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가 때문에...ㅠ.ㅠ

악성코드가 때문에...ㅠ.ㅠ

작성일 2004.07.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컴초보 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요즘 인터넷을 구동시키면 당연히 떠야 할 시작페이지인(www.naver.com)이 안뜨고 왠 외국사이트(무슨 검색사이트 같음)가 뜹니다.

신기한 것은 익스플로러의 주소창엔 www.naver.com 이 떠있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포털 사이트(야후나 다음)에서 네이버를 치고 클릭하면 그 외국사이트가 뜨는데 주소는 네이버입니다.

즉 외국사이트가 네이버 주소를 덮어쓰고 있다는 얘기겠죠...

 

컴을 약간은 하는 편이라서 다간다, 스파이 스위퍼, 다잡아, 애드어웨어 등을 설치하여 검색 및 삭제를 해도 이 현상만 해결되지 않네요...

 

무슨 악성코드가 들어와서 시작페이지(www.naver.com) 주소에 자기 사이트를 연계하도록 PC에 설정이 되게 한 것 같습니다.

 

이러하다면 레지스트리 설정에서도 네이버 주소를 그 외국사이트가 덮고 있으니 시작페이지 주소를 네이버로 설정해도 소용이 없겠지요?

 

참고로 네이버 지식은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컴 실력이 딸려서 그 사이트가 뜬 것을 화면저장한 그림파일이 있는데도 질문게시판에 파일첨부하는 것이 없어 못올려 아쉽네요...

 

도와주세요.

 

(참고로 말씀드리면 다음(www.daum.net) 또한 이런 현상이 전부터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http://naver.com 또는 http://daum.net 즉 www 표기를 빼서 입력하면 다행히 원하는 포털사이트가 뜨고 그 외국 사이트가 안떴는데 요즘은 네이버의 경우는 아예 www나 그냥 네이버닷컴 쳐도 외국사이트가 뜨고 다음의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다음에서 어떤 링크를 치고 들어가면 예를 들어 shop.daum.net 이 되었다가 왼쪽 상단의 DAUM 이미지(즉 www.daum.net으로 가게 해주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역시 똑같은 그 외국사이트가 뜹니다.)

 

자바스크립트(location설정)를 사용하여 주소창이 cafe.daum.net인채로 다른 페이지(또는 사이트)의 내용을 보여주려 함이라고 어떤 다음까페에 갔더니 메시지가 뜨는 데 혹시 이것이 문제가 아닌가요?

 

 

죄송하지만 거의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문외한입니다. 뭘 수정해야 한다면 위치와 요령 좀 상세히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컴퓨터 사용 중 갑자기 광고 팝 업 창이 뜨거나 인터넷 익스플로어 실행 시 홈페이지가 성인 사이트나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웹 사이트로 고정되고 홈페이지를 변경해도 다시 변경되는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웜이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악성 코드가 홈페이지를 변경하는 경우도 있지만 흔히 스파이웨어(Spyware)로 알려진 애드웨어(Adware)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애드웨어란 제한 없이 무료로 사용되는 프리웨어(freeware), 일정한 금액으로 제품을 사야 하는 셰어웨어(shareware) 같이 광고를 보면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그리고 광고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백신 업체는 현재까지 애드웨어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와 같은 악성 코드로 분류할지에 대해 여전히 논의 중입니다. 몇몇 백신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애드웨어 등을 진단하는 정책을 답변확정하고 있지만 특정 업체에서만 시행하고 있습니다.

애드웨어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트로이목마로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1. 사용자 동의를 얻어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임의로 진단할 수 있는가?
2. 홈페이지를 바꾸고 광고를 출력하는 것이 악의적인 일로 볼 수 있는가?

물론 이들 애드웨어가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거나 개인 정보를 빼가는 행위가 증명되면 이들은 트로이목마로 분류되어 백신에서 진단/치료(삭제)됩니다.

위 두 가지 문제로 현재까지 애드웨어는 백신에서 기본으로 진단하지 않으며 일부 백신에서 선택적으로 진단하며 사용자가 수동 삭제하거나 전용 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최신 엔진으로 바이러스가 진단되지 않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시작홈페이지 주소를 변경한 후에도 특정 사이트가 지속적으로 연결되거나, 특정 사이트 오픈 시 여러 개의 웹 브라우저의 창이 동시에 오픈 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애드웨어 제거

1) 최신 엔진으로 업데이트 된 V3제품으로 검사하여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와 같은 악성 코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수동 검사의 ‘검사 파일 형식’은 반드시 "모든 파일"로 설정합니다. V3에서 진단되는 파일이 있다면 치료(삭제) 합니다.

2) [시작]-[설정]-[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시스템과 관련이 없고 본인이 설치한 적이 없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살펴보신 후 삭제합니다.

