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숙제인데...

사회 숙제인데...

작성일 2006.10.31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옛날과 오늘날의 결혼식 이것에 대하여 조사해야 되요

 

                   제발 답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통사회에서 관혼상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거치는 커다란 의례입니다. 출산의례에 관한 것도 있지만 흔히 관혼상제를 가장 크게 여겼죠. 여기서 자세한 절차보다는 보다 알기 쉽게 과거와 현재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언급합니다. 절차를 설명하면 무지하게 길어지거든요. 절차는 따로 인터넷에서 관혼상제를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볼 수 있을 겁니다. 직접 찾아보세요.

관례

과거
관례(성인식)는 과거에 남녀 12세에서 18세 사이에 행해지며 그 의미는 하나의 성인으로 비로소 한 사회(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그에 맞는 책임과 의무를 지워준다는 것이죠, 대부분 양반가문에서 치뤄지는 중요한 절차입니다.남자는 길게 늘어뜨려진 머리를 올려주고 갓을 씌우는 것이 주된 절차고, 여자는 머리에 비녀를 꽂는 것이죠.

현재
요즘 이러한 관례는 거의 사라졌죠. 청학동 같은 전통마을에서나 볼수 있읍니다. 요즘 성인식도 정부에서는 매년 5월세번째주 월요일을 성인의날로 정하고 의식을 거행하지만 극히 일부입니다.
제 의견으로는 사회에서 흔히 성인으로 취급해주는 시기가 고등학교 졸업이후라고 볼때 고등학교 졸업식이 성인식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졸업식이 끝나는 것은 어린 학생의 신분을 벗고 하나의 사회 일원으로 받아주기 때문이죠. 대학생도 성인으로 취급을 받죠.


혼례

과거
혼례의 절차를 큰대목만 나열하면 의혼(議婚),납채(納寀),연길(涓吉),납폐(納幣),친영(親迎),전안례(奠雁禮),교배례와 근배례,상수와 사돈지,우귀와 현구례 등으로 볼수 있어요,
과거의 혼례는 가문과 가문을 하나의 친척으로 인연을 맺는 것이므로 상당히 신경을 썼죠. 상대의 가문을 봐야하고, 당사자들의 사주도 봐야합니다. 궁합말이에요. 이런 일들은 당사자나 가족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중매쟁이가 대신 양쪽을 오가며 일을 주선합니다. 당연히 중매결혼이죠.
그래서 양가에서 언약을 하면 날짜를 잡고 절차에 따라 치뤄지죠. 요즘처럼 신혼여행은 없읍니다. 여자의 집에서 식이 거행됩니다. 옃일을 신부집에서 머물다 신랑집으로 향하게 되면 여자는 거의 시댁에서 산다고 봐야죠. 친정나들이는 일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합니다. 친정을 자주 만나는 것은 여자의 행실에 관한 문제이므로 쉽지가 않았죠.

현재
현대헤서는 연애 결혼이 많죠,과거에는 중매가 대부분이었기에 사주와궁합은 중요했읍니다. 론레의 장소나 날짜도 많이 변햇죠. 현대에서 찾아볼수 있는 과거의 흔적은 함보내기(사주와 한복과 금품 등의 선물상자)와 폐백이 있겠네요. 페백은 결혼식을 마치고 부부가 된 신랑신부가 정식으로 시댁식구들과 인사하는 자리이죠, 하지만 이것도 식장에서 간소하게 치뤄지죠,
과거에는 신혼 첫날밤 신랑메달기라는 풍습이 있었읍니다. 발바닥을 때리는 행사죠. 신부의 동네의 총각들이 주동이 되서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찾아보기 힘들고 하더라도 신혼 집들이 때나 간혼 행하죠. 결혼식이 끝나자마자 신혼여앵을 떠나니까요.
그 대신 다른 풍습이 생겨났죠. 신혼여행을 가기전에 신랑신부의 친구들에 의해 짖궂은 장난을 감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차에 줄로 신랑허리를 묶고 시내를 한바퀴 돌죠. 아마 보셨을 겁니다. 아니면 신랑신부친구들을 위한 피로연 자리에서 친구들이 좀 짖궂게 합니다. 주위 결혼한 분들께 물어보세요.



