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에 대하여

식물에 대하여

작성일 2010.02.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식물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식물이름, 그 식물에 대하여 이런 것 좀 알려주세요.

내공 드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음 뿍 드릴게요.


#식물에 대하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름 : 장미

분류 : 장미과 장미속
원산지 : 서아시아
분포지역 : 북반구의 한대·아한대·온대·아열대


본문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야생종이 북반구의 한대·아한대·온대·아열대에 분포하며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이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으로서 아름다운 꽃이 피고 향기가 있다. 그래서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을 말한다. 장미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지역의 야생종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이때부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었다.

서양장미 중에서 꽃이 큰 수종은 중국산 야생장미와 유럽산 야생장미 사이에 잡종을 만들어내고 이를 더욱 개량하여 육성하였다.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찔레꽃·돌가시나무·해당화·붉은인가목 등과 중국 야생종을 관상용으로 가꾸어왔으며, 《양화소록》에서도 가우(佳友)라 하여 화목 9품계 중에서 5등에 넣고 있다. 서양장미는 8·15광복 후에 유럽·미국 등지로부터 우량종을 도입하여 다양한 원예종을 재배하고 있다.

1. 형태
장미의 잎은 어긋나고 3∼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형, 긴 타원형, 긴 달걀 모양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뭉툭하다. 길이 3∼9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어느 정도 윤기가 있다. 뒷면은 흰빛이 돌지만 어린 잎은 홍자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턱잎은 가늘고 길며, 하단부가 잎자루에 붙어 있으며, 윗부분은 바늘 같다. 줄기는 녹색을 주로 띠며 가시가 있다.

꽃은 품종에 따라 피는 시기·기간이 다르고, 홑꽃에서 겹꽃까지 빛깔과 모양에 수많은 변이가 있다. 장미는 꽃이 아름답고 색채가 다양하며, 방향성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화단과 온실 모두에서 재배되고, 화분과 꽃꽃이용 모두에 이용된다.

2. 분류
장미에는 계통과 품종이 매우 많고, 현재 알려진 품종만도 1만 5000여 종이나 된다. 이들을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계통으로 나눈다.

①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H.T.):티(tea)계와 하이브리드 퍼페추얼(hybrid perpetual)을 교잡한 품종군으로, 가지마다 큰 꽃이 한 송이씩 사철 피고 빛깔이 다양하며 꽃이 탐스럽다. 꽃꽃이용으로는 거의 이 계통이 쓰이며, 분재용·화단용 등 그 용도가 많다.

② 플로리분다(floribunda:Flo.):폴리안타(polyantha:Pol.)에 하이브리드 티를 교잡한 품종으로, 꽃이 중형이고 송이가 뭉쳐서 피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다. 이를 더욱 개량하여 꽃송이가 크고 꽃잎이 많아져서 미국에서 붙인 이름이다. 추위에 강하고 꽃피는 기간이 길다.

③ 글랜디플로라(glandiflora:Gr.):하이브리드 티와 플로리분다를 교잡하여 만든 것이다. 두 계통의 중간적인 생김새를 가졌으며, 1줄기에 여러 개의 큰 꽃이 뭉쳐서 피고, 성질이 강해서 가꾸기 쉽다.

④ 클라이밍(climbing:Cl.):덩굴장미로 여러 계통이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하이브리드 티의 아조변이(芽條變異)에 의해서 생긴 것이다. 꽃의 모양은 하이브리드 티와 같다.

⑤ 슈러브(shrub:Sh.):관목장미와 덩굴장미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않는 중간형으로서 관목덩굴형, 현수형(懸垂型), 옆으로 확대형 등이 있다. 가지치기가 필요하지 않는 등 재배관리가 용이하며 조경용으로 이용된다.

⑥ 미니어처(miniature:Min.):미니장미라고도 한다. 나무높이 약 15cm로 꽃의 지름이 2cm 미만이며, 꽃이 뭉쳐서 피는 것과 1가지에 1송이가 피는 것이 있다. 번식은 종자로도 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는 접목번식을 한다. 절접(切接)은 야생 장미나 찔레나무 등의 실생묘에 하는데 노지에서는 봄과 가을에, 온실에서는 1∼2월에 한다. 눈접은 7월에 한다.

