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위인 10명

우리 나라 위인 10명

작성일 2008.07.23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요 이번에 여름방학을 맞이해서 숙제를 하려고 하는

 

데.... 우리 나라 위인 10명 정도 사진과 함께 조사해 주세

 

요.... 제가 조사하려고는 하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좀 도와주세요~ㅋㅋㅋㅋ

 

 

 

<내공냠냠 하시면 신고합니다!>


#우리 나라 지도 #우리 나라 #우리 나라 문화유산 #우리 나라 옛날 그림에 있는 동물의 이름 #우리 나라 생태 관광 이야기 #우리 나라 인구 #우리 나라 전통 음식 #우리 나라 보물 1호 #우리 나라 화석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화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죄송합니다.사진은 없지만요

1.안중근2.윤봉길3.김구4.김좌진5.한용운6.유관순7.김정호8.이상재9.주시경10.방정환

죄송합니다..사진이 없어서 말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충무공 이순신-단  12척으로 왜군을 때려부순 아주 최고로 명장인 장군 전쟁중 사망

김구-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열심히 외국에 알린 독립운동가

김시민 - 진주성에서 3천800명으로 엄청난 외군을 막아낸 이순신처럼 희귀 장군

권율- 행주대첩- 잘 지휘해서 10번 공격해도 10번 못 함락해냈다. 아낙네들이 행주로 돌을 날랐다 해서 행주대첩

광개토대왕- 광할한 만주벌판을 싹 쓸어버린 그것도 훌륭한 통치력으로

안중근- 우리나라의 원수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해서 사멸해버린 아주 명중력 뛰어난 사람

김좌진 =왜군을 청산리에서 무찌른 위인

이순신은 5백원 동전 뒤에서 볼 수 있음

주시경-한글을 연구

신사임당- 여러 것으로 유명한 여자 시인?

방정환-방정떤다 아니죠... 어린이날을 만든 중절모 많이 쓰는 사람 입니다.

인물사진:this.onerror=null;this.src='http://sstatic.naver.com/keypage/image/tx/no_img2.gif'" src="http://sstatic.naver.com/people/142/20061227133703197127202.jpg" width=120>:window.open('/slide/image_view.php?image_id=28882', '', 'scrollbars=yes');">

 

 

:this.src='http://sstatic.naver.com/people/images/noimg80x100.gif'" src="http://imgnews.naver.com/image/thumb100/082/2004/07/03/5699.jpg">

 

인물사진:this.onerror=null;this.src='http://sstatic.naver.com/keypage/image/tx/no_img2.gif'" src="http://sstatic.naver.com/people/6/20061222152616197230522.jpg" width=120>인물사진:this.onerror=null;this.src='http://sstatic.naver.com/keypage/image/tx/no_img2.gif'" src="http://sstatic.naver.com/people/147/20061226154957197127392.jpg" width=12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윤봉길(尹奉吉) : 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

1931년 겨울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1932년 4월 29일 상하이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의 임무를 맡게된다.

윤봉길은 오른손에는 일장기, 왼손에는 물통과 도시락으로 위장한 폭탄을 들고

삼엄한 경계망을 뚫으면서 훙커우 공원 안으로 들어가 폭탄을 던져

많은 일본관리들을 사망시키거나 부상당하게 한뒤,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 받고 1932년 12월 19일, 가나자와 육군형무소에서 총살 당했다.

중국의 대총통 장제스가 조선에 관심을 갖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유관순(柳寬順) : 1902년 11월 17일~1920년 10월 12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5남매 중 둘째딸로 태어났다.

1916년 이화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고,

1919년 서울에서 3·1 운동에 참가한 뒤,

고향으로 내려가 아우내장터에서 독립만세 운동을 지휘했다.

일본 헌병대는 가족을 죽이고 유관순을 체포하였다..

1920년 서대문감옥에서 모진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방광 파열로 인해 사망하였다.

