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안전학과가 배우는 과목은 뭐가있나요?

소방안전학과가 배우는 과목은 뭐가있나요?

작성일 2017.09.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게요
소방안전학과에서 배우는 것은 아래와 같이 매우 다양합니다

소방학개론(Introduction to Fire Protection)
소방현상의 이해, 소방조직관리, 소방유체역학, 연소 및 화재이론, 건축물 소방안전, 소방시설, 위험물 시설, 화재예방, 화재진화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소방프로그래밍 (Programming for Fire Protection)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주얼 베이지(VB)을 이용하여 다양한 컨트롤을 이용한 시각적인 프로그래밍과 제어 구조 및 함수 배열 등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다양한 소방관련 업무 수행에 적절한 프로그래밍 지식을 응용하여 정보 생성 및 처리 방법의 복잡화와 급격한 방재시스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에 대비하도록 한다. 

자연과학개론 (Introduction to Natural Sciences)
자연과학의 정의 및 응용과학, 환경과학, 화학, 물리학, 지구과학, 생물학 등의 기초과학분야와 현대 전자산업분야를 포함한 미래산업에 대한 발전방향 및 전망에 대해서 학습한다. 

전산실무 (Computer Application)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도표작성, 자료정리, 보고서 작성, 회의자료, 발표자료 등에 관해 실습한다. 이를 위해 엑셀, 파워포인트 등을 공부하고, 홈페이지 작성 및 관리에 대해서도 학습함으로써 소방실무에 필요한 컴퓨터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소방전기 1, 2 (Electrical Engineering for Fire protection 1, 2)
기초적인 전기 회로의 기본 지식을 응용하여 소방전기시설의 공사 또는 정비가 적절하게 행해지고 소방전기 시설물이 항상 완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전기관련 지식을 습득시킨다. 기본전기회로, 직류, 교류 전력, 전장과 자장, 자동제어, 전기설비의 개념 등에 대해 강의한다. 

소방행정학 (Fire Protection Administration)
소방행정에 핵심이 되는 행정학의 기초이론, 소방행정의 이념, 소방조직의 원리, 인간관계론, 소방행정의 의사전달, 행정기획, 정책결정, 리더쉽, 인사, 예산, 재무에 관한 실무 학문을 강의한다. 

소방화학 (Chemistry for Fire Protection)
물질의 구조, 화학반응, 기체의 성질, 화학평형, 산과 염기, 탄소화합물 등 화학의 일반이론을 소화약제, 위험물질 및 화재공학 등 소방안전과 관련된 분야에의 응용에 초점을 맞추어 다룬다. 

소방유체학 1, 2 (Fluid Mechanics for Fire Protection 1, 2)
유체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유체의 정역학, 동역학, 유체의 운동방정식, 점성유동, 관속에서의 유체흐름, 유체기계, 유체계측 등의 일반적인 이론을 소방기계설비에의 응용에 중점을 두어 다룬다. 

소방CAD (Computer Aided Design for Fire Protection)
AutoCAD와 소방도면의 특성을 살펴보고 소방설비의 도면작성에 많이 사용되는 AutoCAD 명령어를 익히며, 예제를 통하여 도면 작성 기법을 연습한다. 

소방행정법 (Legal Aspects in Fire Service Management)
소방행정법의 원리, 특성, 효력, 행정법관계, 소방행정작용, 소방행정의 의무불이행에 따른 확보수단, 소방행정구제, 소방조직법과 국가행정조직법, 지방자치법과의 관계를 강의하고 관련 규정인 특별행정작용법으로 급부행정, 경찰행정, 토지, 환경, 경제, 군사행정 및 소방공무원법에 관한 관련법을 강의한다. 

소방법규 1 (Fire Codes and Standards 1)
소방기본법 내용의 소방장비, 소방용수시설, 화재예방과 경계, 소화활동, 구급 및 구조, 의용소방대 설치운용에 관한 실무적 법령학습과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에 관한 법률내용의 소방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설치 기준 및 유지관리, 소방관리사, 소방시설 관리업, 소방용품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에 관한 실무적 규정을 강의한다. 

소방법규 2 (Fire Codes and Standards 2)
소방공사업법 내용의 소방시설업, 소방시설공사업, 소방시설감리업, 시공업, 감리업, 도급, 소방기술자관리, 소방기술심의회운영에 관한 실무적인 법령학습과 위험물 안전관리법 내용의 위험물 시설의 설치허가와 검사, 위험물제조소의 설치방법, 자체소방대운영, 예방규정, 위험물취급시설의 정기점검 및 검사방법 등 실무적 법령 내용을 강의한다. 

소방기계시설론 및 실습 1, 2 (Theory and Practice of Mechanical Equipments for Fire Protection 1, 2)
소방 기계설비 중 소화기구, 옥내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피난설비, 제연설비, 연소방지설비, 연결살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소화용수설비 등의 구조, 원리,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제반 이론 및 실습을 다룬다. 

소방전기설계 1, 2 (캡스톤디자인) (Theory and Practice of Electrical Equipments for Fire Protection)
소방전기설비에 대한 기초적인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소방전기설비의 종류, 규격, 용량 등에 대해 교육한다. 특히 자동화재 탐지설비, 소화설비, 소화용수설비, 비상조명설비, 유도등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등의 구조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위험물시설론 (Facilities for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 제조소 등 시설구분과 설치기준 그리고 위험물제조소, 위험물옥내저장소, 옥외 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옥내탱크저장소, 지하탱크저장소, 간이탱크저장소, 이동탱크저장소, 지하암반탱크저장소, 주유취급소, 판매취급소, 이송취급소, 일반취급소 등의 구조 및 설비기준을 학습한다. 