노지에서 월동시킬 때에는 짚으로 싸주어야 한다. 장미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정(剪定)으로 노지에서는 겨울에, 온실에서는 여름에 한다. 이때 작고 너절한 가지는 모두 잘라주고, 지면 가까이 충실한 3∼5개의 웃자란 가지만을 40∼50cm 길이로 잘라준다.

이름 : 백합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Lilium) 식물의 총칭.

본문

주로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인데 때로 돌려난다. 꽃은 크고 화피갈래조각은 6개로 떨어져 나며 내면에 밀구(蜜溝)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T자형으로 달린다. 삭과(殼果)는 납작한 종자이며, 종자의 수명은 보통 3년이다.

가을에 심는 구근초로 북반구의 온대에 70∼100종이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는 종류가 풍부하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것이 많다.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진귀하게 여겨왔으며 개량하여 좋은 품종을 많이 길러냈다. 땅속의 비늘줄기는 채소로 쓴다.


【종류】 ① 나팔백합계:꽃이 나팔 모양으로 옆을 향해 피고 꽃잎이 길다. 나팔백합(L. longiflorum)은 관상용 백합의 대표적인 것으로 일본 오키나와 원산이다. 보통 6∼7월에 꽃이 피지만 온도처리로 촉성·억제 재배하여 일년내내 꽃이 피게 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부활절에 특히 많이 쓰므로 부활절백합(Easter lily)이라고도 한다. 이밖에도 에라부·조지아·시에키 30호·토노시타 1호·청축·흑축 등의 품종이 있다.

② 산백합계(山百合系):꽃이 깔때기 모양이고 꽃잎이 깊게 갈라지며 옆을 향해서 피는 것으로 백합 중에서 꽃이 가장 크다. 산백합·사크백합 등이 있다.

③ 하늘나리계:컵 모양의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한국에 자생하는 하늘나리는 5∼7월에 작은 별 모양의 꽃이 붉은색·주홍색·주황색 등으로 피어 꼬마백합이라고도 하며 촉성재배용으로 많이 키운다. 일본에서 개량한 스카시백합은 나팔백합 다음으로 많이 심는 종류이며 하늘을 향하여 꽃이 핀다. 이밖에도 날개하늘나리·하늘말나리 등이 있다.

④ 섬말나리계:종 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하여 피는 것으로 울릉도에 자라는 섬말나리와 응달나리 등이 있다. 이밖에도 한국에는 털중나리(L. amabile)·당나리(L. brownii)·애기중나리(L. callosum)·솔나리(L. cernum)·말나리(L. distichum)·참나리(L. tigrinum)·중나리(L. leichtlinii var. tigrinum)·큰솔나리(L. tenuifolium) 등이 자생하고 있으나 아직 대대적으로 재배하지는 않는다.

【재배】 ① 번식:실생·포기나누기·살순번식·비늘잎꽂이 등으로 번식한다. 종자는 10월 중·하순에 온실에서 씨를 뿌리고 13∼15℃로 유지하면 30일 만에 싹이 나며 3월 하순에 잎이 3∼4장 나온다. 보통 3년 정도 키워야 꽃이 핀다. 비늘잎꽂이는 7∼8월에 알뿌리의 비늘잎을 떼어 심는 것으로 40∼60일 만에 작은 알뿌리가 생긴다. 살순번식은 잎겨드랑이에 생기는 눈을 가을에 심어서 싹이 트면 알뿌리를 이루게 하는 방법이다. 포기나누기는 알뿌리나누기라고도 하는데 백합 번식의 주된 방법으로서, 2∼3개씩 나오는 새 알뿌리를 떼어심는다.

