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련해서 질문입니다

역사관련해서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0.06.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숙젠데염...될 수 있으면 정확하고 빨리 시대를 구별해서 해주세요!!

1.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사건과 발전과정을 연표로~

2. 왕건과 이성계의 업적에서 공통점과 차이점

부탁이예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사건과 발전과정을 연표로~


[기원전]

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단구 제3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
6000년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유적 하층 형성.
5000년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
4000년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1기 및 제2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
3500년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3˙4˙5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층 두도기 형성.
3000년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6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3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
2333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년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3˙4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년 부산 동삼동유적 5층 영도기 형성.
1300년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3기 유적 등 형성.
1200년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년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년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년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년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 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 주거지유적 형성.
700년 논산 신기리 고인돌유적, 단양 안동리 석관묘유적, 부여 송국리 선사취락지유적, 제천 양평리 유적(청동기주거지) 등 형성.

철기문화 시작.

600년 요령 정가와자유적, 파주 덕은리주거지유적, 회령 오동유적 등 형성.
500년 요령 윤가촌유적 하층 1기문화 형성.
강계 풍룡동 분묘유적, 고흥 운대리 지석묘유적, 광주 송암동 주거지유적, 남제주 삼모리 조개더미유적, 밀양 월산리 고분군유적 등 형성.
450년 송화강 상류 일대에 부여(扶餘) 성립.
403년 진국(辰國) 성립.
400년 철기문화 들어옴. 진국의 이주민이 서부 일본에 진출.
350년 신평 선암리 유적, 진양 대평리 유적 형성.
310년 승주 오봉리 고인돌유적, 제주 오라동 지석묘 등 형성.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 유역에 철기문화 널리 시작. 한문자(漢文字) 전래.
원3국시대 시작.

221년 진(秦)의 중국통일로 회하(淮河) 방면에서 동이(東夷)의 활동이 중단.
조선후(朝鮮侯) 조선왕을 칭함. 연(燕)의 진개(秦 開)가 조선의 서방을 침공하여 2,000여 리를 강점.
214년 조선왕 부(否) 즉위. 진의 장성공사가 요동에 이름.
209년 조선의 준왕(準王)에게 연(燕)˙제(齊)의 수만 호(戶)가 피난옴.
203년 맥족(貊族)의 기병이 한(漢)을 도와 초(楚)를 공격.
202년 기자조선이 패수(浿水)를 한과의 경계로 삼음.
200년 해모수(解慕漱)설화˙금와(金蛙)설화 성립.

195년 기자조선에 요동의 위만(衛滿)이 망명해 옴. 준왕(準王)이 박사(博士)를 삼고 서계(西界)를 지키게 함.
194년 위만이 왕검성을 공략, 위만조선을 건국. 기자조선의 준왕이 남하하여 한왕(韓王)이 됨.
190년 위만왕이 진번(眞番)˙임둔(臨屯)을 복속시킴.
175년 함흥 이화동 유적의 토광묘˙동검(銅劍)˙철기의 문화 형성.
149년 서홍 문무리 유적의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관계형성.
128년 예군(濊君) 남려(南閭)가 호구(戶口) 28만을 데리고 한(漢)의 요동군에 귀부(歸附). 그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126년 창해군 폐지.
125년 황주 금석리유적의 동기(銅器)˙철기˙목곽묘 문화의 형성.
108년 위씨조선(衛氏朝鮮) 멸망.
한(漢)의 고조(高祖) 조선을 침공, 위만의 고조선을 멸하고 낙랑(樂浪)˙임둔(臨屯)˙진번(眞 番)˙현토(玄唾)의 4개군을 설치.
107년 금속문화 전래.

