구도분석법1

https://cafe.naver.com/lordby/41444

영상이미지 앵글-미장센-구도분석법2

http://cafe.naver.com/lordby/23042

영상학과 스토리구성법

http://cafe.naver.com/lordby/27423

문장구성 트레이닝

http://cafe.naver.com/lordby/16354

묘사 트레이닝

.

.

.

.

구매와 구독의 전환점이기도 하고, OTT 및 VOD

시스템 등등의 진보로 미래가치가 큰 영역입니다.

​​영상학은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넷플릭스,

, CJ E&M, 스튜디오드래곤, 디즈니플러스

왓챠 등 제작/유통/배급/플랫폼 기업들 영역입니다.

최근에는 넷플릭스나 왓챠처럼 플랫폼과 OTT개념이

강해지고 있으나 영화산업은 여전히 투자-배급 힘이

막강하며 롯데, CJ, 쇼박스, NEW 등입니다.

▲영화과/영상학과 진로

(편집,연출,촬영,음향,제작,기획)

연출, 편집, 촬영, 음향, 시나리오(대본), 프로듀싱,

기획 밸런스가 중요하며 최근엔 스타감독이 아니면

감독도 '단기고용' 의 개념으로 활용되는 셈입니다.

자본의 힘이 막강하다고 이해하면 될 겁니다. 결국

어느정도로 높은 레벨의 영화제와 메이저 시나리오

공모전에서 수상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좋은 시나리오와 연출능력을 가지고있으면 제작사

등에서 데려가려고 연락이 먼저오고 그게 아니면

따로 기회가 없게될 겁니다.

영화감독은 반드시 전공학과(영화과)로 갈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학과로 준비하려면 스펙이

매우좋아야 합니다. 차라리 영화과가 쉽습니다.

​류승완 감독처럼 예외는 있으나 드문 케이스입니다.

▲한예종 영화과 실기

▲ 중앙대 영화과 실기

http://cafe.naver.com/lordby/32517

서울예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47076

중앙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cafe.naver.com/lordby/29247

세종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47948

동국대 영화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83416

세종대 영화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40578

동국대 영화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50248

한예종 영화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97094

국민대 영화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45623

숭실대 영화과 합격후기

영화과 실기는 이야기구성 작문, 시나리오 분석구술,

시놉시스, 쇼트구성, 영화감상평, 스토리보드-콘티,

영상분석 등입니다.

출제의도는 극적구성, 장면구성, 캐릭터구축, 풍자,

플롯설계 등이 목적이니 맞춰서 준비를 해야합니다.

배경묘사-미장센을 설치해서 표현하면 더 좋습니다.

『플롯설치 / 기승전결』

주제, 줄거리, 인물, 집필의도가 드러나는 형태와

안타고니스트-프로타고니스트에 대한 설정방식이

있습니다.

기승전결을 갖추고 인과(因果)에 의해서 플롯이

형성되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하고, 알레고리를

담아내면 가산점이 들어가는 셈입니다.

▲ 영화과

(반영비율·평균등급컷)

영화과는 실기가 있는대신 대부분 수학미반영

입니다. 실기비율 70~80%를 통해 실질적으로

실기로 선발하는 겁니다.

이 때문에 인서울/수도권 주요대학도 실기를

잘보면 3~6등급 내외에서 다수 선발됩니다.

실기로 광범위하게 커버가 되는 겁니다.

【영화과 등급컷】

상위권 비실기전형 - 1.3~1.7 (수학반영)

하위권 비실기전형 - 1.9~2.1 (수학반영)

상위권 실기전형 - 2.3~5.0 (수학미반영)

중위권 실기전형 - 2.7~6.0 (수학미반영)

수도권 실기전형 - 4.0~6.5 (수학미반영)

하위권 실기전형 - 5.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실기전형 - 4.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비실기전형 - 3.0~5.0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국립 - 2.3~2.7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일반 - 3.3~4.3 (수학반영)

▲ 영화영상학과 커리큘럼/진로

​감독(연출), 편집, 촬영, 음향전공을 준비해도

영화과 실기시험은 스토리구성 글쓰기입니다.

이유는 편집, 촬영, 음향 어떤 것을 하더라도

기본은 시나리오이니 실기시험은 스토리텔링

구성으로 진행됩니다.

포괄적으로 정리해드렸으니 참고해서 실기대비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영화감독 영화연출과 입시정보를 포함해서,

영화과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영화감독 되려면 연출전공vs시나리오 전공

... 영화감독 되려면 연출전공vs시나리오 전공 영화감독이 꿈인 고등학생인데요 연출전공을 하는게 좋을까요 아님 시나리오 전공을 하는게 좋을까요?? 질문하셔서 답변드립니다...

작가랑 영화감독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

작가랑 영화감독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뭘 배워야 하나요? 지식인 전문 상담사 - 문학부장 - 입니다. 정성 스럽게 작성하여 도움될수 있는 수기 답변 드리겠습니다....

영화 감독 되려면

... 영화 감독 되려면 실기로 봐야하는 부분도 있나요? 연출이라던지 시나리오 제한 시간 내에 짜기… 이런 것들이요. 2. 제가 지금 이과인데 교차 지원이 되나요? 문과로 전과를...

영화감독 되려면..

... 처음엔 스탭으로 들어간다는데 어떤경로를 통해서 되는지, 또 멋진영화감독되려면 해야할것들과 꼭 봐야할 영화들 많이추천해주세요...!! 스텝은 영화진흥위원회 구인란...

SF영화감독 되려면

... 등등 암튼 이런건 생략해두고 SF영화감독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1. 심형래 밑으로 들어가서 일하면서 좋은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2.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영화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