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벌레 맞나요?

사슴벌레 맞나요?

작성일 2021.06.0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집앞 대문앞에 있더라고요..보기엔 맞는거같은데..아들이 나가면서 잡아놓으라해서 잡긴잡았는데..흙 넣어줘야하나요? 통에서 움직이질 않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암컷 사슴벌레입니다. 수컷은 우리가 알고있는 커다란 턱이 있지만 암컷은 턱이 작습니다.사슴벌레가 죽은척을 하고 있다면 통에다가 톱밥을 깔아주고 기다리면 다시 움직일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넓적사슴벌레의 암컷이네요.

약 1년정도 산 개체같습니다.

일단 죽은척하는경우가 많기때문에 죽은건지 죽은척하는건지 확인을 해보세요.

죽은척하는경우는 더듬이가 움직입니다.

눈옆에 자그마케 실처럼 되있는데 더듬이입니다.

다리는 가슴부분에 있구요.

답변확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죽은척 하는것같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슴벌레 암컷이군요.

죽은 척하는 경우가 많으니 기다려보시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넓은 의미에서의 사슴벌레[편집]

딱정벌레목(Coleoptera) 풍뎅이상과(Superfamily Scarabaeoidea) 사슴벌레과(Family Lucanidae)에 속하는 딱정벌레들의 총칭. 전체적으로 광택이 있고 외골격이 상당히 단단하며[4] 대부분의 종들이 큰 턱을 지니고 있어 멋있기 때문에 애완용으로도 인기가 좋고 표본으로도 가장 많이 판매되는 곤충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세계에 약 1500~1600여 종의 사슴벌레가 살고 있으며, 대한민국에는 단 3종만이 분포하는 장수풍뎅이류와 달리 2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수컷 개체에겐 한 쌍의 큰턱이 있는데, 덕분에 메카닉이나 특촬 히어로의 모티브로도 많이 쓰인다. 보통은 장수풍뎅이와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5] 그럴 때는 대부분 장수풍뎅이에 비해 뭔가 밀리는 역할로 나온다. 일반적으로 장수풍뎅이가 사슴벌레보다 힘이 세고 덩치가 더 크고 무겁다. 그러나 사슴벌레 중에서도 크기가 큰 개체는 상대적으로 무른 장수풍뎅이의 배나 몸의 마디를 큰턱으로 잡아 끔살해버리기도 한다.

유럽사슴벌레(Lucanus cervus)의 한살이.

딱정벌레목 곤충이니만큼 알 → 애벌레 → 번데기 → 어른벌레로의 완전변태를 한다. 사슴벌레의 성충의 크기는 유충 때의 무게와 섭취한 영양에 비례하여, 보통은 참나무 발효톱밥에 기른다. 조금 값이 나가지만 유충을 쉽게 크게 만들 수 있는, 버섯의 뿌리로 제작되는 '균사병'이라는 특수한 유충 먹이가 시판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균사병에서 자란 유충이 성충이 되면 더 크다. 고작해야 몇 개월을 간당간당하는 장수풍뎅이와는 달리 성충 시기를 오래 보내는 편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잘 기르면 약 1~2년 이상 생존 가능하며 먹이 없이는 약 2주 정도 버틴다.

