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발음기호...

영어 발음기호...

작성일 2005.02.1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영어 발음기호가 뭔지는 그래도 알고는 있습니다.
그런데 그 발음기호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i]가 i이 발음에서도 날수가 있고, e 발음에서 날수있다는 것처럼 말이죠.
모음만 다 알려주세요.




내공 100점 드립니다.


#영어 발음기호 #영어 발음기호 읽는법 #영어 발음기호 사이트 #영어 발음기호 정리 #영어 발음기호 모음 #영어 발음기호 외우기 #영어 발음기호 복사 #영어 발음기호 사전 #영어 발음기호 표 #영어 발음기호 강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수 참 많이거셨네요;;;

http://blog.naver.com/ibol01/60007461317

여기 들어가보세요

발음 기호표 가지고 있긴 한데, 답변내용에 써서 올리기는 좀 그래서

검색해서 찾아냈습니다.

1. 기본설명
1)[j]+[a] = [ja] 야
[j]+[e] = [je] 예
[j]+[ ] = [j ] 요
[j]+[∧] = [j∧] 여
[j]+[i] = [ji] 이
2) ng = [ŋ] 응
oo = [u] , [u ] 우, 우-
sh = [ ] 쉬
ch = [t ] 취
qh = [kw] 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영어의 발음기호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하다구요?
자 지금부터 조금씩 알아봐요 ^ㅡ^

 

 

모음

구분
[a]
[e]
[i]
[o]
[u]
[∧]
[ε]
[æ]
소리
기호

 

 

자음

 

1. 유성자음(16개)

구분
[b]
[d]
[j]
[l]
[m]
[n]
[r]
[v]
[z]
[tz]
[ð]
[h]
[g]
[ŋ]
소리
기호


 

2. 무성자음(10개)

구분
[f]
[k]
[p]
[s]
[t]
[θ]
[t]
[ŋ]
소리
기호
 
 

발음기호
구강원리
입을 크게 벌리고 우리말의 [아]가 아니라 목청이 떨리는 듯한 부드러운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에]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동그랗게 만드록, 부드럽고 말은 [오]소리를 내면서 입안 전체가 울리는 것 같은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우-]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상하로 조금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어]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동그랗게 만들고, 부드럽고 맑은 [오] 소리보다 입술에 조금 더 힘을 주어서 [오]와 [아]의 중간인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 모양으로 벌리고, [∧]는 [어/아] 소리, [ε]는 [에]소리가 불완전한 듯이 반탁음에 가까운 소리를 냅니다.
혀 끝을 아래 이빨 안쪽에 내려 민 상태를 유지하면서 [애-]소리를 길게 된소리 음으로 냅니다.
혀를 윗니 안쪽에 대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혀를 윗니 안쪽에서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드]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d]는 혀의 끝에서 1mm 안쪽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혀끝을 윗니 끝에 대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혀를 윗니 끝에서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트]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 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t]는 혀의 끝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윗니와 아랫니로 혀끝을 조금 물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물었던 혀를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느]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n]는 [d]음보다 1mm 안쪽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혀끝으로 입천장을 누르면서 [러] 소리를 박차듯이 내는 순간 혀는 입안 중간에 위치하면서 경쾌하고 맑은 소리가 나옵니다.
혀를 말아 입안 중간에 띄우고 약하게 떨면서 맑지 못한 [르] 소리를 내면서 입술을 좌우로 벌리고 타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냅니다.
윗니로 아랫입술 안쪽을 물었다가 떼면서 약하게 [프] 소리처름 내면서 입술은 좌우로 움직이는 형태가 됩니다.
윗니로 아랫입술 안쪽을 물었다가 떼면서 약하게 [브] 소리처럼 내면서 입술을 좌우로 움직이는 형태가 됩니다.
입술을 다물었다가 급하게 옆으로 엷게 벌리면서 m은 [므], [b]는 [버], [p]는 [퍼] 소리가 입술 밖으로 퍼지듯이 음을 짧게 냅니다.
아랫입술의 좌우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면서 최대한 사각형을 만든 상태에서 윗입술을 움직이지 않고 [k]는 [크], [g]는 [그], [h]는 [흐]처럼 된소리를 냅니다.
앱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s는 [스], z는 [즈]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는 [츠], 는 [즈]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쉬]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를 유지하고 [즈]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윗니와 아랫니로 혀 중간까지 가볍게 물면서 빼냈다가 안쪽으로 들이밀면서 []는 [쓰], []는 [뜨] 소리를 둔탁한 느낌으로 냅니다.
입술을 가볍게 모아서 옆으로 벌리면서 [응]에 가까운 소리를 냅니다.

