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질문이여..

안동김씨 질문이여..

작성일 2009.05.26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여 님들?

안동김씨에 대해 이것저것 알려주세여.. 제발여...

내공 20겁니다. 부탁이에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시조(始祖) 소개  

<西峰 金思達 博士 墨書--長樂無極>

 

 

 

 

1. 신라김씨 비조(鼻祖) 대보공(大輔公 諱 閼智)

 비조(鼻祖)인 대보공(휘 알지-閼智)은 서기 60년(신라 탈해왕 4년) 8월 4일, 신라의 서울인 서라벌(금성) 서쪽 계림(鷄林, 또는 始林)의 숲속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던 금궤(金櫃)에서 태어났다. 탈해왕은 이는 <하늘이 준 아들>이라 하면서 금궤에서 나왔다고 하여 성씨를 김씨로 사성(賜姓)하였다.

 금궤 속에서 나온 동남(童男)이 마치 박혁거세(朴赫居世)의 고사와 같으므로(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 이름 했다. 이 '알지'는 향찰(鄕札-순 우리말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표기하던 신라시대의 문자)로 표기한 것으로서 '소아(小兒), 아이, 아기'를 일컫는다.

당시 탈해왕(脫解王)은 '알지'를 태자로 책봉했으나 후에 알지는 이를 파사에게 양위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6대손인 '미추(未鄒)'가 왕위에 올랐다. '알지'를 신라김씨(안동김씨 포함)에서는 시조로 모신다.

이에 대한 <三國遺事>(一然 著)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永平3年 庚申(一云 中元 六年. 誤矣. 中元盡二年而已), 八月四日, 弧公夜行月城西里, 見大光明於始林中(一作鳩林), 有紫雲從天垂地, 雲中有黃金櫃, 掛於樹枝, 光自櫃出, 亦有白鷄鳴於樹下.以狀聞於王, 駕幸其林, 開櫃有童男, 臥而卽起, 如赫居世之故事, 故因其言, 以閼智名之. 閼智卽鄕言小兒之稱也. 抱載還闕, 鳥獸相隨, 喜躍 足倉足倉 .王擇吉日, 冊位太子. 後讓於婆娑不卽王位, 因金櫃而出, 乃姓金氏, 閼智生熱漢, 漢生阿都, 都生首留, 留生郁部, 部生俱道(一作仇刀), 道生未鄒, 鄒卽王位, 新羅金氏自閼智始.

 <해석>

영평3년(*주1) 경신(*주2) 8월 4일에 호공이 밤에 월성(月城)의 서리(西里)를 걸어 가고 있었는데, 큰 광명이 시림(*주3) 속에서 나오는 것을 보았다. 자주색 구름이 하늘에서 땅으로 뻗쳐 있었고, 그 구름 속에는 한 황금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 빛은 바로 그 궤로부터 나오고 있던 것이었고, 그 나무 밑에서는 흰닭이 울고 있었다.

이 모습을 왕(석탈해왕)께 아뢰자 왕은 친히 그 숲으로 행차하였다. 그리고 왕이 그 궤를 열어 보았더니 그 속에서는 어린 사내아이가 있었는데 누워 있다가는 곧 일어났다. 이것은 마치 혁거세의 고사와 같았는데(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왕은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고 이름하였다. 알지는 곧 우리말로 '아기(小兒)'를 일컫는다. 왕은 이 사내아이를 안고 대궐로 들어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라와 뛰놀고 춤추었다.

왕은 길일을 택하여 세자로 책봉했으나 (알지는) 뒤에 파사왕에게 사양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金)씨라 했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郁部)를 낳고, 욱부는 구도(仇道 혹은 仇刀라 함)를 낳고, 구도는 미추(未鄒)를 낳았는데 미추가 왕위에 올랐으니 신라의 김씨는 알지에서 시작되었다.

<三國遺事>李丙燾譯.大洋書籍 刊. 1972. p104)

*주1. 영평3년 : 서기 60년, 탈해왕 4년

*주2. 경신(庚申) : 혹은 중원 6년이라고 하나 잘못이다. 중원은 2년 뿐이었다.

*주3. 시림(始林) : 혹은 구림(鳩林)이라고도 한다

  
          
<鷄林-대보공 탄강지. 경주시 >

*<신증동국여지승람> 내의 기록 내용 (2003. 4. 23. 윤만(문) 제공)

▣ 제3권 p236<경주부 고적(古蹟) ; 김알지(金閼智)>

--시림(始林) : 부의 남쪽 4리에 있다. 탈해왕(脫解王) 9년에 임금이 밤에 금성(金城)의 서쪽 시림(始林)의 수풀 사이에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대보(大輔) 호공(瓠公)을 보내어 가보게 하였더니, 황금빛 작은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임금이 궤를 가져다가 여니, 작은 사내아이가 있었다. 임금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훌륭한 아들을 보내줌이 아니겠는가?" 하고, 곧 거두어 양육하였다. 이름을 알지(閼智)라고 하였으며, 그가 금궤(金櫃)에서 나왔으므로 성(姓)을 김씨(金氏)로 하였다. 인하여 그 숲을 계림(鷄林)이라 이름하고, 인하여 나라 이름으로 하였다. 숲 속에 쌓은 돌이 있는데 높이가 3척이나 된다. 속설에 전하기를, "알지(閼智)의 태(胎)를 풀 때에 가위를 놓았던 돌로서, 가위의 흔적이 있다." 한다. 알지의 7대손 미추(味鄒)가 조분왕(助賁王)의 왕녀[딸]에게 장가들었더니, 아들이 없어서 미추가 대신하여 섰는데[즉위하였는데],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가진 시초였다.

 

1.<안동김씨(安東金氏)에 대한 개괄적 소개>

<우리 성씨의 명칭에 대해>

  안동김씨라 하면 일찍이 고려조부터 우리 안동김씨만을 일컬어 왔다. 그런데 조선 중기에 후안동김씨(後安東金氏, 일명 新安東金氏)가 생겨나 혼동이 생겼다. 일반적으로 안동김씨라 함은 우리만을 일컫는 것이 원칙이나 두 안동김씨를 구분해야 할 경우에는 우리를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또는 舊安東金氏)라고 부른다.

 옛날, 그리고 경상도에서는 안동의 다른 명칭을 살려 상락김씨, 화산김씨, 영가김씨, 고창김씨, 복창김씨, 또는 선안동김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종전에는 우리 성씨를 先 安東, 또는 舊 安東으로 혼용해 왔으나 본 홈페이지에서는 2001. 11. 11.부터 先安東이란 명칭을 가능하면 주로 사용하기로 함.)

 

 안동김씨는 신라김씨의 시조이신 대보공(大輔公) 휘 알지(諱 閼智)의 후손 중 한 성씨이다. 평장사공(平章事公) 휘 숙승(諱 叔承-경순왕의 손자)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경순왕의 8대손으로서 고려조에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높이 추앙받는 충렬공(忠烈公) 휘 방경(諱 方慶)을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충렬공은 안동에서 출생하여 고려조에 삼별초를 평정하고 고려 도원수로서 일본 원정에 나선 뒤 돌아와 최고 관직인 추충정난정원공신 벽상삼한 광정대부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推忠靖難定遠功臣 壁上三韓 匡靖大夫 三重大匡 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로 치사(致仕)한 후  가자(加資)되어 첨의령(僉議令)에 이르렀으며, 상락군(上洛郡) 개국공(開國公)에 봉해지고 안동을 식읍(食邑)으로 받았다. 몰 후 선충협모 정난정국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宣忠協謀 定難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에 추증되고 시호 충렬(忠烈)을 받으셨다.

 안동김씨는 신라 왕손이며 고려왕의 외손(外孫)으로서 고려 500년간 대대로 공경장상(公卿將相)이 끊이지 않았다. 고려가 망하자 많은 사람들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지켜 각 지방에 흩어져 은거하였고, 그 후 형성된 세거지(世居地)를 중심으로 후손들이 번성하였다.

 조선조에 와서도 태종조에 좌정승을 지내신 익원공(翼元公) 휘 사형(諱 士衡)을 비롯한 4분의 정승(政丞-士衡, 石質, 壽童, 自點), 6분의 호당(湖堂-壽寧, 澍, 弘度, 瞻, 緻, 德龍), 4분의 청백리(淸白吏-碔, 延壽, 睟, 時讓), 두 분의 충무공(忠武公-時敏, 應河), 5분의 장신(將臣- 應海, 世翊, 重器, 흡(水+翕), 善弼) 등이 배출되었고 수많은 고관대작(高官大爵)과 충신열사(忠臣烈士)가 끊이지 않았으며, 모름지기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서의 명분을 지켜왔다.

 근대에 들어와 일제 강점 시절에는 많은 분들이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였으며, 특히 상해 임시정부의 주석으로서 평새토록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백범 김구(金九)선생이 배출되어 문명(門名)을 크게 빛냈다.

 

 *<안동김씨 인구>

  1)2000년 통계청 발표 : 425,000여명(전체의 0.9%). 인구 순위 18위.

  2)안동김씨 대종회의 기미보(1979년 간 대동보) 기준 자체 추정인원 : 약 60만명(2000. 12. 현재. 재외교포 포함)

 

 *<통계청 발표--2000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2003. 1. 29. 정보미님 제공)

1985년 조사결과 398,240명(전체의 1%), 인구 순위로는 18위 에서 이번 조사시 425,000 (전체의0.9%) 여명으로 인구순위는 변동없이 18위이며, 안동김씨 인구는 6.8% 증가한 2만7천여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됨

 

2. 주요 역사적 인물 간략 소개  (자세한 것은 본 홈 <역사적 주요 인물>란에서 볼 수 있음)

 *김효인(孝印) : 방경의 父. 병부상서·한림 학사(兵部尙書翰林學士)를 지냄.

 *김방경(方慶) : 고려 충렬왕 때의 명신. 삼별초 평정, 2차에 걸친 일본 정벌에 고려 도원수로 참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림. 최고 관직인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三重大匡 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로 치사(致仕)하고 상락군 개국공(上洛郡開國公)에 봉해짐. 첨의령(僉議令)에 가자되고 몰 후 충선왕때 선충협모 정난정국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宣忠協謀 定難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에 추증.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안동김씨의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세수(世數)를 정(定)한다.

 *김선()  : 방경의 장자. 밀직사부지사(密直司副知事)를 지냈다.

 *김흔(忻) : 방경의 차자. 찬성사를 지냈다.

 *김순(恂): 방경의 三子. 삼사판사(三司判事)를 지냈다.

 *김윤(惀): 방경의 四子.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를 지냈다.

 *김승용(承用) : 선의 아들. 대제학을 지냈다.

 *김승택(承澤) : 평장사를 지냈다.

 *김영돈(永暾) : 고려조에 좌정승역임. 조적의 난 평정. 1등공신. 상락부원군이 되었다.

 *김영후(永煦) : 우정승을 지내고 후손이 조선 전기에 세력을 크게 떨쳤다.

 *김사형(士衡) : 조선조 개국공신, 좌의정을 역임했다.

 *김질(石質) : 좌의정을 지냈다.

 *김시민(時敏) : 진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진주대첩을 이루었다.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시호는 충무공이다.

 *김수동(壽童) : 영의정을 지냈다.

 *김찬(瓚) : 이조판서를 지냈다.

 *김자점(自點) :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김제갑(悌甲) : 원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아들 시백, 부인 전주이씨와 함께 순절했다.

 *김시양(時讓) :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중추부사를 역임.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김휘(徽) : 김시양의 아들. 이조판서를 지냈다.

 *김득신(得臣) : 숙종 때의 유명한 시인이며 참판을 지냈다.

 *김응하(應河) : 무장(武將)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응해(應海) : 김응하의 동생. 훈련대장을 지냈다.

 *김중기(重器) : 훈련대장을 지냈다.

 *김구(九) : 백범(白凡). 독립운동가, 정치가. 3.1운동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의 경무국장과 내무총장을 지냈으며, 1928년에 한국독립당을 결성했다. 1940년 임시정부의 주석이 되었으며, 해방이 되자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귀국하여 독립당 당수 등으로 있다가 안두희에게 암살 당했다.

 

3. 기타 주요 내용 소개

 1)공신(功臣)소개 (11명)

1. 개국공신(開國功臣) 태조원년(1392) : 1등 金士衡(익) ***원종 金哲(정)
2. 정사공신(定社功臣) 정종원년(1398) : 1등 金士衡(익)
3. 좌익공신(左翼功臣) 세조원년(1455) : 3등 金 石質(김질, 익)
4. 좌리공신(佐理功臣) 성종 2년(1471) : 2등 金 石質(김질, 익), 3등 金壽寧(전)
5. 정국공신(靖國功臣) 중종원년(1506) : 2등 金壽童(익), 3등 金壽卿(익), 4등 金 石武(김무, 익)  ***원종 金百勻(정)
6. 광국공신(光國功臣) 선조23년(1590) : 3등 金澍(안)
7. 호성공신(扈聖功臣) 선조37년(1604) : 3등 金龍(?군)
8. 선무공신(宣武功臣) 선조37년(1604) : 2등 金時敏(제) ***원종 金欽(익), 金益哲(익)
9. 정사공신(靖社功臣) 인조원년(1623) : 1등 金自點(後 追奪, 익), 3등 金鍊(익)
10. 진무공신(振武功臣) 인조 2년(1624) : 2등 金慶雲(문), 3등 金光 火肅(김광수, ?군) ***원종 金自剛(익) 金涉(김섭, 안)
11. 분무공신(奮武功臣) 영조 4년(1728) : 3등 金浹(김협, 부) ***원종 金天柱(안), 金天章(안), 金聲玉(안), 金聲秋(안), 金時達(안)

 

  2)상신(相臣) 소개 (4명)

  1. 사형(士衡,익) : 조선 태조, 좌의정

  2. 질(石質, 익) : 조선 세조 , 좌의정

  3. 수동(壽童, 익) : 조선 연산, 영의정

  4. 자점(自點, 익) : 조선 인조, 영의정

 

 3)역대 삼도수군 통제사 역임자 (10명)

  김응해(金應海), 김적(金 책받침+易),  김세익(金世翊), 김중기(金重器), 김중원(金重元), 김흡(金 水+翕), 김집(金潗), 김광(金 洸), 김윤(金潤), 김영수(金永綬),

   가)삼도 수군 통제사란 : 1593년 초대통제사 이순신, 2대원균, 3대이순신…1894년 208대통제사 홍남주에 이르기 까지 300년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3도의 수군을 지휘한 총사령관(종2품직)이다. 원래는 각 도의 수군절도사가 수군을 지휘하였으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수군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삼도수군통제사를 신설하고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을 임명한 것이 그 시초였다. 삼도수군통제영 예하에는 경상좌,우수영과 전라좌,우수영 그리고 충청도 수영등 5개 수영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각 수사(水使)는 정3품직이다.

  나)역임자와 역임 기간 :

  (1) 35대   김응해(金應海)  1646. 3. ~ 1648. 3.  만기.(副使公 孫)

  (2) 43대   김   적(金 책받침+易)  1659. 8. ~ 1660. 1.  병으로 사임.(翼元公 10代孫)

  (3) 63대   김세익(金世翊)  1685. 3. ~ 1686. 6.  병으로 사임.(應海의 孫)

  (4) 71대   김중기(金重器)  1695. 8. ~ 1695. 11. 이인좌의 난으로 고난.(應河의 曾孫)

  (5) 85대   김중원(金重元)  1711. 11. ~ 1713. 5.  전근.(應海의 曾孫)

  (6) 92대   김중기(金重器)  1718. 9. ~ 1720. 1.  재임.(應河의 曾孫)

  (7) 100대 김   흡(金    翕)  1727. 12. ~ 1729. 12.  만기.(世翊의 孫)

  (8) 104대 김   집(金    潗)  1733. 6. ~ 1736. 4.   만기.(重元의 子) 

(9) 106대김 광(金 洸) 1737. 9.~ ? (應海의 玄孫)

  (10)116대 김   윤(金    潤)  1754. 3. ~ 1755. 2.   파직 (應海의 玄孫)

  (11)140대 김영수(金永綬)  1786. 1. ~ 1786. 7.   순직 (郡事公 後孫)

    *김중기선조님 은 1회 재임하셨기 때문에 10분이 통제사를 역임함

 

 4.<후 안동김씨(後 安東金氏-일명 신 안동김씨)에 대하여>

 안동김씨에는 신라김씨의 시조인 태보공(諱 閼智)의 후손으로서 본관명은 같으나 그 시조를 달리하는 두 종중(宗中)이 있으니 선(先)안동김씨와 후(後)안동김씨가 그것이다.

 후안동김씨는 고려 태사공(泰師公-金宣平)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태사공은 신라말에 고창(古昌-안동의 옛이름)의 성주였는데 신라가 후삼국으로 나뉘어 각축을 벌이고 있을 때 후백제의 견훤군을 격파하고 고려 태조 왕건에게 귀부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고, 벼슬이 태광태사(泰匡泰師)에 이르렀다. 후에 그 후손들이 본관을 안동으로 삼았으며, 조선 중기에 도정(都正)을 지낸 김극효(金克孝)를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그밖에 지절파, 원수파, 열파 등 3파가 있다.

 조선 중기에 와서 성씨 운(姓氏 運)이 크게 일어났는데, 인조때 도정공의 아들로서 우의정을 지내고 대문장가인 선원 김상용과 좌의정을 지낸 청음 김상헌 형제가 나타남으로써 비로소 크게 번성하였다. 그 후 300년 동안 15명의 정승과 6명의 대제학, 1명의 호당, 1명의 청백리, 9명의 장신(將臣), 그리고 3명의 왕비를 배출하였다.

