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프미

헬프미

작성일 2008.04.03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방의 특색이 있는 김치 좀 알려주세요 6지역정도 만요.

사진도 해주세요.(지방마다 많이 먹는 김치종류가 다르잖아요)

 

빨리 답변한다고 바로 채택해드리는 것은 아니니까  느긋하게 올려주시면 됩니다. 내공100


#헬프미 #헬프미 레버 #헬프미 법인등기 #헬프미 게임 #헬프미데아리마스 #헬프미 뜻 #헬프미 영어 #헬프미토드 #헬프미 에린 #헬프미 호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강원도

짭짤하면서도 모양새가 아주 예쁘기로 유명합니당~

 

 

 

충청도

충청도 지방에서 많이 담가 먹는 김치. 김치 양을 넉넉하게 하고 서울과 경기도에 비해 소박한 양념을 써서 담가 맛이 구수하고 담백하다.

 

 

경기도 보쌈김치

 

경기도지리적으로 중간에위치한 김치의 종류는 모양이 화려하고 풍요롭다.그리고 서해의 풍부한 해산물과 동해 산간지방의 산채와 곡식재배가 어루어져 김치의 맛과 종류또한 매 우 다양한것으로 유명하다.

 

전라도 콩나물김치

 

특징:콩나물 김치는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경상도 김치
경상도 지역대표 김치의종류와 특징

경상도의 김치의 종류로는 봄동김치,비지미,사연지,씀바귀 물김치우엉김치,전복김치,콩잎물김치등등 있습니다.

 

김치의 특징:경상도 지방은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사이에 있기 때문에 고추가루를 많이 넣는 편이고 젓갈도 듬뿍 넣습니다.

김장철이 다른 지방보다 늦고 김치도맵습니다.

 

 

제주도 전복김치

 

제주도에서 많이 담가 먹는 김치. 전통적으로 양념을 적게 하여 김치 재료의 참 맛을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전복특유의 향과 쫄깃함도 일품~~

 

 

이상입니당 간단하게 헀어요~~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정통김치의 특징은

1.다양한 재료와 맛이있다.

2.여러가지 종류 백여개가 넘는 엄청난수의 김치

3.곡식을 주재료로쓰는 영양가높은맛~

 

이상이애용~ 수정했어요 ㄷㄷ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서울

서울은 조선시대부터의 도읍지로 오랜 기간 문화 생활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김치도 궁중에서 많이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나 요즈음은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모여살므로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종류의 김치들이 많이 있다.



전라도

전라도는 전국에서 가장 음식이 맛있고 다양하기로 유명한 지역으로 · 이 지방의 대표적인 김치로는 갓김치와 고들빼기김치로, 특히 고들빼기를 소금물에 절여 쓴맛을 우려낸 다음 젓국과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그는 고들빼기김치는 그 독특한 향과 맛이 입맛을 살려준다.



경기도

경기도의 김치는 모양이 화려하고 풍요롭다. 그리고 서해의 풍부한 해산물과 동해산간지방의 산채와 곡식재배가 어우러져 김치의 맛과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황석어젓 등 담백한 것을 많이 쓰고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하기 때문에 먹기 좋다. 총각김치·보쌈김치·백김치·비늘김치·동치미·고구마줄기김치 등이 있다.



충청도

충청도의 김치는 젓국을 많이 쓰지 않고 소금만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김치를 담글 때 삭힌 풋고추, 미나리, 청각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그리고 표고버섯을 채썰고 배·밤 등의 재료를 넣어 은근한 맛이 우러나오도록 담그기도 한다. 나박김치·가지김치·열무김치·시금치김치·박김치·새우젓깍두기·갓김치 등이 있다.



경상도

경상도의 음식은 고춧가루와 마늘을 많이 사용하여 얼얼하고 맵게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김치도 진한 젓갈맛과 매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따뜻한 기후 때문에 김치가 쉽게 시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금간을 짜게 하고, 국물이 없으며 양념이 비교적 적다. 젓국으로는 멸치젓을 달여서 삼베로 걸러 국물만 쓰고, 갈치속젓을 넣어 맛을 내기도 한다. 부추김치와 우엉김치는 경상도 지방을 대표하는 별미김치이다.



