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과학

고1 과학

작성일 2015.02.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과학강의 보던중 화성에 대한 설명이 나왔는데

설명중 화산활동흔적이 있다고 나왔어요

근데 화성은 아직까지 화산활동이 진행중이라는

의견을 본적이있거든요

 

이럴경우 시험문제에 뭐라고 답을해야하나요?

 

아직도 화성의 화산활동이 진행중인가요?


#고1 과학 교과서 #고1 과학 #고1 과학탐구실험 주제 #고1 과학 문제집 #고1 과학 문제집 추천 #고1 과학 문제집 pdf #고1 과학 중간고사 기출문제 #고1 과학 요점정리 #고1 과학 실험 추천 #고1 과학 책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교과서 내용대로 비슷하게적으세요 화산이있고 화산활동이진행중이라고 쓰시면되요

화산활동진행중이에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재 화성은 화산활동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화산 활동을 위해 화성의 맨틀이 대류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화성의 자기장은 없는 상태이며 일부 암석안에 특정 광물이 자화되어있는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자기장이 있는것으로 추정됩니다.

화산의 활동의 흔적이 있지만 현재 화산활동은 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참고자료 입니다.

지질[편집]

궤도선의 관측과 화성 기원의 운석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화성의 표면은 기본적으로 현무암으로 되어 있다. 화성 표면의 일부는 지구의 안산암과 같이 좀 더 이산화규소가 풍부하다는 증거가 있으나 이러한 관측은 규산염 유리의 존재를 통해서 설명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정적이지는 않다. 표면의 대부분은 삼가 산화철의 먼지로 덮여있다. 화성의 표면에 일시적이나마 이 존재했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있다. 화성 표면에서 발견된 암염이나 침철석과 같이 대체로 물이 존재할 때 생성되는 광물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화성 자체의 자기장은 없지만, 과거 행성 표면의 일부는 자화된 적이 있음이 관측을 통해 밝혀졌다. 화성에서 발견된 자화의 흔적(고지자기)은 지구의 해양지각에서 발견되는 교대하는 띠 모양의 고지자기와 비교되어 왔다. 1999년에 발표되고 2005년에 마스 글로벌 서베이어로부터의 관측 결과의 도움으로 재검토된 이론에 따르면, 이들 지자기의 띠들은 과거에 있었던 화성의 판구조 활동의 증거일 수 있다. 극 이동(polar wandering)으로도 화성에서 발견된 고지자기를 설명할 수 있었다.

화성의 내부를 설명하는 이론에 따르면, 화성 핵의 반지름은 약 1,480km로 주로 과 15~17%의 으로 이루어져 있다. 황화철의 핵은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있으며, 지구의 핵에 비하면 가벼운 원소의 함량이 약 2배정도 된다. 핵은 규산염질 맨틀에 둘러싸여 있다. 맨틀은 화성에서 볼 수 있는 많은 판구조 활동과 화산 활동을 일으켜 왔으나 현재는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다. 화성 지각의 두께는 약 50km이고, 최댓값은 125km정도이다.

화성의 지질 시대는 세 시기로 구분된다.

노아키안 세는 노아키스 테라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화성의 형성으로부터 38억~35억 년 전까지의 시기이다. 노아키안 시대의 표면은 많은 거대한 크레이터로 덮여 있다. 타르시스 벌지는 이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의 후기에는 엄청난 양의 액체 물에 의한 홍수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헤스퍼리안 세는 헤스퍼리안 평원으로부터 이름이 붙여졌다. 35억 년 전부터 18억 년 전까지의 시기이다. 헤스퍼리안 시기의 화성에서는 넓은 용암대지가 형성되었다.

아마조니안 세는 아마조니스 평원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18억 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이다. 아마조니안 지역은 크레이터가 거의 없으나 상당한 변화가 있는 지형이다. 올림푸스 화산이 이 시기에 형성되었고, 다른 지역에서 용암류가 형성되었다.

마스 익스프레스 오비터의 OMEGA 가시광-적외선 광물학 매핑 스팩트로메터 자료를 기초로 또 다른 시기 구분이 제시되고 있다.

고1 과학 문제집 추천

예비고1 과학 아마도 장풍쌤 인강 들으면서 공부할것 같은데... 고1 과학 문제집에 대해 추천을 요청하셨군요. 예비고1 과학 공부를 장풍쌤 인강과 함께 하려고 하시는 거군요....

고1 과학 질문

밀도가 높은 곳은 밀도가 낮은 곳에 비해 중력이 더 커진다 라고 되어있는데 그 이유를 밀도는 질량과 비례하고 F=mg 질량은 중력과 비례하니까 결국 중력은 밀도와 비례해...

고1 과학 자율주제탐구

세특에 들어가는 자율주제탐구를 해야하는데 희망진로는 반도체공학과이고 간단하게 수업시간에 할만한 주제가 있을까요?? 반도체공학과 관련하여 수업 시간에 할 수 있는...

고1 과학 간호사 진로

고1 과학 교과서 내용(~생명 시스템의 기본 단위까지) 중 간호사와 연관된 내용 좀... 여러 개 추천해주세요 고1 과학 교과서 내용 중 간호사와 연관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1 과학 최소성취기준

만약 고1 과학 최소성취기준 미도달이면 필수로... 고1 과학 최소성취기준은 교육부에서 정한 교육과정...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교에서는 고1 과학 최소성취기준 미달 시 국어...

고1 과학 인포그래픽 주제

고 1 과학 인포그래픽 주제 추천해주세요! 책을 읽고 인포그래픽을 만들어야 해요! 노화와 관련해서 텔로미어(telomere) 주제를 다루어도 좋겠습니다. 이것을 연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