 

여기까지는 다 알고계신다구요?

그렇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하나하나 알아봅시다.

자음은 뽀너스~ ^ㅡ^*

 


 

1. r / l

 

'r / l' 발음의 차이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혀가 입천장에 닿느냐 안 닿느냐의 여부입니다.

즉 [r]을 발음할 때는 혀를 감아야합니다. 그리고 혀가 입천장에 닿지 않아야 합니다.

 l 발음은 다릅니다. 윗니 바로 뒷부분에 혀를 가져가 보세요. 딱딱한 잇몸 부분이 있지요.

바로 그 부분에 혀가 닿으면 됩니다. right와 light는 r과 l 차이밖에 없습니다.

 right는 혀를 감으면서 발음하고 light는 윗니 뒷부분에 대면서 해 보세요.

 

연습: row / low   rice / lice    raw / law   

 

2. p / f

 

 [p]는 양입술을 모은 상태에서 나는 소리이고 [f]는 아랫입술을 윗니에 댄 후 떼면서 하는 발음입니다.

원래가 하기 힘든 발음은 아니고 연습에 의해 충분히 가능한 발음입니다.

 

연습: pool / fool    pine apple / fine apple     prank / frank

 

3. b / v

 

 위에 나온 [p]/[f]와 발음법이 같습니다. [b]는 양입술을 모은 상태에서 나는 소리이고 [v]는 아랫입술을

윗니에 댄 후 떼면서 하는 발음입니다.

 

연습: base / vase    bet / vet     ban  / van      boys / voice

 

 

4. i /  i:

 short [i]는 말 그대로 짧게 발음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발음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짧게 하면 못 알아들을 거야' or '이 부분을 강조해야지' 등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간단한 사실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짧게 하세요. 일반적인 rule은 spelling에 모음이 하나일 경우는

발음도 거의 짧은소리가 난다는 겁니다.

 it와 eat를 비교하면 쉽지요. 같은 [i] 발음이 나지만 it는 짧은소리, eat는 긴 소리 [i:] 입니다.

발음은 하나인데 spelling에 eat처럼 e와 a 두개의 모음이 나올 경우는 거의 대부분 긴 소리가 납니다.

 

 연습: if   is   in    it    his   this   ill    six   

 

 [i]를 짧게 발음하면 필연적으로 마지막 자음은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합니다.

if를 예로 들어보면, [f] 발음을 우리말의 [프]처럼 확실히 [으]라는 모음을 넣어서 발음해서는 안되고

"될 수 있으면 발음하지 말아야지"하는 쪽으로 생각을 하는 겁니다.  다음과 같이 발음하시면 안됩니다.

if - (not) eeef          is - (not) ease                 in - (not) eeen

it - (not) eat           his - (not) he's                this - (not) thees

ill - (not) eel          six - (not) seeks

ease, eat, eel, seek 등은 발음은 [i] 하나로 나는데 반해 spelling에 모음은 두개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거의 긴소리 [i:]로 발음이 됩니다.

 

5. u / u:

 

 [u]는 짧은 발음입니다. 우리말의 [우]와는 다릅니다. 사실 우리말 발음하듯이 하면 편하겠지만 왠지

이상하게 들리게됩니다. 차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말의 [우] 발음은 양 입술을 앞으로 내면서 발음하지요. 입 앞쪽에서 발음이 됩니다.

 그러나 영어의 [u]는 혀 뒤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u]는 입의 뒤쪽 높은 곳에서 발음해야 합니다.

book을 한 번 볼까요. 그냥 우리 발음대로 [북]이라고 하면 앞쪽에서 발음이 납니다.