 순조 이후 철종까지 약 60년 동안은 후안동의 일문인 장동김씨들이 정권을 좌우하는 세도정치 가문으로서 대명문(大名門)을 이루기도 하였다.

 선 안동김씨(先 安東金氏)와 후 안동김씨(後 安東金氏)는 이처럼 그 시조를 달리하기 때문에 서로 일가(一家)는 아니며, 서로 통혼을 하였고 지금도 합법적으로 혼인할 수 있다.

 * 후안동김씨 중앙 화수회 연락처 : 02) 465-0727

 * 후안동김씨 홈페이지 : andong-kim.co.kr

 

 *후안동 김씨(일명 신안동) 항렬표(태사공 김선평 22세손 이하)

 0 淳 0 根 炳 0 0 圭(均) 0 鎭 0 漢 0 東 0 顯 0 年 0 鎰 0 求 0 模 0 然

 

 

5. 각종 통계표

 1) 파별 인원 및 과거 급제자 상황 (1979년 간 대동보(기미보) 기준) (2003. 12. 6. 정보미제공)    

 15 대 파   

대동보의 면수(P)

대동보의
비 율 (%)

유명인물(명) 

과거급제자문과(명) 

과거급제자무과(명) 

과거급제자합계(명) 

주 거 주  지 

밀직사사공파

        168

 1.6

  . 

 .

 .

 .

함경도 

개성윤공파

 308 

 2.9

  . 

 2

 3

 5

서울,경기도

군사공파 

 686 

 6.4

  1 

13

14

 26

서울,경기,충청

전서공파 

 537 

 5.1

  2 

 4

 3

 7

경기,충청,경상

부사공파 

 322 

 3.0

 3

 7

 90

97

강원전라경상

문온공파

 962 

 9.0

 .

 7

 2

 9

서울,경기도

안정공파 

  24 

 0.2

 1

 1

 .

 1

충청도 

도평의공파

 437 

 4.1

 1

12

 2

14

경상도

대호군공파

 109 

 1.0

 .

 1

 .

  1

전라도

제학공파 

       1126

10.6

 8

24

21

 44

충청,경상도

판삼사공파

   27 

 0.2

 .

 1

 .

  1

황해도

안렴사공파

2047 

19.3

 2

 21

  31 

 52

경기,충청도 

익원공파 

3557 

34.5

 9

32 

 8

 40

충청,경상,전국

서운관정공

  138 

 1.3

 4

 13

 .

 13

서울,경기도

정의공파 

  154 

 1.5

 .

 .

 .

 .

강원도

합계 

      10602 

    100.7

 31

 137

174 

 311

 

비고: 

(1) 각파별 상황은 1979년 발행 대동보에서 차지하는 면수와 비율로 추산함.

(2) 유명인물은 조선시대 인물중 동국여지승람, 한국전고, 조선명인전, 새우리말 큰 사전에 실린 인물을 선정하였으며 도평의공파의 큰 학자 종덕공과 서운관정공파 성립공의 부인 허난설헌을 추가 하였음.

(3) 과거 급제자는 대동보 1권의 등과 방목을 기준으로 함.  

(4)  출처: 삼소재 문집(P.275) 

    

 2) 행정구역별 가구 및 인구수

    (1) 1985년 통계청 발표 자료 (2002. 10. 16. 정보미 제공)

    * 통계청 (http://www.nso.go.kr/)의 자료.  이 자료에는 선.후 안동김씨 모두의 통계가 따로 나와 있지만, 선안동의 통계(95,736 가구/398,245 명)가 순수(1985년 조사.통계시 선.후를 확실히 나누어서) 한 선안동만의 통계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시의 성씨별 자료는 아직 발표(발표 미정?)가 안 된걸로 알고있음.

  가구수(세대) / 인구수(명)

서울25,641/105,122 

종로구           736 /2,810      

중구550 /2,138       

용산구774 /3,210   

성동구2,056 /8,533   
  동대문구2,708 /11,247  성북구1,526 /6,211  도봉구2,498 /10,148  은평구1,079 /4,691 
  서대문구1,000 /4,130  마포구1,175 /4,724  강서구1,844 /7,623  구로구1,785 /7,148 
  영등포구1,163 /4,786  동작구1,012 /4,229  관악구1,302 /5,382  강남구1,980 /8,220 
  강동구2,453 /9,892        
부산 6,082 /25,309  

중구   166 /595

서구 314 /1,381  동구307 /1,341  영도구305 /1,307 
  부산진구1,020 /4,115   동래구1,426 /5,806  남구846 /3,513  북구662 /2,854 
  해운대구495 /2,050   사하구487 /2,126  강서출장소54 /221    
대구6,858 /27,481  중구601 /2,289  동구1,117 /4,631  서구1,890 /7,478  남구1,080 /4,331 
  북구1,207 /4,818  수성구963 /3,934     
인천 3,727 /15,121  중구   211 /869  동구    387 /1,633 남구1,640 /6,628  북구1,489 /5,991 
경기도12,247 /50,284  수원시1,235 /4,796  성남시1,154 /4,818  의정부시412 /1,600  안양시977 /3,786 
  부천시1,020 /4,037  광명시569 /2,232  송탄시144 /566  동두천시182 /758 
  양주군152 /709  남양주군752 /3,087  여주군218 /958  평택군361 /1,641 
  화성군495 /2,126  시흥군396 /1,623  파주군422 /1,793  고양군432 /1,771 
  광주군442 /1,795  연천군 150 /623  포천군298 /1,218  가평군158 /650 
  양평군204 /830  이천군339 /1,489  용인군393 /1,702  안성군233 /1,135  
  김포군280 /1,238  강화군288 /1,149  옹진군 90 /349  반월출장소266 /1,079 
  과천출장소185 /726       
강원도4,745 /20,139  춘천시440 /1,732  원주시460 /1,898  강릉시488 /2,038  동해시267 /1,119  
  태백시565 /2,466  속초시 155 /605  춘성군 93 /385  홍천군111 /501 
  횡성군 90 /384  원성군 152 /635 영월군212 /922  평창군186 /817 
  정선군368 /1,643  철원군 181 /750 화천군 78 /321   양구군 63 /264 
  인제군    85 /363 고성군  56 /258  양양군 32 /148  명주군182 /814 
  삼척군481 /2,076       
충북 5,916 /25,503  청주시1,697 /6,983  충주시416 /1,772  제천시454 /1,983  청원군704 /3,185 
  보은군120 /488  옥천군  97 /428  영동군170 /673  진천군261 /1,168 
  괴산군871 /3,997  음성군463 /1,898  중원군266 /1,214  제원군138 /622 
  단양군259 /1,092       
충남6,325 /28,472  동구694 /3,114   중구 933 /4,173  유성출장소55 /267  천안시557 /2,757 
  금산군 76 /350   대덕군164 /749  연기군519 /2,066  공주군394 /1,822 
  논산군309/1,400  부여군339 /1,499  서천군 64 /280  보령군165 /782 
  청양군102 /429  홍성군 139 /582  예산군228 /1,123  서산군309 /1,377 
  당진군301 /1,417  아산군404 /1,872  천원군573 /2,413   
전북2,287 /10,137   전주시351 /1,522  군산시 206 /982  이리시202 /908  정주시 65 /307 
  남원시   31 /143  완주군189 /875   진안군56 /227   무주군68 /273 
  장수군  37 /154  임실군   29 /149   남원군   22 /123  순창군78 /340 
  정읍군153 /665  고창군258 /1,108  부안군138 /558  김제군177 /793 
  옥구군105 /441  익산군122 /569     
전남 1,428 /6,661  동구    73 /398     서구  171 /764     북구   148 /629  목포시62 /303 
  여수시   58 /279  순천시    45 /199   금성시 15 /113  광산군87 /344 
  담양군  60 /252  곡성군    28 /126   구례군  7 /36      광양군 30 /159 
  여천군      6 /42  승주군  20 /110  고흥군167 /761  보성군 78 /386 
  화순군34 /145   장흥군     26 /129   강진군    28 /117  해남군19 /111 
  영암군      4 /43  무안군  15 /81     나주군 30 /130  함평군 47 /193 
  영광군 74 /327  장성군  52 /229  완도군    8 /45  진도군    4 /21
  신안군   10 /69  여천출장소22 /120     
경북14,490 /59,374   포항시665 /2,654  경주시192 /743  김천시139 /549  안동시2,618 /9,660 
  구미시363 /1,717  영주시923 /3,679  영천시 91 /472  달성군121 /530 
  군위군   84 /364  의성군768 /3,184   안동군2,202 /8,803  청송군430 /1,863 
  영양군489 /2,147  영덕군375 /1,474  영일군177 /752 월성군145 /603 
  영천군154 /645  경산군298 /1,291  청도군  67 /269  고령군43 /141 
  성주군  84 /338  칠곡군175 /772  금릉군144 /573  선산군88 /436 
  상주군399 /1,702   문경군603 /2,789  예천군1,039 /4,289  영풍군540 /2,490 
  봉화군698 /2,927  울진군338 /1,390  울릉군  38 /128   
경남5,843 /24,089   중구460 /1,843  남구  365 /1,530  방어진출장소367 /1,495  마산시970 /3,824 
  진주시282 /1,167   창원시339 /1,342  진해시254 /1,086  충무시55 /243 
  삼천포시38 /141  김해시117 /538  진양군  83 /331 의령군64 /317 
  함안군118 /432   창녕군393 /1,492  밀양군245 /1,058  양산군315 /1,275 
  울주군144 /626  김해군153 /650  의창군118 /513  통영군23 /127 
  거제군245 /1,031   고성군    54 /206  사천군   65 /292  남해군     11 /60 
  하동군60 /278   산청군106 /436  함양군143 /616  거창군130 /636 
  합천군126 /504        
제주도    147 /553  제주시  81 /296  서귀포시39 /138  북제주군15 /66  남제주군 12 /53 
전국95,736 /398,245          


  (2) 2003년 통계청 발표 자료  (2003. 2. 13. 통계청 발표) (2003. 11. 23. 정보미 제공)

  <안동김씨의 행정구역(시.군.구)별 인구>

 이 자료는 2000.11.1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0 인구주택총조사>> 성씨및 본관별 자료 중 우리 (선)안동김씨에 관한 자료입니다.

 안동김씨의 인구는 1985년 경제기획원 통계국의 조사시 95,736 가구에 398,24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2000년 통계청 조사시 132,645가구에 425,264명으로 조사되어 본관별 성씨 순위로는 18위이며, 1985년 이후 15년동안 36,909가구 27,019명이 늘어나 안동김씨의 인구는 6.8% 증가하였습니다.

 아래 [표2]를 보면 우리 안동김씨는 1가구당/ 평균 3.2명이 거주하며, 서울ㆍ경기지역에 가장 많이 살고 있으며, 다음으로 경북ㆍ대구ㆍ부산ㆍ충북ㆍ인천 순으로 많이 살고 있어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1] 각 시.군.구별 세부 인구 사항 (2000.11.1 통계 조사 실시. 2003. 2. 13 통계청 발표)   가구수/인구수(명)

전국 132,645 /425,264

 

1985년 통계는 

95,735가구에 

398,245명 임 

 

서울29,778/94,981 

종로구 518 /1,538  

중구 357 /1,018  

용산구 646 /2,071  

성동구977 /2,970  

광진구 1,198 /3,696  

 

동대문구1,267 /3,895  

중랑구 1,298 /4,206  

성북구 1,398 /4,465  

강북구 1,019 /3,269  

도봉구 1,095 /3,557  

 

노원구 1,894 /6,234  

은평구 1,207 /4,029  

서대문구1,047 /3,319  

마포구 1,049 /3,312  

양천구 1,288 /4,377  

 

강서구 1,629 /5,284  

구로구 1,119 /3,592  

금천구 795 /2,451   

영등포구1,245 /3,879  

동작구 1,191 /3,737  

 

관악구 1,352 /4,249  

서초구 1,147 /3,575  

강남구 1,671 /5,175  

송파구 1,887 /6,190  

강동구 1,484 /4,893  

부산8,476/27,861  

중구132 /379   

서구 271 /899   

동구 319 /938   

영도구 368 /1,184  

부산진구999 /3,218  

 

동래구 658 /2,178  

남구 724 /2,430  

북구 720 /2,455  

해운대구1,006 /3,328  

사하구 781 /2,649  

 

금정구 630 /2,058   

강서구 107 /322   

연제구 512 /1,690   

수영구410 /1,365   

사상구622 /2,072   

 

기장군 217 /696   

       

대구10,040 /32,603  

중구 352 /1,017   

동구 1,547/4,799  

서구 1,277/4,125  

남구 694 /2,149   

북구 1,835/6,059  

 

수성구 1,719 /5,664  

달서구 2,139 /7,220  

달성군 477 /1,570   

   

인천7,396 /24,279  

중구 201 /643   

동구 235 /743   

남구 1,210/3,922 

연수구 825 /2,731   

남동구 1,121/3,700  

 

부평구 1,511 /4,978  

계양구 1,000 /3,410  

서구 1,002/3,325  

강화군265 /741   

옹진군 26 /86   

광주     850 /2,937

동구 68 /188   

서구 168 /618   

남구 117 /401   

북구 290 /1,046  

광산구 207 /684   

대전3,774 /12,312  

동구 671 /2,093   

중구 642 /2,134   

서구 1,336/4,380  

유성구 400 /1,419   

대덕구 725 /2,286   

울산 2,666/8,887  

중구 589 /1,977   

남구 834 /2,714   

동구 560 /1,886   

북구 322 /1,093   

울주군 361 /1,217   

경기도 26,337/87,728  

수원시 2,906 /9,530  

수원장안구911 /2,985   

수원권선구952 /3,193 

수원팔달구1,043 /3,352  

성남시 2,708/8,948  

  성남수정구751 /2,403 

성남중원구768 /2,464  

성남분당구1,189 /4,081  

의정부시1,033 /3,457  

안양시1,679 /5,626  

 

안양만안구761 /2,413  

안양동안구918 /3,213  

부천시2,237 /7,344  

부천원미구1,116 /3,680  

부천소사구583 /1,884  

 

부천오정구538 /1,780  

광명시 903 /3,139  

평택시 902 /3,041  

동두천시232 /754  

안산시1,679 /5,496  

 

고양시2,305 /7,654  

고양덕양구1,059 /3,453  

고양일산구1,246 /4,201  

과천시 217 /674  

구리시 508 /1,744  

 

남양주시1,111 /3,770  

오산시 268 /910  

시흥시 857 /2,924  

군포시 770 /2,542  

의왕시 331 /1,153  

 

하남시 372 /1,241  

용인시1,114 /3,804  

파주시 524 /1,778  

이천시 522 /1,767  

안성시 355 /1,207  

 

김포시 425 /1,398  

양주군 277 /923  

여주군 290 /993  

화성군 498 /1,670  

광주군 402 /1,305  

 

연천군 147 /465  

포천군 388 /1,299  

가평군 159 /516  

양평군 218 /656  

 

강원도5,277 /16,050  

춘천시 771 /2,372  

원주시 969 /3,089  

강릉시 965 /2,892  

동해시 364 /1,170  

태백시 349 /1,054  

 

속초시 245 /722  

삼척시 395 /1,044  

홍천군 133 /444  

횡성군 97 /303  

영월군 178 /534  

 

평창군 147 /457  

정선군 163 /458  

철원군 166 /539  

화천군 59 /165  

양구군 56 /178  

 

인제군 91 /261  

고성군 76 /226  

양양군 53 /142  

   

충북8,111 /25,397  

청주시3,427 /11,209  

청주상당구1,394 /4,616  

청주흥덕구2,033 /6,593  

충주시984 /3,085  

제천시757 /2,327  

 

청원군726 /2,362  

보은군 103 /302  

옥천군 85 /274  

영동군 162 /501  

진천군340 /1,015  

 

괴산군435 /1,056  

음성군492 /1,459  

단양군 191 /585  

증평출장소409 /1,222  

 

충남5,714 /17,932  

천안시1,840 /5,856  

공주시413 /1,346  

보령시 199 /645  

아산시621 /2,003  

서산시342 /1,075  

 

논산시 289 /928  

금산군 83 /269  

연기군520 /1,534  

부여군 327 /872 

서천군 46 /167  

 

청양군 88 /275  

홍성군 149 /442  

예산군 208 /709 

태안군115 /367  

당진군397 /1,174  

 

계룡출장소77 /270  

       

경북13,999 /41,780  

포항시 1,475 /5,034  

포항남구750 /2,513   

포항북구725 /2,521   

경주시531 /1,656   

김천시298 /939   

 

안동시 3,001 /8,627  

구미시 1,142 /3,945  

영주시 1,365/4,203  

영천시 313 /931   

상주시423 /1,153 
 

문경시526 /1,615   

경산시755 /2,413   

군위군 81 /262   

의성군863 /2,146   

청송군 339 /947   

 

영양군399 /1,013   

영덕군328 /820   

청도군 63 /192 

고령군 67 /171   

성주군 87 /269 
 

칠곡군343 /1,124   

예천군757 /2,108   

봉화군456 /1,180   

울진군 358 /947   

울릉군 29 /85   

경남 6,144/19,516  

창원시 1,211 /4,066  

마산시 1,009/3,212  

마산합포구505 /1,606   

마산회원구504 /1,606   

진주시538 /1,741   

 

진해시329 /1,051   

통영시 108 /364   

사천시124 /383   

김해시718 /2,452   

밀양시 285 /859   

 