사슴벌레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상징이기도 한 큰턱은 명칭은 턱이지만,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 발달된 것이 아니라 전투를 위해 발달된 무기이다. 가위처럼 양쪽에서 조여드는데, 턱으로 잡아 조인 뒤 비틀어서 팽개치는 것이 사슴벌레의 전투 방식이다. 이 턱의 힘은 강해서 사람도 물리면 꽤나 아플 정도.[6] 이 턱 덕분에 성충이 되면 사슴벌레의 경쟁 상대는 같은 사슴벌레류와, 장수풍뎅이류 정도를 제외하면 없다. 길이가 긴 턱을 가진 사슴벌레일수록 상대보다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긴 사정거리를 이용하여 우세한 전투가 가능하다. 턱길이가 짧더라도 턱의 힘은 긴 턱을 가진 개체보다 강하기 때문에 어느쪽이 더 강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다른 딱정벌레류와 마찬가지로 사슴벌레는 딱지날개 속에 얇은 뒷날개를 가지고 있어 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방향 전환에 서투르고 속도도 느려서 보통은 기어다닌다. 날 때는 한번에 딱지날개와 뒷날개를 펼친 다음 비행한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면 이빨 수준의 작은 턱을 가지고 있지만 물리면 더 아프다. 암컷의 턱은 짧지만 두껍고, 예리하고, 튼튼하며 실제로 물렸을 때에는 십중팔구 피를 보게 된다. 나무를 파기 위한 연장[7] 같은 턱이니 물렸을 때의 고통은 상상에 맡긴다. 게다가 수컷과는 달리 턱도 작아서 고통은 둘째치더라도 떼기가 힘들다. 이렇게 작고 예리한 턱을 지니게 된 까닭은 나무 속에 알을 낳기 때문에 나무 껍질을 파내기 위한 것이다. 암컷은 썩은 참나무를 열심히 파내고 산란한 뒤 지친 체력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곤충을 물어뜯어서 체액을 빨아먹기도 한다. 마땅한 먹이가 없으면 수컷 사슴벌레나 자기가 낳은 자식이라도 먹는다. 이러한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사육 시에는 암컷에게 다른 곤충이나 고단백 젤리 등을 줘서 단백질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외골격이 단단하고 크기가 커 성충이 되면 절지류 중에는 천적이 없다. 하지만 곤충이다보니 다른 동물들 상대로는 상대가 안 된다. 대표적인 천적으로는 다람쥐, 청설모, 족제비, 올빼미, 까마귀가 있고, 또한 거미줄에 걸려서 빠져나오지 못해 거미에게 잡아먹히는 경우도 있으며[8], 드물게 독수리, , 호랑이, 인간에게 잡아먹히는 경우도 있다.

1.1.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사슴벌레들[편집]

한국에서는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두점박이사슴벌레만 멸종위기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잡는게 불법이다. 그러나 두점박이사슴벌레는 정작 제주도 내에서 많다못해 아예 바글바글한 수준이다. 가로등에 떼로 붙어있다는 사례도 있을정도.

원표애보라사슴벌레[9]

길쭉꼬마사슴벌레

큰꼬마사슴벌레

뿔꼬마사슴벌레

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톱사슴벌레

두점박이사슴벌레

홍다리사슴벌레

애사슴벌레

털보왕사슴벌레

엷은털왕사슴벌레

왕사슴벌레

참넓적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

꼬마넓적사슴벌레

꼬마사슴벌레: 이 종의 한국 내 서식은 확인된 적이 없으며, 큰꼬마사슴벌레를 오동정한 것이다.

미운사슴벌레: 이 종의 한국 내 서식은 확인된 적이 없으며, 다우리아사슴벌레를 오동정한 것이다.

줄사슴벌레: 이 종은 1987년 이후로 정식 채집 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사실상 존재여부가 불투명한 종이다. 암컷 딱지날개에 많은 줄이 나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는데, 같은 특징을 가지는 꼬마넓적사슴벌레 암컷을 오동정한 것이라는 말이 있다.

애왕사슴벌레: 이 종의 한국 내 서식은 확인된 적이 없으며, 왕사슴벌레를 오동정한 것이다.

1.2. 세계의 사슴벌레들[편집]

멋쟁이사슴벌레

메탈리퍼가위사슴벌레

엘라푸스가위사슴벌레

만디블라리스큰턱사슴벌레

패리큰턱사슴벌레

팔라완넓적사슴벌레

임페리얼리스왕넓적사슴벌레

기라파톱사슴벌레

부케팔루스넓적사슴벌레

알키데스넓적사슴벌레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민다나오왕넓적사슴벌레

뮤엘러리사슴벌레

리노케로스큰턱사슴벌레

람프리마사슴벌레

타란두스광사슴벌레

안테우스왕사슴벌레

그란디스왕사슴벌레

유럽사슴벌레

1.3. 기타[편집]

2000년 대 정도만 하더라도 암컷은 알을 낳고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지속적인 연구로 암컷의 영양상태가 좋으면 알을 낳고도 죽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 과정에서 사슴벌레 암컷이 잡식성인 것도 같이 알려졌다.하지만 이는 영양상태가 좋은 사육환경에서의 상황이고 야생에서는 대체로 알을 낳은 뒤 탈진하여 죽는다.

