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질문~!

지구온난화질문~!

작성일 2010.10.1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구온난화가 생기는 이유?

 

지구온난화로인해 본 피해?

 

북극곰.빙하.남극 등에 끼치는 영향 피해?

 

막을수있는 방법 (대책)

 

내공

내공냠냠등 내용과 상관없는 답변은 신고합니다

자세하게...

 

어려운말은 되도록이면 ..

 

오존층을파괴하는원인이뭐죠?

우리가 어떻게 해야 오존층파괴를 막을 수 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구온난화가 생기는 이유?

 

지구가 생긴 이래로 지구의 온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다양하다.

온실효과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와 같은 대기중의 미량기체가 온실의 유리와 같은 작용을 하여 지표면이 방출하는 지구복사의 일부를 다시 지표면으로 보내어 지표면과 대류권의 온도를 높인다.
이러한 작용을 온실효과라고 하고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기체라 한다.

태양에너지의 변화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 양은 일정하지 않다. 지구의 기온 기록을 보면 11년의 주기로 변화하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은 태양의 흑점수의 변화 주기와 대체로 일치한다.

지구공전궤도와 자전축의 변화
지구의 공전이나 자전행태가 변하면 지구가 받는 태양에너지량이 변하고, 또 위도별 에너지 분포도 변하여 기후가 바뀌게 된다.

에어러솔의 영향
화산 폭발때 분출되는 화산재나 먼지 등이 오랫동안 대기중에 떠 있으면서 태양광선을 차단하게 되면 기온이 낮아진다.

인위적인 요인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의 사용급증과 인구증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와 같은 온실기체가 대기 중으로 다량 방출되어 온실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인간은 농업활동과 공업활동으로부터 온실기체 뿐만 아니라 다량의 미세한 입자도 대기로 방출하여 복사평형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기후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지구온난화로인해 본 피해?

 

1.이상기후 

 

이상기후의 원인이 되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두고 논란은 있으나, 북극 및 남극지대 기온상승, 빙하감소, 홍수, 가뭄 및 해수면 상승 등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자연재해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 빙하감소
지난 20세기 동안 북극지대 대기온도는 약 5도 증가(이것은 지구표면의 평균 온도 상승폭보다 5배나 빠른 속도)로 인하여 빙하감소, 극지방 호수의 피빙 기간 감소 등 직접적 영향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예로서 북극지역에 있는 거의 모든 산지 빙하는 지난 20세기 동안 감소하고 있는데 스위스의 산지 빙하는 1/3까지 줄어들었습니다.
북반구 극지방에서는 1960년대 이후로 눈두께가 10%나 감소하고 있는 한편, 20세기 동안 호수와 강의 년중 피빙기간이 약 2주나 짧아지고 있습니다(UNFCCC,2005).

 

2) 홍수
지구온난화의 또다른 영향으로 1966년 및 1997년 라인강 홍수, 1995년 중국 홍수, 1998년 및 2000년 동유럽 홍수, 2000년 모잠비크 및 유럽 홍수, 그리고 2004년 방글라데시 우기홍수(전국토의 60% 침수) 등 전 지구적으로 집중호우와 폭풍우에 의한 홍수가 빈발하고 있습니다(UNFCCC,2005).

 

3) 가뭄 및 사막화
홍수와 더불어 가뭄현상도 지구 온난화의 중대한 영향 중의 하나인데 특히 아프리카에서 아주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니제르, 챠드호 및 세네갈 지역에서는 전체 이용가능한 물의 양이 40~60%나 감소하고 있고, 남북서부 아프리카에서는 년평균 강수량이 감소함으로써 사막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UNFCCC,2005).

 

4) 해수면 상승
지난 20세기 동안에 해수면은 평균 10~20cm 높아졌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이 예상됩니다. 만약 이같이 해수면이 크게 상승할 경우 방글라데시와 같이 인구가 해변에 밀집되어 있는 국가에서는 바닷물 범람에 의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고, 몰디브와 같은 작은 섬나라는 완전히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은 수십억 인구가 사용하는 물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구의 이주를 유발시킬 것입니다(UNFCCC,2005).

 

5) 생태계 변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나무의 조기 개화, 새들의 조기 산란, 곤충 식물 및 동물 서식지 변화, 연안 지역의 백화현상 증가,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자연 생태계도 서서히 변화되고 있습니다.