제대로 발음하려면 가급적 [u]는 뒤쪽으로 끌고 들어가서 발음해야 합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말의

[북]보다는 [븍]이나 [벅]쪽에 가깝습니다. (사실 우리말로 무슨 발음이라고는 정확히 말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점은 입 앞쪽이 아니라 뒤쪽이라는 사실입니다.

 

연습: look  took  shook  hook  book  cook  rookie  full  put

 

자! 이렇게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look - (not) luke               took - (not) tuke               shook - (not) shuke

hook - (not) huke               book - (not) buke               cook - (not) cuke

rookie - (not) rukie            full - (not) fool               put - (not) poot

우리가 어떻게 잘못 발음하는지 잘 아시겠죠? 입술이 나오면서 우리말의 [우] 발음을 내면 잘못입니다.

 

6.  /  :

 

  는 [u]와 같은 맥락에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발음도 같습니다. 우리말의 [오]와 흡사하지만 절대로 같은 발음이 아닙니다. [오]와 [어]의 중간 정도라고 생각하세요. 영어의 ? 발음 역시 입안의 뒤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우리말의 [오]는 [우]와 마찬가지로 양 입술이 앞으로 나온 형태가 됩니다. 그러나 [?]는 우리말의 [오] 발음을 입 뒤쪽에서 한다는 기분으로 발음을 하면 됩니다. 그럼 [어]와도 약간 흡사하다는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 발음은 끝까지 일관되게 해야합니다. 흔히 우리 나라 사람들이 잘 하는 실수가 끝에 가서 [우] 발음을 하는 겁니다.  [?]가 [ou] 발음으로 바뀌어버리는 거지요. because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 분도  because의 뒷부분을 [코우즈]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끝에 [우] 발음이 나와서는 안됩니다.

 

연습: law    because    awful      jaw     fall    small    cause

 

우리말의 [오]와는 분명히 다릅니다. 우리말로 굳이 하자면 [오]와 [어]의 중간이고 입안의 뒤쪽에서 발음이 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 그리고 한가지 더... 영어 단어 중 스펠링에 aw로 돼있는 부분은 거의 100% 발음이 [?]로 납니다. awe, saw, law, claw, awesome, draw, hawk....

자! 이렇게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law - (not) low                because - (not) becose          awful - (not) oful

jaw - (not) jow                fall - (not) foal               small - (not) smoal

cause - (not) coze

 

우리가 어떻게 잘못 발음하는지 잘 아시겠죠? 우리말의 [오] 발음이 절대 아닙니다. [?] 발음을 끝까지 하세요.

끝에 가서 귀찮다고 대충 [ou] 발음이 나와서는 안됩니다. 

 

7. th - θ / ð

 

 두 발음은 발음 방법은 같습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θ]는 무성음이고 [ð]은 유성음이라는 것입니다.

유성과 무성의 차이는 성대의 울림 유무입니다. 성대가 울리면 유성음이고 울리지 않으면 무성음입니다.

발음 방법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이 th 발음에 인색한 경향이 있습니다.

중학교 때 영어를 처음 배우면서 th 발음을 할 때는 이빨 사이로 혀가 나와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우리말에는 혀가 나오는 발음이 없지요. 그러니 자연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th 발음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혀가 나오면서 발음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혀가 밖으로 나왔다가 들어가면서 발음을 해야합니다. 'thank you'를 한 번 봅시다. 'tha' 부분을 발음하기

전에 혀가 이빨 사이로 조금 나와있다가 혀를 집어넣으면서 발음을 하세요. 혀를 밖으로 내면서 발음을

하려니까 발음하기도 어렵고 따라서 th 발음에 인색하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대강 [s] 정도로 발음하게 되는 거죠. 그러나 north처럼 th 발음이 단어 마지막에 올 때는 혀를

집어넣으면서 발음하기가 곤란합니다. 이럴 때는 혀를 이빨에 가볍게 대면서 발음하세요.

 너무 의식적으로 혀를 내려고 하면 긴장이 되면서 입안에 바람만 불뿐입니다.

자!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 th 발음은 반드시 th로 해야합니다. 대강 넘어간다는 생각은 하지 마세요.