99년 와질토기 제작 시작.
82년 고구려족이 임둔˙진번군을 축출. 한이 낙랑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남부도위를 설치.
75년 고구려족이 현토군을 공격하여 서북쪽으로 축출.
69년 신라에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
59년 해모수(解慕漱)가 북부여(北夫餘)를 건국.
58년 동부여(東夫餘)에서 주몽(朱蒙) 탄생.
57년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칭함.
50년 신라, 왜구(倭寇)를 격퇴.
37년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京城)을 쌓고 금성(金城)이라 칭함.
28년 고구려, 부위염(扶尉..)˙북옥저를 병합.
27년 신라, 천일창(天日槍)이 왜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19년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琉璃王) 즉위.
신라, 석탈해(昔脫解) 탄생.
18년 온조(溫祚)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백제국(百濟國) 건국(~후660).
5년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기원 후]

3년 고구려, 졸본(卒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년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즉위.
8년 백제, 마한(馬韓)을 멸하고 병합.
14년 고구려, 양맥(梁貊)을 멸하고, 한(漢)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여 척으로 왜구 격퇴.
15년 백제, 봄~여름에 대기근 발생.
18년 백제, 탕정성(湯井城)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축조.
고구려, 유리왕 죽고(?~), 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
22년 고구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부여, 대소왕의 동생을 옹립하여 갈사국(曷思國)을 건국.
24년 신라, 남해차차웅 죽고(?~), 유리이사금(瑠璃尼師今) 즉위.
26년 고구려,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7년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년 백제, 온조왕 죽고(?~), 다루왕(多婁王) 즉위.
37년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2년 변진구야(弁辰狗耶)의 9간(九干)이 수로(首露)를 추대하여 금관가야(金官伽倻)를 건국.
신라, 이서국(伊西國)을 병합.
44년 고구려, 대무신왕 죽고(4~), 민중왕(閔中王) 즉위(?~48).
48년 고구려, 민중왕 죽고(?~), 모본왕(慕本王) 즉위(?~53).
49년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53년 고구려, 모본왕이 살해되고(?~), 태조왕(太祖王)이 즉위(~145).
57년 신라, 유리이사금 죽고(?~), 탈해이사금 즉위.
65년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년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백제, 다루왕 죽고(?~), 기루왕(己婁王) 즉위(?~128).
80년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년 고구려, 한의 요동 6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08년 신라, 비지국(比只國)˙초인국(草人國)˙다벌국(多伐國)을 병합.
111년 고구려, 예맥과 함께 현도를 공격.
112년 신라, 파사이사금 죽고(?~),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즉위(?~134).
128년 백제, 기루왕 죽고(?~), 개루왕(蓋婁王) 즉위(?~165).
132년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34년 신라, 지마이사금 죽고(?~),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즉위(~154).
146년 고구려, 태조왕이 아우 차대왕(次大王)에게 선위(禪位).
154년 신라, 일성이사금 죽고(?~),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즉위(~184).
166년 백제, 개루왕 죽고(?~), 초고왕(肖古王) 즉위(~214).
179년 고구려, 신대왕 죽고(?~), 고국천왕(故國川王) 즉위(~197).
184년 신라, 아달라이사금 죽고(?~),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즉위(~196).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196년 신라, 벌휴이사금 죽고(?~),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즉위(~230).
197년 고구려, 고국천왕 죽고(?~), 산상왕(山上王) 즉위(~227).
199년 가야, 수로왕 죽고(42~), 거등왕(居登王) 즉위(~253).

209년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14년 백제, 초고왕 죽고(?~), 구수왕(仇首王) 즉위(~234).
227년 고구려, 산상왕 죽고(?~), 동천왕(東川王) 즉위(~234).
230년 신라, 내해이사금 죽고(?~),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즉위(~247)
234년 백제, 구수왕 죽고(?~), 사반왕(沙伴王)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되고 고이왕(古爾王)이 즉위(~286).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247년 신라, 조분이사금 죽고(?~),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즉위(~262).
248년 고구려, 동천왕 죽고(209~), 중천왕 즉위(~270).
261년 신라, 첨해이사금 죽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즉위(~284).
270년 고구려, 중천왕 죽고(224~), 서천왕(西川王) 즉위(~292).
284년 신라, 미추이사금 죽고(?~),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즉위(~298).
286년 백제, 고이왕 죽고(?~), 책계왕(責稽王) 즉위(~298).
292년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298년 백제, 책계왕 죽고(?~), 분서왕(汾西王) 즉위(~304).
신라, 유례이사금 죽고(?~),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즉위.
300년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봉상왕 자살(?~).