거제시304 /1,008   

양산시443 /1,522   

의령군 75 /182   

함안군119 /300   

창녕군 306 /811   

 

고성군 58 /148   

남해군 16 /45 

하동군   57 /171   

산청군 78 /187   

함양군114 /282  
 

거창군 165 /484   

합천군 87 /248       

전북2,666 /8,274  

전주시708 /2,443  

전주완산구343 /1,208  

전주덕진구365 /1,235  

군산시392 /1,342  

익산시453 /1,422  

 

정읍시 202 /573  

남원시 66 /194  

김제시161 /495  

완주군 148 /445  

진안군 38 /104  

 

무주군 60 /167  

장수군 33 /86  

임실군 31 /77  

순창군 60 /144 

고창군 210 /514  

 

부안군 104 /268  

       

전남1,123 /3,787  

목포시 98 /340  

여수시133 /509  

순천시 136 /473  

나주시 42 /130  

광양시118 /422  

 

담양군 46 /166  

곡성군 26 /63 

구례군     7/25

고흥군 115 /373  

보성군 69 /168  

  화순군 37 /132 

장흥군 29 /89  

강진군 20 /54 

해남군 28 /108  

영암군 24 /99     

 

무안군  16 /68  

함평군 31 /71  영광군 54 /151  장성군 35 /144 

완도군 12 /52   

  진도군     6 /33 

신안군 41 /117   

     
제주도   294 /940 

제주시 178 /562  

서귀포시54 /163 

북제주군31 /111  

남제주군31 /104  

 

 

  [표2] 각 시.도별 인구 사항 (2000. 11.1 통계조사 실시. 2003. 2.13 통계청 발표)  

   행정구역

가구수

인구수(명)

행정구역

가구수

인구수(명)

전       국

 132,645     425,264  

울산광역시 

      2,666         8,887   

읍   단   위

   10,705       34,350

경   기   도 

    26,337       87,728  

면   단   위

   16,751     48,855  

강   원   도 

      5,277       16,050  

동   단   위

 105,189     342,059  

충 청 북 도 

      8,111       25,397  

서울특별시 

    29,778         94,981  

충 청 남 도 

      5,714       17,932  

부산광역시 

      8,476         27,861  

경 상 북 도 

    13,999       41,780  

대구광역시 

    10,040         32,603  

경 상 남 도 

      6,144       19,516  

인천광역시 

      7,396         24,279  

전 라 북 도 

      2,666        8,274  

광주광역시

        850          2,937 

전 라 남 도 

      1,123         3,787  

대전광역시

      3,774         12,312  

제   주   도 

         294            940 

 

 

 6.<안동김씨 조선조 과거(문과) 시험 합격자 명단> (2001. 7. 9. 주회(안) 제공)

 1) 파별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 http://www.koreandb.net/)의 조선조방목에 나와 있는 선안동김씨 급제자를 현존하고 있는 15파별로 집계함.

파명

인원수

급제자 명

1. 밀직사사공파(칠우)

 

 

2. 개성윤공파(칠림)

2

김중초, 김중옥

3. 군사공파(칠양)

13

김진, 김돈, 김석정, 김정일, 김경, 김두남, 김홍택, 김광국, 김광위, 김회빈, 김상룡, 김정호, 김영섭

4. 전서공파(성목)

4

김익정, 김익렴, 김수녕, 김한

5. 부사공파(천순)

7

김인명, 김인상, 김인, 김유, 김중희, 김호, 김영섭

6. 문온공파(구용)

9

김맹헌, 김계우, 김연수, 김극녕, 김구, 김확, 김환, 김시경, 김복인

7. 안정공파(구덕)

1

김뉴

8. 도평의공파(구정)

10

김서형, 김설, 김성좌, 김도응, 김성, 김오응, 김종구, 김종경, 김종발, 김희유

 

9. 대호군공파(유)

1

김수준

10. 제학공파(익달)

23

김고, 김익, 김충갑, 김제갑, 김효갑, 김시회, 김방, 김제현, 김시헌, 김치, 김시언(시양), 김상윤, 김호, 김경, 김소, 김휘, 김득신, 김구만, 김가경, 김덕원, 김회원, 김항광, 김명저, 김변광

11. 판삼사공파(장)

 

 

12. 안렴사공파(사렴)

17

김환, 김공망, 김공예, 김주, 김욱, 김적, 김희, 김언, 김련, 김진, 김태기, 김세익, 김도, 김복원, 김우국, 김영묵

13. 익원공파(사형)

28

김질, 김수동, 김작, 김성동, 김엄, 김형, 김식, 김언, 김덕룡, 김언심, 김억령, 김덕곤, 김찬, 김흠, 김직재, 김대유, 김계도, 김효건, 김이경, 김식, 김일성, 김정하, 김전, 김환, 김서구, 김재경, 김재성, 김경행

14. 서운관정공파(수)

12

김중연, 김희수, 김로, 김홍도, 김수, 김첨, 김성립, 김진, 김경, 김수신, 김유헌, 김회명

15. 정의공파(철)

 

 

      파 미상

3

김영세, 김명원, 김진원

130

 

 

 2)선안동과 후안동의 과거합격 비교

  (1) 조선 인조 이전까지는 안동김씨 문과합격자의 대다수가 선안동이나 인조때의 영상 김자점이 역모로 죽음을 당한후 선안동의 세가 위축되고 또한 순조이후 후안동이 세도정치를 하면서부터는 문과합격자 거의가 후안동임.

  (2)왕대별로 안동김씨 급제자중 선안동김씨 /후안동김씨 급제자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음.

태조 1/1 (선안동김씨/후안동김씨) 정종 0/0 태종 4/5 세종 3/3 문종 1/1 단종 2/2 세조 2/3 예종 0/0 성종 6/8 연산 4/6 중종 11/13 인종 0/0 명종 9/10 선조 15/20 광해 11/12 인조 10/17 효종 0/2 현종 3/5 숙종 11/24 경종 5/8 영조 18/43 정조 1/1 순조 2/29 헌종 7/30 철종 0/22 고종 2/45 순종 0/0

 

 3) 장원 급제하신 분(8분)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문) 김계우(金季友) 세종18(병진, 1436) 친시(親試) 同進士1

 ⊙문) 김맹헌(金孟獻) 세종8(병오, 1426) 식년시(式年試) 同進士1

 ⊙서) 김수신(金秀臣) 사길(士吉) 정조20(병진, 1796) 별시(別試) 甲科1

 ⊙제) 김시헌(金時獻) 자징(子徵) 선조21(무자, 1588) 식년시(式年試) 甲科1

 ⊙군) 김정호(金正浩) 고종4(정묘, 1867) 식년시(式年試) 甲科1

 ⊙안) 김주(金澍) 응림(應霖) 우암(寓庵) 중종34(기해, 1539) 별시(別試) 甲科1

 ⊙서) 김홍도(金弘度) 중원(重遠) 남봉(南峯) 명종3(무신, 1548) 별시(別試) 甲科1

 

 4)최연소로 합격하신 분

 ★전) 김수녕(金壽寧) 단종1(계유, 1453) 식년시(式年試) 乙科1 --18세

 ★익) 김수동(金壽童) 미수(眉<0x3CE4>) 성종8(정유, 1477)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18 --21세

 ★제) 김치(金緻) 사정(士精) 남봉(南峰) 선조30(정유, 1597) 알성시(謁聖試) 丙科2 --21세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21세

 

 5)최고령으로 합격하신 분

 ★제) 김명저(金明著) 정조10(병오, 1786) 식년시(式年試) 丙科9 --69세

 ★제) 김득신(金得臣) 자공(子公) 백곡(栢谷) 현종3(임인, 1662) 증광시(增廣試) 丙科19 --59세

 ★제) 김항광(金恒光) 영조49(계사, 1773) 증광시(增廣試) 丙科44 --57세

  

 6)여러 대에 연속 급제하신 분

 ★서) 김희수-김로-김홍도-김첨-김성립-김진은 (6대)

 ★익) 김질-김성동-김언-김억령 (4대)

 ★서) 김수신-김유헌-김회명 (3대)

 ★제) 김충갑-김시회-김경은 (3대)

 

 7)형제분이 급제하신 분

 ★군) 김칠양- 김진, 김돈

 ★도) 김남응- 김종발, 김종경

 ★문) 김명리- 김맹헌, 김계우

 ★부) 김중화- 김유, 김호

 ★서) 김홍도- 김첨, 김수

 ★안) 김낙서- 김욱, 김언

 ★익) 김종숙- 김질, 김작

 ★전) 김휴- 김익정, 김익렴

 ★제) 김석- 김충갑, 김제갑

 ★(제학공파) 김시회- 김경, 김치

 ★익) 김해- 김덕룡, 김덕곤

 ★제) 김계종- 김명원, 김진원

 ★부) 김진- 김인상, 김인명

  

 8)조선조 무과방목

 우리 안동김씨 족보의 등과방목에는 김시민, 김응하 등 무과에 급제하신 분이 184분이 있는데 현재 인터넷이나 자료에서 무과방목이 게재된 것이 없어 확인할 수 없음.

 아마도 조선조에는 문신우대 풍조로 말미암아 무신들은 낮추어 보았고, 또한 무신들은 전쟁터에서 젊은 나이에 많이 죽게 되는 관계로 무과방목 서류가 많이 전해지지 않아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봄.

 

 9)조선조 사마방목

현재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되는 사마방목은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나 서울대학교 도서관, 청주대학교 도서관 등 대형도서관에 사마방목CD를 비치하여 구내에서만 서비스하고 있음.

몇해전에 국립중앙도서관 5층에 있는 전산정보실에서 우리 선안동김씨의 사마방목을 복사를 시도한 적이 있으나 신안동김씨와 같이 "안동김씨"로 게재되어 있어 누가 구안동인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고 자료가 워낙 방대하여 중단한 적이 있음.

 

 10)고려방목

고려시대에도 우리 선안동김씨는 김민성, 김효공, 김효인 할아버지를 필두로 많은 분들이 과거에 합격하였으나 별도로 정리된 것은 없음.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의 족보] 홈페이지(http://www.gamoon.co.kr/) 에서 고려방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완료되어 검색이 가능해지면 본 게시판에 알려 드리도록 하겠음.

 

 7. 중요 묘, 사, 영당, 서원, 정려 위치 (2002. 11. 2. 태서(익) 제공)

명    칭

선조명

위     치

송천서원

김사렴

충북 청원군 오창면

도정사우

김영돈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도정사우

김진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도정사우

김익달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충렬사

김제갑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충렬사

김응하

함북 종성군

충렬사

김응하

함북 경원군

충렬사

김응하

평북 창성군

충민사

김시민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창렬사

김시민

경남 진주시

포충사

김응하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하갈리

의열사

김응하

평북 선천군

도암사

김질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효자정려

김익정

충남 연기군 전동면 양곡리

효자정려

김질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사충정려

김천주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천장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성추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성옥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효열정려

김몽상

강원도 강릉시 교동

부조묘

김사형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부조묘

김주

경기도 이천군 율면 본죽리

영당

김사형

경남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8. <상락사 연표> (2004. 10. 태영(군) 제공)

◀上洛史年表▶

◎ 기원전


70만년전 한반도에 구석기 문화 시작

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단구 제3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

6000년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유적 하층 형성.

5000년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

4000년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1기 및 제2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

3500년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제3,4,5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층 두도기 형성.

3000년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제6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3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2333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년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3,4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년 부산 동삼동유적 5층 영도기 형성.

1300년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3기 유적 등 형성.

1200년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년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년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년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년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 형성.

700년 논산 신기리고인돌유적, 단양 안동리석관묘유적, 부여 송국리선사취락지유적, 제천 양평리유적(청동기주거지) 등 형성.

600년 요령 정가와자유적, 파주 덕은리주거지유적, 회령 오동유적 등 형성.

500년 요령 윤가촌유적 하층 1기문화 형성. 강계 풍룡동분묘유적, 고흥 운대리지석묘유적, 광주 송암동주거지유적, 남제주 상모리조개더미유적, 밀양 월산리고분군유적 등 형성.

450년 송화강 상류 일대에 부여(扶餘) 성립.

403년 진국(辰國) 성립.

400년 철기문화 들어옴. 진국의 이주민이 서부 일본에 진출.

350년 신평 선암리유적, 진양 대평리유적 형성.

310년 승주 오봉리고인돌유적, 제주 오라동지석묘 등 형성.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 유역에 철기문화 널리 시작. 한문자(漢文字) 전래. 원3국시대 시작.

221년 진(秦)의 중국통일로 회하(淮河) 방면에서 동이(東夷)의 활동이 중단. 조선후(朝鮮侯) 조선 왕을 칭함. 연(燕)의 진개(秦開)가 조선의 서방을 침공하여 2,000여 리를 강점.

214년 조선왕 부(否) 즉위. 진의 장성공사가 요동에 이름.

209년 조선의 준왕(準王)에게 연(燕),제(齊)의 수만 호(戶)가 피난 옴.

203년 맥족(貊族)의 기병이 한(漢)을 도와 초(楚)를 공격.

202년 기자조선이 패수(浿水)를 한과의 경계로 삼음.

200년 해모수(解慕漱)설화, 금와(金蛙)설화 성립.

195년 기자조선에 요동의 위만(衛滿)이 망명해 옴. 준왕(準王)이 박사(博士)를 삼고 서계(西界)를 지키게 함.

194년 위만이 왕검성을 공략, 위만조선을 건국. 기자조선의 준왕이 남하하여 한왕(韓王)이 됨.

190년 위만왕이 진번(眞番), 임둔(臨屯)을 복속시킴.

175년 함흥 이화동유적의 토광묘, 동검(銅劍), 철기의 문화 형성.

149년 서홍 문무리유적의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관계형성.

128년 예군(濊君) 남려(南閭)가 호구(戶口) 28만을 데리고 한(漢)의 요동군에 귀부(歸附). 그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126년 창해군 폐지.

125년 황주 금석리유적의 동기(銅器),철기,목곽묘 문화의 형성.

108년 위씨조선(衛氏朝鮮) 멸망. 한(漢)의  고조(高祖) 조선을 침공, 위만의 고조선을 멸하고 낙랑(樂浪), 임둔(臨屯), 진번(眞番), 현토(玄唾)의 4개군을 설치.

107년 금속문화 전래.

99년 와질토기 제작 시작.

82년 고구려족이 임둔,진번군을 축출. 한이 낙랑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남부도위를 설치.

75년 고구려족이 현토군을 공격하여 서북쪽으로 축출.

69년 신라에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

59년 해모수(解慕漱)가 북부여(北夫餘)를 건국.

58년 동부여(東夫餘)에서 주몽(朱蒙) 탄생.

57년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칭함.

50년 신라, 왜구(倭寇)를 격퇴.

37년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京城)을 쌓고 금성(金城)이라 칭함.

28년 고구려, 부위염(扶尉..), 북옥저를 병합.

27년 신라, 천일창(天日槍)이 왜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19년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琉璃王) 즉위. 신라, 석탈해(昔脫解) 탄생.

18년 온조(溫祚)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백제국(百濟國) 건국(~후660).

5년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 기원후


3년 고구려, 졸본(卒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년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즉위.

8년 백제, 마한(馬韓)을 멸하고 병합.

14년 고구려, 양맥(梁貊)을 멸하고, 한(漢)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여 척으로 왜구 격퇴.

15년 백제, 봄~여름에 대기근 발생.

18년 백제, 탕정성(湯井城)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축조. 고구려, 유리왕 죽고(?~), 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

22년 고구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부여, 대소왕의 동생을 옹립하여 갈사국(曷思國)을 건국.

24년 신라, 남해차차웅 죽고(?~), 유리이사금(瑠璃尼師今) 즉위.

26년 고구려,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7년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년 백제, 온조왕 죽고(?~), 다루왕(多婁王) 즉위.

37년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2년 변진구야(弁辰狗耶)의 9간(九干)이 수로(首露)를 추대하여 금관가야(金官伽倻)를 건국. 신라, 이서국(伊西國)을 병합.

44년 고구려, 대무신왕 죽고(4~), 민중왕(閔中王) 즉위(?~48).

48년 고구려, 민중왕 죽고(?~), 모본왕(慕本王) 즉위(?~53).

49년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53년 고구려, 모본왕이 살해되고(?~), 태조왕(太祖王)이 즉위(~145).

57년 신라, 유리이사금 죽고(?~), 탈해이사금 즉위.

65년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년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백제, 다루왕 죽고(?~), 기루왕(己婁王) 즉위(?~128).

80년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년 고구려, 한의 요동 6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08년 신라, 비지국(比只國)․초인국(草人國)․다벌국(多伐國)을 병합.

111년 고구려, 예맥과 함께 현도를 공격.

112년 신라, 파사이사금 죽고(?~),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즉위(?~134).

128년 백제, 기루왕 죽고(?~), 개루왕(蓋婁王) 즉위(?~165).

132년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34년 신라, 지마이사금 죽고(?~),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즉위(~154).

146년 고구려, 태조왕이 아우 차대왕(次大王)에게 선위(禪位).

154년 신라, 일성이사금 죽고(?~),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즉위(~184).

166년 백제, 개루왕 죽고(?~), 초고왕(肖古王) 즉위(~214).

179년 고구려, 신대왕 죽고(?~), 고국천왕(故國川王) 즉위(~197).

184년 신라, 아달라이사금 죽고(?~),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즉위(~196).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196년 신라, 벌휴이사금 죽고(?~),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즉위(~230).