 

안창호(安昌浩) :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

평안남도 강서에서 안흥국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1895년 교육을 통해 나라의 힘을 길러야 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하여 구세학당에 입학하여 서구문물과 접하게 되었다.

1907년 안창호는 대한사람은 실력을 길러야 한다고 역설하는 계몽활동외에도,

1904년 공립협회를 창립하였고

1908년 대성학교평양에 설립하였으며,

1909년 서북학회를 창립하는 등 민족교육활동을 하였다.

1937년 동우회사건으로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으며,

1938년 60세에 병을 앓아 사망하였다.

 

이봉창(李奉昌) : 1900년 8월 10일 ~ 1932년 10월 10일

1931년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일본 천황 히로히토 암살 계획을 세웠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히로히토를 겨냥하여 수류탄 2개를 던졌다.

근위병 1명이 다쳤으나 히로히토는 다치지 않아 거사는 실패했고 그는 그 자리에서 체포되었다.

비밀 재판을 통해 사형 선고를 받고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

 

김좌진(金佐鎭) : 1889년 12월 16일~1930년 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이다.

놀라운 전술과 전략으로 청산리 전투을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피살되었다.

 * 청산리전투 :

   이 전투에서 독립군은 별 피해가 없었으나, 일본군은 약 1000명을 사살한 아주 큰 승리를 하였다.

 

김홍집(金弘集) : 1842년~1896년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1880년 수신사로 일본을 다녀와서,

서양 근대의 기술적 성과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일본의 문물제도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신사유람단의 일본 파견을 상주하게 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때, 정권을 도맡아 여러가지 개혁을 진행햇다.

 

이상설(李相卨) : 1870년 12월 7일~1917년 3월 2일

1907년 고종의 명을 받아 헤이그에 밀사로 파견되었다.

헤이그 특사들의 임무가 실패로 돌아가자,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힘을 썻다.

 

이준(李儁) : 1859년 1월 21일 ~ 1907년 7월 14일

1907년 헤이그에 특사로 파견되어 외교활동중 사망한 구한말의 외교관이다.

그러나 을사조약 체결이 일본에 강제에 의한 것이었음을 폭로하려 했던 계획은

영일동맹으로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던 영국의 방해로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준은 헤이그의 숙소에서 울분을 못 이겨 앓다가 사망하였다.

 

박영효(朴泳孝) : 1861년~1939년 9월 21일

조선 말기 급진 개화파의 주요 인물이다.

1870년대 중반, 형 박영교를 따라 재동 박규수의 사랑방에 드나들면서 개화사상을 익히기 시작하였다

1882년제물포조약에 따른 사과 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

이때 그가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의 원형이 되는 깃발 도안을 처음 그려서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1884년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서재필(徐載弼) : 1864년 1월 4일~1951년 1월 5일

1896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신문인 《독립신문》을 순한글과 영어로 발간하였다.

서재필은 독립신문에서 띄어쓰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독립신문을 통해 서재필은 독립된 나라를 만들기 위하여

내부적으로는 교육 확대 및 산업 발전을 강조하였고,

그를 위해 의무 교육 도입, 서양 과학 기술의 도입,

식생활과 위생의 개선에 대한 여러 가지 안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외부적으로는 중립외교를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독립신문을 발행하는 일 이외에도, 서재필은 목요일마다 배재학당에 나가 학생들을 가르쳤고,

독립협회를 조직한 뒤, 독립문을 건설했다.

 

민영환(閔泳煥) : 1861년 7월 2일~1905년 11월

1905년 11월 30일 을사조약의 체결을 개탄하며,

'대한 이천만 동포에게 남기는 글'을 국민들에게 유음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홍범도(洪範圖) : 1868년~1943년

1910년 한일 병합 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후 청산리 대첩에서 김좌진을 지원하였다.

 

어윤중(魚允中) : 1848년~1896년

신사유람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청나라·러시아 등과 국경을 정하는 데 노력했다.