 

2. 우리나라의 영향 

범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구온난화 영향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1.5℃상승하였으며, 이는 지구 평균의 2배입니다. 또한 제주지역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22cm상승하였고, 이는 세계 평균의 3배 높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집중호우 및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초래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94~’05)간 폭염으로 인해 2,127명이 사명하였고, 기온상승으로 말라리아 환자가 ‘94년 5명에서 ’07년 2,222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1998년 지리산에서 시작된 집중호우로 324명의 인명피해와 1조2천500억원의 재산피해, 1999년 경기북부 지역에 집중 호우로 64명의 인명피해와 2만5천여명의 이재민 발생, 2002년 8월 태풍 루사로 강릉지역에 하루 870mm의 비가 내려 일 최대강수량 기록을 경신하면서 인명 피해 246명, 농경지 3만여 ha침수 등 5조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남겼으며, 2003년도에도 태풍 매미로 전국에서 130명의 인명피해와 4조7천800억원의 재산피해가 있었습니다

 

북극곰.빙하.남극 등에 끼치는 영향 피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점차 결빙 되는 것 보다 해빙되는 양이 많아 짐에 따라 북극에 생존하는

예로 바다표범이나 이런 종류의 동물들의 보금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며 양 극지방 쪽의 오존층 파괴가 점차 심해

져 감에 따라 태양으로 부터 유해한 빛들이 오존층에 여과되지 않고 들어옴에따라 극지방 생물들의 피부등에

많은 피해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한 현상은 산업화가 대두됨에 따라 점차 심해져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보다 전 세계인구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이 조금만 써도 그양은 많아질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방법을 줄이기 위해서는 과학의 기술이

지금보다 더 발전하여 지금 시국도 어려울뿐더러 탄소가 포함된 것을 줄이는 방법과 친환경 제품등을 쓰려는

노력과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잘 분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것입니다..

 

 

막을수있는 방법 (대책)

 

1.국제사회, 국가

기후변화협약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적극 대처하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1988년 UN총회 결의에 따라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을 설치하였고, 1992년 6월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을 답변확정하였습니다.

*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에 세계 47번째로 가입(‘08.7월 현재 192개국 가입)

 

기후변화협약 주요 내용

- 기본원칙 :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되, 단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은 차별화된 책임

- 의무사항 : 모든 당사국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정책/조치 및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가 수록된 국가

   보고서를 UN에 제출

교토정의서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은 구속력이 없음에 따라 온실가스의 실질적인 감축을 위하여 과거 산업혁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38개국)을 대상으로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동안 1990년도 배출량 대비 평균 5.2% 감축을 규정하는 교토의정서를 제3차 당사국총회(’97, 일본 교토)에서 답변확정하여 2005년 2월 16일 공식 발효시켰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도에 비준하였고(’08.5월 기준 총 184개국 서명, 76개국 비준), 2005년 11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제1차 교토의정서 당사국총회(COP/MOP1) 개최하였고, 제3차 교토의정서 당사국총회(COP/MOP3)에서 발리로드맵 답변확정

교토의정서에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국가들의 비용효과적인 의무부담 이행을 위하여 신축성있는 교토매카니즘을 제시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 선진국A국이 선진국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을 A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 선진국A국이 개도국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을 A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국가들에 배출쿼터를 부여한 후 동 국가간 배출궈터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

 

2. 개인

 

1)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합니다.
[1도의 비밀] 난방을 1도 낮추면 가구당 연간 231kg의 CO2가 줄어듭니다.

 

2) 승용차 사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B.M.W 건강법] 버스(B), 지하철(M), 걷기(W)로 내 몸과 지구에 건강을 선물합니다.

 

3) 친환경 제품을 구입합니다..
[착한 선택] 녹색소비는 자원을 절약하고 온실가스도 줄입니다.

 

4) 물을 아껴씁니다.
[Speedy 샤워] 샤워시간을 1분 줄이면 CO2도 7kg 줄어듭니다.

 

5)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합니다.
[I LOVE 머그컵] 일회용컵 대신 개인 컵을 사용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6) 쓰레기
[Eco-드라이빙] 급출발·급가속 할때마다 40원씩 낭비됩니다.

 

7) 전기제품을 올바르게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플러그 OFF] 플러그를 뽑으면 한달 전기료는 공짜입니다.

 

8) 나무를 심고 가꿉니다.
[초록사랑] 소나무 1그루는 연간 5kg의 CO2를 흡수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구온난화가 생기는 이유?

 

지구가 생긴 이래로 지구의 온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다양하다.

온실효과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와 같은 대기중의 미량기체가 온실의 유리와 같은 작용을 하여 지표면이 방출하는 지구복사의 일부를 다시 지표면으로 보내어 지표면과 대류권의 온도를 높인다.
이러한 작용을 온실효과라고 하고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기체라 한다.

태양에너지의 변화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 양은 일정하지 않다. 지구의 기온 기록을 보면 11년의 주기로 변화하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은 태양의 흑점수의 변화 주기와 대체로 일치한다.

지구공전궤도와 자전축의 변화
지구의 공전이나 자전행태가 변하면 지구가 받는 태양에너지량이 변하고, 또 위도별 에너지 분포도 변하여 기후가 바뀌게 된다.