197년 고구려, 고국천왕 죽고(?~), 산상왕(山上王) 즉위(~227).

199년 가야, 수로왕 죽고(42~), 거등왕(居登王) 즉위(~253).

209년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14년 백제, 초고왕 죽고(?~), 구수왕(仇首王) 즉위(~234).

227년 고구려, 산상왕 죽고(?~), 동천왕(東川王) 즉위(~234).

230년 신라, 내해이사금 죽고(?~),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즉위(~247)

234년 백제, 구수왕 죽고(?~), 사반왕(沙伴王)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되고 고이왕(古爾王)이 즉위(~286).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247년 신라, 조분이사금 죽고(?~),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즉위(~262).

248년 고구려, 동천왕 죽고(209~), 중천왕 즉위(~270).

261년 신라, 첨해이사금 죽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즉위(~284).

270년 고구려, 중천왕 죽고(224~), 서천왕(西川王) 즉위(~292).

284년 신라, 미추이사금 죽고(?~),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즉위(~298).

286년 백제, 고이왕 죽고(?~), 책계왕(責稽王) 즉위(~298).

292년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298년 백제, 책계왕 죽고(?~), 분서왕(汾西王) 즉위(~304). 신라, 유례이사금 죽고(?~),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즉위.

300년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봉상왕 자살(?~).

307년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10년 신라, 기림이사금 죽고(?~),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즉위(~356).

331년 고구려, 미천왕 죽고(?~), 고국원왕(故國原王) 즉위(~371).

342년 고구려, 전연(前燕)의 모용황이 침공, 환도성 함락.

344년 백제 비류왕 죽고(?~), 계왕(契王) 즉위(~346).

346년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56년 신라, 흘해이사금 죽고(?~), 내물마립간(柰勿麻立干) 즉위(~402).

371년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근초고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75년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84년 백제, 근구수왕 죽고(?~), 침류왕(枕流王) 즉위(~385).

385년 백제, 침류왕 죽고(?~), 진사왕(辰斯王) 즉위(~392).

391년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392년 백제, 진사왕 죽고(?~), 아신왕(阿辛王) 즉위(~405).

400년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02년 신라, 내물마립간 죽고(?~),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즉위(~417).

405년 백제, 아신왕 죽고(?~), 전지왕 즉위(~420).

407년 가야, 이시품왕 죽고(?~), 좌지왕(坐知王) 즉위(~421).

413년 고구려, 광개토왕 죽고(374~), 장수왕(長壽王) 즉위(~492).

414년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17년 신라, 눌지(訥祗)가 실성마립간을 죽이고(?~) 즉위(~458).

420년 백제, 전지왕 죽고(?~), 구이신왕(久爾辛王) 즉위(~427).

427년 백제, 구이신왕 죽고(?~), 비유왕(毗有王) 즉위(~455).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55년 백제, 비유왕 죽고(?~), 개로왕(蓋鹵王) 즉위(~475).

458년 신라, 눌지마립간 죽고(?~),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즉위(~479). 고구려의 묵호자(墨胡子)가 불교 전파.

475년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77년 백제, 해구(解仇)가 문주왕을 살해(?~), 삼근왕(三斤王) 즉위(~479).

479년 자비마립간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즉위(~500). 백제, 삼근왕 죽고(?~), 동성왕(東城王) 즉위(~501).

491년 고구려, 장수왕 죽음(394~).

492년 고구려, 문자명왕(文咨明王) 즉위(~514)..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0년 신라, 소지마립간 죽고(?~), 지증왕(智證王) 즉위(~514).

501년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년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년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14년 신라,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519년 고구려, 문자명왕 죽고(?~), 안장왕(安藏王) 즉위(~531).

520년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1년 가야, 겸지왕 죽고(?~), 구형왕(仇衡王) 즉위(~532).

523년 백제, 무령왕 죽고(462~), 성왕(聖王) 즉위(~554).

527년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1년 고구려, 안장왕 죽고(?~), 안원왕(安原王) 즉위(~545).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년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년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40년 신라, 법흥왕 죽고(?~), 진흥왕(眞興王) 즉위(~576).

545년 고구려, 안원왕 죽고(?~), 양원왕(陽原王) 즉위(~559).

551년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2년 백제, 불상과 경론(經論)을 왜에 보냄.

553년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4년 백제, 성왕 죽고(?~), 위덕왕(威德王) 즉위(~598).

555년 신라왕,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59년 고구려, 양원왕 죽고(?~), 평원왕 즉위(~590).

561년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년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568년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76년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진흥왕 죽고(534~), 진지왕(眞智王) 즉위(~579).

579년 신라, 진지왕 죽고(?~), 진평왕(眞平王) 즉위(~584).

584년 신라, 건복(建福)으로 개원(改元).

586년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0년 고구려, 평원왕 죽고(?~), 영양왕 즉위(~618).

598년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백제, 위덕왕 죽고(525~). 혜왕(惠王) 즉위(~599).

599년 백제, 혜왕 죽고(?~), 법왕(法王) 즉위(~600).

600년 백제, 법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641).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만듦.

602년 백제, 승려 관근(觀勤)이 왜에 천문․지리․역서․방술서 등을 전함.

612년 수나라의 제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년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2차 공격).

618년 고구려, 영양왕 죽고(?~), 영류왕(榮留王) 즉위(~642).

632년 신라, 진평왕 죽고(?~),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647).

634년 신라, 인평(仁平)으로 개원(改元).

641년 백제, 무왕 죽고(?~), 의자왕(義慈王) 즉위(~660).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654년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02년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년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년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년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년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년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년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년 신라, 원성왕 `죽음(?~).

799년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800년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공식(公式) 20여조(條)>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년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년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년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년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년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년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년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년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871년 발해, 대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년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6년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년 신라, 원종(元宗), 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년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E) 즉위(~906).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년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년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여 성을 공략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년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년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년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 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년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2년 신라, 효공왕 죽고(?~), 신덕왕(神德王) 즉위(~917).

914년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7년 신라, 신덕왕 죽고(?~), 경명왕(景明王) 즉위(~924).

918년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년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4년 신라, 경명왕 죽고(?~), 경애왕(景哀王) 즉위(~927).

926년 발해의 103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934년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여 성이 항복.

935년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양여, 신라 멸망.

936년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년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년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년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년 왕규(王規)의 난. 혜종 죽고(?~), 정종(定宗) 즉위(~950).

947년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년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년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년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승과제(僧科制) 설치.

960년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西都)라 칭함.

961년 과거를 실시. 고시과목은 시(詩).부(賦).의(醫).복(卜) 등.

972년 내의시랑(內議侍郞) 서희(徐熙)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감.

975년 광종 죽고(925~), 경종(景宗)이 전시과(田柴科)를 제정.

981년 경종 죽고(956~), 성종(成宗) 즉위(~997).

983년 전국에 12목(牧)을 설치. 3성(省),6조(曹),7시(寺)를 정함.

987년 각 촌(村)의 대감(大監), 제감(弟監)을 촌장(村長),촌정(村正)으로 개정.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제정.

991년 중추원(中樞院)을 설치.

992년 국자감(國子監)을 창립하고 전장(田莊)을 함.

993년 제1차 거란침입. 안융진(安戎鎭)에서 거란군을 격파. 서희가 소손녕(蕭孫寧)과 화약(和約)을 맺음. 개경,서경과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994년 서희,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구주(龜州)에 축성.

995년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치고, 전국을 10도(道),128주(州),449현(縣),7진(鎭)으로 나눔.

997년 성종 죽고(960~), 목종(穆宗) 즉위(~1009).

998년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

1002년 6위(衛)의 군영(軍營)을 새로 설치.

1004년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1007년 화산분출로 탐라 해중에 산이 생겨남.

1009년 서북면순검사(西北面巡檢使)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980~) 현종(顯宗)을 즉위시킴(~1031).

1010년 제2차 거란침입. 순무사(巡撫使) 양규(楊規)가 곽주(郭州)에서 거란군을 섬멸.

1011년 거란군에게 개경(開京) 함락, 현종 나주(羅州)로 파천. 양규,정성(鄭成) 등이 거란군을 파하고 여러 성을 회복. 현종 환도.

1012년 도절도사(道節度使)를 폐지하고, 5도호부(都護府) 75목(牧) 안무사(按撫使)를 둠.

1014년 흥화진(興化鎭)에서 거란군 격퇴.

1015년 거란군이 흥화진,통주(通州),용주(龍州)에 침입.

1016년 곽주에서 거란군 격퇴.

1018년 제3차 거란침입. 강감찬(姜邯贊)이 흥화령(興化嶺)에서 거란군을 대파.

1019년 구주대첩(龜州大捷).

1020년 거란과 강화.

1024년 대식국(大食國:아라비아)의 상인 100여 명이 특산물을 가지고 무역하러 옴. 개경을 확장하여 5부(部) 35방(坊),314리(里)로 정함.

1029년 여진 해적선 30여 척의 침범을 격퇴.

1031년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신설.

1033년 북경(北境)에 천리장성 축조를 개시.

1034년 덕종 죽고(1016~), 정종(靖宗) 즉위(~1046).

1037년 거란의 병선이 압록강에 침입.

1044년 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에 축성함으로써 천리장성 완성.

1046년 정종 죽고(1028), 문종(文宗) 즉위(~1083).

1049년 동번(東蕃) 해적이 임도현(臨道縣)에 침입. 동여진 해적이 금양현(金壤縣) 진명(鎭溟)에 침입. 소굴을 소탕함.

1055년 최충(崔沖)이 사학(私學)을 일으킴(12公徒).

1058년 승려 해린(海鱗)을 국사(國師)로, 난원(爛圓)을 왕사(王師)로 함.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을 설치.

1061년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침.

1062년 호경(鎬京)을 다시 서경으로 고침.

1063년 국자감의 규율과 직제를 정비 강화. 거란, 대장경(大藏經)을 보내옴.

1066년 거란, 국호를 요(遼)로 고침.

1067년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흥왕사(興王寺) 준공.

1068년 양주(楊州)를 남경(南京)으로 하고 신궁을 건립. 최충(崔沖)이 구제학당(九齊學堂) 건립.

1071년 김제(金悌)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국교를 회복.

1073년 동여진 15주, 서여진 2진, 여진족 12촌 등을 편입.

1076년 등과자(登科者)의 급전제(給田制)를 정함.

1080년 보병과 기병 3만으로 정주성 외곽의 여진족을 토벌함.

1083년 문종 죽고(1019~), 순종(順宗) 즉위(~1084). 순종 죽고(1047~), 선종(宣宗) 즉위(~1095).

1094년 선종 죽고(1049), 헌종(獻宗) 즉위(~1095).

1095년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침. 헌종이 숙종(肅宗)에게 선위(禪位).

1097년 국청사(國淸寺) 낙성. 천태종(天台宗) 일어남.

1101년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고, 남경 신궁(新宮) 조영 착수.

1102년 고주법(鼓鑄法)을 제정, 해동통보 1만 5천 관을 주조하여 문무양반․군인에게 나누어줌.

1104년 윤관, 서북면행영병마도통(西北面行營兵馬都統)에 임명됨. 윤관 여진과 싸워 결맹(結盟)하고 돌아옴.

1105년 숙종 죽고(1054~), 예종(睿宗) 즉위(~1122). 탐라국을 폐하고 군(郡)으로 함.

1107년 윤관을 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여진토벌의 군사를 일으킴. 점령지역에 9성(城)을 쌓음.

1108년 여진토벌군이 포위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함.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을 포위공격, 오연총이 구원.

1109년 오연총이 길주를 구(救)함. 오연총이 공검진(公險鎭)에서 패전. 윤관 다시 길주를 구함. 9성을 여진에게 돌려줌. 국학(國學)에 7재(齋)를 둠.

1110년 제술(製述),명경(明經) 등의 과거과목을 제정.

1112년 혜민국(惠民局) 설치.

1119년 국학(國學)에 처음으로 양현고(養賢庫)를 둠.

1122년 이자겸(李資謙)이 중서령(中書令)이 되어 집권.

1128년 이자겸의 난. 궁궐을 태우고, 인종을 사가에 이어(移御)시킴. 혜민국(惠民局) 설치.

1129년 묘청(妙淸)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

1131년 노장(老莊)의 학문을 금지.

1135년 중서시랑평장사 김향(金珦)사망 (安東人 시호 원정(元靖). 묘청의 난.

1142년 8도에 어사(御史)를 보내어 주현(州縣)의 관리를 감찰.

1145년 김부식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편찬.

1147년 처음으로 승보시(陞補試) 시행.

1149년 5군(軍)을 3군으로 변경.

1155년 완산(完山)에서 농민 반란.

1162년 이천(伊川) 등지에서 대규모의 민란 발생.

1163년 남도지방에 농민반란 발생.

1164년 의종, 인지재(仁智齋)에 행차. 야반까지 유연(遊宴), 시종 정중부(鄭仲夫) 등 공분(公憤).

1168년 탐라에서 농민반란 발생.

1169년 별궁 건축을 위해 별공(別貢)을 징수.

1170년 정중부의 난.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明宗)을 세움.

1171년 궁궐에 불이 나서 전우(殿宇) 모두 불탐.

1172년 정중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됨. 서북면에서 민란 발생.

1173년 계사(癸巳)의 난, 동북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난을 일으킴. 문신 축출, 무인(武人) 임용.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의 난. 서북방 40여 성이 호응. 정중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됨.

1175년 관군, 연주(漣州)를 함락, 서경을 포위.

1176년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난. 남부지방에 민란 성행. 대규모 관군 조직.

1177년 망이․망소이의 난을 평정.

1179년 경대승(慶大升), 정중부를 죽이고 반대파를 처형. 도방(都房)을 설치.

1180년 무신(武臣)들이 사병(私兵)을 두기 시작.

1184년 이의민(李義旼)이 정권 장악.

1193년 김사미(金沙彌)의 난.

1196년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성립.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멸하고 정권을 장악.

1197년 최충헌, 명종을 폐하고, 신종(神宗)을 세움(~1204).

1198년 만적(萬積)의 난.

1200년 최충헌, 사저에 도방(都房) 설치.

1202년 탐라민란 평정. 경주,운문,울진 등이 연합하여 민란을 일으켜 주군(州郡)을 장악.

1206년 최충헌을 진강후(晉康侯)에 봉하고, 부(府)를 흥녕(興寧)이라 함.

1209년 희종(熙宗), 최충헌의 집으로 옮겨갔다가 연경궁(延慶宮)으로 돌아옴. 최충헌,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1211년 최충헌이 희종을 폐하고 강종(康宗)을 세움(~1213).

1212년 김방경(金方慶) 탄생

1216년 몽골군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寧朔鎭),정계진(定戒鎭)에 침입하여 재물을 약탈. 거란병, 황주를 침공.

1217년 5군(軍), 태조탄(太祖灘)에서 거란병에게 대패.

1218년 거란병 재침. 조충 등이 거란병을 강동성(江東城)으로 패주시킴.

1219년 조충, 김취려(金就礪), 몽골 및 동진(東眞)과 함께 강동성을 공략. 최충헌 죽고, 아들 최우(崔瑀) 집권.

1222년 몽골에 대비하여 선주(宣州),화주(和州),철관(鐵關)에 축성.

1223년 처음으로 융기도감(戎器都監)을 둠. 금주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퇴.

1225년 최우, 정방정치(政房政治) 시작(~1249).

1226년 경상도 거제(巨濟)에 침입한 왜구를 현령 진용갑(陳龍甲)이 격파.

1227년 김방경(金方慶)이 음보로 산원겸 식록목사가 되었다. 경상도 웅신현(熊神縣)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왜국이 국서를 보내어 사죄하고 수호통상을 청함.

1228년 동진(東眞), 정주(定州),장주(長州)에 침입.

1231년 제1차 몽골군 침입. 살리타[撒禮塔]를 원수로 삼아 평주(平州)를 치고 개경에 육박.

1232년 강화도(江華島) 천도.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축출. 김윤후(金允侯)가 지휘하는 부곡민이 처인성(處仁城)에서 항전. 살리타를 사살.

1233년 필현보(畢賢甫),홍복원(洪福源) 등이 모반. 필현보는 처형되고, 홍복원은 요양(遼陽)으로 달아나 반고려세력을 형성.

1234년 최윤의(崔允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주자(鑄字)로 인행(印行).

1235년 몽골군, 용강(龍岡),삼등(三登),용진진(龍津鎭),동주성(洞州城) 등을 함락, 동경(東京)까지 침입. 야별초군(夜別抄軍)이 지평(砥平)에서 몽골군 격파.

1236년 개천(价川),죽주(竹州)에서 몽골군을 크게 격파. 이규보(李奎報),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음. 이연년(李延年)의 난을, 김경손(金慶孫)이 평정. 강도(江都)에서 대장경의 재조(再雕) 시작.

1238년 몽골군에 의해 동경의 황룡사탑,황룡사장륙상(皇龍寺丈六像)이 불탐.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골에 투항, 홍복원의 지휘를 받음.

1239년 몽골군 철수. 몽골 사신이 와서 왕의 친조(親朝)를 조유(詔諭).

1241년 족자(族子) 영녕공(永寧公)을 왕자(王子)라 칭하고 몽골에 보내어 볼모[禿魯花]로 삼음.

1247년 김방경(金方慶)이 서북면 병마판관이 되다. 아모간(阿母侃)이지휘, 제4차 몽골군침입.

1249년 몽골, 고려왕의 출륙친조(出陸親朝)를 강요. 별초군, 동계(東界)에 침입한 동진군을 격파. 최우 죽고, 최항(崔沆)이 정권 장악.