전기안전학 (Electrical Safety)
전기감전, 정전기로 인한 인사사고를 예방하고, 전기설비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기안전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을 교육한다. 전기재해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하는 전기의 안전한 이용에 대해 강의한다. 

화재공학 1, 2 (Principle of Fire Behavior 1, 2)
화재공학에 대한 기본 이론 및 소방안전 분야에의 응용과 관련된 내용들을 학습한다. 화재와 관련된 기초이론으로 확산화염, 훈소, 자연발화 및 예혼합화염 등을 다루고, 소방안전 분야에의 응용과 관련된 열전달, 착화, 화염확산, 연소속도, 화재플룸, 연소생성 및 구역 화재에 대한 화재성장과 연기유동 등을 학습한다. 

소방조직론 (Theory of Fire Service Organization)
소방조직의 개념, 조직이론의 발달과정, 조직목표 등 조직의 기본적인 내용과, 소방조직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행정조직의 연계적인 관계의 이해, 현재 소방조직체계에서의 의사전달, 갈등관리방안, 화재현장의 지휘체계 및 공공행정조직의 효율적인 체계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재난관리학 (Disaster Management)
재난, 재해의 신속한 대응방안과 자원 및 재난통신, 정보관리요령, 재난의 유형별 대처방법을 향상시켜서 예고 없이 닥치는 재난의 피해를 극소화시키는 방법과 효율적인 복구요령을 교육한다. 이를 위하여 재난관리의 이론, 재난관리의 비상체계, 긴급구조구난체계, 재난대응계획과 위기관리, 지역재난관리와 민간협력관계, 재난위험도 분석, 관리연구, 특별 재난구역 선포 및 복구, 복구재정과 보상, 지휘통제, 피해상황과 분석실무 및 긴급복구 실무 등의 재난관리에 관한 실무적인 내용을 강의한다. 

소방실기특강 (Special Lecture on Practical Technique for Fire Protection)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대한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설계 및 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펌프 등을 제어하는 시퀀스제어를 이해하여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옥내·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할로겐화합물 설비, 제연설비 등에 대한 동작원리 및 작동방법을 습득하도록 하고, 소방전기설비의 배선시공기준에 대하여도 교육한다. 

소방건축학 (Fire Protection Architecture)
소방안전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소방건축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다룬다. 건축물의 설계, 피난설비, 화재하중, 방화구획, 비상용 승강기 등 소방건축에 대한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소방안전에 효과적인 건축물 설계 등의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응급구조구급학 (Emergency Rescue and Medical Services)
구조 활동의 전개요령, 구조장비의 조작, 기본구조훈련, 응급구조훈련, 구조기술, 현장안전관리를 강의하고 응급처치의 기본 지식으로 필요한 인체의 골격, 근육, 소화, 호흡기 등의 기관을 학습하며 응급의료가 요구되는 인체마비, 인공호흡, 지혈, 중독 등에 대하여 응급처치를 다루고 응급 환자의 이송과 응급장비의 운용을 강의한다. 

화재조사 (Fire Investigation)
화재유형에 따른 원인조사, 절차, 화재조사와 관련된 법규, 발화원 판정, 방화, 실화조사, 화재의 현장감식 요령, 기자재 사용법 등을 강의한다. 

화재시뮬레이션 (Fire Simulation)
화재모델링과 관련된 화재이론 및 수치해석기법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존모델과 필드 모델로서 현재 적용 가능한 CFAST 및 FDS 등 화재모사 프로그램의 이론 및 사용법을 실무 예제를 통하여 익힌다. 

소방시설설계 및 점검 (Design and Inspection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각 종 소방시설(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활동설비, 소화용수설비)에 대한 설계 절차 및 방법을 배우고, 설치되어 있는 소방시설의 작동에 문제가 없도록 점검하는 방법을 배운다. 소방시설에 대한 작동기능점검과 종합정밀점검 표를 작성하는 방법과, 각종 점검기구의 사용법을 배우며,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 할 수 있도록 복구하는 방법 등을 습득한다. 


도움이 되셨음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소방 안전 관리학과 배우는 과목에...

... ㅠ.ㅠ 그리고 또 궁금한게 있는데 소방 안전 관리학과 가배우는 과목이 무엇이... 꿈이 소방직이라 관심이 많은데요 소방안전관리과라든가 응급구조과나 여러과가...

소방학과에서 배우는 과목

소방학과에 진학해서 배우는 과목은 무엇무엇인가요? 또 공과계열이니까 수2,미적... 소방행정 및 관련 법규를 다루는 전공과목도 있고... 소방설비공학, 구조물 안전공학...

서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경찰소방학과 4년 부산과학기술대 소방안전관리과 2년 원광대 소방행정학과 4년... 소방방재학과소방행정학과 공통점과 차이점은 배우는과목을 보면 알 수...

서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소방행정학과도 공무원특채시험을 볼 수 있나요?... 경찰소방학과 4년 부산과학기술대 소방안전관리과 2년... 소방행정학과 공통점과 차이점은 배우는과목을 보면 알 수...

안전학과소방관련학과인가요

... 안전학과에서 배우는 주요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방학개론 화재역학 소방설비 소방화학 소방안전관리 재난관리 안전공학 위험성평가 안전보건법규 안전학과를...

소방학과 특채(경채) 관련 질문

... 소방학과를 졸업하면 소방공무원 특채로 지원할 수 있나요? 그리고 특채로 지원하게 된다면 어떤 과목을...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대구대학교 소방안전방재학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