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 pn접합

다이오드 pn접합

작성일 2024.05.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불순물 도핑농도를 높게하면 공핍층 영역이 줄어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공핍층 영역 = 전위장벽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다이오드 pn접합 #pn접합 다이오드 활용 #pn접합 다이오드 동작원리 #pn접합 다이오드 역방향 전압 #pn접합 다이오드 원리 #pn접합 다이오드 전류 방향 #pn접합 다이오드 문제 #pn접합 다이오드 실험 #pn접합 다이오드 공핍층 #pn접합 다이오드 활용 전자소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핍층은 pn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이 서로 만나서 없어진 부분을 말해요.

여기서는 전하 운반자가 별로 없기 때문에 '공핍'이라고 불리는 거죠. 이 공핍층은 전류가 잘 흐르지 않게 막는 역할을 해요.

불순물 도핑 농도를 높이면, 즉 더 많은 불순물을 첨가하면 P형이든 N형이든 전하 운반자의 수가 많아져요.

그 말인 즉슨, 전자나 정공이 더 많아진다는 거죠.

이렇게 되면, pn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소멸되는 범위, 즉 공핍층이 좁아지게 되는 거예요

왜냐하면 양쪽에서 전하 운반자가 많아져서 더 빨리 만나서 소멸되니까요.

공핍층 영역을 전위장벽으로 이해하는 건 꽤 적절해요.

공핍층에서는 전하 운반자가 없어 전류가 잘 흐르지 않으니, 이 영역이 전류의 흐름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거든요. 전위장벽은 전자나 정공이 이 영역을 넘어서려면 극복해야 하는 에너지 장벽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이 장벽 때문에 pn접합이 일방향으로만 전류를 잘 통과시키는 다이오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죠.

그러니까, 요약하자면 불순물 도핑 농도를 높이면 전하 운반자가 많아져서 공핍층이 줄어들고,

이 공핍층은 전류의 흐름을 막는 전위장벽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어요.

Pn 접합다이오드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둘다 pn접합 반도체인건가요?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는 모두 pn 접합 반도체 기술을 사용한 전자소자입니다.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1. PN 접합 다이오드에 역 바이어

... PN 접합 다이오드에 역 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했을 때, 캐리어의 이동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2. PN 접합 다이오드에 역 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했을 때...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 바이어스(F

...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 바이어스(Forward bias)를 인가했을 때, 캐리어의 이동 현상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2.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 바이어스(Forward bias)를 인가했을 때...

pn접합 다이오드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그림만봤울때 더 길고 짧은 선중에서 뭐가 +극이고 -극인지 모르겠눈데 어떻게 보나요?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긴 선이 n영역, 짧은 선이 p영역이며...

pn접합 다이오드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pn접합 다이오드에 관해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1.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원리: PN 접합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PN 접합으로 결합한...

pn접합 다이오드

사사진 출처 : 네이버 블로그 청춘사용법 pn접합 다이오드에서 역방향 연결이 되면 순방향과 비교했을 때 사진상의 노란색 화살표가 커지면서 n형반도체의 전도띠가 아래로...

pn접합 다이오드 양공 전류 방향

pn접합 다이오드에서 전류의 방향과 양공의 이동 방향은 같나요? 접합상태의 방향부분을 살펴봅니다. 전류점으로 양공상태와 같아집니다. 양공점으로 같아져지며 보면됩니다....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공핍층과 크기 관계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공핍층의 두께가 커질수록 전체 Diode의 크기도 증가하나요? 제가 배울때 역bias전압이 일정할 때, 기존에는 avalanche breakdown이 일어났는데 공핍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