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견적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

작성일 2009.12.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에 위태위태한 컴퓨터의 생명과 맞바꾸어?

 

대충 조립하는 방법을 끝냈습니다.

(막상해보니 별거 아니더군요... 문제는 고장난 상태라 맞게했는지 모른다는거...

 파워만 들어가고... ㅠㅠ 리셋은 안되고... 이 문제는 스위치선 연결 잘못한건가요...?

 온도나오는 케이스라 스위치선이 굉장히 많고, 설명서와는 살짝 달라서...)

 

그리하여 제가 직접 조립을 할 생각입니다.

 

좋게 맞출 생각은 없지만... 그래도 말썽이 있어도 안되니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제가, 아는건 없지만 아는 지인분에게 줏어 들은거라고는

 

1.컴퓨터는 소모성이다.

 

2.파워는 컴퓨터의 심장이다?! (누군가한테 팔거아니고 쓸거면 좋은걸로 쓰라고 ㅡㅡ;;)

 

그리하여, 가장 보급형 형태로 단물만 쏙쏙 빨아 먹을라고 저가로 생각합니다. 본체만 20~30?

 

전에 쓰던 HDD 나 ODD를 재활용하면...

 

질문시작~

 

1.마더보드랑 CPU랑 파워 서플라이만 사면 되는건가요...?

 

2.현재 쓰고 있는 스위치선이 있긴있지만... 분해할때 제대로 정리를 안해놔서 엉망이라...

  새로받으면 좋을텐데, 스위치선들은 케이스를 사야하나요...? 아니면 재활용을 해야하나요?

   그리고 USB 연결은... 으윽;; 어찌해야할지...

 

3.지금이 살짝 램도 그렇고 CPU(AMD)도 과도기적인 성격이 짙어,

   처음부터 DDR3지원에 AM3 마더보드로 살려합니다.

   요번달에 ECS에서 저가의 AM3 보드가 나왔는데, HT 2.0 이더군요...

   싸써 좋긴좋지만...HT2.0 과 HT3.0 의 차이가 많이 나겠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요즘 시리즈들이 다 3.0에 맞춰나오는데...;;)

 

4. 3번 질문에 이어, HT3.0 으로 할 생각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유니텍의 A770E3 라는 제품입니다.

    웹서핑을 해봐도 아수스나 기가들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괜찮을까요?

    이 제품으로 해도될까요? 아니면 다른제품으로?

    (이걸 사용하면 오버쿨럭하고는 '안녕' 해야 되나요...? 사실 아직 해보지도 않았지만)

 

5. CPU는 레고르로 생각을 하고있는데... 굳이 칼리스토를 안사도 괜찮죠?

 

6. 사실, 저번 컴퓨터의 경우에도 조립인데 약 2년 가량만 사용하고 수명을 다해버렸습니다.

    (의뢰를 해서 한건데... 그때가 07년으로 콘로도 나왔을때인데... 프레스캇으로 맞춰주다니... 어휴)

     그래서 이번에는 최대한 저가에 오래도록 효율적이게 써볼 생각입니다.(참 욕심도 많아...)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번에 레고르 250으로 맞추고 마더보드 슬롯도 4개니 그때 그때마다

   메모리 2G씩 추가하면서 사용하면 오래 사용 가능하리라 보는데 가능할까요?

 

 

7. 4번에 이어 오버쿨럭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건가요? 바이오스로 건드려서 하는건가요...?

   하는법도 간략히 가르쳐주세요.

 

8. 파워는 회사도많고 모델도 굉장히 많던데... 믿을만한 모델좀 가르쳐주세요.(450~500 )

 

9. 메모리 경우에 1G x 2 랑 2G랑 성능차이가 어느정도 차이가 있나요?

 

10. 모범적인 견적을 작성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합니다.

 

이상 말많고 까다로운 초보자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 견적 #컴퓨터 견적 사이트 #컴퓨터 견적 갤러리 #컴퓨터 견적 짜는법 #컴퓨터 견적 사이트 추천 #컴퓨터 견적 추천 #컴퓨터 견적 사이트 추천 디시 #컴퓨터 견적 다나와 #컴퓨터 견적 보는법 #컴퓨터 견적 추천 디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꽤 오랬만에 답변 달아보내요 ㅎㅎ

 

1.컴퓨터는 소모성이다.