② 휴면타파:이를 위해서는 저온처리를 해야 하는데 보통 1∼7℃에서 6주간 처리한다. 저온처리중에는 알뿌리 안에 있는 생장호르몬의 형태와 양이 변화하여 휴면이 타파되고 자라는 것으로, 휴면이 타파되면 꽃눈분화[花芽分化]가 끝나고 싹이 트면 장일(長日)에서 개화가 빨라진다. 보통 물이끼와 알뿌리를 섞어 상자에 넣고 1∼7℃에 6주간 두었다가 꺼내서 14∼15℃에서 1주일 말린 다음 충분히 물을 뿌려 싹을 티운다. 싹이 나오는 것은 20일 정도 걸리며 싹이 나면 제대로 옮겨심는다.

 

명칭 과 명 : 국화과
학 명 : Helianthus annus
영 명 : Common sunflower, Mirasol, Common garden sunflower


■ 원산지와 내력

해바라기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일년초로 기원전 1000년부터 이미 아메리카 인디언에 의해 재배되었다. 16세기에 유럽에 소개되었으나 러시아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기 이전까지는 중요한 작물로 취급되지는 않았다. 근래에는 기름용, 사료용, 식용 및 관상용으로서 세계 각지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 주요 품종 특성

해바라기는 한여름의 푸른 하늘 아래 굵은 줄기와 큰 잎, 그리고 거대한 꽃을 피우는데 이 각각의 색조화가 인상적이기는 하지만 꽃색은 둘째 치더라도 꽃이 너무 커서 상품가치가 없다. 절화로서 수확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꽃의 직경이 작고 줄기가 가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밀식재배를 하고 비료를 줄이더라도 절화로서의 가치를 가진 품종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절화용 품종에는 일대교잡종과 고정종이 있다(표 1).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대교잡종은 일장에 관계없이 파종후 60∼70일이면 개화하므로 주년생산이 가능하다. 형질이 균일하고 생육이 왕성하여 재배가 쉬운 것도 일대교잡종의 매력이다. 또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일대교잡종의 대부분은 웅성불임이어서 꽃가루가 없기 때문에 꽃 자체도 아름답고 주위를 더럽히지도 않는다. 또한 교배되어 종자가 생기는 일이 없으므로 절화수명도 길다.
고정종은 장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원종의 특성을 이어받아 여름출하가 위주로 되어있다. 그러나 '태양' 품종 등 일부의 고정종은 상대적단일식물이므로 10℃ 이상의 온도만 유지되면 겨울에도 60일 정도면 개화되어 겨울 및 봄 출하용으로 이용된다. 고정종은 일대교잡종처럼 강건하지 못하여 다소 병에 약하고 균일성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표 1> 해바라기의 대표적인 품종

구 분

품종명

꽃 색

출하시기

일대교잡종

가가야끼
월광
일광
썬리치오렌지
썬리치레몬

꽃잎이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꽃잎이 황색이고 중심부도 개화성기에는 황색
꽃잎이 크림옐로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꽃잎이 짙은 등색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꽃잎이 라이트레몬옐로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주년
주년
주년
주년
주년

고정종

태양
흑룡
루나

꽃잎이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꽃잎이 레몬옐로이고 중심부는 흑갈색
꽃잎이 레몬옐로이고 중심부는 흑색

동∼춘
하∼추
추∼춘


■ 형태적 특성

높이는 1∼3m 정도로 외대로 자라 직립하며 상부에서 몇 개의 가지를 분지하는 일년초화류이다. 전체에는 빳빳한 짧은 털이 많이 나 있다. 잎은 커서 길이가 10∼30cm로 엽병이 길고 호생하며 난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잎가에는 엉성한 거치가 있다. 대형의 두상화가 줄기나 가지 끝에 7.5∼30cm 크기의 큰 꽃이 피는데 해를 향하여 핀다하여 해바라기라고 부른다. 재배품종에서는 직경이 35∼40cm 정도의 크기로 피는 것도 있다. 총포편은 난형 또는 난상피침형, 꽃의 설상화는 방사상으로 피며 선명한 황색이다. 중심부의 관상화는 원형으로 검은 황갈색이며 종자가 익으면 무거워 아래로 숙인다. 종자는 기름을 짜고 식용하거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줄기는 제지 또는 사료로 이용된다. 개화기는 7∼9월이고 염색체 수는 2n=34 또는 2n=68이다.