그럼, 유성과 무성에 대해 말씀드리지요. 약간 교과서 적인 설명에서 벗어나겠습니다.

[θ]는 '스', [ð]는 '드'처럼 발음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나 절대로 '스'와 '드'로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혀를 집어넣으면서 '스'와 '드'를 발음한다는 기분으로 하면 됩니다. 우리 식으로 '스'와 '드'를 발음하면

혀는 입안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연습:  thank you     think    north    something

       this          the      those 

 

각 단어마다 th 발음이 한 번씩 있습니다. 이 중 this, the, those는 [ð] 발음이고 나머지는 [θ] 발음입니다.

너무 혀에 힘을 주지 말고 살짝 냈다가 집어넣으면서 각각 발음하세요. north와 south처럼 마지막에 th 발음이

나는 경우는 혀를 이빨에 갖다대면서 가볍게 발음하시면 됩니다.

자! 이렇게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thank you - (not) sank you             think - (not) sink               north - (not) norse

something - (not) somesing             this - (not) dis                 the - (not) da

those - (not) dose

 

우리말의 '스'와 '드'로 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the, this, those는 그냥 대강 '드'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d]로 해서는 안됩니다. 영어의 [d] 발음 시에는 혀가 윗니와 잇몸 사이에 머무르게 됩니다. 간단합니다.

혀를 밖으로 냈다가 집어넣으면서 발음하세요.

 

8. s / z

 

[s]와 발음 방법은 쉽습니다. 우리말의 '스'와 동일합니다. [z] 발음은 우리 나라 사람들이 대강 발음하는

가장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입니다. 대신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라는 점이 다릅니다.

 한번 '스'라고 해보세요. 입안에서 마찰이 가능한 한 많이 나게요. 그 상태에서 우리말의 [ㅈ]발음을

하면 [z]가 나옵니다.

 

연습: soo / zoo     seal / zeal     sen / zen

 

9. [t]  /  []     

 

[t] 발음은 우리말의 [치]보다는 [취]에 가깝습니다. [치]보다는 [취]가 입술이 앞으로 더 나오지요.

그런 기분으로 발음하세요. [] 는 어린애를 오줌누일 때 어머니들이 내는 소리와 비슷합니다.

 

연습: match      church         itch

      sheep

 

10. [d] / [] 

위에 나온 church는 [치]보다는 [취] 쪽에 가깝다고 말씀드렸습니다. jump와 [d?]와 enjoy의 [d?]는

우리말의 [지]보다는 [쥐]에 가깝습니다. jump는 [점ㅍ]보다는 [줨ㅍ]쪽으로 발음해야 합니다.

 jump의 p와 enjoy의 y도 역시 앞 발음에 갖다 붙이는 기분으로 하세요. 절대로 분명하게 [프] [이]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 는 []의 유성음입니다. 

                         

연습:  judge   jump    enjoy    jealous

       usual[juul]

 

11. 기타....

 

[e] / [?:]  우리말의 「에」에 가깝습니다. [?:]는 [?]의 장음입니다.  예 : bed[bed]

 

[ε]  예: stair[stε?r] 위의[e] 와 거의 구분하기가 힘듭니다.

                                 

[æ] 우리말의 「애」와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입술을 더 크게 벌리고 발음합니다.    예 : marry[mæri]

 

[] 혀, 입술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두고 입을 조금 벌리면서 약하게 「어」하고 발음합니다.  

     예 : today[tdei]

                            

[r] []음에 [r]음의 여운을 남기면서 좀 끌면서 발음하는 음으로 [r]발음이 흔히 말하는 혀 꼬부라지는

소리의 주범입니다.  예 : perhaps[prhæps]

 

[:r] []에 [r]음의 여운을 남기면서 길게 발음합니다.        예: shirt[??:rt]

 

[a] / [a:]     [a]는 입을 그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하고 약간 짧게 발음합니다. [a:]는 입을 크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아」하고 길게 발음합니다.     예 : doctor[dakt?r]    father[fa:ð?r]

 

[o]  우리말의 「오」발음과 같습니다.

