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어류, 환경이 존재가능한이유가 궁금해요

심해 어류, 환경이 존재가능한이유가 궁금해요

작성일 2023.06.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임스카메론이 만미터넘게 내려갔다는거보고 궁금증이생겼는데 심해어류는 몸속에 물을 많이채워서 어찌저찌 버틴다해도 만미터정도되면 1000기압가까이 되는거로 알고있는데 그런심해에 돌같은게 존재하면 안되는거아닌가요?
1.예를들어 수심1미터에서 무거운 금속한덩어리를 떨어뜨리면 내려갈수록 공모양으로 찌그러지다 어느크기 이하로는 안내려가나요?

2.깊은심해에서 돌같은거 꺼내오면 밀도가 엄청나게 큰가요?
3. 조개같은거도 만미터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심해에 있는거로 알고있는데 그런조개들 껍데기는 안깨지나요?

4. 심해에서 알낳으면 낳는즉시 터지지않을까요?
이상입니당


#심해 어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금속 덩어리가 수심이 깊어질수록 찌그러지는 것은 금속의 구조적 특성과 압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러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금속 덩어리가 공 모양으로 변형되거나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금속의 밀도가 물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금속 덩어리는 계속해서 내려가게 됩니다.

2. 심해에서 꺼낸 돌이 밀도가 매우 높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돌의 밀도는 그 구성 물질에 따라 결정되고, 심해에서 가져온 돌이라 해서 특별히 밀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3. 조개의 껍데기는 아주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조개는 껍데기를 생성할 때 칼슘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데, 이는 아주 강한 물질입니다. 따라서 심해에서도 그들의 껍데기는 압력에 잘 견딜 수 있습니다.

4. 심해에서 알을 낳는 동물들은 그 환경에 맞추어 진화한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 상어 중 일부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산란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략은 높은 압력 환경에서 알이 터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일부 심해어류는 알의 케이스를 아주 단단하게 만들어서 압력에 대응합니다. 이와 같이 심해 생물들은 그들의 생식 전략을 통해 심해의 굴레 있는 환경에 적응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심해의 생물들은 각자의 생태계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진화해 왔습니다. 이러한 적응력은 생명의 놀라운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심해 탐사는 많은 과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심해(깊은 바다)의 환경은 어떤가요?

... 것은 심해 환경이 나빠서 못들어가기 때문이잖아요... 미국의 최첨단 시울프 잠수함은 1,200m까지도 가능합니다...... 그이유는 잘모르겠구요...(아귀도 심해어류입니다)

어류들중진화된어류이름과진화된부위!

... 처한 환경에 맞게 서서히 적응을 해나갔는데, 제가 책에서 읽은 내용으로는 포유류가 딸꾹질을 하는 이유가 어류... 이것도 환경에 맞게끔 몸을 바꾼 예이고요. 현재 존재하...

아토피 치료방법 궁금해요!

... 어떤 치료를 받아야 효과가 좋은지 궁금해요 전 30세... 약물, 환경 여건 그리고 음식물의 점도 경도 산도 표면적... 더 심해지는 이유입니다. 7). 왜 가려움증이 만성화되면...

건선인지 궁금해요

... 약물, 환경 여건 그리고 음식물의 점도 경도 산도... 조심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심부온도 피부온도 동시에... 이때 혈액 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인 백혈구 적혈구 임파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