■ 생리 생태적 특징

해바라기는 원래 상대적장일식물이지만 품종개량에 의해 현재는 상대적단일성이나 중성을 나타내는 품종도 있다. 상대적장일성을 보이는 품종은 단일조건하에서도 개화하기는 하지만 장일조건에서보다 20일정도 늦은 파종후 80일에 개화한다. 이런 품종은 5∼7월의 장일기에 파종하는 노지재배에 적당하다. 상대적단일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단일조건하에서 파종후 60일 정도에 개화한다. 따라서 11∼1월에 파종하여 가온재배한다. 중성 품종은 일장에 관계없이 파종후 60∼70일이면 개화하므로 3∼4월 파종하는 무가온재배를 포함하여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해바라기의 생육적온은 20∼30℃로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0℃까지만 떨어지지 않으면 생육자체는 가능하다. 그러나 개화를 위해서는 동계 10℃ 이상의 가온과 보온이 필요하다. 낮에는 25℃를 목표로 환기한다.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토양을 특별히 가리지는 않지만 부식질이 풍부한 비옥한 점질토양이 적합하다. 최적 토양산도는 5.5∼6.5로 약산성이 좋다. 해바라기는 호기성으로 배수가 나쁘거나 지하수위가 높은 곳은 부적절하므로 배수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햇빛이 잘 들고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으며 바람의 영향이 적은 포장이 재배에 적절하다. 해바라기는 연작장해가 있으므로 윤작과 토양소독을 해 주어야 한다.

■ 재배기술

▷ 재배작형

해바라기에는 광주성 반응의 차이에 따른 몇 개의 품종군이 있다. 그 성질을 이용하여 작형이 분화되어 있으므로 연중 시장출하가 가능하다. 통상 한 작기의 기간이 90∼110일이므로 경영조건에 맞는 작형을 선택하면 작부계획을 맞추기 쉽고 복합경영이 유리해진다. 또한 해바라기는 노동력이 적게 들고 기술적으로도 쉽게 재배할 수 있다.
작형으로는 1∼2월에 파종하여 3∼4월 출하하는 가온시설재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을에서 겨울사이에 출하하면 절화가격이 높아 경영에 유리하고 일대교잡품종도 육성되어 있으므로 근래 수년간은 10∼2월의 겨울에 많이 출하하게 되었다.