1894년 김홍집 내각의 탁지부대신이 되어 온건개화파로서 활약하였다.

 

홍영식(洪英植) : 1855년~1884년

1881년신사유람단의 일행으로 김옥균, 박정양 등과 함께 일본을 시찰했다.

1882년에는 김옥균·박영효·서광범과 함께 국가의 개혁방안을 토론하였다.

1883년 미국의 사신에 대한 답변으로 보빙사가 파견될때 민영익, 서재필 등과 함께 미국에 파견되었다.

1884년 3월 27일 우정총국을 창설하게 되었고, 우정국총판에 임명되었으며,

1884년 개화파 주도로 갑신정변이 단행되었으나 청나라의 주둔으로 실패하였다.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1884년 11월 1일 부친 홍순목과 형 홍만식은 모든 관직에서 삭탈되었다. 11월 1일 부친 홍순목의 명령에 의해 일가 20여명은 독약을 받고 집단 자살하고,

그도 마지막으로 자택 대들보에 목을 매어 자결로 생을 마감하였다.

 

김옥균(金玉均) : 1851년 1월 23일 ~ 1894년 3월 28일

1881년신사유람단의 일행으로 박정양, 홍영식등과 함께 일본을 시찰했고,

일본의 힘을 빌려 국가제도의 개혁을 꾀할 결심을 굳혔다.

1882년 수신사 박영효 일행의 고문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박영효 ·서광범 ·홍영식과 함께 국가의 개혁방안을 토론하였다.

1883년 김옥균은 고종을 설득하여 서재필과 그의 동생 서재창을 비롯한 17명의 청년들을

일본으로 보내 근대식 군사기술을 배워오도록 하였다.

1884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군인 양성을 위한 300만 원의 차관을 교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을 주도하였으며

갑신정변청나라 군대의 개입으로 삼일천하로 끝나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김옥균은 10년간 일본 각지를 방랑한 후

1894년 3월 28일 본국 정부에서 보낸 홍종우에게 권총으로 살해되었다

 

dy vkfkstorwnfdmfzmfflrgkausEma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윤봉길(尹奉吉) : 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

1931년 겨울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1932년 4월 29일 상하이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의 임무를 맡게된다.

윤봉길은 오른손에는 일장기, 왼손에는 물통과 도시락으로 위장한 폭탄을 들고

삼엄한 경계망을 뚫으면서 훙커우 공원 안으로 들어가 폭탄을 던져

많은 일본관리들을 사망시키거나 부상당하게 한뒤,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 받고 1932년 12월 19일, 가나자와 육군형무소에서 총살 당했다.

중국의 대총통 장제스가 조선에 관심을 갖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유관순(柳寬順) : 1902년 11월 17일~1920년 10월 12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5남매 중 둘째딸로 태어났다.

1916년 이화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고,

1919년 서울에서 3·1 운동에 참가한 뒤,

고향으로 내려가 아우내장터에서 독립만세 운동을 지휘했다.

일본 헌병대는 가족을 죽이고 유관순을 체포하였다..

1920년 서대문감옥에서 모진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방광 파열로 인해 사망하였다.

 

안창호(安昌浩) :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

평안남도 강서에서 안흥국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1895년 교육을 통해 나라의 힘을 길러야 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하여 구세학당에 입학하여 서구문물과 접하게 되었다.

1907년 안창호는 대한사람은 실력을 길러야 한다고 역설하는 계몽활동외에도,

1904년 공립협회를 창립하였고

1908년 대성학교평양에 설립하였으며,

1909년 서북학회를 창립하는 등 민족교육활동을 하였다.

1937년 동우회사건으로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으며,

1938년 60세에 병을 앓아 사망하였다.

 

이봉창(李奉昌) : 1900년 8월 10일 ~ 1932년 10월 10일

1931년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일본 천황 히로히토 암살 계획을 세웠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히로히토를 겨냥하여 수류탄 2개를 던졌다.