에어러솔의 영향
화산 폭발때 분출되는 화산재나 먼지 등이 오랫동안 대기중에 떠 있으면서 태양광선을 차단하게 되면 기온이 낮아진다.

인위적인 요인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의 사용급증과 인구증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와 같은 온실기체가 대기 중으로 다량 방출되어 온실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인간은 농업활동과 공업활동으로부터 온실기체 뿐만 아니라 다량의 미세한 입자도 대기로 방출하여 복사평형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기후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지구온난화로인해 본 피해?

 

1.이상기후 

 

이상기후의 원인이 되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두고 논란은 있으나, 북극 및 남극지대 기온상승, 빙하감소, 홍수, 가뭄 및 해수면 상승 등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자연재해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 빙하감소
지난 20세기 동안 북극지대 대기온도는 약 5도 증가(이것은 지구표면의 평균 온도 상승폭보다 5배나 빠른 속도)로 인하여 빙하감소, 극지방 호수의 피빙 기간 감소 등 직접적 영향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예로서 북극지역에 있는 거의 모든 산지 빙하는 지난 20세기 동안 감소하고 있는데 스위스의 산지 빙하는 1/3까지 줄어들었습니다.
북반구 극지방에서는 1960년대 이후로 눈두께가 10%나 감소하고 있는 한편, 20세기 동안 호수와 강의 년중 피빙기간이 약 2주나 짧아지고 있습니다(UNFCCC,2005).

 

2) 홍수
지구온난화의 또다른 영향으로 1966년 및 1997년 라인강 홍수, 1995년 중국 홍수, 1998년 및 2000년 동유럽 홍수, 2000년 모잠비크 및 유럽 홍수, 그리고 2004년 방글라데시 우기홍수(전국토의 60% 침수) 등 전 지구적으로 집중호우와 폭풍우에 의한 홍수가 빈발하고 있습니다(UNFCCC,2005).

 

3) 가뭄 및 사막화
홍수와 더불어 가뭄현상도 지구 온난화의 중대한 영향 중의 하나인데 특히 아프리카에서 아주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니제르, 챠드호 및 세네갈 지역에서는 전체 이용가능한 물의 양이 40~60%나 감소하고 있고, 남북서부 아프리카에서는 년평균 강수량이 감소함으로써 사막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UNFCCC,2005).

 

4) 해수면 상승
지난 20세기 동안에 해수면은 평균 10~20cm 높아졌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이 예상됩니다. 만약 이같이 해수면이 크게 상승할 경우 방글라데시와 같이 인구가 해변에 밀집되어 있는 국가에서는 바닷물 범람에 의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고, 몰디브와 같은 작은 섬나라는 완전히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은 수십억 인구가 사용하는 물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구의 이주를 유발시킬 것입니다(UNFCCC,2005).

 

5) 생태계 변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나무의 조기 개화, 새들의 조기 산란, 곤충 식물 및 동물 서식지 변화, 연안 지역의 백화현상 증가,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자연 생태계도 서서히 변화되고 있습니다.

 

2. 우리나라의 영향 

범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구온난화 영향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1.5℃상승하였으며, 이는 지구 평균의 2배입니다. 또한 제주지역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22cm상승하였고, 이는 세계 평균의 3배 높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집중호우 및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초래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94~’05)간 폭염으로 인해 2,127명이 사명하였고, 기온상승으로 말라리아 환자가 ‘94년 5명에서 ’07년 2,222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1998년 지리산에서 시작된 집중호우로 324명의 인명피해와 1조2천500억원의 재산피해, 1999년 경기북부 지역에 집중 호우로 64명의 인명피해와 2만5천여명의 이재민 발생, 2002년 8월 태풍 루사로 강릉지역에 하루 870mm의 비가 내려 일 최대강수량 기록을 경신하면서 인명 피해 246명, 농경지 3만여 ha침수 등 5조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남겼으며, 2003년도에도 태풍 매미로 전국에서 130명의 인명피해와 4조7천800억원의 재산피해가 있었습니다

 

북극곰.빙하.남극 등에 끼치는 영향 피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점차 결빙 되는 것 보다 해빙되는 양이 많아 짐에 따라 북극에 생존하는

예로 바다표범이나 이런 종류의 동물들의 보금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며 양 극지방 쪽의 오존층 파괴가 점차 심해

져 감에 따라 태양으로 부터 유해한 빛들이 오존층에 여과되지 않고 들어옴에따라 극지방 생물들의 피부등에

많은 피해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한 현상은 산업화가 대두됨에 따라 점차 심해져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전보다 전 세계인구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이 조금만 써도 그양은 많아질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방법을 줄이기 위해서는 과학의 기술이

지금보다 더 발전하여 지금 시국도 어려울뿐더러 탄소가 포함된 것을 줄이는 방법과 친환경 제품등을 쓰려는

노력과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잘 분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것입니다..