강원도

강원도는 산맥을 중심으로 산간지방과 해안지방으로 나뉘어진다.. 산간지방에서는 야채로만 만드는 음식이 많은 반면, 해안지방에서는 해물을 많이 넣어 해물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들이 많다. 창란젓깍두기·채김치·동치미·가지김치·해물김치 등의 김치가 유명하고, 특히 각종 해물을 듬뿍 넣어 담그는 해물김치는 단백가가 높으며, 이 지방의 별미로 손꼽힌다.



황해도

황해도의 김치는 서울·경기도·충청도 지방의 김치와 비슷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새우젓·조개젓으로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고수와 분디라는 독특한 향의 채소를 김치에 넣어 향긋한 향을 내기도 한다. 동치미·호박지·고수김치·보쌈김치 등이 있는데 특히 늙은 호박에 무청과 배추우거지를 넣어 담그는 호박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김치라고 할 수 있다.



평안도

평안도와 함경도는 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평안도는 산세가 험하지만 서해를 접하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김치에 생선을 많이 넣는다. 그리고 양념이 간단하며,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육수를 사용해서 단맛을 내기도 한다. 평안도의 김치로는 가지김치·동치미·백김치 등이 있고, 쇠고기를 삶아 낸 육수에 소금으로 심심하게 간을 해 담그는 평안도식 무청김치도 별미이다.



함경도

함경도는 생선이 흔하여 김치에도 젓갈대신 생태·굴 등 기름기 없는 해산물을 많이 넣고, 소금간을 심심하게 하면서도 고추·마늘 등의 양념을 많이 넣어 자극적인 맛을 즐기기도 한다. 콩나물김치·파김치·동치미·함경도 대구깍두기·쑥갓김치 등이 있다.

 

김장김치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그것은 기온차이에서 비롯한다. 북쪽지방에서는 기온이 낮으므로 소금 간을 싱겁게 하고 양념도 담백하게 하여 채소의 신선함을 그대로 살리는 반면 남쪽지방에서는 짜게 한다. 소금만으로 짜게 하면 맛이 없으므로 젓국을 많이 쓰며,고기국물을 섞기도 한다. 따라서 북쪽의 김치는 국물이 많고 담백하며 산뜻하고, 남쪽의 것은 빨갛고 진하며 국물이 거의 없다. 중부지방의 것은 고추와 국물을 적당히 써서 약간 붉은빛이 돌고 국물도 적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색은 지역간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어느 곳에 살든지 각기 자기의 기호대로 김치를 담그게 되었으므로,서울 안에서도 여러 지방의 김치가 혼합되어 큰 특색이 없어졌다. 젓갈도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쓰고 있다. 충청과 경기지역에서는 까나리젓이라는 액젓이 널리 쓰인다.

1. 서울 경기의 김치

짜지도 싱겁지도 않으며 온갖 김치가 다 모여 있지만 역시 섞박지, 보쌈김치, 총각김치, 깍두기가 유명하다. 젓국은 새우젓,조기젓,황석어젓 등 담백한 것을 즐겨 쓰며 여러 지방 사람이 모여 살면서 생새우, 생태, 생갈치 등을 함께 넣거나 멸치젓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2. 충청도의 김치
간도 알맞고 서울ㆍ경기지방에 비해 소박하며 갓,미나리,대파,삭힌고추,청각등을 잘 쓴다. 배추와 무는 배추짠지,무짠지라하여 통으로 담그며 간을 층층으로 하여 여러 독 담근다. 또 배추와 무를 큼직하게 썰어 반반 섞은 섞박지는 깍두기 버무리듯 하여 젓국 달인 국물을 붓는다. 조기젓,황석어젓,새우젓을 많이 쓰며 총각김치도 많이 담그는데 서울의 깍두기 같지않고 양념을 적게 넣어 시원하다.