 

   소모품입니다 아직가지 컴퓨터가 애플라이언스 시대가 도래하지 않은걸 보면

 애플라이언스 시대가 열린다고 하여도 소모품에대한 진리는 변하지 않을듯 합니다 

(애플라이언스:가전제품을 통칭합니다)

2.파워는 컴퓨터의 심장이다?! (누군가한테 팔거아니고 쓸거면 좋은걸로 쓰라고 ㅡㅡ;;)

 

   가장 먼저 망가지는 컴퓨터 부품이라고 보시면 됨니다 제일 일을 많이 합니다

 

그리하여, 가장 보급형 형태로 단물만 쏙쏙 빨아 먹을라고 저가로 생각합니다. 본체만 20~30?

전에 쓰던 HDD 나 ODD를 재활용하면...

 

보급형이라는 말이 의미 심장 하게 들리내요

평생쓸수 있는 가전 제품은 없습니다

일단 저의 경험을 토대로 보급형의 쓰라린 기억을 떠올려 드리죠

 

1.마더보드랑 CPU랑 파워 서플라이만 사면 되는건가요...?

   메모리

   그래픽 카드

   HDD

 이 모든 부품이 있어야 윈도우를 설치 할수 있습니다

 

2.현재 쓰고 있는 스위치선이 있긴있지만... 분해할때 제대로 정리를 안해놔서 엉망이라...

  새로받으면 좋을텐데, 스위치선들은 케이스를 사야하나요...? 아니면 재활용을 해야하나요?

   그리고 USB 연결은... 으윽;; 어찌해야할지...

 

스위치선의 명칭이 좀 애매 하내요

파워나 리셋 스위치를 말슴 하시는 건지요?

케이스 기본으로 달려 있습니다

 

PS 무얼 보고 스위치 선들을 꽂으셧는지요?

메인보드 메뉴얼 보고 꽂아야만 정상 동작 합니다

 

3.지금이 살짝 램도 그렇고 CPU(AMD)도 과도기적인 성격이 짙어,

   처음부터 DDR3지원에 AM3 마더보드로 살려합니다.

   요번달에 ECS에서 저가의 AM3 보드가 나왔는데, HT 2.0 이더군요...

   싸써 좋긴좋지만...HT2.0 과 HT3.0 의 차이가 많이 나겠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요즘 시리즈들이 다 3.0에 맞춰나오는데...;;)

 

   보편적인 세팅을 권해 드림니다

 필자는 인텔에 녹을 먹는 직원도 아니고 팔자는 욕심에 남기는 글이 아님을 전제로 시작 하겟습니다

컴퓨터 CPU 점유률이 왜 인텔이 앞설까요?

당연 스팩과 필드테스트에서 당연 인텔이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 하다는 평론을 잠재울수 없기에

인텔 CPU가 많이 팔리고 많이 씀니다 

안정성과 호환성을 두루 같춘 인텔 보드들이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드내요

 

4. 3번 질문에 이어, HT3.0 으로 할 생각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유니텍의 A770E3 라는 제품입니다.

    웹서핑을 해봐도 아수스나 기가들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괜찮을까요?

    이 제품으로 해도될까요? 아니면 다른제품으로?

    (이걸 사용하면 오버쿨럭하고는 '안녕' 해야 되나요...? 사실 아직 해보지도 않았지만)

 

  유니텍이 어던 회사인지는 알고 사신다고 하시는건지요?

컴퓨터 부품하면 용산이 우리나라 최대 상권을 자랑 하는 곳입니다

그런 용산 매장에서도 취급을 안하는 제품이 유니텍입니다

용산 매장에서 취급 하지 않는 이유는 딱 하나 입니다

AS 문제로 악평이 자자합니다

판매자들도 AS때문에 골치도 아프거니와 괸히 팔고 욕먹는 제품이다 보니 용산 매장에서는 아예 취급도 안하는 유니텍 제품을 저도 처음엔 싼맛에 하나 구입 했다가 2년도 안가 사망한보드를 보며 AS는 포기 하고 버렸습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 검색해보면 싸게팜니다 사후관리를 안하는데 싸게 팔아도 남는 장사일것입니다

아수스나 기가 그리고 기가 바이트 이 세 회사를 추천하는 이유는 단 하나 입니다

3년 무상 교환 제가 아수스 보드 7번인가를 교환 받아 본적 있는데 갈때마다 이눔들 친절합니다

거기에 윈도우 자체 프로그램 내장으로 바이오스 펌업을 지원 하는 보드는 3개로 기억 합니다

요즘은 제품 자조 못보는 터라 잘은 모르겟습니다만 호환성에 AS는 타사보다 월등하다고 생각이 되내요

 

5. CPU는 레고르로 생각을 하고있는데... 굳이 칼리스토를 안사도 괜찮죠?

  집에 컴퓨터만 3대가 있는데 AMD는 살일도 없거니와 살 생각도 없어서 잘 모르겟습니다

 

6. 사실, 저번 컴퓨터의 경우에도 조립인데 약 2년 가량만 사용하고 수명을 다해버렸습니다.