근위병 1명이 다쳤으나 히로히토는 다치지 않아 거사는 실패했고 그는 그 자리에서 체포되었다.

비밀 재판을 통해 사형 선고를 받고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

 

김좌진(金佐鎭) : 1889년 12월 16일~1930년 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이다.

놀라운 전술과 전략으로 청산리 전투을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었으며,

1930년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피살되었다.

 * 청산리전투 :

   이 전투에서 독립군은 별 피해가 없었으나, 일본군은 약 1000명을 사살한 아주 큰 승리를 하였다.

 

김홍집(金弘集) : 1842년~1896년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1880년 수신사로 일본을 다녀와서,

서양 근대의 기술적 성과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일본의 문물제도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신사유람단의 일본 파견을 상주하게 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때, 정권을 도맡아 여러가지 개혁을 진행햇다.

 

이상설(李相卨) : 1870년 12월 7일~1917년 3월 2일

1907년 고종의 명을 받아 헤이그에 밀사로 파견되었다.

헤이그 특사들의 임무가 실패로 돌아가자,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힘을 썻다.

 

이준(李儁) : 1859년 1월 21일 ~ 1907년 7월 14일

1907년 헤이그에 특사로 파견되어 외교활동중 사망한 구한말의 외교관이다.

그러나 을사조약 체결이 일본에 강제에 의한 것이었음을 폭로하려 했던 계획은

영일동맹으로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던 영국의 방해로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준은 헤이그의 숙소에서 울분을 못 이겨 앓다가 사망하였다.

 

박영효(朴泳孝) : 1861년~1939년 9월 21일

조선 말기 급진 개화파의 주요 인물이다.

1870년대 중반, 형 박영교를 따라 재동 박규수의 사랑방에 드나들면서 개화사상을 익히기 시작하였다

1882년제물포조약에 따른 사과 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

이때 그가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의 원형이 되는 깃발 도안을 처음 그려서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1884년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서재필(徐載弼) : 1864년 1월 4일~1951년 1월 5일

1896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신문인 《독립신문》을 순한글과 영어로 발간하였다.

서재필은 독립신문에서 띄어쓰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독립신문을 통해 서재필은 독립된 나라를 만들기 위하여

내부적으로는 교육 확대 및 산업 발전을 강조하였고,

그를 위해 의무 교육 도입, 서양 과학 기술의 도입,

식생활과 위생의 개선에 대한 여러 가지 안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외부적으로는 중립외교를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독립신문을 발행하는 일 이외에도, 서재필은 목요일마다 배재학당에 나가 학생들을 가르쳤고,

독립협회를 조직한 뒤, 독립문을 건설했다.

 

민영환(閔泳煥) : 1861년 7월 2일~1905년 11월

1905년 11월 30일 을사조약의 체결을 개탄하며,

'대한 이천만 동포에게 남기는 글'을 국민들에게 유음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홍범도(洪範圖) : 1868년~1943년

1910년 한일 병합 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후 청산리 대첩에서 김좌진을 지원하였다.

 

어윤중(魚允中) : 1848년~1896년

신사유람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청나라·러시아 등과 국경을 정하는 데 노력했다.

1894년 김홍집 내각의 탁지부대신이 되어 온건개화파로서 활약하였다.

 

홍영식(洪英植) : 1855년~1884년

1881년신사유람단의 일행으로 김옥균, 박정양 등과 함께 일본을 시찰했다.

1882년에는 김옥균·박영효·서광범과 함께 국가의 개혁방안을 토론하였다.

1883년 미국의 사신에 대한 답변으로 보빙사가 파견될때 민영익, 서재필 등과 함께 미국에 파견되었다.

1884년 3월 27일 우정총국을 창설하게 되었고, 우정국총판에 임명되었으며,

1884년 개화파 주도로 갑신정변이 단행되었으나 청나라의 주둔으로 실패하였다.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1884년 11월 1일 부친 홍순목과 형 홍만식은 모든 관직에서 삭탈되었다. 11월 1일 부친 홍순목의 명령에 의해 일가 20여명은 독약을 받고 집단 자살하고,

그도 마지막으로 자택 대들보에 목을 매어 자결로 생을 마감하였다.