3. 강원도의 김치
젓국을 많이 쓰지 않으며 동해의 싱싱한 생태와 오징어를 넣어 특색있게 만든다. 배추김치에 소를 넣는 것은 중부지방과 같으나 생오징어 채와 꾸득꾸득 말려서 잘게 썬 생태에 소를 버무려 넣고, 무를 큼직하게 썰어 고춧가루로 버무려 켜켜로 집어넣는다.

4. 경상도의 김치
남해 지방에서는 마늘,고추는 많이 쓰지만 생강은 많이 안쓰며,배추는 짜게 절여 물기를 눌러서 짠 다음 젓국을 많이 넣은 소를 넣고 차곡차곡눌러 담는다. 특히 젓갈을 많이 사용하는데 멸치젓이 유명하다. 서울에서처럼 텁텁한 멸치젓이 아니라, 잘 삭아 불그스레하고 맑은 간장같다. 흔히 액젓이라고 하지만 '멸장'.'어자이'라고 하여 모든 음식에 간장쓰듯이 쓰기도 한다. 생갈치도 많이 넣는데 날 것을 잘게 썰어 고춧가루와 소금으로 간을 했다가 김치 소를 버무릴 때 넣는다.

5. 전라도의 김치
양념을 많이 해서 맵고 짠 편이지만,찹쌀풀을 넣어 국물이 진하고 감칠맛이 난다. 남해와 서해를 끼고 있어 해산물과 젓갈의 종류가 많은 전라도는 조기젓,새우젓도 쓰지만 멸치젓을 많이 쓴다. 고춧가루를 많이 넣으며 통깨와 밤 채를 고명으로 쓴다. 특히 고춧가루는 가루로 쓰는 것이 아니라 분마기에 걸쭉하게 간 고추에 젓갈을 듬뿍 넣은 고추양념을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사용한다. 얼큰한 김장김치, 씁쓸한 고들빼기김치를 많이 담그며 나주의 동치미,해남의 갓김치가 유명하다.

6. 제주도의 김치
기후가 따뜻해 김장이 따로 필요 없다. 김치 종류도 많지않고 오래 먹을 만큼 담그지않는다. 동지김치가 유명한데, 음력정월에 밭에 남아 월동한 배추로 담근다. 망울을 맺은 연한 노란 꽃을 소금물에 절였다가 건져 멸치젓,마늘,고춧가루로만 버무려 잠깐 익히면 맛이 아주 상큼하다.

7. 황해도의 김치
서울,경기,충청도와 같은 서해안에 접하고 있고 기후 차이도 별로 없어 김치 맛이 서로 비슷하다. 차이점은 분디,고수등의 향신채를 쓰는데 분디는 호박김치에 고수는 배추김치에 각각 넣는다. 호박김치는 충청도와 공통된 것으로 호박에 절인 배추를 큼직하게 썰어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익힌다. 김치찌개 끓이듯 끓여서 먹는데 충청도식은 애호박과 분디를 쓰지 않는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을 많이 쓰고 간은 중간 정도이며 국물도 알맞게 넣는다. 특히 미세하게 생긴 새우 자하로 젓을 담근 것을 감동젓이라하여 감동젓을 넣고 담근 섞박지는 유명하다.

8. 평안도의 김치
이 지역의 김치는 국물이 많으며 삼삼하게 간을 한다. 배추와 무를 따로 담글때도 있지만 두 가지를 함께 통으로 담그기도 하며 배추나 물에 넣는 소는 무채,파,마늘,생강,고춧가루,실고추,생태,생갈치,생조개,생새우에 반디젓(갈치새끼젓),조기젓,새우젓을 조금씩 보태고 간을 맞추는데 고춧가루를 많이 넣지 않는다. 국물도 함경도와는 다르게 소금물이 아니라 쇠고기를 삶아 식혀서 기름을 걷고 소금간을 삼삼하게 맞추어 붓는다. 국물이 시원하게 맛이 들면 냉면 국물로도 쓴다. 냉면 동치미와백김치가 유명하다. 또 갈치,새우,토애가 많은 서해안을 끼고 있어 함경도보다는 조기젓,새우젓을 많이 쓰는 편이나 전라도,경상도보다는 훨씬적게 쓴다.