3) 임시 인터넷 파일을 모두 제거한다. 제거방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실행]-[도구]-[인터넷 옵션]-[임시 인터넷 파일]에서 "파일 삭제", "쿠키 삭제"를 선택하고 삭제하면 됩니다. "쿠키 삭제" 버튼이 바로 보이지 않으신다면 [임시 인터넷 파일]-[설정]-[파일보기]에서 열린 탐색기 창 내의 모든 파일을 제거해 하면 됩니다.

4) 윈도우(일반적으로 C:\Windows나 C:\WinNT)의 ‘Downloaded Program Files’ 폴더에서 불필요하게 설치된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합니다. 프로그램 파일’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속성(R)]을 선택하면 “코드베이스” 항목에 프로그램 설치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출처를 정확히 알지 못할 경우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제거(R)’을 통해 삭제합니다.

5)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면 종료하고 해당 파일을 삭제합니다. 윈도우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게 등록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인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등에서 등록된 항목들을 살펴보면 특정 파일이 심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2000이라면 [Ctrl]+[Atl]+[Del]키를 누른 후 관련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고 해당 파일을 지우면 됩니다.

6) 보안 취약점을 존재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자동으로 감염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시작]-[Windows Update]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실행]-[도구]-[Windows Update]-[업데이트 검색]-[업데이트 검토 및 설치]를 통해 보안 패치를 적용합니다.

2. 추가 조치 방법

애드웨어를 삭제해도 애드웨어에서 설정을 변경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때 다음 레지스트리의 내용을 자신에 맞게 수정하는 게 좋습니다.

(1)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 변경

1) [시작]-[실행]을 선택한 후 "regedit"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2)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Start page ="등록되어 있는 값 삭제 후 원하는 값으로 설정"

(2) 애드웨어에서 자주 변경하는 레지스트리 값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에서 "Start Page"= , "Search Page"=, "Search Bar"= ,"Start Page"=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에서 "Start Page"= , "Search Page"= , "Search Bar"= ,"Default_Page_URL"=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에서 "SearchURL"=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Search]에서 "CustomizeSearch"= , "SearchAssistant"=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에서 "SearchURL"=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Search]에서 "CustomizeSearch"= , "SearchAssistant"=

(3) Browser Helper Objects

1) Browser Helper Objects 확인

많은 애드웨어가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Browser Helper Objects’ 기능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트리 에디터(regedit.exe)를 실행 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Browser Helper Objects’에 등록된 CLSID 값을 확인합니다.

2) CLSID 내용 확인

HKEY_CLASSES_ROOT\CLSID\{CLSID 값}의 “InprocServer32”키 값을 통해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파일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3) 불필요한 CLSID 삭제

CLSID를 반복해서 찾아 해당 CLSID 값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불필요한 파일이라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Browser Helper Objects’에 등록된 CLSID 값을 삭제하면 됩니다.

악성코드때문에 미치겠어요ㅠ 제발...

... 못올려요 ] 아무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에는 안그러지만... 악성코드인 만큼 지능적이기 때문에 작업관리자나, 레지스트리값 삭제나, 심지어 잘...

악성코드 때문에 미치겟어요

... 깔았어요 그다음에 렌선을 꼽은후 윈도우 업뎃에 가서 바로 있는 업뎃... 그런데 msgzi.exe , holnvc.exe nvc32.exe 등등 악성코드들이 생성되며 v3 등으로 잡히지도 않습니다....

악성코드때문에요ㅠ 꼭좀도와주세요!!...

... 검색한면 악성코드가 없다는데.. 자꾸 민망하게 뜨네요ㅠㅠ 무슨방법이없나요? 꼭좀도와주세요!! 악성코드에지쳐버렸어요.- 내공걸께요- 닥터 바이러스라는 게 있는데요...

악성코드 때문에 미치겠어여 ㅠ...

... 제가 악성코드 때문에 다잡아머 온갖 별짓 다해봤거든요... 그리구 닥터 바이러스 로 유로 돈되서 했는데 ............ 사람들이 닥터 별로라고 해서 pc클린 으로 악성코드...

악성코드 퇴치법 ..

악성코드때문에 돌겟습니다 퇴치법좀가르켜주세요 악성코드 때문에 문제시라면요.. 보통 2가지 조합을 쓰는게.. 좋을듯 싶어요.. 2개는 별로 충돌이 많이 일어나지도...

악성코드인지 바이러스때문인지...

... 요 근래 (12월 말) 악성코드 때문에 (바이러스인지..) 골치아픕니다. 서치 스파이며, 닥터 피씨며, windows helper며.. 웹가이드, 뭔가이드.. G마켓 아이콘 등등.. 심지어...

맛이 갔어요. 악성코드 때문인가요?

... 악성코드의 수가 많아지니까 휠씬 좋습니다. 또한 피씨보안은 악성코드 스파이웨어 에드웨어 바이러스 까지 모든걸 잡아내기 때문에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이상입니다.

악성코드? 바이러스? 해결해주세요

[아래 스샷첨부] 정말 병든 저의 컴퓨터때문에 힘들어 죽겠습니다ㅠ 도와주십쇼 포맷을 해도 똑같은 악성코드들이 난잡하게 활동하고 바이러스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