 

김옥균(金玉均) : 1851년 1월 23일 ~ 1894년 3월 28일

1881년신사유람단의 일행으로 박정양, 홍영식등과 함께 일본을 시찰했고,

일본의 힘을 빌려 국가제도의 개혁을 꾀할 결심을 굳혔다.

1882년 수신사 박영효 일행의 고문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박영효 ·서광범 ·홍영식과 함께 국가의 개혁방안을 토론하였다.

1883년 김옥균은 고종을 설득하여 서재필과 그의 동생 서재창을 비롯한 17명의 청년들을

일본으로 보내 근대식 군사기술을 배워오도록 하였다.

1884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군인 양성을 위한 300만 원의 차관을 교섭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을 주도하였으며

갑신정변청나라 군대의 개입으로 삼일천하로 끝나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김옥균은 10년간 일본 각지를 방랑한 후

1894년 3월 28일 본국 정부에서 보낸 홍종우에게 권총으로 살해되었다

 

답변확정해주세요.

우리나라 위인 10명

계속올린곤하지만 이내용이없내요 이번엔 우리나라 위인 10명만 좀 가리켜주세요 예)이ㅇㅇ 이ㅇㅇ은 글을 짓고 엏떻게됐다 이건 예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10명 부탁!!!!!...

우리나라위인10명조사

... 우리나라위인10명 조사중에서도 꼭 해야하는건요, 인물사진과 업적은 꼭 있어야 해요,,그럼 꼭!꼭! 부탁드릴께요!!ㅋ 알려드리죠.사진이 없는 것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위인10명조사용~!

우리나라위인 10명 을 조사해야됩니다 ㅠ.ㅠ 하지만 제가 역사에는 지식이 없어서용 ㅠ 제발 우리나라위인 10명이 한일,사진,이름이렇게 세가지 써주 시면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위인 10명의 업적

방학숙제로 내야 하는 우리나라 위인 10명의 업적에 대하여 정리 한 것좀요... 질문자님께 과장되지 않은 현실적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Question : 우리나라 위인 10명의 업적...

우리나라 위인 10명 이상

제가 방학숙제로 해갈려하는데 과제 이름이 우리나라 위인 10명이상 조사해보기여서 위인 10명이상 사진,이름,그 위인에 대한것 자세히 부탁드려요 우리나라의 역사인물...

우리나라 위인 10명

저희 학교 방학숙제로 우리나라 위인 10명이상 조사하기가 숙제인데... 위인들의 이름과 사진, 그리고 업적에 대해 짧게 적어주세요~~^^ (우리나라의 위인) 1.한용운 (1879.8.29...

우리나라 위인 10명 정도 조사좀

제가요 급해서 그런데요 되도록 이면 빨리 8월 되기 전까지면 감사 감사 어쨌든 우리나라위인 10명 정도 골라서 조사좀 해주삼~~~ 예를 들어 유관순, 세종대왕 , 이순신등등...

우리나라 위인10명

우리나라 위인 10명 좀 조사해서 올려주세요. 부탁 드립니다. 제가 직접 정리한 우리나라의 위인 35분을 올려드리니 10분을 적어가세요. (우리나라의 위인) 1.한용운 (1879.8.29...

우리나라 위인 10명 이상 조사하기

제가 여름방학 숙제 선택과제로 우리나라 위인 10명이상 조사하기가 있거든여 그래서 다른것 보다 더 나을거 같아서 그거 선택했는데... 부탁드려여ㅠㅠ 10명이상...

우리나라 위인 10명에 대해

... 제가 방학숙제로 우리나라 위인 10명이상 조사해서 업적을 정리해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서 지식in에 올립니다. 그냥 우리나라 위인 10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