9. 함경도의 김치
함경도 김치는 맵게 하지만 소금간을 짜지않게 맞추고 김칫국은 넉넉하게부어,익으면 국물 맛이 찐하고 신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배추김치는 김치 같으면서도 맵게 만든 양념소를 군데군데 넣어, 썰어 놓았을 때 배추에 붉은빛이 군데군데 보인다. 또 젓갈을 잘 안 쓰고 생태나 생가자미를 썰어 고춧가루로 버무려서 배추사이사이에 넣는다.

 

제발 체택부탁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방별 대표적인 김치

 

서울 - 대표적인김치= 배추김치

서울은 조선시대부터의 도읍지로 오랜 기간 문화 생활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김치도 궁중에서 많이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궁중음식으로 고춧잎깍두기,오이소박이,장김치 등이 독특하였으나 요즈음은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모여살므로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종류의 김치들이 많이 있다.

종류 : 배추김치, 오이소박이, 나박김치,백김치, 열무김치, 동치미, 깍두기, 갓김치, 섞박지, 보쌈김치, 장김치

전라도 - 대표적인김치= 가지김치

전라도는 전국에서 가장 음식이 맛있고 다양하기로 유명한 지역으로 짜고 매운 맛의 음식이 많다. 조기젓·밴댕이젓·병어젓 등 젓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고 참깨와 계피가루를 넣어 독특한 향과 쌉쌀한 맛을 내기도 한다. 멸치젓국을 많이 써 색깔은 탁하지만 깊은 맛이 있으며 채소를 다양하게 골고루 사용한다. 갓김치와 고들빼김치는 이 지방의 대표적인 김치로, 특히 고들빼기를 소금물에 절여 쓴맛을 우려낸 다음 젓국과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그는 고들빼기김치는 그 독특한 향과 맛이 입맛을 살려준다.

종류 : 가지김치, 부추김치, 고추김치,고구마줄기김치, 콩나물김치, 배추김치, 갓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김치, 깍두기

경기도 - 대표적인김치= 총각김치

경기도지리적으로 중간에 위치한 경기도의 김치는 모양이 화려하고 풍요롭다. 그리고 서해의 풍부한 해산물과 동해산간지방의 산채와 곡식재배가 어우러져 김치의 맛과 종류 또한 매 우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황성어젓 등 담백한 것을 많이 쓰고 생새우·생태·생갈치 등을 넣기도 하며, 멸치젓을 쓰기도 한다.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하기 때문에 먹기 좋다. 총각김치·보쌈김치·백김치·비늘김치·동치미·고구마줄기김치 등이 있다.

종류 : 총각김치, 백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비늘김치, 고구마줄기치

황해도 - 대표적인김치= 호박지

황해도의 김치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지방의 김치와 비슷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새우젓·조개젓으로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고수와 분디라는 독특한 향의 채소를 김치에 넣어 향긋한 향을 내기도 한다. 동치미·호박지·고수김치·보쌈김치 등이 있는데 특히 늙은 호박에 무청과 배추우거지를 넣어 담그는 호박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김치라고 할 수 있다.

종류 : 호박지, 동치미, 보쌈김치

충청도 - 대표적인김치= 나박김치

충청도 충남지역의 해산물과 충북지역의 야채가 함께 어우러진 충청도의 음식은 소박하면서도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충청도의 김치는 젓국을 많이 쓰지 않고 소금만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김치를 담글 때 삭힌 풋고추, 미나리, 청각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그리고 표고버섯을 채썰고 배·밤 등의 재료를 넣어 은근한 맛이 우러나오도록 담그기도 한다. 나박김치·가지김치·열무김치·시금치김치·박김치·새우젓깍두기·갓김치 등이 있다.