 

[]  우리말의 「어」에 가깝지만 그 보다는 더 긴장된 상태에서 내는 음으로.  []보다 혀의 위치를 다소

낮추어 발음합니다.  예 : under[ndr]

 

[t]  「ㅌ」의 무성자음. 혀끝을 잇몸에 대고 숨을 막았다가 갑자기 떼면서 내는 음.      

 예 : tent[tent]         

 

[d]  「ㄷ」의 유성자음.       예 : good[gud]

                               

[k]  「ㅋ」의 무성자음.       예 : keep[ki:p]

 

[g]  「ㄱ」의 유성자음.       예 : glad[glæd]

                          

[m]  「ㅁ」의 유성자음.  위 아래 입술을 다물었다가 코로 내는 음입니다.       예 : game[geim]

                       

[n]  「ㄴ」의 유성자음.  혀끝을 윗잇몸에 댔다가 떼면서 코로 내는 음입니다.   예 : moon[mu:n]

 

[]  「ㅇ」이 받침에 있을 때의 발음, 즉 「ㅇ」의 종성.                      예 : king[ki]

 

[h]  「ㅎ」의 무성 자음이다.  숨이 목청을 마찰하여 내는 음입니다.            예 : home[houm]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물어보세요 ^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4. i / i:
short [i]는 말 그대로 짧게 발음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발음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짧게 하면 못 알아들을 거야' or '이 부분을 강조해야지' 등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간단한 사실 한가지만 기억하세요. 짧게 하세요. 일반적인 rule은 spelling에 모음이 하나일 경우는 발음도 거의 짧은소리가 난다는 겁니다. it와 eat를 비교하면 쉽지요. 같은 [i] 발음이 나지만 it는 짧은소리, eat는 긴 소리 [i:] 입니다. 발음은 하나인데 spelling에 eat처럼 e와 a 두개의 모음이 나올 경우는 거의 대부분 긴 소리가 납니다.

연습: if is in it his this ill six

[i]를 짧게 발음하면 필연적으로 마지막 자음은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합니다. if를 예로 들어보면, [f] 발음을 우리말의 [프]처럼 확실히 [으]라는 모음을 넣어서 발음해서는 안되고 "될 수 있으면 발음하지 말아야지"하는 쪽으로 생각을 하는 겁니다. 다음과 같이 발음하시면 안됩니다.

if - (not) eeef is - (not) ease in - (not) eeen
it - (not) eat his - (not) he's this - (not) thees
ill - (not) eel six - (not) seeks

ease, eat, eel, seek 등은 발음은 [i] 하나로 나는데 반해 spelling에 모음은 두개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거의 긴소리 [i:]로 발음이 됩니다.

5. u / u:
[u]는 짧은 발음입니다. 우리말의 [우]와는 다릅니다. 사실 우리말 발음하듯이 하면 편하겠지만 왠지 이상하게 들리게됩니다. 차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말의 [우] 발음은 양 입술을 앞으로 내면서 발음하지요. 입 앞쪽에서 발음이 됩니다. 그러나 영어의 [u]는 혀 뒤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u]는 입의 뒤쪽 높은 곳에서 발음해야 합니다. book을 한 번 볼까요. 그냥 우리 발음대로 [북]이라고 하면 앞쪽에서 발음이 납니다. 제대로 발음하려면 가급적 [u]는 뒤쪽으로 끌고 들어가서 발음해야 합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말의 [북]보다는 [븍]이나 [벅]쪽에 가깝습니다. (사실 우리말로 무슨 발음이라고는 정확히 말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점은 입 앞쪽이 아니라 뒤쪽이라는 사실입니다.

연습: look took shook hook book cook rookie full put

자! 이렇게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look - (not) luke took - (not) tuke shook - (not) shuke
hook - (not) huke book - (not) buke cook - (not) cuke
rookie - (not) rukie full - (not) fool put - (not) poot

우리가 어떻게 잘못 발음하는지 잘 아시겠죠? 입술이 나오면서 우리말의 [우] 발음을 내면 잘못입니다.

6.