307년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10년 신라, 기림이사금 죽고(?~),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즉위(~356).
331년 고구려, 미천왕 죽고(?~), 고국원왕(故國原王) 즉위(~371).
342년 고구려, 전연(前燕)의 모용황이 침공, 환도성 함락.
344년 백제 비류왕 죽고(?~), 계왕(契王) 즉위(~346).
346년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56년 신라, 흘해이사금 죽고(?~), 내물마립간(柰勿麻立干) 즉위(~402).
371년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근초고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75년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84년 백제, 근구수왕 죽고(?~), 침류왕(枕流王) 즉위(~385).
385년 백제, 침류왕 죽고(?~), 진사왕(辰斯王) 즉위(~392).
391년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392년 백제, 진사왕 죽고(?~), 아신왕(阿辛王) 즉위(~405).
400년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02년 신라, 내물마립간 죽고(?~),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즉위(~417).
405년 백제, 아신왕 죽고(?~), 전지왕 즉위(~420).
407년 가야, 이시품왕 죽고(?~), 좌지왕(坐知王) 즉위(~421).
413년 고구려, 광개토왕 죽고(374~), 장수왕(長壽王) 즉위(~492).
414년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17년 신라, 눌지(訥祗)가 실성마립간을 죽이고(?~) 즉위(~458).
420년 백제, 전지왕 죽고(?~), 구이신왕(久爾辛王) 즉위(~427).
427년 백제, 구이신왕 죽고(?~), 비유왕(毗有王) 즉위(~455).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55년 백제, 비유왕 죽고(?~), 개로왕(蓋鹵王) 즉위(~475).
458년 신라, 눌지마립간 죽고(?~),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즉위(~479).
고구려의 묵호자(墨胡子)가 불교 전파.
475년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백제,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77년 백제, 해구(解仇)가 문주왕을 살해(?~), 삼근왕(三斤王) 즉위(~479).
479년 신라, 자비마립간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즉위(~500).
백제, 삼근왕 죽고(?~), 동성왕(東城王) 즉위(~501).
491년 고구려, 장수왕 죽음(394~).
492년 고구려, 문자명왕(文咨明王) 즉위(~514)..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0년 신라, 소지마립간 죽고(?~), 지증왕(智證王) 즉위(~514).

501년 백제,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년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년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14년 신라,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519년 고구려, 문자명왕 죽고(?~), 안장왕(安藏王) 즉위(~531).
520년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1년 가야, 겸지왕 죽고(?~), 구형왕(仇衡王) 즉위(~532).
523년 백제, 무령왕 죽고(462~), 성왕(聖王) 즉위(~554).
527년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1년 고구려, 안장왕 죽고(?~), 안원왕(安原王) 즉위(~545).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년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년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40년 신라, 법흥왕 죽고(?~), 진흥왕(眞興王) 즉위(~576).
545년 고구려, 안원왕 죽고(?~), 양원왕(陽原王) 즉위(~559).
551년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2년 백제, 불상과 경론(經論)을 왜에 보냄.
553년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4년 백제, 성왕 죽고(?~), 위덕왕(威德王) 즉위(~598).
555년 신라왕, 북한산 신라진흥왕 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59년 고구려, 양원왕 죽고(?~), 평원왕 즉위(~590).
561년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년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568년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76년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진흥왕 죽고(534~), 진지왕(眞智王) 즉위(~579).
579년 신라, 진지왕 죽고(?~), 진평왕(眞平王) 즉위(~584).
584년 신라, 건복(建福)으로 개원(改元).
586년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0년 고구려, 평원왕 죽고(?~), 영양왕 즉위(~618).
598년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백제, 위덕왕 죽고(525~). 혜왕(惠王) 즉위(~599).
599년 백제, 혜왕 죽고(?~), 법왕(法王) 즉위(~600).
600년 백제, 법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641).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만듦.