1253년 11월 경인일에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金孝印)사망. 야굴(也窟)의 몽골군이 제5차 침입. 고종 출륙하여 승천(昇天) 신궐(新闕)에서  

           야굴의 사자와 회견.

1254년 차라대(車羅大) 제6차 몽골군 침입.

1255년 차라대 제7차 몽골군 침입.

1256년 수군을 남하시켜 몽골군을 막게 함. 몽골의 차라대(車羅大), 고려왕자의 몽골방문 요청. 차라대 철군.

1257년 최항 죽고, 최의(崔誼) 집권. 차라대의 제8차 몽골군 침입.

1258년 최씨무신정권 붕괴. 충주의 별초군이 박달령서 몽골군 격퇴.

1259년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 몽골군 대파. 한계성(寒溪城)에서 몽골군 격멸. 고종 죽고(1192~), 태자 전(k) 몽골로 감.

1260년 김방경(金方慶)을 지형부사로 삼다.

1261년 몽골, 요양(遼陽)의 고성(故城) 수리,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摠管府)를 둠. 동서학당(東西學堂)교역장 설치.

1268 년 김방경(金方慶)을 형부상서 추밀원부사로 삼다.

1269년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I)을 세웠으나 반년 만에 원종이 복위.

1270년 강화에서 환도. 삼별초군(三別抄軍)의 항몽전(抗蒙戰). 삼별초군의 해산명령에 배중손(裵仲孫) 등이 항쟁 시작.

1271년 삼별초군, 합포(合浦),동래(東萊)를 공격, 금주(金州)를 점령. 세자 심(諶)을 몽골에 보냄.

1272년 세자 심이 변발(辨髮)과 호복(胡服)으로 돌아옴.

1273년 김방경(金方慶)이 원군(元軍)과 함께 탐라의 삼별초군을 공략. 탐라에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摠管府]를 둠.

1274년 원(元)이 전함 300척을 만들게 함. 제1차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 일본정벌 실패.

1276년 김방경이 원나라에서 호두금패를 받고 조서를 가지고옴.

1278년 충렬왕, 원의 관리와 원군의 철수 및 고려인 송환을 요구.

1279년 김순(金恂)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1280년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둠.

1281년 제2차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 실패.

1285년 김방경(金方慶)을 상락군 개국공에 봉하고 식읍1천호 식실봉 300호를 받다. 일연(一然)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술.

1287년 이승휴(李丞休) 《제왕운기(帝王韻紀)》 저술.

1290년 우군만호 김흔(金忻)이 연기에서 합단적을 물리쳤다. 충렬왕, 강화로 피란. 국사 문적(文籍) 강화로 옮김. 김승용(金承用)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1년 원의 군대와 함께 합단군을 연기(燕岐)에서 격파. 상서성(尙書省) 폐지, 다시 중서성(中書省)을 둠.

1292년 김운(金惲)을 첨의참리세자이부(僉議參理世子貳傅)로 삼고 김흔(金忻)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삼았다. 개경으로 환도.

1293년 8월에 김방경에게 상락군개국공(上洛郡開國公)의 작(爵)내렸다.

1294년 원나라 세조(世祖) 죽고, 동방정벌 중지. 탐라에서 원나라 철수.

1295년 탐라를 제주(濟州)로 고침.

1298년 충렬왕 태상왕(太上王)이 되고, 충선왕(忠宣王) 즉위.

1300년 8월 무오(戊午)에 상락군 김방경이 졸(卒)하였다.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에 추증하고 시호를 충렬(忠烈)이라 하였다.

1308년 김순(金恂)을 광정부사.승지.성균제주(光政副使.承旨.成均祭酒)로 임명하였다.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에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년 7월에 김흔(金忻)이 사망하였다. 판삼사사에서 지도첨의사가 되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삼중대광 상락공에 습봉(襲封)되었다. 각염법 제정.

1310년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에 봉함.

1311년 4월에 김사원(金士元)을 평양윤(平壤尹)으로 삼았다.

1312년 김순(金恂)을 중대광 상락군(重大匡上洛君)에 봉하였다.

1313년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의 세자로 함.

1316년 상왕(上王), 심왕의 위(位)를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년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를 복구.

1319년 1월 임술일에 첨의찬성사 김사원(金士元)이 사망하였다. 일찍이 평양윤을 지내고 상의회의 도감사가 되고 첨의 찬성사가 되었다. 시호를 경정(景貞)이라 하였다.

1320년 정방(政房)을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원,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1년 김순(金恂)을 판삼사사로 삼았는데 이해 8월 사망하였다. 중대광 상락군에 봉하고 시호를 문영(文英 )이라 하였다. 예서(隸書)에 능했다.

1323년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년 상왕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28년 김승용(金承用)이 하(賀)성절사로 원나라에 들어갔다.

1329년 밀직사사 보문각 대제학 김승용(金承用)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충숙(忠肅)이라 하였다.

1332년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감. 삼사우윤 김영후를 원나라에 파견함.

1340년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를 제3황후에 봉함.

1342년 상락부원군 김영돈(金永旽). 삼사우사 김영후(金永煦)등을 1등공신으로 삼아 벽상(壁上)에 도형(圖形)하고 그 부모와 처에게는 3등을 제수하고 전답 100결과 노비10명을 하사하고(1결은 8천평) 영창군(永昌君) 김승택(金承澤)등은 2등 공신으로 각각 추서하였다.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을 지음.

1343년 원, 충혜왕을 게양(揭陽)에 귀양.

1344년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년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8년 7월 무신일에 상락부원군 김영돈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며 호는 균헌(筠軒) 구봉(龜峰)이다.

1349년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년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년 복창부원군 김영후. 전찬성사 김자. 영창군 김승택등에게 경일시독(更日侍讀)하게 하고 하교 하기를 원로대신 대부들은 윤차(輪次)로 입시하여 경사법언(經史法言)을 진강하게 하였다.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을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5년 김구용(金九容)이 과거에 급제하다.

1356년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년 중서평장사로 치사한 영창군 김승택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양간(良簡)이라 하였다.

           최영(崔瑩)이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가 됨.

1359년 홍건적(紅巾賊)의 제1차 침입. 4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년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년 복창부원군 김영후가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홍건적 10만으로 제2차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로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년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옴.

1366년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 신돈(辛旽)을 판사(判事)로 함.

1367년 성균관(成均館)이 중영(重營)되자 김구용(金九容)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하여 성리학을 일으키는 선봉이 되다

1368년 신돈이 보낸 자객에 의해 김제안(金齊顔)이 사망하였다.

1369년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원(元)나라와 절교.

1370년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2년 김구용(金九容)이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중국에 갔다.이듬해 7월 귀국하였다.

1374년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년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년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0년 김익달(金益達)이 문과에 급제하다.

1387년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을 편성.

1384년 척약재(惕若齋)김구용(金九容)이 유배중에 대리에서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온(文溫)이며 척약재 학음집(惕若齋 學吟集)이 전한다. 물계서원. 용장서원에 배향되었다.

1388년 김사형을 교주강릉도 도관찰출척사로 삼았다.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이성계, 우왕을 폐하고 창왕(昌王)을 세움.

1389년 박위, 대마도(對馬島) 정벌. 왜선300여척 격파. 창왕 폐위되고 공양왕(恭讓王) 즉위.

1391년 전라도관찰사 김사안(金士安)이 사망하다. 상락후김영후의 손자로 창왕때 동지밀직사사가되고 명나라에 정조사로 다녀왔다. 시호는 충강(忠康)이다. 이성계,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가 되어 군사통수권을 장악.

1392년 김사형을 문하시중 상락백으로 삼았다.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1393년 상락군 김진(金縝)의 집에서 태조가 거처하였다.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결정. 식년문과(式年文科) 실시(33인 급제).

1394년 정도전(鄭道傳),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편찬. 한양(漢陽)으로 천도.

1395년 정도전등이《고려사》37권을 간행. 예문춘추관 설치. 중앙군 10위(衛)를 10사(司)로 고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소속.

1396년 근정전에서 과거를 보았다. 이때 김익정이 1등으로 장원급제 하였다.

1398년 김승(金陞)을 동지중추원사로 삼았다. 제1차 왕자의 난(戊寅靖社). 태조가 왕세자 방과(芳果)에게 선위(禪位), 정종(定宗)즉위. 이때 김철(金哲)등은 함경도 단천으로 피신 하였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芳幹의 난). 방원(芳遠)을 왕세자로 책봉. 정종이 방원에게 선위. 태종(太宗) 즉위.

1401년 증광문과(增廣文科) 실시. 신문고(申聞鼓) 설치.

1402년 무과의 과거 실시. 호패법(號牌法) 실시.

1403년 계미자(癸未字) 주조(鑄造). 명나라에서 고명(告命)․인장(印章)․조칙(詔勅)을 보내옴.

1405년 김사렴(金士廉)이 사망하다. 고려가 망하자 청주에 은퇴하였다.

1408년 김고(金顧)가 문과에 급제하다.

1411년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를 승문원(承文院)으로 고침. 오부학당(五部學堂)을 운영. 동북면지방으로 양전(量田)을 실시.

1413년 도(都),군(郡),현(縣)의 칭호 개정.

1414년 김전(金塡)이 문급제 하였다. 노비소산한품속신법(奴婢所産限品贖身法)을 제정. 무과(武科)에 삼장통고법(三場通考法) 적용.

1415년 시장세와 상인세를 저화(楮貨)로 징수. 장인세(匠人稅)를 신설. 1417년 명빈(明嬪)김씨의 아버지 김구덕(金九德)을 지돈령부사로 삼았다. 김돈(金墩돈)문과에 급제하다. 각 도(道)에 잠소(蠶所)설치. 의흥현(義興縣)에서《향약구급방》 중간.

1419년 이종무(李從茂),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 제주에 양전(量田) 시행.

1420년 집현전(集賢殿) 설치. 경연청(經筵廳) 설치.

1423년 한성의 남산에 봉수대 축조. 불교를 선교(禪敎) 양종으로 정리. 조선통보(朝鮮通寶) 주조.

1426년 김맹헌(金孟獻)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28년 김돈(金墩)이(세종 10) 왕명으로 《서한이하역대보계도 西漢以下歷代譜系圖》를 찬진하였다. 김구덕(金九德)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안정(安靖)이라 했다.

1429년 정초(鄭招),《농사직설(農事直說)》저술. 경상도․충청도에서 양전사업(量田事業)진행.

1431년 김고(金顧)가 사망하였다.

1432년 맹사성(孟思誠) 등이 《신찬팔도지리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편찬. 《세종실록지리지》를 편찬. 설순 등이 여연군(閭延郡)에   침입한 여진기병을 격퇴.

1433년 압록강변의 여진족을 토벌. 화포전(火砲箭)을 발명.

1434년 갑인자(甲寅字) 주조, 갑인자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행. 북동․북서에 6진(鎭)을 설치. 장영실 등이 경복궁에 자격루(自擊漏)를 설치.

1435년 화약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발명. 함길도에 목화를 심게 함.

1436년 김익정(金益精)이 사망하였다. 대사헌을 거쳐 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납활자 병진자(丙辰字)를 주조.

1437년 물시계인 행루(行漏)․앙부일구 등을 제조, 간의대(簡儀臺)를 설치. 승지 김돈(金墩)이 서문을 지음.

1438년 성천도호부사 김명리(金明理)가 사망하다. 왜선의 삼포평균분박(三浦平均分泊) 엄수를 지시. 장영실, 자동물시계 옥루(玉漏)를 제작.

1440년 인순부윤 김돈(金墩) 사망이 사망하였다.

1441년 장영실 등이 세계 최고(最古)의 측우기(測雨器)를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를 세움.

1442년 김전(金塡)을 예문관 직제학으로 임명.

1443년 통신사와 대마도주가 계해조약(癸亥條約) 체결. 세견선(歲遣船)을 5척으로 약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4년 양전산계법(量田算計法) 제정. 무과삼관법(武科三官法) 실시.

1446년 수양대군이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편찬. 훈민정음 반포(頒布).

1447년 보문각 직제학 김전(金塡) 사망.《용비어천가》의 주해 완성.

1450년 동활자 경자자(庚子字) 주조. 정음청(正音廳)을 설치.

1451년 국방강화를 위해 군사(軍士)를 늘림. 문종이 창안한 화차(火車)를 제작하여 배치. 김종서(金宗瑞) 등이 《고려사》 136권을 개찬.

1452년 김종서 등이 《고려사절요》 편찬. 《동국정운(東國正韻)》을 과거과목 신설.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 인 등을 죽이고 정권장악. 안평대군(安平大君) 사사(賜死)됨. 이징옥(李澄玉)의 난.

1455년 김질(金礩)이 장인인 의정부 우찬성 정창손(鄭昌孫)을 통하여 모의를 고변

1456년 사육신(死六臣)사건.

1457년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 노산군(단종) 죽음.

1460년 하삼도민(下三道民) 4,500호를 평안․강원․황해도에 이주시킴.

1461년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1463년 김수녕(金壽寧)이. 양성지(梁誠之)·서거정(徐居正) 등과 함께《동국통감>을 편찬하였다.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4년  김뉴(金紐)가 문과에 급제 하였다. 전폐(箭幣)를 주조.

1466년 과전법(科田法)을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을 실시.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 규형(窺衡)과 인지의(印地儀)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발명.

1468년 김질(金礩)이 좌의정에 오르고 원상이 되었다.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이 반역으로 사형됨.

1469년 세조실록을 수찬하는데 공조참판 복창군 김수녕(金壽寧), 예문관 직제학 김뉴(金紐)등이 참여하였다.

1473년 복창군 김수녕(金壽寧)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도(文悼)이다.

1474년 개찬한 《경국대전》과 《속록》을 반포.

1477년 김수동(金壽童). 김작(金碏)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78년 우의정 원상(院相) 김질(金礩)이 사망하였다.

           김뉴(金紐)가 대사헌으로 군비확충을 위해 전라도 지방에 석보를 쌓았다.

1481년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권을 찬진(撰進).

1483년 김석정(金石精)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후에 이조정랑이 되었다.

           김연수(金延壽)가 문과에 급제 하였다. 후에 대사헌을 역임 하였다.

1484년 성균관에 학전(學田) 400결(結)을 줌. 서거정 등이 《동국통감(東國通鑑)》을 찬진.

1487년 김작(金碏)이 형조판서에 올랐다.

1488년 김작(金碏)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효소(孝昭)이다.

1489년 유교(儒敎)의 전적(典籍)을 각 향교(鄕校)에 배포.

1490년 김뉴(金紐)가 이조참판이 되었다. 글씨와 거문고 그림을 잘그려 삼절로 불리웠다.

           울산,거제,동래,남해 등지에 축성. 순천에 전라좌수영을 설치.

1491년 북정(北征)을 결의. 두만강 방면의 여진족 정벌.

1492년 김성동(金誠童)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93년 성현(成俔) 등이 《악학궤범(樂學軌範)》 9권을 완성.

1495년 부사 김성동(金誠童)이 사망하였다.

1496년 무오사화(戊午史禍). 유자광(柳子光) 등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이 처형되고, 김종직(金宗直)을 부관참시(剖棺斬屍)함.

1498년 김수동(金壽童)이 성절사로 명나라에 가서《성학심법 聖學心法》4권을 구하여 왔다.상평창(常平倉) 설치.

1501년 철원부사 김곤(金坤)이 사망하였다.

1502년 하삼도(下三道)의 주민 1,600호를 평안,함경,황해도에 이주시킴.

1503년 김감불(金甘佛),김검동(金儉同)등이 연철(鉛鐵)에서은(銀)을 분리하는 제련법을 발명.

1504년 김수동(金壽童)이 이조판서에 올랐다. 갑자사화(甲子士禍).

1506년 김공망(金公望) 문과에 급제 하였다. 중종반정(中宗反正).

1507년 이과(李顆) 등이 반란을 꾀하다 발각되어 옥사.

1510년 김수동(金壽童)이 영의정에 올랐다. 삼포왜란(三浦倭亂), 황형(黃衡),유담년(柳聃年) 등이 이를 평정.

1512년 영의정 김수동(金壽童)이 사망하였다. 김적(金磧)의 아들로 상락군 김사형의 후손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시호를

            문경(文敬)이라 하였다. 일본과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하여 세견선(歲遣船) 및 세사미(歲賜米)를 반감함.

1513년 김공예(金公藝)가 장원으로 급제 하였다.

1515년 을해동활자(乙亥銅活字) 주조.

1517년 김안국(金安國)이 《여씨향약(呂氏鄕約)》을 간행하여 반포.

1518년 소격서(昭格署)를 혁파하고, 소장한 그림을 도화서(圖畵署)에 이장(移藏).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

1520년 제주의 한지(閑地)에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둔전(屯田)을 설치.

1526년 경상관찰사 김희수(金希壽)가 사망하였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이가서법을 남겼다.

           영상 김수동비문등 많은 유필을 남겼다. 동궁에 작서(灼鼠)의 변이 일어남. 4월, 최세진(崔世珍)이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지음.

1528년 김공망(金公望)이 사망하였다.

1530년 이행(李荇) 등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편찬.

1532년 조정관리의 녹봉을 감하여 구황(救荒)에 충당.

1538년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지 않는 사찰을 폐지함.

1539년 김주(金澍)가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1543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건립.

1544년 4월, 사량진왜란(蛇梁鎭倭亂).

1545년 김충갑(金忠甲)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조광조 복관(復官)되고, 현량과 다시 실시. 왕대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가 섭정. 8월,   

           을사화(乙巳士禍).