[]는 [u]와 같은 맥락에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발음도 같습니다. 우리말의 [오]와 흡사하지만 절대로 같은 발음이 아닙니다. [오]와 [어]의 중간 정도라고 생각하세요. 영어의 발음 역시 입안의 뒤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우리말의 [오]는 [우]와 마찬가지로 양 입술이 앞으로 나온 형태가 됩니다. 그러나 []는 우리말의 [오] 발음을 입 뒤쪽에서 한다는 기분으로 발음을 하면 됩니다. 그럼 [어]와도 약간 흡사하다는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 발음은 끝까지 일관되게 해야합니다. 흔히 우리 나라 사람들이 잘 하는 실수가 끝에 가서 [우] 발음을 하는 겁니다. []가 [ou] 발음으로 바뀌어버리는 거지요. because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 분도 because의 뒷부분을 [코우즈]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끝에 [우] 발음이 나와서는 안됩니다.

연습: law because awful jaw fall small cause

우리말의 [오]와는 분명히 다릅니다. 우리말로 굳이 하자면 [오]와 [어]의 중간이고 입안의 뒤쪽에서 발음이 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 그리고 한가지 더... 영어 단어 중 스펠링에 aw로 돼있는 부분은 거의 100% 발음이 []로 납니다. awe, saw, law, claw, awesome, draw, hawk....

자! 이렇게 발음해서는 안됩니다.
law - (not) low because - (not) becose awful - (not) oful
jaw - (not) jow fall - (not) foal small - (not) smoal
cause - (not) coze

[e] / [e:]

우리말의 「에」에 가깝습니다. [e:]는 [e]의 장음입니다.

예 : bed



[ε]

위의[e] 와 거의 구분하기가 힘듭니다.
예: stair



[æ]

우리말의 「애」와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입술을 더 크게 벌리고 발음합니다.

예 : marry[mæri]

[]

혀, 입술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두고 입을 조금 벌리면서 약하게 「어」하고 발음합니다.
예 : today[tdei]

[a] / [a:]

[a]는 입을 그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하고 약간 짧게 발음합니다. [a:]는 입을 크게 벌리고 입안 안쪽에서 「아아」하고 길게 발음합니다.

예 : doctor father

[o]

우리말의 「오」발음과 같습니다.

[]

우리말의 「어」에 가깝지만 그 보다는 더 긴장된 상태에서 내는 음으로. []보다 혀의 위치를 다소 낮추어 발음합니다.

예 : under

그리구 여기 한번 들어가 보세요..
http://www.sodal.es.kr/data_bank/data/%2816977%29alphabet.hwp

영어 발음기호 좀 알려주세요

밑줄친 부분 발음기호 같은데, 알파벳으론 어떻게 쓰는 건가요? [s] 영어 철자로는 s(s)에 해당 – kiss, kicks [z] s 또는 ze – his hase size prize [ʃ]...

영어발음기호

이런 영어발음 기호는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 아래 사이트에서 발음기호 넣으면 단어가 생성 될거에요. 여기서 소리를 직접 듣지는 못할 텐데 (기능을 좀더...

영어 발음기호 땀표

사진에 영어발음기호 e위에 ‘ 이게 있믄데 이거는 뭐죠?? * 그 부분에 '강세(accent)' 가 있다는 표시입니다. 그 부분을 강하게 소리내어 읽으세요

영어발음기호

한글 ‘으’는 영어 발음 기호로 어떻게 나타내나요?? 로마자 표기법 말씀이신 거 같아 올려드립니다. 으 발음은 eu 이렇게 표기합니다.

영어 발음기호 배워야 할까요?

영어 발음기호 배워야 하나요? 영어 단어 발음 듣고 숙지하는 것 보다 발음기호를 배우는 게 더 나을까요?? 인터넷 포털에서 제공하는 사전에서 발음도 직접 듣고 또한 그 옆에...

영어 발음 기호 질문 입니다.

Unfailingly 를 영어 발음기호 대로 읽으면 어떻게 되나요? 알려주세요 [언 풰일링리]입니다. 단어·숙어 unfailingly 영락없이 동아출판 프라임 한영사전...

영어 발음 기호

아 제가 영어를 못해서요 special 발음기호에 sp하고 e위에 점??잇는건 기호판에 없던데 멀로해야히나요?? 영어의 악센트(강세) 표시입니다... 그 표시가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