상례

과거
상례의 절차는 대략 이렇습니다.
초종(初終), 수시(收屍), 고복(皐復),부고(訃告),소렴(小殮), 대렴(大殮). 입관(入棺), 발인(發靷), 출상(出喪), 도중정상(道中停喪),영악(靈幄), 설전(設奠), 조문(弔問), 산신제(山神祭), 하관(下棺), 성분(成墳), 반혼(返魂) 등입니다.
참으로 복잡합니다. 기간도 5일장, 7일장 등 요즘보다는 길죠.
사람이 일생을 살다가 마지막으로 행해지는 의례죠. 그러다 보니 엄숙하고 보다더 예의를 갖춰 질서정연하게 일을 처리해야 합니다. 한 가문의 어른신이 작고한 일이라 일가친척은 물론 다른 문중에서도 참가하므로 가문의 예절과 품위, 수준을 알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므로 한치의 착오도 없어야하죠. 그래서 착오가 없도록 미리 준비를 단단히 해 놓습니다.
이렇듯 예의를 중시하다보니 재밌는 것이 곡(哭)이라는 겁니다. 울면서 소리내는 거죠. 상 당한 집에서는 곡이 끊이지 않아야 합니다. 고인에 대한 슬픔의 표현이죠. 긴 상레를 치루는 동안 계속 울기란 힘듭니다. 그래서 배에서 우러나오는 힘을 성대에서 울리게 하여 곡을 하죠. 체력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요즘은 문상객이 찾아와서 영정앞에서 절하고 가족들과 맞절할때만 합니다.

현재
과거보다는 절차가 많이 줄엇죠. 기간도 3일장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과거에 부고(상을 알리는 행위)를 직접 인편으로 부고장을 써서 일일히 알렸지만 요즘은 전화로 합니다. 유명인사는 신문 같은 곳에 부고를 내기도 하고요.
염과 습은 같이 행하죠. 입관하기 전에 고인의 몸을 깨끗이 씻는 겁니다. 3일째 되는 날 발인을 합니다. 위의 절차 중에 출상부너 반혼까지 거의 생략되고 있다하더라고 아주 간략하게 치뤄집니다. 반나절만에 끝나는 경우가 많죠.

제례

과거
절차는 이렇습니다.
분향,.강신(降神),참신(參神),초헌(初獻),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첨작(添酌). 계반삽시(啓飯揷匙),합문(闔門),계문(啓門),헌다(獻茶),철시복반(撤匙復飯),사신(辭神),철상(撤床),음복(飮福) 순으로 이뤄집니다.
이 제례는 지방마다 가문마다 조금씩 그 절차가 다릅니다. 그래서 딱히 모번적인 답안이 없죠. 가문의 전통대로 지내면 되는 것이죠.
제수(제사음식)는 직접 골라서 정성껏 장만해야하며, 금기해야하는 것도 있죠. 제수준비 과정에서 부정타는 언행이나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제관(제사를 주도하는 가장) 역시 몇일 전부터 목교재계하고 몸과 마음을 청결히하며, 부정한 것을 금해야 합니다. 부부관계조차 맺으면 안됩니다. 조상에게 드리는 의레이니만큼 신경을 써야죠.
제사를 들이는 동안에도 잡담은 삼가하고 엄숙하게 지내야 하죠. 절차중에 강신, 합문, 계문이라는 의례가 있는데 이는 조상신을 초대하고 차린 음식을 드시게끔 참가자들이 방 밖에 나가 있는 의식입니다. 대략 30분에서 한 시간 정도 시간을 드렸다하네요. 이것만 보아도 형식으로 치루는 현대하고는 다르죠..

