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에 대해서.

우주론에 대해서.

작성일 2010.11.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주론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1.사람들은 빅뱅을 통해서 행성들이(우주인가.;;) 생성돼었다고 하는데 빅뱅이 일어났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었죠?

 

2.빅뱅이 일어나기 전에는 우주는 무슨 상태였죠?

 

3.은하는 존나 넓은데 나선형인지는 어떻게 알게 돼었죠?

 

4.지구를 포함한 태양계 를 제외한 나머지 태양계는 몇개가 있을까요?그리고 그 태양계에서 생물체가 살아있을 확률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빅뱅은 아주 큰 폭발이라고 합니다.

지구에서는 보통 화학적으로 경합하면서 굉장한 열이 발생했을때 폭발 현상이 나오죠.

산화 된다거나, 겨우 100도 올라 갔을때 이온이나 원자들이 반응해서 에너지가 발생하는거겠죠.

하지만 태양을 살펴보면 몇천~만도 에서 화학반응이 이루어 집니다. 일명 핵에너지라고 하죠....

그렇게 해서 하나의 별이 형성이 된다고 보죠.

하지만 그것만으로 넓은 우주를 담기에는 수학적 다른 큰 폭발이 필요 하겠죠..

왜냐 하면 우주에는 또다른 수천억개의 별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은하라고 하죠...

또한 우주에는 그런 수천만개의 은하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은하들이 흩어져서 형성된 우주.....

그렇다면 여기서 , 우주상의 모든 물체는 중력이라는것이 존재 하는데..

우주는 왜 이렇게 별,은하 처럼 드넓게 흩어져 있을까??

모두 중력에 의해서 수천억년이 지나면 한데 뭉쳐 버려야 하는데......?

그렇다면 여기서 또다른 폭발인 엄청난 흩어짐??을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은하의 중심에는 블렉홀이 몇개씩 있다고 하죠...

그런 블렉홀들은 계속 커지다가, 현제 우주의 원리에 의해..무한정 커질수 만은 없는거죠..

얼마 만큼의 크기가 되면, 폭발해서 다시 흩어져야 새로운 별들이 생성된다고 해야 겠죠..

 

2 교과서적으로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라고 하죠...

개인적으로는 우주는 계속 폭발과 흡수를 반복한다...라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현대 과학에서도 지구라는 아주 작은곳에서 우주의 엄청나게 큰 폭발이나 반응에 대해서 정의 내리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빅뱅은 이론일 뿐입니다. 빅뱅설...

다른 객관적이고 뚜렿한 진리를 논하기는 힘들기 때문이죠..

 

 

3. 아주 넓은데. 케플러의 법칙에서 근같했고(타원궤도)

우주망원경으로 다른행성 관찰?,지구에서 가까운 별들의 흐름 관찰?

 

4 거의 모든 별(항성)들은 행설을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 별들이 얼마나 나이가 들었냐?? 하는게 현 시점에서 차이고, 별이 얼마나 큰가??? 하는것.

생물체가 살아 있을 확률??% 는

수학적으로 개괄적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우주에는 태양계와 비슷한 별들이 몇개나 있을까??

우주에는 천억개의 은하가 있다고 하면,

그 은하에는 1천억개의 별들이 있가고 하면,

천억*천억 하면 10(24제곱승)개의 별들이 있습니다.

그중 태양계와 비슷한 크기와 연령을 뽑아 낸다면,

 

태양의 크기는 일반 별들에 비해서 작은 편입니다. 12%정도

또한 현제의 태양 연령때가 되어야 합니다. 탱양의 나이가 45억년이라면, 별의 일생을 100억년으로 잡는다면. 중간쯤의 나이라고 하면 여기도 10% 확률 적용.

또한,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 할려면, 지구에 큰 운석이 몇 10만년동안 떨어지지 말아야 합니다.

그걸 메카닉으로 계산해 보면, 태양계의 구조에서  목성과 토성이 지구 밖에서 엄청난 중력장으로 수많은 운석들을 흡수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만약 목성만 있었다면,태양계의 중력정은 비균형으로 지구가 튕겨서 나갈 확률이 많습니다.

목성과 토성의 메카닉적은 밸런쓰가 지구를 방어하고 보호하는거죠..(일명)

그렇다면 태양계에 목성과 토성같은 행성이 주위에 존재 할수 있는 확률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면,5%정도로 아주 매우 희박한 확률이 나옵니다.

또한 목성과 토성이 있다고 해서 떨어지지 말라는법은 없죠.??

50만년마다 한번씩 떨어진다고 보면, 그중 10만년을 버틸 확률은 대충 50%정도

또한 달의 유무입니다.

달은 지구를 공전하면서 지구에 영향을 줍니다. 조석같은..

달같은 큰 행성의 존재 확률은 또한 희박합니다.5%정도.

또한, 지구의 자전 (모든 행성은 부동하지 않지만 , 일정한 자전을 하지만 지구처럼 자전할 확률은 10%로 잡는다면,)

 

 

위에서 계산된 모든 확률을 정리해 보면

 

생명체 확률은= 10(24승)*1/10*1/20*5/100*5/100*1/2*1/10

                     =10(24승)*대략 1/2억

=5*10(15승)

 

밤하늘에 2억개 별들중 한개에는 생명체가 존재 한다는 대략적 계산이 나오네요..

 

위에 수식은 정확한 계산이 아닙니다.

 

 설명 드리기 위한 대략적 계산이었습니다.

 

 

 

 

 

 

 

 

 

 

정상우주론이궁금해요

정상우주론에대해서궁금해요 근데요만약에정상우주론은계속팽창하잔아요그리고물질이계속생성되잖아요 일단은첫번째질문 1....

시뮬레이터 우주론에 대한 주류...

... 근데 이런 비전문적인데 말고 주류과학계에선 시뮬레이션 우주론에 대해서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 시뮬레이션 우주론은 열역학법칙에 위배되기 때문에...

다시 평행우주론에 대해서

... 평행우주론에서는 그 세계의 상태에 큰 영향을 주는 행위를할대 우주가 나뉘게 되어 있습니다. 합쳐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듯합니다. 3. 타임머신과 아주 밀접한...

평행우주론에 대해서

평행우주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평행우주론은 증명 된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평행우주론이란 우리가 살고있는 우주 말고도 또 다른 우주가...

다중우주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얼마전에 물리선생님에게 다중우주론에 대해서 들었는데요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다중우주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고2 이과생 수준에 맞게 설명 부탁드려요...

큐브2 평행우주론에 대해서

... 잘못 이해한 거라면 평행우주론에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걸 이해하셧는지는 모르지만. 평행우주론이란것은 아직 알수 없는 시간여행에서...

우주론에 대해서

우주론에대해서 공부하는중인데요가 잖아요??, 근데 가 <1 일때, 삼각형의 내합이 180도 보다 작고, >1일때는 180도보다 큰게 무슨뜻인가요? 1. 의 뜻( 단순히 평균밀도를...

정상 우주론과 팽창 우주론에 대해서

... 정상 우주론을 주장한 사람은 아인슈타인 이구 팽창우주론을 주장한 사람은... 그런데 거기서 정상 우주론과 팽창 우주론의 발전 역사 하고 핵심 이론을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