▷ 재배방법

품종소개에서도 언급했듯이 절화로서 채화하기 위한 해바라기는 꽃지름이 작고 줄기가 가늘어야 한다. 이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밀식재배를 하고 시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특히 시비조절에 실패하면 상품가치가 없는 해바라기가 되어 버린다. 정식상을 만들 때 퇴비만을 3∼5톤/10a 시비하고 이외에는 기비를 주지 않는다. 정식상의 폭은 60∼100cm, 통로는 50cm 정도로 하고 정식상을 높게 할 필요는 없지만 배수가 나쁜 경우에는 어느정도 높이는 것이 좋다. 추비는 액비를 800배 정도로 희석하여 잎색을 보아가면서 시비한다. 단 꽃봉오리가 나온 후에는 비료를 끊는다. 해바라기의 절화용 품종은 기름용이나 사료용처럼 다량의 질소분이 있는 포장에서 거대하게 자라도록 육성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질소분이 적은 조건하에서도 충분히 특성을 발휘하는 절화용 품종에 있어서는 다른 해바라기 종류는 영향을 받지않는 질소량에서도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질소과잉증상은 영양생장만 과다하고 생식생장으로 전환이 되지 않아 생식기관에 악영향을 미쳐 설상화의 부분적인 부족이나 통상화 중심부분의 함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기비를 시비하지 않고 식물의 상태를 보아가면서 추비중심으로 재배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은 직파와 이식재배의 2가지가 있다. 직파의 경우에는 한 장소에 종자 2립씩을 파종하고 떡잎이 전개된 후 한 포기는 솎아낸다. 이식재배의 경우는 플러그 파종, 파종상 파종, 파종상자 파종 등이 있다. 그러나 이식본수의 파악과 이식시 편리성, 그리고 무엇보다 묘의 손상이 적은 플러그 파종이 유리하다. 플러그 파종의 경우 200공의 플러그판을 이용하고 용토는 시판되는 무균용토를 이용한다. 파종용 구멍은 용토를 채운 플러그판에 다른 플러그판을 올려놓고 가볍게 눌러주면 쉽게 만들 수 있다. 구멍은 종자가 안보일 정도로 만드는 것이 요령인데 너무 깊으면 뿌리가 자랄 공간이 적어진다. 온도는 10℃ 이상을 확보하고 미스트 관수를 한다. 3∼4일이면 발아하기 시작하지만 떡잎이 종피를 뒤집어 쓴 채로 발아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손으로 종피를 벗겨준다. 종피를 벗겨주지 않으면 떡잎이 전개하지 못하고 고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육묘중에는 빛을 잘 받도록 하여 웃자라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자파종의 경우에는 토양소독을 한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을 이용한다. 파종상에 파종할 때에는 폭 60cm, 높이 5∼10cm로 이랑을 만들고 3x3cm 간격으로 파종하고 종자가 덮일 정도로만 복토한다. 파종후의 관리와 이식시기는 플러그파종에 준한다.
정식적기는 본잎이 1매정도 나왔을 때(파종후 약 10∼12일)이다. 해바라기는 생육이 빠르므로 이 시기를 놓치면 뿌리가 빽빽해져 정식이후의 생육이 나쁘다. 플러그육묘의 경우 플러그에서 묘를 뽑기전에 미리 물을 주고 가는 막대를 이용하면 용토가 부서지지 않고 잘 빼낼 수 있다. 상파인 경우에는 이식시 뿌리의 흙이 부서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심는 간격은 10x10cm 도는 12x12cm로 한다. 정식후에는 물을 충분히 주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고 겨울에는 보온에 힘써 활착을 촉진한다.
생육기간 중에는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하고 토양이 마르면 충분히 물을 준다. 야간온도는 10℃ 이하가 되지 않도록 보온 또는 가온한다. 낮에는 25℃ 이상이 되지 않도록 환기한다. 특히 생육중반 이후에는 측창과 천창을 열어 되도록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이 것이 병해를 막아줄 뿐만아니라 식물체에 물리적 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길러주어 수확후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곁가지와 곁눈은 되도록 일찍 제거한다. 또한 초장이 20∼30cm 가 되었을 때 지주를 세우고 2단으로 네트를 친다. 밑단은 고정하고 윗단은 생육에 맞추어 위로 올린다.

▷ 수확 및 출하

꽃잎이 충분히 열리고 바깥쪽의 통상화가 개화했을 때 지제부에서 잘라 수확한다. 줄기길이는 1m 이상으로 하고 아랬잎은 떼어낸 후 크기와 병충해 피해정도에 따라 규격을 나눈다.
10본 1묶음으로 하여 물올림한 후 출하한다.

▷ 병해충

백견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피해포기는 뽑아서 태운다. 전년도에 발생한 포장에서는 되도록 연작을 피하고 할 수 없이 연작하는 경우에는 토양소독을 한다. 흰가루병, 녹병, 노균병, 반점세균병은 주로 잎에 발생되는데 일단 발생하면 잎 등에 병반이 생겨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살균제로 정기적으로 예방해주어야 하는데 모든 병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생하므로 낮에는 환기를 잘 시켜 병발생을 예방한다.
해충으로는 진딧물과 총채벌레가 있다. 특히 총채벌레는 잎과 꽃을 침해하면 식해한 흔적이 남아 역시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므로 예방과 조기구제에 노력한다.