현대
그래도 제례의 절차는 많이 남아 있읍니다. 제례를 지낼때 한번 꼼꼼히 살펴보세요. 위의 절차들과 크게 바뀌지는 않습니다. 물론 합문, 계문 등은 없어졌지만 말이죠.
무엇보다 크게 변하고 있는 것은 시간의 단축이죠.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아요. 또 제수는 에전처럼 그렇게 번거롭게 안합니다. 금기사항도 거의 없어졌구요. 지방대신 영정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구요.
어떤 이들은 명절의 차례를 관광지에서 제수세트를 구입해서 치루는 사람들도 있읍니다. 예전에는 생각도 못했던 일들이 벌어지죠.



이렇듯 관혼상제가 변하는 것은 우리가 전통을 어려워하고 싫어한다기 보가는 사회의 생활양식과 패턴이 바뀌었기 때문이죠. 현대사회에서는 정말 시간을 내는 것이 힘듭니다. 그만큼 현대인들이 바쁘게 살고 있고, 의례를 길게 치루는 것은 초대받은 사람들에게 미안한 일이죠. 그렇다 보니 시간이 단축되고 의례가 간소화되는 겁니다. 그것이 또 서로에게 편리하구요. 아무래도 의례라는 것이 그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다보니 그 변화는 어쩔수 없는 겁니다.

 

 

또 ,,, 허졉한것

결혼식의  옷차림

신랑: 사모관대, 목화 

신부: 족두리, 원삼, 운혜

신랑 : 턱시도(양복)

신부 : 드레스

 결혼식 장소

ㆍ신부집

ㆍ예식장, 야외, 교회, 성당 등

 결혼식 후 하는 일

신부집에서 사흘밤을 보냄

신혼 여행을 감

 축하해 주는 사람

많은 사람들

ㆍ많은 사람들

음식의 준비와 대접

ㆍ이웃끼리 준비하여 마당에서 대접

ㆍ전문 음식점에 맡겨 손님 대접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

ㆍ일생의 중요한 일로 여김

ㆍ일생의 중요한 일로 여김

 

한번해봣어요,, 정말 촌시렵네... ㅈㅅ,... 답변확정 해주세요 ...ㄳ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몇학년인지는 모르겠지만(3학년 일 수는 있겠지만.....), 전과에 찾아 보세요. 찾아보면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옛날과 오늘날의 혼례의 비교





▶옛날과 오늘날 결혼식의 같은점 :

결혼하였음을 많은 사람들이 인정해 주고, 가족을 비롯하여 친척, 이웃들이 축하해 줌.

▶옛날과 오늘날 결혼식의 다른점

① 장 소 : 옛날에는 신부 집이었으나 오늘날은 결혼식장에서 함.
② 절 차 : 옛날에는 절차가 복잡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간편함.
③ 결혼복 : 옛날에는 한복을 입었으나 오늘날에는 양복이나 드레스를 입음.
④ 절 차 : 옛날에는 결혼식이 끝나고 나서 신랑이 신부 집에서 며칠 지내고 돌아갔으나
오늘날은 결혼식이 끝나면 대부분의 신랑 신부는 신혼여행을 떠남.