1547년 첨지중추부사 김노(金魯)가 사망하였다. 글씨에 뛰어나 조정의 전책(典冊)을 모두 썼다. 정미사화(丁未士禍). 대마도주(對馬島主)와

           정미약조 체결(수호조약을 개정).

1549년 이홍윤(李洪胤)의 옥 일어남.

1550년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을 하사함(사액서원의 시초). 12월, 선교양종(禪敎兩宗)을 다시 둠.

1551년 양종선과(兩宗禪科)를 설치하고 시경승(試經僧)에게 도첩(度牒)을 발급.

1552년 김억령(金億齡)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553년 김제갑(金悌甲)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1555년 을묘왜변(乙卯倭變).

1559년 황해도에서 임꺽정(林巨正)의 난 일어남(~1562).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에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관한 서신왕래 시작(~1566).

1560년 이황, 예안(禮安)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움(75년에 사액).

1561년 10월, 이정(李楨)이 경주에 서악서원(西岳書院)을 세우고 설총(薛聰),김유신,최치원을 향사(享社). 이지함이 《토정비결》을 지음.

1562년 임꺽정의 난을 평정.

1563년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가 사망하였다. 시호를 문단(文端)이라 하였다.

1567년 명종 죽고(1534~), 선조(宣祖) 즉위(~1608).

1572년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사이에 사단칠정론에 관하여 서신 왕래 시작(~1578).

1573년 김수(金睟)가 급제하였다.

1574년 안동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우고 이황을 향사(75년에 사액).

1575년 김충갑(金忠甲)이 사망하였다. 구암집이 전한다.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왜국이 조선침략을 위해 전선을 건조하고 있음을 통지. 7월, 심의겸(沈義謙)․김효원(金孝元)의 동서당론이 일어남.

1577년 이이, 《격몽요결(擊蒙要訣)》 간행.

1580년 김억령(金億齡)이 안동김씨 최초의 족보 서문을 쓰다.

1583년 김흠(金欽)이 문과 급제하였다. 이이,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건의함.

1588년 김시헌(金時獻)이 장원급제 하였다.

1589년 관찰사 김억령(金億齡)이 사망하였다.

        김성립(金誠立)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일어남.

1590년 김대래(金大來)가 급제하다.

1592년 김시민(金時敏), 김성립(金誠立), 김제갑(金悌甲), 김흠(金欽)등이 사망. 김수(金睟)는 청백리에 녹선. 임진왜란(壬辰倭亂) 시작. 일본침략군 21만이 부산포에 상륙. 옥포해전에서 왜선 26척을 대파. 명(明)나라의 1차원군 압록강을 건너옴.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 명나라의 2차원군 4만이 압록강을 건너옴.

1593년 왜군이 철수 시작. 선조가 한성으로 귀환.

1597년 김치(金緻)가 문과에 급제하다. 제정유재란(丁酉再亂), 약 20만의 왜군 상륙. 원균(元均) 휘하의 수군이 칠천(漆川)․고성(固城)에서 대패.

1598년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 왜군 철수.

1601년 정랑 김정일(金鼎一)이 사망. 한성에 동묘(東廟) 건립.

1603년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연경에서 마테오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옴.

1604년 유정(惟政)을 쓰시마섬과 일본에 보내어 그곳 사정을 알아보게 함.

1605년 김시양(金時讓)이 급제하였다. 유정이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일본에서 귀국.

1608년 직제학 김대래(金大來)가 사망하였다. 선조 죽고, 왕세자 즉위(광해군).

1610년 허준(許浚)이 《동의보감》 25권 찬진.

1612년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이 역모하였다고 사사됨.

1613년 영창대군의 관작을 삭탈하고 서인으로 함. 폐모론 일어남.

1615년 영중추부사 김수(金晬)가 사망하였다. 경상관찰사. 한성부판윤 지중추부사가 되고 시호는 소의(昭懿)이다. 김언(金言)이 문고에 급제.

            강화부사 정항(鄭沆)이 영창대군을 죽임.

1618년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대북파 정권 장악.

1619년 김응하(金應河) 명나라에 1만 명의 원군 파견할때. 좌영장으로 출전 심하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명나라

           신종(神宗)이 요동백(遼東伯)으로 추봉하고 경원의 충렬사와 선천의 의렬사에 제향하였다.

1623년 김자점.이귀.김류 등이 광해군을 폐하고 능양군(綾陽君) 추대, 인조반정을 주도함.

1624년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킴.

1625년 경상관찰사 김치(金緻)가 사망하였다. 안흥군(安興君)에 봉해졌다.

1626년 호패법시행.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둠.

1627년 창성부사 김시약(金時若)이 두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후금이 조선에 침입(정묘호란). 인조가 강화로 피신.

1628년 2월, 명나라의 숭정연호(崇禎年號)를 사용.

1630년 무감(武監) 설치.

1633년 척화(斥和)의 교를 내리고, 후금의 침략에 대비케 함. 임경업(林慶業)을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에 임명. 상평청에서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전.

1635년 김소(金素)가 문과에 급제하다. 금나라 사신 마부대(馬夫大)가 국서를 전함.

1636년 성천부사 김언(金言)이 사망하였다. 후금의 국서를 거절. 금나라 사신 용골대(龍骨大) 옴. 청군 침입(병자호란).

1637년 강화도 함락됨. 인조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 인조 환궁. 왕세자 일행 불모가 되어 선양[瀋陽]에 도착. 명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청나라 연호를 씀.

1640년 세자 선양에서 돌아옴.

1642년 김시양(金時讓)이 청백리에 녹선되고 아들 김휘(金徽)가 문과에 급제하다.

1643년 김시양(金時讓)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부계기문. 하담파적록. 자해필담등이 전한다.

1644년 김자점(金自點)이 영의정에 올랐다.

1645년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샬(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자로 책봉됨.

1646년 청풍군수 김경(金坰)이 사망하였다.

1649년 낙흥부원군 김자점(金自點)이 사형 당했다. 인조 죽음. 세자 봉림대군 즉위(효종). 관상감 청나라 역서에 따라 역법(曆法)을 고침.

1652년 연경에 천문학관을 보내어 시헌력법(時憲曆法)을 배워오게함. 어영청(御營廳) 설치.

1653년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의 화순포(和順浦) 표착을 보고.

1655년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추쇄, 강화(江華)방비에 임하게 함. 일본통신사 조형(趙珩) 일행 부산에서 대마도로 떠남.

1657년 최유지(崔攸之) 천문관측기구를 제작.

1658년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옴.

1659년 효종 죽음. 왕세자 즉위(현종).

1660년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에 대동법 실시.

1662년 김득신(金得臣)이 문과급제 하였다. 김감(金堪)사망. 현종 창덕궁으로 옮김. 고려조의 능침(陵寢)을 봉식(封植).

1666년 총융사(摠戎使) 김응해(金應海)가 사망하였다. 충청관찰사 김소(金素)사망.

1671년 현종 경덕궁으로 옮김. 전국적으로 대기근. 경기,충청도에서 민란 일어남.

1674년 현종 죽음. 세자 즉위(숙종). 북한산성을 수축함.

1677년 판서 김휘(金徽)가 사망하였다.

1678년 김구만(金龜萬)이 문과급제 하였다.

1679년 강화에 돈대(燉臺) 축조함.

1682년 김시경(金始慶)이 문과에 급제하다.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설치.

1684년 안풍군(安豊君) 김득신(金得臣)이 사망하였다. 진주목사 김시민의 손자다.

           호는 백곡(栢谷)으로 문집이 전한다.

1687년 김두남(金斗南)이 문과에 급제하다. 금위영(禁衛營) 폐지. 숙종 탕평책(蕩平策)을 유시함.

1688년 창덕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觀天臺) 축조.

1689년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됨.

1690년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2년 숙종 창덕궁으로 돌아옴. 북경에서 동을 수입, 화폐 주조.

1694년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월,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697년 장길산(張吉山)이 이끈 농민군 봉기. 도성안의 거지들을 각 섬으로 보냄. 막부(幕府)를 통하여 왜인의 울릉도 출입금지를 보장받음.

1698년 숙종 탕평책을 지시.

1699년 좌승지 김구만(金龜萬)이 사망하였다.

1702년 백두산 화산 폭발. 이준명(李浚明) 울릉도를 답사, 지도 작성.

1711년 김중원(金重元)이 삼도통제사에 올랐다. 평양성과 안주성을 개축케 함. 북한산성 축성 시작. 조태억(趙泰億) 등을 일본에 통신사로 보냄.

1712년 청나라 오라총관 목극등(穆克登)이 백두산정계비를 세움. 북한산성 역사를 끝냄.

1713년 중인,서얼 출신에게 죽은 뒤 벼슬을 주는 규정 제정.

1714년 8도에 지진 발생.

1715년 헌납(獻納)김두남(金斗南)이 사망하였다. 호는 탁청헌(濯淸軒)이며 청백리(淸白吏)녹선 되었다.

1716년 삼도통제사 김중원(金重元)이 사망하였다.

1720년 숙종 죽고, 세자 즉위(경종).

1723년 김변광(金卞光)이 문과급제 하였다. 서양의 수총기(소화기)를 만들게 함. 10월, 관상감에서 서양의 문진종(서양식 시계)을 만들게 함.

1724년 경종 죽고, 왕세제 연잉군 즉위(영조). 서얼 200여 명이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

1725년 화폐주조를 중지하고 무기 제작.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밀풍군(密豊君) 추대, 반란을 일으킴.

1729년 사형수에 대하여 삼복(三覆)을 시행함.

1732년 관상감 관원 청나라에서 《만년력(萬年曆)》을 가져옴.

1735년 우승지 김시경(金始慶)이 사망하였다. 만은집(晩隱集)이 전한다. 김광국(金光國)이 문과에 급제하다.

1736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함(사도세자).

1740년 각 지방의 도량형기를 통일시키도록 함.

1745년 예각(藝閣)에서 《경국대전》 《속대전》을 1책으로 간행.

1746년 《속대전》이 활자본으로 간행됨.

1750년 균역청 설치.

1752년 새돈 44만 4000냥 주조.

1756년 금주령 선포, 밀주를 엄히 단속함. 11월, 흉년으로 기아민 다수가 도성에 들어옴.

1758년 해서,관동 지방에 천주교가 크게 보급 됨.

1759년 원손을 왕세손으로 책봉함(정조).

1761년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私刑) 금지.

1762년 왕세자, 궤 속에 갇혀 굶어 죽음. 금주령을 엄수케 하고 범법자는 사형에 처함.

1763년 김수장(金壽長)이 《해동가요》 편찬. 장안의 승려들을 추방함.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가지고 들어옴.

1764년 장례원(掌隷院)을 혁파.

1765년 김복원(金復元)이 문과에 급제하다. 홍계희(洪啓禧) 등 《해동악장》을 편찬. 10월, 장례원에서 맡았던 노비관계 사무를 형조에 이관.

1767년 공조참의 김변광(金卞光)이 사망하였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1768년 각도의 성곽시설과 장비를 수리토록 함.

1769년 청천강을 따라 남당성(토성)을 쌓음.

1770년 전국의 제언(堤堰)을 수축. 《동국문헌비고》 100권 40책을 완성.

1772년 갑인자(甲寅字)를 개수하여 활자 15만 자를 주조(임진자).

1773년 한성 청계천의 뚝을 돌로 쌓기 시작함. 11월, 총융청에서 조회포,일화봉 등 새로운 포탄을 만들어 사격 실험.

1774년 종1품에서 당상 정3품을 대상으로 등준시(登俊試)를 실시(15인 급제).

1775년 김회빈(金晦彬)이 문과 급제하였다.

1776년 영조 죽고, 왕세손 즉위(정조). 《열성어제(列聖御製)》 간행. 경모궁(景慕宮)을 다시 세움. 금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을 새로 지음.

1777년 고쳐 주조한 갑인자 15만자를 주조(점유자).

1779년 처음으로 내각검서관(內閣檢書官)을 설치.

1780년 《문헌비고(文獻備考)》의 수정에 착수(1796년에 완성). 창덕궁에 측우기를 설치하고, 서운관(書雲觀)에 명하여 《천세력(千歲曆)》을  만들게 함.

1783년 병조참판 김광국(金光國)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편저로는 <선배수간(先輩手柬)>,<간독(簡牘)>이 전한다. 승려의

           장안 입성을 금함. 이승훈(李承薰)이 동지겸사은사 일행을 따라 연경으로 떠남.

1784년 이승훈이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라몽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음. 이승훈, 천주교 관련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벽(李檗),권철신(權日身) 등이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음.

1785년 한성에 천주교교회가 생김(진고개 김범우의 집). 해시계 간평일귀(簡平日晷),혼개일구(渾蓋日龜) 등을 제작함.

1786년 통제사(統制使) 김영수(金永綬)가 순직하였다. 연경에서 서양서적의 구입을 금함. 검서시예(檢書試藝)의 규정을 정함.

1787년 프랑스함대 페루즈 일행 제주도를 측량하고 울릉도에 접근함. 동 5월 책문후시(柵門後市)를 금지함.

1788년 서학관계 서적을 대량 불태움.

1789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학행으로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퇴계 학통을 계승한 영남 학파의 조선후기 대표적인

           학자. 이상정의 문인이다.

1791년 박필관(朴弼寬)의 격고(擊鼓) 사건 일어남. 신해교난(辛亥敎難) 일어남.

1792년 북경 주교 구베아가 교황 비오 6세에게 조선교회 창립을 보고. 정약용(丁若鏞) 기중기(機重器)를 발명.

1794년 수원성[華城]을 쌓기 시작함. 울릉도 지도를 제작케 하고 토산물을 조사함. 12월,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 밀입국 상경.

1795년 천주교도 김시삼(金始三)이 청나라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포교사실을 밀고.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한중록》을 지음

1797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천사집 川沙集 ≫·≪성학입문 聖學入門≫·≪예문일통 禮門一統≫·≪석학정론 釋學正論≫·≪정본고증 政本考證≫·≪초려문답 草廬問答≫·≪예서 禮書≫ 등이 있으며 사림에서 불천위로 정하였다 영국제독 브로우튼의 북태평양 탐험선 프로비던스호 동래 용당포(龍塘浦)에 표착.1800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순조). 정조 죽고, 세자 즉위(순조). 대왕대비(영조계비 정순왕후), 수렴청정을 함.

1801년 정순왕후(貞純王后) 대왕대비 김씨(金氏)의 명에 따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실시. 서얼소통 시행, 내사노비(內寺奴婢) 폐지 등 제도 개혁.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등 30여 명의 교도가 처형되는 <신유교난(辛酉敎難)> 일어남.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사건 일어남.

1802년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화를 입은 이들에게 증직(贈職).

1804년 순조의 친정시작, 김대왕대비 수렴정치 폐함. 평양에 대화재, 공해 여사 600여 호 소실.

1805년 정조실록(正祖實錄) 인간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치 시작.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록(恨中錄)》 완간.

1806년 전라도 영광(靈光) 등 40여 군현에 흉년. 기아자 약 50여만명 발생. 정부 2만 5000석의 구휼미를 배급.

1807년 황해안 대해일(大海溢)로 패해도 극심. 유구인 99명 제주도에 표착. 대마도(對馬島)에 통신사(通信使) 파견 요청 거절하자, 왜관(倭館)의 왜인들 난동을 벌임.

1808년 성환도찰방(成歡道察訪)김복원(金復元)이 사망하였다. 호(號)는 인와(忍窩)이다. 북청(北靑) ․ 단천(端川)에서 민란 발생.

          《만기요람(萬機要覽)》 완성.

1809년 함흥에 대화재. 필리핀 루손섬의 원주민 3명, 제주도 표착 9년 만에 송환.

1811년 곡산 등 민란 일어남. 홍경래(洪景來)의 난(평안도 농민전쟁) 일어남. 역법(曆法)을 개정, 시행.

1812년 4월 19일, 홍경래 전사, 난이 평정됨. 왕자 호(昊), 왕세자에 책봉됨(훗날의 익종).

1813년 공충도(公忠道)를 다시 충청도로 개칭. 제주도 토호 양제해(梁濟海) 등의 민란 일어남.

1814년 함경도 일대, 경상도 지방에 대홍수.

1815년 경상도 함안(咸安) 등지에 대홍수. 을해교난(乙亥敎難).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 남공철(南公轍)의 《금릉집(金陵集)》 24권 121책 완간.

1816년 영국 군함 알세스토호,리라호가 충청도 마량진(馬梁津)에 옴. 이로 인해 서양 해도(海圖)상에서 한반도 서해안의 지형 분명해짐. 한성과 경상도 일대에 홍수.

1817년 삼남지방에 대홍수. 김정희(金正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순수비 발견, 68자의 비문 판독. 해인사에 대화재.

1818년 경상도 유생(儒生)들, 상소(上疏)로 채제공(蔡濟恭)의 신원을 요구. 정약용, 유배지 강진(康津)에서 《목민심서(牧民心書)》 완성.

1819년 충청도 공주,전라도 전주 등지에 대홍수. 전국적 호구,인구조사 실시. 호수:153만 3515호, 인구:651만 2349명.

1821년 평양 지방에 괴질 유행, 10여만 명 사망. 국가재정 궁핍상태에 빠짐.

1822년 호적법을 강화함. 인삼밀수출 엄금, 위반자 사형에 처함.

1823년 충청도,경상도 일부에 홍수. 경기,충청,황해도 등 5도 유생들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서얼(庶孼)의 임용을 요청.