■ 이용

해바라기는 원래 종자의 기름을 짜는 유료작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꽃이 크고 아름다워 지금은 가정의 화단 또는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어린이들의 관찰을 겸한 재배에는 일반 해바라기가 좋으며 관상에 중심으로 두는데는 겹꽃인 '선골드'와 같은 품종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화단에 집단적으로 심을 때는 왜성인 '옐로우피그미' 등이 적합하다. 절화용으로는 꽃의 크기가 5∼10cm 정도로 다소 작고 다화성이며 꽃대가 가늘고 길어 흡수력이 좋은 것들이 적합한데 여기에는 '데비리스해바라기'나 '아르고힐루스해바라기'등이 있다.

 

■꽃말: 그리움

한여름의 강렬한 태양 아래서 커다란 꽃을 탐스럽게 피운 모습은 신선하고 열정적이다. 태양을 따라 고개를 돌리면서 꽃을 피우는 이 꽃을 그리스 신화에서는 태양의 신 아폴론을 사랑한 요정 크리티가 자신의 사랑을 받아 주지 않은 아폴론을 그저 바라보고만 있다가 그대로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또 1970년에 제작된 '해바라기'라는 영화에서 여주인공 지오반나가 남편이 죽었다고 생각되는 곳을 찾는데 그곳에는 해바라기가 눈부시게 피어있다. 끝없이 펼쳐진 해바라기밭의 풍경, 애절한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장면을 생각해 보면 주인공의 '애모'를 암시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이야기

옛날, 바다의 신에게는 두 딸 '그리디'와 '우고시아'가 있었답니다.
이들은 해가 진 후부터 동이트기 전까지만 연못 가에서 놀도록 허락을 받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놀기에 정신이 팔려 해가 뜬 것도 모르고 놀았는데 태양의 신 아폴로가 빛을 발하자 지금까지 보지 못한 황홀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언니는 자기만 아폴로의 환심을 사려고 동생이 규율을 어겼다고 모함을 했지만, 마음씨 나쁜 언니를 아폴로는 거들떠보지도 않았습니다.

언니는 아홉 날 아홉 밤을 선 채로 그의 사랑을 애원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발이 땅에 뿌리를 내려 한 그루 '해바라기'로 변해버렸습니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향일화(向日花)·산자연·조일화(朝日花)라고도 한다.
아무데서나 잘 자라지만, 특히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중앙아메리카 원산이며 널리 심고 있다. 높이 2m 내외로 자라고 굳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원줄기가 가지 끝에 1개씩 달려서 옆으로 처진다. 꽃은 지름 8∼60cm이다. 설상화는 노란색이고 중성이며, 관상화는 갈색 또는 노란색이고 양성이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2개의 능선이 있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길이 1cm 내외이며 회색 바탕에 검은 줄이 있다. 종자는 20∼30%의 기름을 포함하며 식용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줄기 속을 약재로 이용하는데 이뇨·진해·지혈에 사용한다. 품종에는 관상용과 채종용이 있다. 채종용은 특히 러시아에서 많이 심고 있으며, 유럽의 중부와 동부, 인도, 페루, 중국 북부에서도 많이 심는다. 찌꺼기는 사료로 이용한다.
해바라기란 중국 이름인 향일규(向日葵)를 번역한 것이며, 해를 따라 도는 것으로 오인한 데서 붙여진 것이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한 다음 유럽에 알려졌으며 '태양의 꽃' 또는 '황금꽃'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해바라기는 페루의 국화(國花)이고 미국 캔자스주(州)의 주화(州花)이다. 영어의 sunflower는 속명 헬리안투스(Helianthus)를 번역한 것이다.