602년 백제, 승려 관근(觀勤)이 왜에 천문˙지리˙역서˙방술서 등을 전함.
612년 수나라의 제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년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2차 공격).
618년 고구려, 영양왕 죽고(?~), 영류왕(榮留王) 즉위(~642).
632년 신라, 진평왕 죽고(?~),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647).
634년 신라, 인평(仁平)으로 개원(改元).
641년 백제, 무왕 죽고(?~), 의자왕(義慈王) 즉위(~660).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 제협공을 요청.
654년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02년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년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년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년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년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년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년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년 신라, 원성왕 `죽음(?~).
799년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800년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ꡐ공식(公式) 20여조(條)ꡑ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년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년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년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년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년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년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년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년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871년 발해, 대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년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6년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년 신라,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년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E) 즉위(~906).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2. 왕건과 이성계의 업적에서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일단은  고려와 조선이라는 나라를 건국한점과 두왕이죽거나 죽기전 형제들간에 왕위쟁탈전이 심했다는점.

태조왕건은 죽은뒤 혜종이 일찍죽자 그의동생인 정종요가 왕위에 올랐지만 동생인 광종소에게 왕위를

창탈 당한점

태조이성계는 재위기간중 왕자의난이 일어나 왕자들이 많이 죽었고 결국 이방원이 왕이됨

두 인물의 차이점

태조왕건은 정치보다는 전쟁에 나와있는기간이 많았기때문에 태자무에게 정치를 맡겼다

태조이성계는 고려 왕족들을 죽이거나 유배를 보내 왕위를 차지하여 정치를 몰라 왕비인 강씨가 정치를

대신 하였다.

 

역사 관련 질문

역사 관련 드라마를 보면 전쟁이나면 화살도 쏘고 칼싸움도 하고 성이 침략당하지 않게 죽이고 하는 장면들을 볼 수가 있는데 실제로도 그렇게 했을까요? 뭐 물론 노량해전...

역사 관련 질문이요!

... 않았을텐데 역사가들은 어떻게 이런 법이 있었는지 알 수 있었던 건가요? 그 당시 고조선 사람들이 쓰던 문자? 언어? 를 직접 해석한 건가요? 고조선의 관련된 중국 24사 한자...

역사 관련 직업

... 하지만 현재 관련 학과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한 상태인지라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이 외 역사 관련 직업들도 추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준비는 공부 열심히...

방학 역사관련 계획 글쓰기등

방학때 계획을 세워서 실천한 후 보고서를 제출해야하는데여 역사관련에서 글쓰기나... ♥♥♥♥답변에 만족하셨다면 채택을 추가로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다면 추가질문을...

역사 교육 관련 책 추천

역사교육 또는 교육학과 관련 책 추천해주세요ㅜㅜㅜ 역사 교육 관련 책 추천 역사교육 또는 교육학과 관련 책 추천해주세요ㅜㅜㅜ 말씀하신 질문에 대해 답변드려보겠습니다...

한국역사 관련 질문입니다

한국전쟁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세 가지 이상의 근거가 뭐가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6 · 25전쟁은 대한민국 사회 전반에...

역사관련 질문입니다

1780~1880년 프랑스 1880~1990년 러시아 위에 적힌 시대와 나라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대충 큼직한 사건들만 추려주세요.(최소 3개) 프랑스 1780~1880년 10대...

역사관련 질문

... 역사관련 질문 홍길동이라는 것도 역사에 포함이 되는건가요? 네 포함되요 홍길동 실존인물이 있었어요 역사란 뭔가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나의 대답은...

역사관련 질문..

역사관련해서 질문을 만들어야합니다. '삼국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저의 질문입니다만 포괄적이라하는데 좀더 구체적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저는 저 질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