집안끼리 정하거나 맞선을 본 후 합의가 이루어지면, 사주, 택일의 과정을 거쳐 전안과 초례로 이어지는 대례 의식을 거행한다. 그리고 후례를 마쳐야 결혼식이 사실상 끝나는 것이다.
결혼식은 신부집에서 거행되며 혼인날 신랑은 대례를 올리기 위해 신부집으로 가는데 이것을 초행이라 한다. 초행 전날 신랑은 조상의 묘당에 인사를 드리거나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이것은 지방에 따라 풍습이 다르며 이런 의식을 전혀 안하는 고장도 있다.
신랑이 신부집에 도착하면 정중히 맞아들여 함을 받고 대례를 놀릴 준비를 한다. 이어 신랑이 나무기러기를 들고 초롱을 든
하인의 안내로 읍을 3번 하면서 초례청에 들어간다. 이것을 전안례라 한다. 그리고 대례가 진행되는데 대례는 교배례와 합근례의 순으로 진행된다. 대례날 저녁에 신부집에 신방을 꾸미고 첫날밤을 보낸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페백이란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시댁으로 온 신부가 처음뵙는
시부모와 시댁 식구들에게 인사를 올리는 혼례의 한 부분입니다.
옛날에는 신부의 우귀, 즉 요즘말로 신행을 하여 신랑집에서 첫날밤을 자고 
그 이튿날 아침 일찍 시부모님께 처음으로 큰절을 올렸습니다.
신랑의 직계 존속에게는 사배를 행하고, 나머지 친적들에게는 한번씩 절하는데
이를 현구례라 합니다. 신부는 이 에를 올리기 위해 시부모님께 드릴 음식을 가져가고
이를 폐백이라 했습니다. 이 절차가 끝나면 우귀 행사를 마치게 됨으로 신부는
신랑의 가족으로서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폐백에는 대추와 꿩을 썻는데 대추는 시아버지께, 꿩은 시어머니께 드리는 것입니다.
시아버지만 계시면 대추만, 시어머니만 계시면 꿩만 씁니다.
시부모가 안계시면 폐백은 드리지 않으며 근래에는 예식장의 폐백실을 많이
이용합니다. 
폐백음식은 각 지방마다 조금씩 다른 점이 있기는 하나 밤, 대추 고임, 닭이나 육포
구절판을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신부 집에서 보낸 음식으로 상 차리기 *



보통 신랑 집 대청 마루에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깔아 신부 집에서 보낸 음식으로 상을 차립니다. 요즘은 주로 예식장의 폐백실에서 간단하게 치루지요. 폐백은 신부가 어떤 가문에서 자라 결혼하는가를 시댁에 선보이는 첫 인사이므로 많은 신경이 쓰입니다.







절을 할때는 수모가 옆에서 거들어 주므로 수모의 부축에 따라 움직이면 됩니다.
두손을 항상 수모의 부축에 따라 수평으로 한 채 있어야 합니다.
수모가 먼저 앉은 다음 신부가 앉으면서 큰절을 올리고 앉을때는 무릎을 꿇고
앉고 절을 할때는 너무 깊이 숙이지 않습니다.
일어설때는 신부가 먼저 일어나고 수모가 신부를 부축하여 일어섭니다.
절은 4배 올리고 다시 반절을 합니다. 남자는 손의 위치가 여자와는 정반대입니다.
즉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맞잡은 두손을 배꼭 위에 놓고
왼쪽 무릎부터 꿇고 완전히 꿇은 상태에서 손을 바닥에 짚고

머리는 등과 수평이 되게 합니다.
일어날때는 왼쪽 무릎, 오른쪽 무릎 순으로 일어나고 손은 그대로 내립니다.
일어나서 몸을 약간 숙인뒤 꿇어 앉습니다.







1.수모가 신부를 대신해서 먼저 시아버지에게 페백을 올립니다.



2.페백을 받고 난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덕담을 해주고 근봉을 풉니다.



3.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어머니에게 육포가 들어 있는 폐백을 드립니다.



4.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시어머니에게 폐백을 올립니다.



5.며느리의 허물을 덮어 준다는 뜻으로 페백을 어루만집니다.



6.수모의 도움을 받아 육포를 들어 올립니다.



7.시아버지는 자손의 건강을 기원하는 대추를, 시어머니는 쇠고기에 양념을 해 발린
육포를 페백으로 받습니다.



8.시부모에게 술을 올리기 전에 수모는 안주를 시어머니에게 올립니다.



9.신부가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부모에게 술잔을 올리기 전에 절을 올립니다.



10.신부는 수모의 부축을 받아 4번 절을 올립니다.



11.절을 마치고 난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부모에게 술을 따라 올립니다.



12.수모가 시아버지에게 술잔을 권합니다.



13.시어머니에게도 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술을 드립니다.