해바라기 잘 보면, 꼭 해님 같이 생겼죠? 해바라기는 상당히 큰 꽃이랍니다. 꽃잎은 노란색의 다른 꽃에 비해 꽃잎장수가 많은 편이랍니다. 보통 여름 ~ 가을에 많이 볼수 있는 꽃인데, 잎은 크고 둥글며 줄기는 아주 깁니다. 때로는 어린아이의 키보다 더 긴 줄기의 커다란 해바라기를 볼 수있답니다. 약 2m의 해바라기도 볼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 사진을 보면 꽃잎이 둘러싼 가운데에는 모두 해바라기씨 랍니다. 해바라기씨는 먹을 수도 있고 해바라기씨를 열매 라고 부르는 분들도 있습니다. 꽃의 지름은 거의 8~ 60cm 라고 합니다.
그리스로마신화를 살펴보면, 해바라기에 얽힌 이야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포세이돈의 딸인 두 자매님프는 늘 밤에만 밖에 나가 놀 수있는 이상한 규칙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같이 놀다가 해가 뜨는 줄도 모르고 그 자리에 있다가 결국 태양의 신 아폴론을 만나게 됩니다. 결국 둘 다 아폴론에게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첫째 님프는 동생도 아폴론을 좋아한다는 걸 알고 동생이 해가 뜨도록 놀았다고 포세이돈에게 일러바쳤습니다.
자기도 그랬으면서 일부러 그랬던 것입니다. 그리고 혼자 아폴론을 독차지 할 수 있게 되어 기분이 좋은 첫째 님프는 아폴론이 자신을 바라봐주기를 바라면서 태양아래에 계속 서있었습니다. 그러나 첫째 님프의 욕심을 알아챈 아폴론은 첫째 님프를 거뜰어보지도 않았습니다. 결국 계속 그 자리에 서있던 첫째 님프는 태양에 서있는 아폴론을 바라보며 애타게 기다리다가 해바라기가 되었답니다.
이 이야기처럼 해바라기 꽃은 늘 해님을 바라보고 있답니다. 어쩌면 해바라기의 이름도 이점에서 지어진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국화과에 속해있는 해바라기 꽃은 줄기 속을 약으로 사용한다고도 합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약용식물에 대하여20가지

약용식물에 대하여 20가지 알려주세요 제발요 급합니다ㅜㅜ 내공겁니다 약용식울의 약리효능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1. 강활 / 속 명 : 강호리/ 건조한 뿌리를 두통, 신경통...

홍콩 식물에 대하여

식물 이름중 홍콩이라는게 있는데 그 식물에 대하여 알려 주십시오. 내공 30드립니다. 원산지 00과 그 식물에 대하여 자세이 알려 주세요. 두릅나무과의 상록관목 또는...

야호식물에 대하여

야호라는 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주세요... 식물사전과 인터넷에도 안나와 있어요 야호가 아니라 호야 아닐까요?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다년초인 호야 카르노사 Hoya cornosa...

식물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식물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계시다고 들었는데요 제가 방학숙제로 식물 도감을 쓰려고 해요 죄송하지만 여러가지 식물에 대하여 써주셨으면 해요...

독성식물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제가 인체에 대하여 아주 예민합니다 그레서 독성식물에 대하여 알려주세염 이렇게 하시면 됨 1.독성식물의 이름은 기본 2.식물의 줄기와 잎에 길이 3....

식물에 대하여...

... 학교에서 식물 20개의 그림과 그 식물에 대하여 조사해오라는데 좀 도와주세요... 내공 100걸고 내공냠냠←이런거 신고합니다. 초등학교에서 이렇게 많은...

식물에 대하여...

... 분류를 정하여 식물에 대하여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ㅜ ⑴ 남조식물(藍藻植物:Cyanophyta):박테리아와 함께 원핵생물로 불리는 식물군이다. 대부분이 단세포...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에 대하여...

최대한 빨리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에 대하여 설명해 주세요. 두개 설명 합쳐서 A4용지 한장 분량만큼 해주세요 내공냠냠, 허위답변 신고갑니다. 쌍떡잎식물의 특징...

한해살이 식물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 (식물만 잘 알려주셔도 되요) 좋으시면 이미지도 더해서 써주시고, 여러해살이(식물,나무)에대하여 써주세요.욕설,비방 이상한 말 등은 신고합니다. 내공 50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