    (의뢰를 해서 한건데... 그때가 07년으로 콘로도 나왔을때인데... 프레스캇으로 맞춰주다니... 어휴)

     그래서 이번에는 최대한 저가에 오래도록 효율적이게 써볼 생각입니다.(참 욕심도 많아...)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번에 레고르 250으로 맞추고 마더보드 슬롯도 4개니 그때 그때마다

   메모리 2G씩 추가하면서 사용하면 오래 사용 가능하리라 보는데 가능할까요?

 

    수명을 다했다는게 어던 의미 인지요?

    보통 중급 보드들은 최하가 5년의 수명을 보장합니다 5년을 풀로 돌렸을때를 말하겟지요

    고급보드들은 10년 수명을 보장하는 부품이 들어 가기도 합니다

     

7. 4번에 이어 오버쿨럭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건가요? 바이오스로 건드려서 하는건가요...?

   하는법도 간략히 가르쳐주세요.

 

이 아니라도 오버클럭은 하드웨어 전문 커뮤니티에 저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에 줌니다

바이오스로 올리고 프로그램으로 안정화 테스트를 합니다

 

8. 파워는 회사도많고 모델도 굉장히 많던데... 믿을만한 모델좀 가르쳐주세요.(450~500 )

 

파워는 그렇게 정하시는게 아님니다

파워를 고르실때는 구입하실 부품들의 최대 파워 용량을 계산해서 풀로드를 기준으로 파워를 계산 하셔야 다운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시로 계산 잘못 하셨다가 낭패를 보는분들이 많습니다 초반에 제일 일을 많이 한다고 예기 드린 것처럼 과도한 업무에 실달리는 놈이니 만큼 게임을 하신다면 풀로드를 기준으로 세팅하심이 현명하리라 사료 됨니다

 

9. 메모리 경우에 1G x 2 랑 2G랑 성능차이가 어느정도 차이가 있나요?

 실질적으로 체감은 많이 남니다

1기가만 꽂고 사용 해보시고 2기가 꽂고 사용을 해보시면 체감은 엄청남니다

 

10. 모범적인 견적을 작성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합니다.

 

이상 말많고 까다로운 초보자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질적으로 견적에 대한 질문을 주실때

컴퓨터를 사용하실 용도를 알려주시면 답변드리는데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가 생각이 됨니다

 

업무용인지

 게임용인지

  멀티미디어용인지

용도에따른 케이스의 선택과 부품들간의 선택이 더 수월해지겟죠

 

컴퓨터 견적 질문이용!!

... ---------------------------------------------------------- 남겨주신 컴퓨터 견적을 살펴보면 현재 남겨주신 견적의 경우 가성비가 안좋네요. 한번 전문가에게 1:1 로 질문자님의 견적...

컴퓨터 견적 질문이요

컴퓨터 견적 냈는데요 이렇게 사면 충분할까요? 파워도 600이면 될까요? 컴퓨터의 성능과 사용 용도에 따라 필요한 사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견적을 내기 위해서는 몇...

컴퓨터 견적 질문

... (참고로 이 사진들은 제가 생각하고있는 컴퓨터 견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 판매점 저스트컴 입니다. 모니터 해상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쓰는 FHD모니터...

컴퓨터 견적 질문

윈도우 포함해서 150 안으로 오픈월드 겜도 할 수 있게 견적 짤 주실 수 있으실까요? https://prod.danawa.com/info/?pcode=29332895&cate=112756 위 제품 사양이 가성비...

(종합게임) 가성비 컴퓨터 견적질문

게임방송 진행하고 싶은데 pc쪽은 정말 아는게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 예산은 150... 원컴으로 했을때 컴퓨터 견적 3. 투컴으로 했을때 컴퓨터 견적 4. pc견적 추천 사이트 1....

컴퓨터 견적 질문

... 컴퓨터 견적을 도와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게임 성능과 예산을 고려하여 라이젠 프로세서를 선택하신 것은 좋은 선택입니다. 라이젠은 인텔에 비해 우수한...

배틀그라운드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70~80만원대 배틀그라운드용 컴퓨터 견적 궁금합니다. 배틀그라운드를 플레이하기 위한 70-80만 원대의 컴퓨터 견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CPU와 GPU는 배틀그라운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