종류 : 나박김치, 가지김치, 장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총각무동치미

평안도 - 대표적인김치= 백김치

평안도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평안도는 산세가 험하지만 서해를 접하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김치에 생선을 많이 넣는다. 그리고 양념이 간단하며,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육수를 사용해서 단맛을 내기도 한다. 평안도의 김치로는 가지김치·동치미·백김치 등이 있고, 쇠고기를 삶아 낸 육수에 소금으로 심심하게 간을 해 담그는 평안도식 무청김치도 별미이다.

종류 : 가지김치, 동치미, 백김치

경상도 - 대표적인김치= 깻잎김치

경상도의 음식은 고춧가루와 마늘을 많이 사용하여 얼얼하고 맵게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김치도 진한 젓갈맛과 매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따뜻한 기후 때문에 김치가 쉽게 시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금간을 짜게 하고, 국물이 없으며 양념이 비교적 적다. 젓국으로는 멸치젓을 달여서 삼베로 걸러 국물만 쓰고, 갈치속젓을 넣어 맛을 내기도 한다. 부추김치와 우엉김치는 경상도 지방을 대표하는 별미김치이다.

종류 : 깻잎김치, 가지김치, 부추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기김치, 미나리김치, 파김치, 무말랭이김치, 비지미


함경도 - 대표적인김치 = 콩나물김치

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함경도는 생선이 흔하여 김치에도 젓갈대신 생태·굴 등 기름기 없는 해산물을 많이 넣고, 소금간을 심심하게 하면서도 고우, 마늘등의 양념을 많이 넣어 자극적인 맛을 즐기기도 한다. 콩나물김치·파김치·동치미·함경도 대구깍두기·쑥갓김치 등이 있다.

종류 : 콩나물김치, 파김치, 동치미


강원도- 대표적인김치 = 해물김치

산맥을 중심으로 산간지방과 해안지방으로 나뉘어진 강원도는 소박하면서도 먹음직스러운 음식들이 많다. 산간지방에서는 고기와 생선을 많이 쓰지 않고 야채로만 만드는 음식이 많은 반면, 해안지방에서는 해물을 많이 넣어 싱싱한 해물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들이 많다. 창란젓깍두기·채김치·동치미·가지김치·해물김치 등의 김치가 유명하고, 특히 각종 해물을 듬뿍 넣어 담그는 해물김치는 이 지방의 별미로 손꼽힌다. 해물김치에는 동해바다에서 많이 잡히는 생태, 물오징어, 낙지 등의 해물을 많이 넣기 때문에 단백가가 높다.

종류 : 동치미, 가지김치, 해물김치


제주도- 대표적인김치 = 나박김치,해물김치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성과 어울리게 김치에 해물이 많이 들어가고, 국물을 넉넉히 부어 담그는 김치가 많다. 우리나라 제일 남쪽에 위치하여 한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구할 수가 있기 때문에 김장도 많이 하지 않는다. 그리고 한겨울 김장 맛에 물리면 눈 속에서 자라는 재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우리로 동지김치를 담가 일찍이 봄의 미각을 즐긴다고 한다. 물김치에 전복을 큼직하게 썰어넣고 담그는 전복김치가 있고, 해물김치, 나박김치, 동지김치 등이 있다.