1824년 정하상(丁夏祥)이 베이징에 가 교황에게 사제 파송을 요청. 감자씨 전해짐. 유희(柳僖), 《언문지(諺文誌)》(1권 1책) 등을 완성.

1825년 무신의 승교(乘轎)를 금함. 정하상,유진길(劉進吉) 등, 교황청에 서한 발송, 조선천주교의 수난사실을 보고.

1826년 6월에 지진 발생.

1827년 왕세자(익종) 대리청정. 호적법 정비. 서울(한성)에서 야간통행금지 실시. 전라,경상도 각지에서 천주교도 탄압사건 일어남(정해교난). 평안도,함경도,전라도 일대 등, 전국적으로 홍수피해 막심. 지진 발생.

1828년 법사(法司),반족(班族)의 백성들에 대한 재산침해를 엄금. 삼남(三南)지방에 병충해 극심.

1829년 김선필(金善弼)이 무과급제하다. 영종(英宗),진종(眞宗),정종(正宗) 3대 왕의 어필집(御筆集) 발간. 남공철, 영의정 사퇴. 경희궁에 대화재 발생, 여러 전각 소실. 작자미상의 《이두편람(吏頭便覽)》 완성.

1830년 선정비(善政碑) 남립(濫立) 금지. 효명세자(孝明世子) 병사, 왕세자 책봉.

1831년 경희궁 중건 완료.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교구 창설.

1832년 개성(開城)출신 무과 급제자의 임용 허용. 영국 상선 로도 아마스트호, 몽금포(夢金浦) 앞바다에 나타나 외교사상 처음 통상을 요구. 순조, 경희궁으로 천궁.

1833년 전국 각지의 제방 수축. 북한산성 수축 완료. 황해도 재령(載寧)지방 소작인들, 소작료 납부거부운동. 삼남지방의 목화 흉작으로 대동포(大同布)를 대동미(大同米)로 징수.

1834년 폐습,사치를 금함. 창덕궁의 숭문당,양화당 등 많은 전각들 준공. 순조 죽고 왕세손 즉위(현종), 대왕대비(순조의 비, 純元王后金氏)가 수렴청정.

1835년 전국에 전염병(大疫)유행. 《순조실록》 편찬 위해 실록청(實錄廳) 설치. 청주성 화약고에 낙뢰. 세곡방납(稅穀防納)의 폐를 바로잡음. 왕, 창덕궁으로 환어(還御).

1836년 프랑스인 신부 모방, 의주(義州)를 거쳐 밀입국. 소의 밀도살, 금광(金鑛)의 잠채(潛採)를 금함.

1837년 충청도 대흥군(大興郡)에서 성국로(成國老) 등이 집권자들의 죄를 폭로한 괘서(掛書)사건 일어남.

1838년 지진발생. 《순조실록》 34권과 《정조실록》 15권 완성. 《만기요람(萬機要覽)》완성.

1839년 유진길,정하상(丁夏祥) 등 교도 다수 처형됨(己亥敎難). 평안,황해,경상도에 홍수. 조인영(趙寅永)이 제진한 척사윤음(斥邪綸音)을 헌종이 반포함. 오가작통법 실시.

1840년 앙반들의 상민(常民)착취 엄금. 영국선 2척, 제주도에서 소 등 가축을 약탈해 감. 대왕대비(純元王后 金氏)수렴청정 중단, 헌종의 친정 시작. 풍양 조씨(豊陽趙氏)의 세도정치 시작됨.

1841년 전국에 전염병 유행.

1842년 순천부(順川府) 송광사(松廣寺)에 화재. 《천세력(千歲曆)》 발간.

1843년 송광사 중건. 공주(公州)의 대동미(大同米) 착복한 이양옥(李陽玉) 처형.

1844년 이원덕(李遠德) 등, 원경(元慶)을 받들고 모반을 획책하다 처형됨. 김정호(金正浩)의 《오대주도(五大洲圖)》 완성. 김정희(金正喜)가 《세한도(歲寒圖)》 그림.

1845년 영국군함 사마랑호(號), 무단으로 제주도와 전라도 서남해안을 측량. 훈련도감에서 대완구, 비격진천뢰 등 무기를 제작. 왕 경희궁으로 천궁. 김대건, 상하이[上海]에서 조선인 최초의 신부가 되어 밀입국.

1846년 프랑스 세실 해군소장, 천주교탄압을 구실로 군함 3척 끌고 충청도 외연도(外煙島) 정박, 왕에게 항의 서한 전달. 김대건 신부, 새남터에서 순교.

1847년 프랑스 군함 글로아르호(號), 지난해 세실 소장이 전한 국서에 대한 해답을 받고자 서해안으로 들어오다가 고군산열도(古群山列島)에서 좌초. 정부는 청나라를 통해 그 답신을 전달(서양과의 첫 외교문서).

1848년 정부, 아편흡연을 엄금.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재개.

1849년 헌종이 죽자 은언군(恩彦君) 인의 증손 원범(元範) 즉위(철종). 정학유(丁學游) 또는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편찬.

1850년 개성에서 사적인 인삼재배 성행.

1851년 국가경상비 부족으로 비상대비용인 봉부동전(封不動錢)을 변통 사용. 김문근(金汶根)의 딸이 철종비가 됨(純明王后 金氏). 김씨 세도정치 재개됨. 12월, 대왕대비(순조비 純元王后 金氏)청정중단, 철종의 친정 시작됨.

1852년 김흥근(金興根), 영의정이 됨. 오위장(五衛將)의 임명을 엄정, 진장(鎭將)도 매관매직 엄금.

1853년 페레올 주교 사망. 왜관(倭館)을 다시 건립. 춘궁기에 전국적으로 많은 아사자 발생.

1854년 러시아 선박 함경도 덕원(德源), 영흥(永興)해안에 침입, 어민들을 살상.

1855년 영남의 유생들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추존(追尊)을 상소. 영국함 흐네트호(號) 독도(獨島)를 측량, 프랑스함 비르지니호(號) 동해안 일대를 측량.

1856년 가축의 무단도살 엄금.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중건을 위한 공명첩(空命帖) 300장, 승첩(僧帖:度牒) 100장을 발행. 《동문휘고(同文彙考)》 완간. 《통문관지(通文館志)》 속편 완성.

1857년 최한기(崔漢綺), 세계지리서 《지구전요(地球典要)》 저술 완료.

1859년 《대명률(大明律)》 《대전통편(大典通編)》 등 간행. 원자(元子) 죽음. 서울 근교 사찰들을 훼파. 억불책의 일환.

1860년 경희궁으로 천궁(遷宮). 최제우(崔濟愚), 경주에서 동학(東學)을 창시.

1861년 창덕궁으로 환어.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완성, 간행. 러시아 함대, 함경도 원산항(元山港)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

1862년 충청,전라,경상도 곳곳에서 잇단 민란 일어남. 1850년 이후에 세운 서원을 모조리 철폐.

1863년 금위영(禁衛營)군졸들, 받은 녹미(祿米)의 질 문제로 소요. 동학 교조 최제우 체포되고, 남해에 민란. 흥선군을 대원군(大院君)으로 봉하고, 대왕대비 조씨가 수렴청정을 시행.

1864년 북인(北人),남인(南人)을 등용하고, 비변사(備邊司)와 의정부(議政府)의 업무분장. 최제우, 대구에서 사형. 김정호, 대동지지《(大同地志)》완성.

1865년 통제중군(統制中軍) 설치. 찬집소(纂輯所) 설치 《대전회통(大典會通)》 편찬, 《양전편고(兩銓便攷)》 등과 함께 완성.

1866년 대왕대비의 수렴청정 끝내고 왕에게 환정(還政). 민치록(閔緇祿)의 딸이 왕비가 됨. 미국 상선 제네럴 셔먼호(號), 군민(軍民)에 의해 불탐. 척사윤음(斥邪綸音) 발표. 프랑스 함대, 양화진(楊花津)에 내침. 해군대령 올리비에가 이끄는 프랑스군, 재차 내침, 강화도 점령, 양헌수(梁憲洙) 등이 대파.

1867년 서울 각 성문에서 통과세(通過稅) 징수. 신관호(申觀浩)가 수뢰포(水雷砲)를 만듦.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경회루(慶會樓) 완공.

1868년 당백전(當百錢)의 통용을 명령.

1869년 전라도 광양현(光陽縣)에서 민란 발생. 대원군의 명에 좇아 전국 8도(八道) 4도(四都)에 원납전(願納錢) 납입을 독촉.

1870년 일본주재 독일공사 브란트, 일본 외무서기 하나부사[花房義質] 등 군함 헬타호(號)를 타고 부산에 입항, 통상을 요구, 거절당하자 귀국. 청국인 7,000여 명이 평안도 후창군(厚昌郡) 일대에 침입, 벌목을 시도하다 축출됨.

1871년 사액(賜額) 서원 47곳만 남기고 전국의 서원을 철폐.

1873년 선혜청(宣惠廳) 별창(別倉)에 화재. 최익현(崔益鉉), 대원군을 배척하고 시폐(時弊)를 논단하는 상소로, 호초참판에 특임. 소사(疏辭)가 과격하다 하여 제주에 유배. 국왕, 친정 선포(대원군 실각).

1874년 강화도 연안 포대 축조 완성. 일본의 정한설(征韓說)로 각 군영(軍營)에 엄중경계령 내림. 병조판서 민승호(閔升鎬)의 침실 화약 폭발로 일가족 폭사. 달레(프랑스 신부)의 저서 최초의 《한국교회사》 발간.

1875년 울산에서 민란 일어남(29일 진압). 왕이 경복궁으로 옮기고, 양주(楊州)에서 은거하던 대원군 운현궁으로 환거. 일본 군함 운요호를 포격, 퇴각.

1876년 백범 김구(金九)가 태어났다. 최익현(崔益鉉), 척사소(斥邪疏)로 일본과의 통상조약에 반대, 흑산도에 유배. 불평등조약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강화도조약, 병자수호조약)에 조인. 경복궁에서 실화로 열조 어필(列祖御筆), 대보(大寶) 등 소실.

1877년 제생의원(濟生醫院), 종두(種痘) 실시. 천주교 조선교구 주교 리델(프랑스인) 및 두새, 로베르 신부 등 체포.

1878년 청의 요청으로 리델 등 프랑스 신부를 베이징으로 귀환 조처.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가 부산해관의 철폐를 요구하는 무력시위 감행.

1879년 강수관(講修官) 홍우창(洪祐昌),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와 원산개항예약 의정서(議定書)에 조인.

1880년 김홍집(金弘集)을 일본수신사(日本修信使)에 임명. 원산에 일본 영사관 개관. 하나부사, 일본 국왕의 친서(親書) 고종에게 전달. 삼군부(三軍府)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 《동경대전(東經大典)》 등 출간. 지석영, 종두(種痘) 실시.

1881년 박정양(朴定陽) 등 10여 명을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에 임명. 별기군(別技軍)을 두고 신식군사훈련을 실시.

1882년 조미(朝美)수호조규, 조영(朝英)수호조규 조인. 원산,부산,인천 개항. 5월,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군인들, 급료 체불과 급여양곡의 변질, 정량부족 등에 격분, 난동(壬午軍亂). 대원군, 원군으로 들어온 청군에 의해 납치, 청국으로 호송. 7월, 제물포조약 및 수호조규속약(修好條規續約) 체결. 박영효(朴泳孝)를 일본특사 겸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선중에서 태극기를 고안).

1883년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김선필(金善弼)이 사망하였다. 태극기를 국기로 정함. 당오전(當五錢)을 주조. 초대 미국공사로 푸트 착임, 수호조규(修好條規)를 비준, 교환. 기기국(機器局)을 새로 설치. 최초로 영어교육 실시. 조영(朝英)수호통상 조약,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1884년 부산~나가사키[長崎] 간 해저전선 개통. 우정총국(郵政總局) 개설. 이탈리아 및 러시아와 수호조규에 조인. 개화당 일파, 수구당 민씨 일파를 죽이고 새 정부를 조직(甲申政變). 5개조항으로 된 한성조약 체결.

1885년 광혜원(廣惠院)을 설립, 미국인 의사 알렌 진료 실시. 영국함대 거문도를 불법점령.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 등 내한. 최초의 개신교회(소래교회) 창립. 배재학당(培材學堂) 설립. 대원군 귀국. 《한성주보》 발간.

1886년 이헌영을 초대 주일공사에 임명. 서대문 밖에 수력화약공장(水力火藥工場) 건설. 스크랜튼,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설립(梨花學堂). 한불수호조규(韓佛修好條規) 조인. 언더우드, 학당 개설(儆新學校).

1887년 거문도 점거했던 영국 함대 철수(1885~). 광무국(鑛務局) 설치. 최초의 감리교회 정동교회(貞洞敎會) 창립. 김홍집(金弘集)을 좌의정 겸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使)에 임명. 새문안교회 창립. 상공회의소 개설.

1888년 이화학당에서 최초로 주일학교(主日學校) 시작. 군제 개편, 삼남지방에 큰 흉년.

1889년 함북 길주(吉州)와 강원 정선군(旌善郡) 등지에서 민란 발생.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록(西遊見聞錄)》 완성. 언더우드, 조선야소교서회(朝鮮耶蘇敎書會:현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부산에 최초의 기선회사 설립.

1890년 경상좌수사 김인호(金寅浩)가 사망하다. 부산, 인천의 25객주(客主)를 철폐. 침례교회 선교를 시작. 커피, 홍차 등이 소개되고 서양의 배, 사과, 복숭아 등이 원산(元山), 길주(吉州), 대구(大邱) 등지에서 재배 시작.

1891년 제주민란 발생.

1892년 일본 어선, 제주 성산포(城山浦)에 상륙, 민간인을 살해하고 부녀자 폭행. 정부, 김옥균(金玉均) 암살계획을 세워 이일식(李逸植) 등을 일본에 파견. 현대식 화폐 주조.

1893년 동학교도 2만여 명, 충청도 보은군(報恩郡) 장내(帳內)에 모여 척왜척양(斥倭斥洋), 창의(倡儀)의 기치 아래 농성시위 계속. 지석영(池錫永), 교동(校洞)에 우두보영당(牛痘保謁堂)을 설립. 중림동(中林洞) 약현성당(藥峴聖堂) 준공. 전봉준(全琫準) 등 학정 시정을 진정. 최초로 전화기 들여옴. 최초의 시계포, 구리개(을지로 入口)에 등장.

1894년 김옥균,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게 암살당함. 갑오경장(甲午更張)의 시작. 과거제도 폐지. 15일, 김홍집내각 성립. 경북 안동(安東)에서 서상철(徐相轍) 의병 봉기(최초의 反日의병운동).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무장봉기 선포. 홍범십사조(洪範十四條)와 독립선고문을 종묘에 고함.

1895년 동학운동 주모자 전봉준 등 사형. 을미개혁(乙未改革) 단행, 재판소(법원) 구성법 등 34건의 개혁안 의결. 군제(軍制)개혁도 단행, 훈련대 등 설치.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 부임. 소학교령(小學校令) 공포. 8월, 명성황후(明成皇后:閔妃)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 발생. 제3차 김홍집내각 성립.

1896년 연호 건양(建陽), 태양력 사용(음력 1895.11.17). 이범진(李範晋),이완용(李完用) 등 고종 및 왕세자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俄館播遷).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침. 국호(國號)를 대한제국(大韓帝國), 왕의 호칭을 황제로 정함.

1898년 한성전기회사(漢城電氣會社) 설립. 2월 9일, 독립협회, 종로 네거리에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개최. 22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5월 국장).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처형. 농상공부(農商工部)에 철도사(鐵道司) 설치. 《제국신문(帝國新聞)》 순한글 신문으로 창간. 《황성신문(皇城新聞)》(일간) 발행. 서울 종현(鐘峴)에 천주교회당 건립.

1899년 정선(旌善), 제주 등지에서 민란 발생.  광제원(廣濟院) 개설. 서울에서 전차 운행 시작. 대한국 국제의정(國制議定)을 반포. 경인선(京仁線:인천~노량진간) 완성(33.2km). 《독립신문》 폐간. 관립경성의학교부속병원(현 서울대 부속병원) 설립.

1900년 만국우편연맹 가입. 의사,약제사,약품순시 규칙 등 공포. 한성전기회사(한,미인 공동경영)가 최초로 종로에 가로등 3개 가설. 한강철교 준공, 경인선철도 완전 개통. 태극기 규정발표(흰 바탕에 長2자, 廣1자 8치, 태극은 지름 7치에 청,홍색).

1901년 2월 21일, 신식 화폐조례(貨幣條例) 공포,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 실시. 7월, 최초의 안남미 수입. 9월 17일, 흥선대원군을 왕으로 추봉. 10월 9일, 활빈당원 하원홍(河元泓) 등 참형. 혜민원(惠民院) 설치. 강일순(姜一淳), 증산교 창시.

1902년 1월 13일, 갑산(甲山) 동광(銅鑛)의 갱도(坑道) 무너져 광부 600여 명 참사. 5월, 일본제일은행 부산지점, 1원권을 발행, 한국에서 강제유통시킴. 6월 16일, 이상재(李商在) 등 개혁당 사건과 관련, 구속. 황제등극 40주년 칭경식(稱慶式)을 거행. 8월, 국가(國歌)를 처음 제정. 제1차 하와이 이민단 100여 명 출발.

