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 사회,,,

작성일 2008.09.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초 6 여자입니당..

오늘 숙제로 민주주의 사회란 뭔가와

민주주의 사회의 장, 단점 써오기 바닸떠염

오욱오욱오욱오욱

숙째는 시러욤

알려주세염

알려주세염

내공은 마니,, 답변도 마니..

내공냠냠 신고 ㄱㄱㅅ!
민주주의 사회 란 무엇인가와

장 단점이요

빨리

신속

정확

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

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꺄

악악악악악악악악악악악악

 

세세세세세세세세세세세세

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

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로

읽읽읽읽읽읽읽읽읽읽읽읽

기기기기기기기기기기기기

♡♡♡♡♡♡♡♡♡♡♡♡

 

빨리 해주세염


#민주주의 사회 #민주주의 사회 계급 #민주주의 사회 영어로 #민주주의 사회 선거 #민주주의 사회 영어 #민주주의 사회 체제 #민주주의 사회 정당 #민주주의 사회 투표 #민주주의 사회 란 #민주주의 사회 정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민주주의의 가장 유명한 정의는 '다수 인민의 지배'입니다. 민주주의를 가장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는 정의이죠.

 

 그러므로 민주주의는 어떠한 '진리'를 추구하는 체제는 아닙니다. 어떠한 공적 사안이 있을때, 확실하고 객관적이고 올바른 '진리'를 답변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국민의 보편적인 상식에 근거한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바로 민주주의입니다.

 

 그러므로 민주주의는 바로 '상식'에 의한 정치를 추구하는 이념이라고도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이는 다수의 의사가 무오류, 무편견할 것이라는 믿음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민주주의에서는 공적 영역에서 구성원간의 갈등이나,  사회문제에 대한 쟁점이 발생할 시에 다수의 의사를 가장 잘 반영하는 '다수결의 법칙'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민주주의도 직접민주주의, 간접민주주의, 작업장 민주주의, 협의 민주주의 등 수 많은 민주주의가 있으나 직접민주주의와 간접민주주의만 알아도 무난합니다.

 

 직접민주주의는 루소의 '인민주권'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개인의 외연의 확장이 곧 사회라고 보아 각 개인이 가분된 주권을 소유한다고 보는 사상입니다. 이러한 결과로 주권은 대표될 수는 없으므로,  국민 개개인이 직접 공적영역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그것이 가장 민주주의다운 것으로 봅니다.

 이러한 직접민주주의 요소에는 국민투표, 국민소환제, 주민투표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 법체계상 인정되는 것은 국민투표, 주민투표만이 인정됩니다.

 

 이에 반해 간접민주주의는 직접민주주의가 물론 민주주의의 이상에 가장 잘 부합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시간,공간,인구 등)으로 인해 근,현대사회에서는 어쩔 수 없이 국민이 대표를 뽑아 대표의 의사에 의해 공적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의'입니다. 이러한 '주의'에 따르면 주권은 대표될 수 있으므로,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은 국민의 의사에 기속을 받지 않고, 국익과 그들의 직업적 양심에 근거해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무기속 위임) 그러므로 이 때의 국민은 직접민주주의의 인민(국민)이 유권자의 총체로서의 실질적인 국민인 것과는 달리, 이념상의 국민(추상적인 국민)으로서의 성격밖에 갖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국회의원은 이러한 추상적인 국민으로 이루어진 전체국민의 대표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헌법은 기본적으로 간접민주주의(대의제 민주주의)를 답변확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간접민주주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민투표와 같은 직접민주주의와 같은 요소도 도입하고 있습니다만, 직접민주주의는 기본적으로 우리 헌법이 답변확정하고 있는 '주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랑 같은 학년에.. 같은 처지 이시군요..

 

저도 민주주의를 숙제로 받았어요^^

 

우선 민주주의란, 어떠한 공적 사안이 있을때, 확실하고 객관적이고 올바른 '진리'를 답변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국민의 보편적인 상식에 근거한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리고, 민주주의의 장점은...

 

1. 자유가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다음은 인권의 존중을 들 수 있습니다.

 

3. 국민에게 주권을 부여함으로써 투표를 통하여 정치지도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기회의 평등을 들 수 있습니다.

 

크게 얘기를 한다면,,자유와 인권의 존중, 그리고 기회의 평등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죠??

 

민주주의의 단점은.. 일단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기 때문에 정치인이나 대통령....등 한사람 마음대로 나라를

 

이끌 수 없다는 것이죠...

 

이상 허접한답변, 평범한 소녀의 답변입니다..

부르주아 민주주의사회•공산주의...

말그대로 민주주의 정치사상중 부르주아 민주주의사회•공산주의 정치사상인 인민민주주의에 속해 있나요? 아뇨, 부르주아 민주주의는 오히려 인민민주주의와 대비되는...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질문(내공 100)

... 사회민주주의의 특징을 정리해주십시오. 2. 사회민주주의에도 케인즈주의가 적용될 수 있습니까? 3. 사회민주주의도 시장경제체제를 운용할 수 있습니까? 1. 멀리 갈 것 없이...

민주주의 사회와 지도자의 관계

민주주의 사회와 지도자는 어떤 관계인가요? 민주주의 사회에서 지도자는 없어선 안되나요? 민주주의 사회에서 지도자는 한 집단을 대표하는 사람이죠 우리나라 전국민이...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부의 역할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부가 해야할 역할은 무엇이 있을까요? 민주주의는 '자유'를 따로 붙이지 않습니다. 아니 붙일 이유가 없죠. 자유가 이미 충분히 보장되는 사회니까요....

사회민주주의에 대해서

사회민주주의에 대해서 설명을 좀 해주세요.. 예를 들어 '누군가에 의해서 처음으로 뭔가가 됬고, 그 결과가 어찌어찌하다..'정도??;;; 저는 상당히 이쪽으로 무지한 사람으로써...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사회이고 국민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사회이고 국민이 주인이므로 국민인 제가 대통령보다 위인가요? 아닌 가요?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사회이고 국민이 주인이므로 국민인 제가 대통령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