장수풍뎅이와 함께 멋있는 생김새 때문에 매니아가 많은 편이다. 야행성인데 주광성도 있어서 시골에서는 가로등 같은 곳에 가면 볼 수 있다.

장수풍뎅이와 싸우면 누가 이기는지는 대부분은 사슴벌레가 장수풍뎅이에게 아무것도 못하고 날라가게 되지만, 사슴벌레의 턱은 장수풍뎅이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도 있는 무기이기에 장수풍뎅이가 당한다면 크게 다치게 될 수도 있다. 힘만 놓고 본다면 장수풍뎅이가 더 세다.

1.4. 대중 매체에서의 사슴벌레류[편집]

픽션에서는 장수풍뎅이와 엮일 때가 많은데, 주로 라이벌 관계나 형제로 나온다. 하지만 장수풍뎅이에 비해 좋은 대우는 못 받으며 장수풍뎅이에 밀리는 2인자 내지는 악당으로 나오기도 한다. 그나마 사슴벌레가 장수풍뎅이보다 대우가 좋은 매체가 풍뎅이뎅이가면라이더 쿠우가[10] 정도.

일본에서는 사슴벌레 뿔이 사무라이 장식과 비슷해서 인기가 많다. 일본 그룹 페니실린의 보컬 하쿠에이가 사슴벌레를 기르고 있으며, 페니실린의 노래 중에는 사슴벌레를 주제로 한 남자의 로망이란 곡이 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스탠드 타워 오브 그레이는 대형 사슴벌레의 형태이다.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에 사슴벌레에게 춉을 먹였더니 타임슬립했다라는 곡도 있다.

1.4.1. 사슴벌레류가 모티브인 메카 및 연관된 캐릭터[편집]

가면라이더 시리즈

가면라이더 쿠우가 - 가면라이더 쿠우가[11], 운 다그바 제바

가면라이더 555 - 스태그비틀 오르페녹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가면라이더 갸렌, 카나이(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가면라이더 카부토 - 가면라이더 가탁크, 케탁크

가면라이더 오즈 - 가타키리바 콤보[12], 쿠와가타야미

강철전기 C21, 코즈믹 브레이크 - 스택키드[13], 레이스택, 세버레이스택

디지몬 시리즈 - 쿠가몬계열

록맨 X - 부메르 쿠왕거

록맨 제로 - 쿠와가스트 앵커투스

메다로트 - 헤드시저스(로쿠쇼), 도크스, 블랙스택, 산쥬로등 KWG형 메다로트

미나미가 - 미나미 카나

비 파이터 카부토 - 비 파이터 쿠와가, 쿠와가 탱크, 쿠와가 타이탄

베인글로리 - 사슬니

사슴벌레에게 춉을 먹였더니 타임슬립했다 - 사슴벌레

사슴벌레 츠마미(くわがたツマミ) - 츠마미[14]

갑충왕자 무시킹 - 등장하는 모든 사슴벌레[15]

슈퍼전대 시리즈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 임기병 와가타크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카스미 잇슈(쿠와가라이저), 고우라이 스태그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비트 J. 스태그, SJ-05 스태그비틀

스트라이커즈 1999 - 스펙터

요괴워치 - 용맹족의 쿠와노부시 & 쿠와가 대장(사슴벌레 대장) & 오쿠와노가미(왕사슴벌레신)

울트라맨 잭 - 곤충괴수 노코기린

일상 - 아이오이 유코[16]

인조곤충 버그파이터 VXV - 민형진의 버그 일렉트리컬 스피드 웨건을 비롯한 사슴벌레형 버그파이터들.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 스카라브[17]

죠죠의 기묘한 모험 - 타워 오브 그레이, 다이넨지야마 아이쇼

중갑 비 파이터 - 지스태그, 스태그 탱크

초성신 그란세이저 - 세이저 데일(하카리야 진)

타임보칸(애니메이션) - 타임 쿠와갓탄

테라포마스 - 일렉산더 아시포드, 뮤엘러리사슴벌레형 테라포머

포켓몬스터 - 쁘사이저, 투구뿌논

풍뎅이뎅이 - 슴이

클래시 오브 클랜 - P.E.K.K.A

유희왕 - 나츄르 스태그

2. 좁은 의미의 사슴벌레[편집]