종류 :해물김치, 나박김치

 

 

 

 

 

 

 

 

 

 

 

 

 

계 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서울 - 대표적인김치= 배추김치

서울은 조선시대부터의 도읍지로 오랜 기간 문화 생활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김치도 궁중에서 많이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궁중음식으로 고춧잎깍두기,오이소박이,장김치 등이 독특하였으나 요즈음은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모여살므로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종류의 김치들이 많이 있다.
종류 : 배추김치, 오이소박이, 나박김치,백김치, 열무김치, 동치미, 깍두기, 갓김치, 섞박지, 보쌈김치, 장김치


전라도 - 대표적인김치= 가지김치

전라도는 전국에서 가장 음식이 맛있고 다양하기로 유명한 지역으로 짜고 매운 맛의 음식이 많다. 조기젓·밴댕이젓·병어젓 등 젓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고 참깨와 계피가루를 넣어 독특한 향과 쌉쌀한 맛을 내기도 한다. 멸치젓국을 많이 써 색깔은 탁하지만 깊은 맛이 있으며 채소를 다양하게 골고루 사용한다. 갓김치와 고들빼김치는 이 지방의 대표적인 김치로, 특히 고들빼기를 소금물에 절여 쓴맛을 우려낸 다음 젓국과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그는 고들빼기김치는 그 독특한 향과 맛이 입맛을 살려준다.
종류 : 가지김치, 부추김치, 고추김치,고구마줄기김치, 콩나물김치, 배추김치, 갓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김치, 깍두기

경기도 - 대표적인김치= 총각김치

경기도지리적으로 중간에 위치한 경기도의 김치는 모양이 화려하고 풍요롭다. 그리고 서해의 풍부한 해산물과 동해산간지방의 산채와 곡식재배가 어우러져 김치의 맛과 종류 또한 매 우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황성어젓 등 담백한 것을 많이 쓰고 생새우·생태·생갈치 등을 넣기도 하며, 멸치젓을 쓰기도 한다.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하기 때문에 먹기 좋다. 총각김치·보쌈김치·백김치·비늘김치·동치미·고구마줄기김치 등이 있다.
종류 : 총각김치, 백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비늘김치, 고구마줄기치


황해도 - 대표적인김치= 호박지

황해도의 김치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지방의 김치와 비슷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새우젓·조개젓으로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고수와 분디라는 독특한 향의 채소를 김치에 넣어 향긋한 향을 내기도 한다. 동치미·호박지·고수김치·보쌈김치 등이 있는데 특히 늙은 호박에 무청과 배추우거지를 넣어 담그는 호박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김치라고 할 수 있다.
종류 : 호박지, 동치미, 보쌈김치


충청도 - 대표적인김치= 나박김치

충청도 충남지역의 해산물과 충북지역의 야채가 함께 어우러진 충청도의 음식은 소박하면서도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충청도의 김치는 젓국을 많이 쓰지 않고 소금만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김치를 담글 때 삭힌 풋고추, 미나리, 청각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그리고 표고버섯을 채썰고 배·밤 등의 재료를 넣어 은근한 맛이 우러나오도록 담그기도 한다. 나박김치·가지김치·열무김치·시금치김치·박김치·새우젓깍두기·갓김치 등이 있다.
종류 : 나박김치, 가지김치, 장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총각무동치미


평안도 - 대표적인김치= 백김치

평안도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평안도는 산세가 험하지만 서해를 접하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김치에 생선을 많이 넣는다. 그리고 양념이 간단하며,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육수를 사용해서 단맛을 내기도 한다. 평안도의 김치로는 가지김치·동치미·백김치 등이 있고, 쇠고기를 삶아 낸 육수에 소금으로 심심하게 간을 해 담그는 평안도식 무청김치도 별미이다.
종류 : 가지김치, 동치미, 백김치


경상도 - 대표적인김치= 깻잎김치

경상도의 음식은 고춧가루와 마늘을 많이 사용하여 얼얼하고 맵게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김치도 진한 젓갈맛과 매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따뜻한 기후 때문에 김치가 쉽게 시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금간을 짜게 하고, 국물이 없으며 양념이 비교적 적다. 젓국으로는 멸치젓을 달여서 삼베로 걸러 국물만 쓰고, 갈치속젓을 넣어 맛을 내기도 한다. 부추김치와 우엉김치는 경상도 지방을 대표하는 별미김치이다.
종류 : 깻잎김치, 가지김치, 부추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기김치, 미나리김치, 파김치, 무말랭이김치, 비지미


