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사상

칸트의 사상

작성일 2012.11.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칸트의 사상에 대해 질문합니다.

 

칸트가 주장한 사상들을 간단하게 정리부탁드립니다

 

 

내공100검니다


#칸트의 사상 #칸트의 사상적 특징 #칸트의 주요 사상 #칸트의 생애와 사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칸트의 사상 정리

 

 

칸트의 핵심사상은 "순수이성"과 "실천이성", 그리고 "정언명령"과 "가언명령"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순수이성 비판"의 "비판"은 우리가 보편적으로 알고있는 뜻의 비판보다는

깊게 파고 든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선 "순수이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칸트는 우리 모두가 선한것과 악한것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점은 칸트는 이성중심의 철학, 즉, 경험론이 아닌 합리론에 의해

상대적 진리가 아닌 절대적 보편적 진리가 있다고 주장한 사람입니다.

따라서 칸트의 입장에서 볼때 우리가 선과 악을 구분하는 능력은 인간 개개인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있다는 것입니다.

살인을 저지르는 흉악범도, 도둑질을 하는 도둑놈도 살인과 절도가 악이라는것은 그들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칸트는 이러한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를 내면의 "순수이성"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순수이성에 의해 선을 판단하고 그 선을 실천하기 위해 "실천이성"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실천이성에 의한 명령을 "정언 명령"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때 정언 명령은 아무런 목적과 대가를 바라지 않고 오로지 내면의 순수 이성에 의해 선하다고

판단한 보편적 진리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에 반해 보편적 진리를 넘어서 행위를 함으로써 얻게되는 대가, 즉 윤리자체가 목적이 아닌

그 이외의 목적을 지닌채로 바라고 실천하는 행위는 "가언 명령" 이라고 주장햇습니다.

 

예를 들어,

한 아이가 물에 빠진것을 발견한 한 남자가 그 아이를 재빨리 구해냅니다.

만약 그가 아무런 생각 없이, 아이가 물에 빠졌기 때문에 구하는 것이 인간으로서의 도리 라고 생각하고

그 아이 자체를 목적으로 구조한것이라면 그것은 정언명령에 따른 행위로 선한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반면, 만약 그가 그 아이의 부모로부터 감사의 표시로 돈을 기대하거나 사회로부터의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한 목적으로 아이를 구조한것이라면, 그것은 인간(아이의 목숨) 이외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실천한 것이기 때문에 가언명령에 따른 행위이며 선한것이라고 볼수 없는것입니다. 

 

칸트에게 있어 인간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는것은 가언명령에 따른 행위이며

인간 자체를 목적으로 대할때 비로소 정언명령에 따른 선한 행동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가 말한 "인간을 항상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하라"라는 뜻을 살펴보면

인간을 인간이외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아닌 그 인간 자체를 목적으로 두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을 한 문장으로 함축하는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칸트는 그 외에도 "모든 이론은 회색이고 오직 영원한 것은 저 푸르른 소나무이다" 라는 말도 남겻습니다.

이론이라는 것은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선이 아니며

오로지 늘 푸르른 소나무 만이 어떠한 목적없이 그 자체로써 푸르른 것이기 때문에 선하다고 본것입니다.

 

칸트에 의하면 '선의의 거짓말'이란것도 존재할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짓말이 어떠한 의도,목적을 지닌채로 실현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선하다고 주장할수 없는것입니다.

 

한편 이러한 칸트의 주장에 의하면 모순의 상황이 생기는데

바로 보편적 진리간의 충돌이 생길 경우입니다.

우리가 친구와 서로 위기의 상황이 닥치면 도와주기로 약속했다고 가정합시다.

어느날 친구가 실수로 살인을 저지르고 우리 집에 찾아와 숨겨달라고합니다.

경찰은 친구와 친한 '나'에게 찾아와 묻습니다.

"혹시 친구분께서 이 집에 숨어계십니까?"

이럴 경우 칸트에 의하면 이도저도 못한 상황이 됩니다.

 

정언명령에 의하면 약속은 지켜야 하는것이고, 거짓말은 하면 안되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칸트의 사상에서 모순이 있음을 지적한 사람이 바로 관념론을 완성한 헤겔입니다. 

 

 

조금 더 부연한 설명

 

비 경험적인 형이상학을 대할 때 난해한 술어들을 따라 저술한 사람의 의도를 확호 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쉽지 안은 일이다. 그런 점에서 극히 형이상학적인 칸트(kant immanuel 1724-1804)의 도덕철학도 그의 저술을 따라 들어가기보다는 나 스스로 먼저 칸트가 되고, 다음 그의 펜촉이 흘러간 점철을 들여다보는 편이 더 용이할 것이다.



지금 내가 아들에게 '너는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일러 놓고 돌아서서 '어떤 생각, 어떤 행동들이 착한 것인데?' 하고 스스로 되묻는다면 나는 지금 반은 칸트가 되어 있다.



내가 아들에게 '너는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한 지시는 한번 더 깊이 생각하면 나 자신 속에 절대적 법칙이 있어서 한 것이 아님으로 내가 한 것이 아니고, 내 뒤에서(또는 나의 영역밖에 존재하는) 모종의 선천적 도덕법칙이 그렇게 지시하도록 나에게 지령한 것을 실천한 것으로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모종의 선천적 법칙은 어떤 양상일까?



