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부재 치수가 클수록 적다"-콘크리트 크리프 현상에 관한말인데....

"구조부재 치수가 클수록 적다"-콘크리트 크리프 현상에 관한말인데....

작성일 2022.11.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도저히.. 먼뜻인지.. "구조부재 치수가 클수록 적다" 초등생 그림으로...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KDS (설계기준)에서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 부분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크리프 계수 계산 중에 개념적 부재치수 h가 있습니다.

개념적 부재치수는 부재의 단면적(mm^2)을 u(mm)로 나눈 다음 2를 곱합니다.

여기서 u는 단면적의 둘레 중에서 수분이 외기로 확산되는 둘레 길이입니다.

단면이 단순한 부재는 사이즈가 클수록 h가 큽니다.

h는 콘크리트 내의 수분확산과 관련있습니다.

h가 크면 크리프 계수의 값이 작아집니다. 즉, 수분확산으로 인한 크리프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부재치수가 크면 크리프가 적다고 말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파이어니어입니다.

콘크리트의 크리프 현상은 하중이 재하 되었을 때 건조가 진행되면 더욱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부재사이즈가 큰 부재라면 건조가 사이즈가 작은부재보다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에 크리프현상이 적게 나타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