14.시부모는 며느리가 준 술잔을 받아 마십니다.



15.술을 한 모금 마시고 난 시부모에게 안주를 권합니다.



16.시아버지가 덕담을 해 주면서 아들을 낳아 가계를 잘 계승하라는 의미로며느리의 치마폭에 대추를 던져줍니다.



요즘에는 예식장 폐백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아 절차가 많이 간단해졌습니다.절은 시조부모님이 계셔도 시부모님께 먼저 다음 집안의 촌수와 항렬에 따라
차례로 인사를 드립니다. 같은 항렬인 시누이, 시숙, 시동생과는
서로 맞절을 하는 것이 올바른 예법입니다.
요즘은 신부에게 절 값을 주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는 데, 이것은 두둑한 신혼여행 경비의 밑천이 되기도 하지요.



다산의 의미로 대추를, 봉양의 의미로 포를, 시아버지께 올리는 대추고임은 튼튼한 자손을 생산해 대를 잇고 집안을 번창시키겠다는 약속입니다.
시어머니께 올린 육포는 정성껏 잘 봉양하겠다는 뜻이지요. 은행을 꽂는데 사용한 솔가지에도 나름의 의미가 담겨져 있어요. 늘 푸는 소나무처럼 언제나 꿋꿋하게 살아가겠다는 각오의 표현이지요.



건구절판, 전구절판, 한과구절판도 함께그리고 시아버지의 술안주로
건구절판, 전구절판, 한과구절판을 함께 준비합니다.
폐백의 기본 음식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지역에서는 며느리가 시어머니께 '엿 고임'을 올립니다. '엿'을 전하는 의미로 '입을 봉하시고
시집살이를 호되게 시키지 마세요' 라는 며느리의 애교가 담겨 있지요. 어찌 보면 은근한 야유처럼 들리기도 하네요.

중3 사회 숙제

중3 사회 숙제인데 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 재판소 학생과 관련된 법 만들라는데 법율 설명과 법율 내용 제안이유 예상효과 쓰는게 숙제 인데 도와주실수있나요… 중3 사회...

중3 사회 숙제

중3 사회 숙제인데 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 재판소 학생과 관련된 법 만들라는데 법율 설명과 법율 내용 제안이유 예상효과 쓰는게 숙제 인데 도와주실수있나요… 중3 사회...

6학년사회 숙제

6학년 사회 숙제인데 일본 역사 왜곡문제 간단하게 서론 본론 이런식으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10 10분까지 답없으면 질삭하겠습니다. 숙제만...

중1사회숙제

사회숙제로 일본기후에서나타나는 주민생활모습을 (음식,주거,축제,산업,농업 등)중에서 3가지를 구체적으로 적어야하는데 알려주실 착한분찾아요 ㅠㅠ 안녕하세요, 작성자님....

사회 숙제인데요ㅜㅜ도와주세요

학교에서 사회 숙제로 우리나라와 이웃나라가 서로 협력하거나 교류한 사례를 조사하는데 저는 일본 문화로 선택했는데 일본 문화로부처 교류한것이 무엇인지..알려주세요.....

중2 사회 숙제인데 한국에 사형제도가

중2 사회 숙제인데 한국에 사형제도가 없다치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어떻게 처벌해야 할까요ㅠㅠ? 예를 들면 신상정보 공개라던지… 안녕하세요 채택률이 낮으면...

사회 숙제인데(내공200)

사회 숙제인데 소개하고 싶은 우리나라 지형 하나만 추천해주시고 (사진도 같이요) 그리고 그 지형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릴게요 해안지형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사회 숙제인데 도와주세요

학교 숙제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세계시민으로서 실천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 사회적 영향: 지속가능한 실천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사회 숙제

사회 숙제인데 급해요 ㅠㅠ 초성인데 1 2 3 4 순으로 써주세요 광개토대왕릉비 호우명 그릇 진흥왕 순수비 철재갑옷 투구 입니당 도움 되었길 바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