나에게 도덕규칙을 지시하도록 지령하고 있는 선천적 법칙은 무제약적 절대적인 것이고 순수해야 한다. 그가 순수할 수 있는 것은 나 또는 모든 사람의 경향들에 영향 밭지 안고 독립해 있음으로서만 가능해 진다. 모든 경향들로부터 자유로운 선천적 도덕법칙은 순수한 도덕적 의무이다 이 도덕적 순수의무는 그것에 의한 의지 즉 선의지를 앞세워 도덕의 실현에 다가간다.



따라서 "이 세상 또는 이 세상 밖에서라도 선의지(善意志)이외에 무조건 선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라는 [道德 形而上學 原理]제 1장의 첫 구절은 칸트 윤리 설의 출발점인 동시에 기본 전제가 된다.





■인간(人間):감각적인 동시에 이성적임으로 의지도 감각에 따르는 의지와 이성에 따르는 의지가 있다. 이성적 의지는 순수의지이고 순수의지는 무제약적이므로 이성적 의지는 자유의지다.

■선천적(先天的):경험에 선행해 경험에 상관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천적인 것은 순수하다. 그럼으로 필연적이고 보편성을 가진다.

■실질적(實質的):형식적이고 내용을 가지며 경험적이다.

■의지(意志):의무의 현실로의 전령자(傳令者) 이다.(*필자주) 따라서 순수 도덕법칙을 따르는 의지는 순수한 선의지이다.

■지령(指令):그때그때 행위자에 내려지는 지시

■ 법칙(法則)은 선천적임으로 절대적이고 규칙은 후천적임으로 상대적일 수 있다. 따라서 선천적 도덕 법칙은 순수하다.

■경향(傾向):애착(愛着)이라고도 한다. 항상 주관적 감정적 의욕적임으로 도덕적인 것과는 대립된다.





<비판적 고찰>

칸트는 본래 도덕의 무제약적으로 타당한 실천법칙이 존재함을 확신했고 선천적 입법의 형식이 요청하는바 "네 의지의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서 타당하도록 행위 하라" 는 선천적 준법을 호명함으로서 그 형언을 사람들이 지켜야할 규범으로 선언한다.



이러한 칸트의 도덕철학에 대해 그러면 그 '선천적 입법'이라는 것이 과연 가능할 수 있는 것인가? 에 학자들의 집중된 비판이 가해지면서 그것이 불가한 현실이 밝혀지고 칸트의 도덕철학은 칸트 자신의 주관적 희망사항이 된 것은 예전의 일이다. 즉 비판 윤리학의 입장에서 비판을 가할 필요도 없이 칸트의 도덕철학은 회생 불능의 폐물이 돼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경험주의적인 비판윤리학의 입장에서 한마디 더 거든다면 경험 계의 제 경향들의 간섭 속에서는 성립할 수 없어서 경험 계를 사상(버리고)하고 홀로 고립무원에서 성립된 '선천적 입법'이 어떻게 경험 계를 다스릴 메카니즘을 담을 수 있어서 다시 인간의 세계에 지령을 하고 연동 할 수 있다는 것인가? 자연에 필연은 있어도 마술은 업기 대문이다.

칸트의 사상

칸트의 사상을 보고 바뀐 가치관이나 생각을 써야하는데 어케 써야할지 모르겠어요 ㅠ 도덕적 자유와 책임: 칸트는 인간의 도덕적 행동은 이성적인 의지에 기반해야 한다고...

윤리 사상 칸트 의무론

칸트는 도덕 법칙을 실천하는 것이 행복이라는 의무론을 주장했잖아요 그런데 자신의... 이해가 잘 안되네요 칸트는 행복과 의무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 않습니다. 인간은...

칸트의 의무주의 윤리사상의 한계점...

칸트의 의무주의 윤리사상의 한계점과 이를 공리쥬의 윤리사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이유 알려주세요 칸트의 의무론 사상은 보편화 가능한 도덕법칙에 따라 오로지 의무에서...

칸트 사상 [ 내공 100 ]

1 ) 칸트 사상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 2 ) 칸트의 핵심 사상 3 ) 칸트의 사상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이 세가지 궁금합니다. 빠른 답변 부탁 드릴게요. 내공 100 (1) 칸트철학의...

칸트와 루소 사상

루소가 칸트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데 어떤 영향을 줬나요? 루소의 사상이 칸트에게일정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덕철학에서 루소의 인간 본과 자유에 관한...

칸트의 사상은 종교와 관련이 있나요

칸트의 사상이 종교와 연관이 있는지 없는지 알려주세요 세특에 들어가있는 내용이라 너무 급박합니다ㅠㅜ 부탁드릴게요 이만큼 칸트(Immanuel Kant)의 사상은 종교와 관련이...

칸트의 사상...?

칸트는 만약 내가 길을 잃은 아이가 불쌍해서 도와줬다거나 버스에 탄 노인분이... 라고 칸트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맞나요? 네. 칸트는 도덕적인 행동을 의무에 따라...

칸트의 사상

칸트의 사상을 말하고자하면 칸트의 철학에 대해 말해야하는건가요? 3대비판서에 대해 풀어서 말해야하는건가요? 사상과 철학은 다른개념인건가요? 약간 용어의 정의가...

칸트 연관 사상

생윤 수행으로 자신이 마음에 드는 사상가의 사상 3가지를 적어야하는데 칸트의 정언명령 외에 다른 주장 두가지 추천좀 해주세요!! 진로는 서비스입니다 1. 순수이성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