함경도 - 대표적인김치 = 콩나물김치

함경도
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함경도는 생선이 흔하여 김치에도 젓갈대신 생태·굴 등 기름기 없는 해산물을 많이 넣고, 소금간을 심심하게 하면서도 고우, 마늘등의 양념을 많이 넣어 자극적인 맛을 즐기기도 한다. 콩나물김치·파김치·동치미·함경도 대구깍두기·쑥갓김치 등이 있다.
종류 : 콩나물김치, 파김치, 동치미


강원도- 대표적인김치 = 해물김치

강원도산맥을 중심으로 산간지방과 해안지방으로 나뉘어진 강원도는 소박하면서도 먹음직스러운 음식들이 많다. 산간지방에서는 고기와 생선을 많이 쓰지 않고 야채로만 만드는 음식이 많은 반면, 해안지방에서는 해물을 많이 넣어 싱싱한 해물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들이 많다. 창란젓깍두기·채김치·동치미·가지김치·해물김치 등의 김치가 유명하고, 특히 각종 해물을 듬뿍 넣어 담그는 해물김치는 이 지방의 별미로 손꼽힌다. 해물김치에는 동해바다에서 많이 잡히는 생태, 물오징어, 낙지 등의 해물을 많이 넣기 때문에 단백가가 높다.
종류 : 동치미, 가지김치, 해물김치


제주도- 대표적인김치 = 나박김치,해물김치

제주도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성과 어울리게 김치에 해물이 많이 들어가고, 국물을 넉넉히 부어 담그는 김치가 많다. 우리나라 제일 남쪽에 위치하여 한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구할 수가 있기 때문에 김장도 많이 하지 않는다. 그리고 한겨울 김장 맛에 물리면 눈 속에서 자라는 재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우리로 동지김치를 담가 일찍이 봄의 미각을 즐긴다고 한다. 물김치에 전복을 큼직하게 썰어넣고 담그는 전복김치가 있고, 해물김치, 나박김치, 동지김치 등이 있다.
종류 :해물김치, 나박김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서울

서울은 조선시대부터의 도읍지로 오랜 기간 문화 생활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김치도 궁중에서 많이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나 요즈음은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모여살므로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종류의 김치들이 많이 있다.



전라도

전라도는 전국에서 가장 음식이 맛있고 다양하기로 유명한 지역으로 · 이 지방의 대표적인 김치로는 갓김치와 고들빼기김치로, 특히 고들빼기를 소금물에 절여 쓴맛을 우려낸 다음 젓국과 고춧가루를 많이 넣고 담그는 고들빼기김치는 그 독특한 향과 맛이 입맛을 살려준다.



경기도

경기도의 김치는 모양이 화려하고 풍요롭다. 그리고 서해의 풍부한 해산물과 동해산간지방의 산채와 곡식재배가 어우러져 김치의 맛과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황석어젓 등 담백한 것을 많이 쓰고 간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하기 때문에 먹기 좋다. 총각김치·보쌈김치·백김치·비늘김치·동치미·고구마줄기김치 등이 있다.



충청도

충청도의 김치는 젓국을 많이 쓰지 않고 소금만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김치를 담글 때 삭힌 풋고추, 미나리, 청각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그리고 표고버섯을 채썰고 배·밤 등의 재료를 넣어 은근한 맛이 우러나오도록 담그기도 한다. 나박김치·가지김치·열무김치·시금치김치·박김치·새우젓깍두기·갓김치 등이 있다.



경상도

경상도의 음식은 고춧가루와 마늘을 많이 사용하여 얼얼하고 맵게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김치도 진한 젓갈맛과 매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따뜻한 기후 때문에 김치가 쉽게 시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금간을 짜게 하고, 국물이 없으며 양념이 비교적 적다. 젓국으로는 멸치젓을 달여서 삼베로 걸러 국물만 쓰고, 갈치속젓을 넣어 맛을 내기도 한다. 부추김치와 우엉김치는 경상도 지방을 대표하는 별미김치이다.