 

 

막을수있는 방법 (대책)

 

1.국제사회, 국가

기후변화협약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적극 대처하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1988년 UN총회 결의에 따라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을 설치하였고, 1992년 6월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을 답변확정하였습니다.

*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에 세계 47번째로 가입(‘08.7월 현재 192개국 가입)

 

기후변화협약 주요 내용

- 기본원칙 :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되, 단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은 차별화된 책임

- 의무사항 : 모든 당사국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정책/조치 및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가 수록된 국가

   보고서를 UN에 제출

교토정의서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은 구속력이 없음에 따라 온실가스의 실질적인 감축을 위하여 과거 산업혁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38개국)을 대상으로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동안 1990년도 배출량 대비 평균 5.2% 감축을 규정하는 교토의정서를 제3차 당사국총회(’97, 일본 교토)에서 답변확정하여 2005년 2월 16일 공식 발효시켰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도에 비준하였고(’08.5월 기준 총 184개국 서명, 76개국 비준), 2005년 11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제1차 교토의정서 당사국총회(COP/MOP1) 개최하였고, 제3차 교토의정서 당사국총회(COP/MOP3)에서 발리로드맵 답변확정

교토의정서에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국가들의 비용효과적인 의무부담 이행을 위하여 신축성있는 교토매카니즘을 제시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 선진국A국이 선진국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을 A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 선진국A국이 개도국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을 A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국가들에 배출쿼터를 부여한 후 동 국가간 배출궈터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

 

2. 개인

 

1)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합니다.
[1도의 비밀] 난방을 1도 낮추면 가구당 연간 231kg의 CO2가 줄어듭니다.

 

2) 승용차 사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B.M.W 건강법] 버스(B), 지하철(M), 걷기(W)로 내 몸과 지구에 건강을 선물합니다.

 

3) 친환경 제품을 구입합니다..
[착한 선택] 녹색소비는 자원을 절약하고 온실가스도 줄입니다.

 

4) 물을 아껴씁니다.
[Speedy 샤워] 샤워시간을 1분 줄이면 CO2도 7kg 줄어듭니다.

 

5)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합니다.
[I LOVE 머그컵] 일회용컵 대신 개인 컵을 사용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6) 쓰레기
[Eco-드라이빙] 급출발·급가속 할때마다 40원씩 낭비됩니다.

 

7) 전기제품을 올바르게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플러그 OFF] 플러그를 뽑으면 한달 전기료는 공짜입니다.

 

8) 나무를 심고 가꿉니다.
[초록사랑] 소나무 1그루는 연간 5kg의 CO2를 흡수합니다.

위에님꺼예요 답변확정 하지마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또한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가 유력한 원인으로 뽑힌다. 온실기체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그리고 현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프레온가스등이 온실기체이다.

지구온난화 질문

... 요세 지구온난화 때문에 너무 불안해서 미치겠습니다 질문들 솔직하게 답해주세요 1.6~30년뒤 진짜 땅의 사는 사람들이 죽나요? 멸망은 안 하다는데 솔직히 너무 불안해서요...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 관련 질문이 좀 있는데요. 1. 지구 온난화를 대비하기 위해 생겨난 대책은 무엇이 있는가 - ex) 해양도시, 부유도시 등 2. 지구온난화의 공간적 시점...

지구온난화. 질문입니다

지구온난화로 미래의 서울의 낮기온이 50도 갈수도잇나요?? 10년후20년후30년후 서울 한여름 낮기온 예상치좀 알려주세여 현재 수도권 최고 온도가 31도로...

환경오염지구온난화 질문

안녕하세요 지구온난화 지금 심각하잖아요 1. 지금 이미 막는건 불가능하고 그나마... 저 너무 무서운데정말로 너무너무너무무서운데 3번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요라면 어떻게...

바루 채택해드림! 지구온난화 질문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상승은 왜 하는것이고 기상이변은 왜 일어나는건가요? 해수면은... 기상이변은 ~~~때문에 지구온난화로 인해 생겼다로 해주세여♡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지구온난화 질문

... 지구온난화에 대한 질문이시군요. 걱정하시는 마음 이해합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한 가지 간단한 해결책으로...

지구온난화 질문

안녕하세요 11살 잼민인데요 지구온난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고싶은데요 지구온난화 원인과 막는 법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지구온난화 심각해지면 인류...

지구온난화 계절 질문

... 주제는 지구온난화가 한국 계절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저와 제 친구 한명은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 겨울이 빨리 찾아오고 더 추워진다 이고 나머지 두친구는 지구온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