수컷의 턱 모양과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국내 사슴벌레 무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사슴벌레이다. 다만 장수풍뎅이처럼 종명이 널리 알려지진 않아서 1번 항목의 사슴벌레와 오인되는 경우가 잦다. 때문에 종명으로 부르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그냥 이름이 사슴벌레라는 뜻인 참사슴벌레, 걍사슴벌레라고 더 많이 불린다. 인터넷에도 저렇게 쳐야 사슴벌레에 관한 정보들이 더 많이 나올 정도.

기온이 낮은 높은 산에 서식하는 사슴벌레로 주로 강원도에 서식하며, 강원도와 인접한 경상도나 경기도 지역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예외로 인천광역시에 속한 섬인 자월도에서도 발견된다. 사육난이도가 아주 높은데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서식하는 사슴벌레라 온도관리를 잘 못하면 금방 죽어버린다.[19] 그리고 몸이 뒤집혀져 바둥거릴 때도 물 밖으로 나온 고등어마냥 성질이 급해 다른 사슴벌레들보다 빨리 죽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사육 시에는 제 분에 못 이겨 돌연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주 건드리거나 만지면 더더욱. 수명도 3개월 내외 정도로 사슴벌레치고는 긴 편이 아니다.

산란을 받으려면 부엽토를 발효톱밥이랑 섞어서 세팅을 해야 하며, 참나무류의 낙엽도 있으면 좋다고 한다.

유충 사육도 어려운 편으로 다른 사슴벌레와는 달리 저온에서 사육해야 하며, 유충 기간도 길고 예민한 탓으로 사육 초보자에게는 그다지 추천할 만한 종은 아니다. 외모만 보고 무턱대고 키운다고 나섰다가 엄한 목숨 하늘로 보내지 말고, 전문가의 조언을 철저히 숙지하고 잘 키우자.

몸길이는 턱을 포함하여 수컷이 40~70mm 정도인데 애벌레 때의 영양 상태에 따라 개체 간의 차이가 많이 나는 편으로 대형 개체일수록 턱이 크고 이빨의 모양이 뚜렷하다. 또한 루카누스속(Lucanus)의 사슴벌레 답게 머리 뒤 쪽에 코끼리 귀 모양이나 투구를 연상시키는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데, 이 것 역시 대형 개체로 갈수록 더 발달한다. 몸 색은 갈색이고 수컷은 온몸이 짧은 황금색 털로 덮여있으며, 넓적다리 쪽에 노란 반점이 있다. 구 종소명이었던 maculifemoratus라는 학명은 이 반점 때문에 붙은 것.

보통 사슴벌레들은 암컷이 비슷비슷하게 생겨 구분하기 어려운데, 이 사슴벌레의 암컷은 구분하기 상당히 쉬운 편이다. 사슴벌레의 암컷은 다른 종의 사슴벌레들보다 머리가 길고, 턱이 둥글고 조금 큰 편이라 투박한 인상을 준다. 간혹 비슷한 색상의 톱사슴벌레 암컷과 헷갈리는데 이 경우에는 넓적다리 배면의 황색 반점과 등면의 광택으로 구분 가능하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여러 아종이 분포하는데, 근연종 Lucanus maculifemoratus는 일본에 서식한다.

유럽에는 같은 사슴벌레속이면서 더 큰 몸과 집게를 자랑하는 유럽사슴벌레(Lucanus cervus)가 서식한다.

[1] 북한에서는 아직도 집게벌레라고 한다. 진짜 집게벌레는 가위벌레라고 한다.

[2] stag는 사슴. 한국 이름과 어원이 비슷하다.

[3] 'くわがた'는 '투구의 앞면 양쪽에 뿔처럼 세운 장식물'을 의미한다. 즉 사슴벌레의 턱이 투구 장식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

[4] 표본으로 만드려고 하면 핀이 박히지 않을 정도. 그에 비해 비슷한 외골격이 있는 곤충인 장수풍뎅이는 껍질이 그렇게 단단하진 않은 편이라 찌르면 뚫린다.