강원도

강원도는 산맥을 중심으로 산간지방과 해안지방으로 나뉘어진다.. 산간지방에서는 야채로만 만드는 음식이 많은 반면, 해안지방에서는 해물을 많이 넣어 해물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들이 많다. 창란젓깍두기·채김치·동치미·가지김치·해물김치 등의 김치가 유명하고, 특히 각종 해물을 듬뿍 넣어 담그는 해물김치는 단백가가 높으며, 이 지방의 별미로 손꼽힌다.



황해도

황해도의 김치는 서울·경기도·충청도 지방의 김치와 비슷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새우젓·조개젓으로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고수와 분디라는 독특한 향의 채소를 김치에 넣어 향긋한 향을 내기도 한다. 동치미·호박지·고수김치·보쌈김치 등이 있는데 특히 늙은 호박에 무청과 배추우거지를 넣어 담그는 호박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김치라고 할 수 있다.



평안도

평안도와 함경도는 북쪽지방은 날씨가 추워서 김치가 쉽게 익지 않기 때문에 심심하게 간을 맞추고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 시원한 맛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평안도는 산세가 험하지만 서해를 접하고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김치에 생선을 많이 넣는다. 그리고 양념이 간단하며,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육수를 사용해서 단맛을 내기도 한다. 평안도의 김치로는 가지김치·동치미·백김치 등이 있고, 쇠고기를 삶아 낸 육수에 소금으로 심심하게 간을 해 담그는 평안도식 무청김치도 별미이다.



함경도

함경도는 생선이 흔하여 김치에도 젓갈대신 생태·굴 등 기름기 없는 해산물을 많이 넣고, 소금간을 심심하게 하면서도 고추·마늘 등의 양념을 많이 넣어 자극적인 맛을 즐길지도....

치아 문제 헬프 미..

밤에 언니가 아이스크림 먹을거냐고 물어봤고 전 먹겠다고 말한 후 폰을 보다가 언니가 불러서 봤을때 언니가 아이스크림을 던지는겁니다, 그래서 윗 입술과 앞니 옆쪽 치아에...

헬프미 중2수학

헬프미 중2수학 04. x/3 + x/4 ≤ 2 1/3 4x + 3x ≤ 28 7x ≤ 28 최대 4km 떨어진 곳까지 05 x/6 + 1/3 + x/6 ≤ 1 1/3 x + 1 ≤ 4 x ≤ 3 최대 3km 이내에 있는...

사회수행 헬프 미

... 사회수행 헬프 미 인권침해 사례 내용 정확히 3가지 이 인권침해가 무슨 문제인지 정확히 써주시고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제방안 각각3가지 좀 정확히 적어주세요. 링크...

발가락 헬프미

제가 합기도를 하는데 쪼그려서 차는 발차기가 있습니다. 앉는 자세를 취하다가 발가락이 삐였나봐요. 운동 할 때 발가락에 힘을 주면 아프고, 빨갛게 붓고 통증이 계속 됩니다....

누구임? 헬프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나은 탤런트 출생 1999. 5. 5. 소속사 나무엑터스 데뷔 2015년 에이프릴 미니 앨범 [Dreaming] 경력 2015.08 그룹 '에이프릴' 멤버 사이트...

고환통증…헬프미

어느샌가 고환에 알 말고 말랑말랑한 다른게 잡혀요ㅜㅠ 그냥 가만히 있어도 고환이 아프고 만지면 더 아픈데 왜 이럴까요..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변상권...

통합과학1단원 수행 질문 헬프미...

... 헬프미ㅠㅠㅜ 똑똑맨들 선생님께서 원소 4개를 내신다는거 아닌가요..? 뭐 리튬 나트륨 플루오린 질소 이렇게 4개 내신다면 저 4개를 옥텟에 맞게 그리고 안정한 상태의 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