[5]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는 실제로 여름철 야간의 나뭇진 따위의 장소에서 자주 마주치곤하는 서식지가 겹치는 곤충이다.

[6] 짧고 두꺼운 턱을 가진 일부 대형 사슴벌레는 턱으로 연필을 부러뜨릴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진 경우도 있다.

[7] 기능면으로는 , 모양면으로는 니퍼를 닮았다.

[8] 사슴벌레가 작은 개체고, 거미가 큰 개체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특히 뿔이 작은 암컷 사슴벌레는 거미줄에 걸리면 잡아먹히는 경우가 많다.

[9] 아종으로 북한에 서식하는 머클애보라사슴벌레가 있다.

[10] 아예 사슴벌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주인공으로 나오고 장수풍뎅이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는 중간 보스이긴 하지만 괴인으로 등장하니 당연히 사슴벌레 쪽이 더 대우가 좋을 수밖에..

[11] 본 작의 세계관에서는 사슴벌레를 신의 사자로 여기고 있다.

[12] 사마귀, 메뚜기도 포함.

[13] 강철전기에서만 등장

[14] 주인공인 츠마미는 인간과 사슴벌레의 혼혈이며, 아빠는 거대한 사슴벌레다.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인지라 국내에선 거의 알려지지 않은 캐릭터지만, 넨도로이드 7번으로 발매된 적이 있다.

[15] 처음부터 곤충을 주제로 만들어진 게임 홍보용 애니메이션

[16] 23화 A파트 참조.

[17] 이름은 스캐럽, 즉 쇠똥구리지만 생김새는 쇠똥구리랑 아무런 상관없는 완벽한 사슴벌레.

[18] 원래 학명은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로 일본에 서식하는 종인 Lucanus maculifemoratus maculifemoratus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었으나 외부 형질과 생식기 형질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 밝혀져 원명아종으로 수정되면서 학명이 바뀌게 되었다.

[19] 기온이 20도 이상이면 위험하다. 국내에 자생하는 사슴벌레는 걍사를 제외하면 폭염에 강해서 30도 이상도 문제없이 버틴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이거 산밑에서 봤는데 사슴벌레 맞나요??

이거 사슴벌레 맞나요? 장수풍뎅이 수컷인가요?? 넓적사슴벌레 수컷입니다. 자연에서 채집한 개체중에서도 건강한 편이네요. 오래오래 잘 키우시고,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유출맞나요??

저는사슴벌레 5마리를 키우는 학생 입니다.질문은 이거…사슴벌레유층 맞나요??? 빠른답장 부탁드립니다…(16마리잡음) 아닙니다. 사슴벌레라기엔 너무 굼벵이 같이...

같은 사슴벌레 종류 맞나요??

저희집에 이틀간격으로 사슴벌레가 왔는데 같은 종류 암수 사슴벌레맞나요? 둘 다 서로 다른 종류입니다 왼쪽은 참넓적사슴벌레, 오른쪽은 톱사슴벌레 암컷개체입니다

사슴벌레맞나요?

저 하얀거 알 낳은 건가요? 곰팡인가요? 사슴벌레 전문가님 도와주세요! 안타깝게도 사진속 물체는 사슴벌레 알이 아닙니다. 곰팡이 인것으로 보입니다.

사슴벌레 유충 맞나요?

아이가 나무 밑 화단에서 발견했는데 맞는지 좀 봐주세요 사슴벌레나 장수풍뎅이 유충 사이즈는 아닙니다. 굼벵이 형태의 풍뎅이류 유충입니다. 사진만 가지고는 정확한...

이 친구 사슴벌레 맞나요?

이 친구 사슴벌레 맞나요? 맞으면 암/수도 구분이 될까요? 일단 젤리하고 집은 택배 시켜놨는데 그동안 수박 먹여도 되나요? 음 넵 넓적사슴벌레 수컷이네용 일단 오기전까지는...

사슴벌레 맞나요??

이거 사슴벌레 맞나요?? 사슴벌레 가 맞다면 무슨 사슴벌레 인가요?? 사슴벌레 암컷 맞구요 사진상 턱을 봤을때 참넓적사슴벌레 암컷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