1903년 개성~평양간 전화 개통. 6월 14일, 주한 외국공사들, 러시아 공사관에서 비밀회담. 장지연(張志淵)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등 편찬.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조인. 25일, 의주(義州)를 개방. 3월 17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특파대사로 내한. 8월 18일, 송병준(宋秉畯) 등, 유신회(維新會) 조직. 20일에 일진회(一進會)로 개칭. 22일, 제1차 한일협약(韓一協約) 체결. 11월 16일, 제중원(濟衆院:세브란스병원)낙성식. 26일, 원직(元稷)․나유석(羅裕錫), 보부상을 규합, 진명회(進明會) 조직(12월 共進會와 통합). 12월 미국인 천일외교관 스티븐스, 외교고문에 임명. 21일, 대한적십자사발족, 세계적십자사에 가맹.

1905년 2월 22일, 일본 독도(獨島)를 강점, <다케시마[竹島]>로 명명. 3월 25일, 황제, 러시아 정부에 밀서. 이용익(李容翊), 보성학교(普成學校) 설립(고려대학). 11월 9일,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한. 17일,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 제2차 한일협상조약(乙巳條約) 조인. 12월 1일, 손병희(孫秉熙), 동학(東學)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 21일, 일본, 한국 통감부(統監府) 및 이사청(理事廳)관제 공포 시행.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

1906년 3월 2일,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입국. 4월 21일, 엄비(嚴妃), 진명(進明)여학교 설립. 6월 4일, 최익현(崔益鉉),신돌석(申乭石) 등 의병 일으킴. 7월 2일, 일본 경찰, 경운궁(덕수궁)의 경비권을 강탈. 8월 18일, 최익현,임병찬 등 9명 대마도에 유배. 31일, 《한성신보》 폐간. 9월 1일, 통감부의 기관지로 《경성일보(京城日報)》 창간. 10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13도 11부 333군으로 개편). 18일, 한국 최초의 기념우표 발행. 19일, 가톨릭교에 주간지로 《경향신문》 창간. 11월 1일, 최초의 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최초의 전국적 호구조사 실시.

1907년 1월 29일, 서상돈(徐相敦) 등,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5월 22일, 이완용(李完用) 내각 성립, 23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 창간. 6월 15일, <헤이그밀사사건>(李儁 분사). 7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24일,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丁未七條約) 및 비밀부 각서 조인. 31일 군대해산 조칙(詔勅) 발표. 8월 2일, 연호를 융희(隆熙)로 함. 12월 27일, 경운궁에서 순종, 황제 즉위식. 9월 1일, 서울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11.15.).

1908년 1월 7일, 청진항(淸津港) 개항. 4월 1일, 관립한성고등여학교(현 京畿女高) 설립. 부산역 개설. 23일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안창호(安昌浩) 등 대성학교(大成學校) 설립. 11월 1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최초의 신극 이인직(李仁稙)의 《은세계》, 원각사에서 공연. 12월 3일, YMCA회관 개관식 거행.

1909년 1월, 나철(羅喆), 대종교(大倧敎) 창시. 2월 1일, 미주(美洲) 한국인단체들, 통합해 국민회로 발족, 6월 2일, 《대한민보(大韓民報)》 창간. 10월 24일, 안중근(安重根),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창립.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高羲東), 화가로 데뷔.

1910년 3월 26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 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여명 기소..1911년 3월, 김좌진(金佐鎭) 등 18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 3월 29일, 조선은행법 공포. 4월 17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월 15일, 《소년》지 폐간(지령 23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년 2월 16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년 5월 13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월 15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년 1월 11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월 22일 개통). 3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년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 이시영(李始榮) 등 30여명, 경북 달성을 중심으로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9월 11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년 4월 25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월 25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건물 기공식. 8월 2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 9월 12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월 16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년 1월 1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월 30일, 이왕가(李王家)에 아악생(雅樂生)양성소 설립. 6월 8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일 귀국). 10월 17일, 한강인도교 준공. 29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25개국약소민족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1918년 1월 17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월 15일, 신한청년당원 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 제출. 30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대통령에게 보낼 한국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월 5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 도쿄유학생 600여명,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LT;독립선언문&GT;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조 발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선임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9월 2일, 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1920년 1월 6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월 28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월 25일,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월 13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월 20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년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1월 7일,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월 31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 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년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LT;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 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년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월 1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1927년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 3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 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 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4월 1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이롄[大連] 간 항공로 개설. 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 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1월 8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년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백범 김구가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조직했다.

1936년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 5월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 6월 7일, 안창호 등 150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 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2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2월 11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 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3월 15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년 3월 1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백범 김구가 임시정부 주석(主席)에 선임되었다. 2월 8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월 17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년 4월 4일,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 획득). 8월 14일, 여운형(呂運亨), 아베 총독의 정권이양 교섭에 동의. 15일, 일본 무조건항복. 9월, 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2일, 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7일,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9일,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1일, 군정장관에 아놀드 소장 취임. 16일, 한국민주당 결성. 10월 10일, 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25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월 3일, 평양에서 조선민주당 결성(당수 조만식). 11일, 조선인민당 결성(당수 여운형). 23일, 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 북한 신의주에서 반공학생들 의거. 12월 20일, 《합동통신(合同通信)》 창립.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 29일, 반탁(反托)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30일, 송진우(宋鎭禹), 괴한에게 피살. 31일, 전국에서 반탁데모,파업,철시 단행.

1946년 1월 2일, 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월 1일, 비상국민회의 결성.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반탁국민총동원중앙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평양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14일, 군정청 최고자문기관 남조선민주의원 구성(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김규식, 의원 25명). 3월 5일, 북조선임시인민위, 토지개혁을 단행. 20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소집. 한국독립당(30.1.25. 창당) 개편. 23일, 북한, 20개 정강 발표. 5월 15일, 미군정, 조선정판사 위폐사건 진상 발표. 6월 22일, 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국. 7월 17일, 38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22일, 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 25일,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28~30일, 북한에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 북조선노동당 결성. 8월 10일, 북한, 주요산업의 국유화 실시. 9월 7일, 공산당 간부 이주하(李舟下) 체포, 박헌영(朴憲英)․이강국(李康國) 등 도피 10월 1일, 10.1대구사건 발생. 13일, 조선민족청년당 결성(단장 이범석). 11월 23일, 좌익3당통합 강경파,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결성(위원장 허헌). 12월 2일, 이승만 도미, 남한 &#180;昞뗍ㅊ&#206; 수립의 필요성 역설. 12일,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개원(의장 김규식)..

1947년 2월 11일, 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3월 1일, 좌우 진영, 3.1절 행사를 따로 거행, 남대문 앞에서 양 세력 충돌. 4월 19일, 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5월 21일, 제2차 미소공동위(미 대표 브라운 소장, 소 대표 스티코프 중장) 개최. 6월 3일, 군정청, 한국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20일, 군정청, 서재필(徐載弼)을 특별의정관으로 초빙(7.1. 착임). 7월 18일, 여운형 피살(8.3. 국민장). 8월 6일, 조선임시정부 약헌(約憲), 입법회의에서 통과. 21일,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 30일, 군정장관에 딘 소장 취임. 12월 2일, 장덕수(張德秀) 피살. 16일,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년 1월 7일, 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월 26일, 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3월 8일, 김구, 남북협상을 제의. 16일, 북한,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4월 3일, 제주도에서 4.3사태 시작. 16일, 최초의 총선거, 입후보자 등록마감(934명 등록). 19일, 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1차) 참석. 5월 10일, 유엔감시하에 남한총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14일, 북한, 남한 송전(送電) 중단, 남북협상 결렬. 31일, 제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7월 17일, 헌법 및 정부조직법 등 공포. 20일,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24일 취임). 8월 1일, 국회 이범석(李範奭) 국무총리 인준. 4일, 국회의장에 신익희(申翼熙), 부의장에 김약수(金若水) 선출. 5일, 국회, 김병로(金炳魯) 대법원장 인준. 15일,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상호 0시 기해).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를 선포. 25일, 북한총선거 실시. 9월 1일,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개최.(수상 김일성). 9일,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10월 20일, 여수,순천사건 발생. 12월 10일,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2일, 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대 6 가결).

1949년 1월 8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월 20일, 남로당(南勞黨) 국회프락치사건 적발. 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월 21일, 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25일, 북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29일, 김구 피살(포병소위 안두희가 백주에 경고장에서 저격). 7월 5일, 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월 6일 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년 1월 26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월 16일,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문. 3월 13일, 국회, 제1차 개헌안(내각책임제) 부결. 27일,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이주하(李舟河) 검거. 4월 12일, 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위 제패. 24일, 제1회 국전(國展) 개최.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6월 1일, 6년제 의무교육 실시. 12일, 한국은행 발족(초대 총재 具鎔書). 16일, 북한, 김삼룡,이주하와 조만식(曺晩植) 교환 제의. 이대통령, 조건부 수락. 북한 조건 불수락으로 이뤄지지 않음. 19일, 제2대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택상,조봉암). 25일, 북한군 불법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27일,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제 결의. 28일,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월 1일, 연합군 지상부대, 부산에 상륙. 9월 1일, 부산 문화극장에서 피난국회로 재개. 15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16일, 낙동강전선에서 반격전 개시. 26일,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일 수복. 10월 1일, 국군, 38선 돌파, 19일 평양 탈환. 25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일, 정부, 서울 환도. 29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2월 4일, 평양 철수. 북한주민 약 50만 명, 피난길 등정. 16일, 국민방위군설치령 국회 통과. 24일, 서울시민에 피난령 발함.

1951년 1월 1일, 중공군 6개 사단, 압록강 건너 남진 시작. 3일, 정부, 부산으로 이전. 2월 10일, 국군, 서울에 진입. 11일,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 3월 5일, 정부, 120만 소작인에 대한 농지분배 발표. 4월 11일,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직에서 해임.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임명. 5월 9일, 이시영(李始榮) 부통령, 이대통령을 성토하고 사직. 15일,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金性洙) 선출. 6월 23일, 말리크 소련 유엔 대표, 38선 정전회담 제의. 7월 8일, 휴전예비회담 개성(開城)에서 열림. 9월 6일, 여군 창설. 10월 17일,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 양원제 개헌안 의결. 20일 한.일 제1차 회담 도쿄에서 개막. 25일, 남북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板門店)으로 옮김. 12월 1일, 부산,대구를 제외,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2일, 서남지구(지리산 일대) 공비토벌작전 개시(52.3.12. 종료).

1952년 1월 18일, 국회, 제2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정부안) 부결.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포. 2월 15일, 제1차 한일회담 개최. 18일,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좌익계 폭동 발생. 4월 17일,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20일, 장면(張勉), 국무총리직 사임. 동양통신(東洋通信) 창립. 24일, 서민호(徐珉濠) 의원사건 발생. 5월 6일, 장택상, 국무총리에 임명됨. 7일, 거제도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 폭동. 10일, 초대 도의원 선거. 14일, 정부, 제4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19일, 민중자결단, 땃벌떼, 백골단 등, 국회해산 요구 시위. 25일, 부산과 경남,전남북에 계엄령 선포(~7.28.). 26일, 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29일, 김성수 부통령, 이대통령 탄핵하고 국회에 사표 제출. 6월 18일, 국회,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김동성 선출. 20일, 부산국제구락부에서 야당인사들, 반독재호헌구국선언 발표(국제구락부사건). 21일, 발췌개헌안 국회에 상정. 25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범인 유시태(柳時泰) 체포. 7월 4일, 국회, 경찰 포위 속에 제3,4차 개헌안 발췌통과(제1차 개헌 발&#195;欲냘愼. 8월 5일, 직선제 정,부통령선거 실시(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咸台永) 당선. 13일,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53.5.13. 공포). 9월 30일, 장택상 총리, 고시진(古市進)사건 인책사임. 10월 17일, 국회, 이윤영(李允榮) 총리인준 부결. 29일, 국회, 정부 불신임안 발의. 11월 27일, 부산국제시장 대화재. 12월 2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 내한. 3일, 유엔총회, 한국전쟁포로의 중립지대로 이송안(인도案) 통과.

1953년 1월 5일, 이승만 대통령 일본 방문 요시다[吉田] 총리와 회담.  2월 15일,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제1차 통화개혁(110대 1로 인하. 원(圓)을 환으로 개칭). 23일, 휴전회담 재개. 6월 8일, 포로교환협정 조인(8.5. 교환 시작, 9.6. 완료). 18일, 반공포로 석방 단행. 7월 27일, 휴정협정 조인.

1954년 1월 9일, 국방대학원 창설. 18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일, 반공포로 인수, 28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월 15일,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일). 11월 14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30일, 국회에 호헌동지회 결성됨. 12월 7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일, 국보 3,400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일, 정부기구를 12부 1설 1원으로 개편.

1955년 2월 18일, 김성수(金性洙) 국회부의장(전부통령) 사망(2.24. 국민장). 조경규(趙瓊奎), 부의장이 됨. 8월 8일, 증권시장 개장. 16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죽음. 9월 13일, 《대구매일(大邱每日)》, 학생정치도구화 반대 사설을 게재로 필화(筆禍). 18일,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대표최고위원 申翼熙). 10월 1일, 광복10주년기념 산업박람회 개최. 26일, 중공군 6개 사단 철수 완료.

1956년 1월 2일, 제2여당으로 민정당(民正黨) 발기(최고위원 이범석,장택상). 3월 30일에 공화당(共和黨)으로 발족. 30일, 김창룡(金昌龍) 육군특무대장 피살. 2월 27일, 김창룡 저격범 허태영(許泰榮) 대령 등 구속(11.22. 강문봉 중장 등 추가구속). 5월 5일,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12일,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 15일,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6월 8일 국회,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조경규,황성수(黃聖秀) 선출. 9월 28일, 민주당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회에 조병옥(趙炳玉) 선출. 대회장에서 퇴장하던 장면 부통령 피습. 현장에서 범인 김상붕(金相鵬) 체포. 10월 1일, 장부통령 저격사건 배후조종자 최훈(崔薰) 구속. 11월 10일, 진보당 창당위원장 조봉암(曺奉岩), 간사장 윤길중(尹吉重) 선출. 29일, 국제시계밀수사건에 황성수 국회부의장, 박영출(朴永出) 외무위원장 관련.1957년 1월 11일, 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4일, 유도회(儒道會) 분규 격화. 5월 5일, <어린이헌장 선포>. 25일, 야당 주최 장충단(獎忠壇) 시국강연회장에서 테러단 난동(12.5. 주범 유지광 체포됨). 8월 가짜 이강석(李康石)사건으로 사회가 소란. 9월 1일에 주인공 강성병 체포됨. 10월 9일, 《우리말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답변확정.

1958년 1월 1일, 민,참의원 선거법안 국회통과. 13일, 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59.2.27. 대법원에서 조봉암 사형 확정). 3월 3일, 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5월 2일, 4대민의원 선거 실시(자유당 126, 민주당 79, 무소속 27석 등 차지).

1959년 1월 5일,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월 13일, 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14일, 교포북송 제1진 975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년 2월 5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 15일, 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4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개단체가 합동, 3.15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2마산 데모 발생. 18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일, 서울시내 2만여 학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발포로 42명 희생. 서울 등 5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3일, 장면(張勉) 부통령 사임. 24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일, 데모군중 증가. 상오 10시경 10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일, 이기붕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선거 무효확인). 5월 21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6.15. 국회 통과,공포. 제2공화국 성립됨).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6.19, 17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월 29일, 민,참의원선거 실시(민주당 대승). 8월 8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일, 민,참 합동회의,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1961년 2월 3일,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답변확정. 5월 16일,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 부의장 박정희). 5월 18일,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5월 20일 최고회의 내각 조직(내각수반에 장도영 의장 겸임). 7월 1일, 서울국제방송국(HLCA) 개국. 7월 2일,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취임. 7월 3일, 반공법 공포. 7월 22일, 경제재건 5개년계획 발표. 8월 12일, 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22일,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2년 1월 1일,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1월 13일,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 16일, 정치활동정화법 공포. 3월 19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3월 22일, 윤보선 대통령 사임. 3월 24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대행. 5월 31일,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결제 불이행(증권파동). 6월 10일, 제2차 통화개혁(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12월 17일,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가결. 12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절차 발표.

1963년 1월 1일,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 18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2월 21일, 민주공화당 창당. 3월 16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3.16성명 발표. 5월 14일, 민정당 창당, 대통령후보에 윤보선 지명. 7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일정 발표. 10월 10일, 서울가정법원 개원. 10월 15일,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당선). 11월 26일, 국회의원선거 실시. 12월 17일, 제3공화국 발족(새 헌법 발효). 박정희 제5대 대통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 1월 18일, 제주도 일원 첫 통금해제. 5월 2일, 민주,자민,국민당 통합 선언. 6월 3일, 6.3사태 발생. 서울에 비상계엄령 선포. 8월 2일, 언론윤리위법안 국회 통과. 8월 17일, 한국기자협회 발족. 10월 31일,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 1월 8일,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 1일, 충북지역 야간 통금 해제. 3월 22일,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3월 24일, 비둘기부대 제1진 사이공 도착. 4월 17일, 한.일협정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5월 3일, 민정,민주 양당, 민중당 창당. 6월 22일, 한,일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 2일, 국무회의, 1개 전투사단 월남파병 의결. 7월 17일, 이승만 하와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 2월 4일,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 1일, 국세청,수산청 발족. 3월 30일, 신민당 창당. 6월 25일,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 9일, 한,미행정협정 조인(67. 2. 9. 발효). 7월 29일, 국무회의,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9월 5일, 백마부대 제1진 월남 상륙. 10월 31일,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1월 1일, 한․미정상회담, 2일 공동성명 발표.

1967년 1월 1일, 대구 서문시장에 큰불. 2월 7일 민중․신한당 통합, 신민당 창당. 3월 22일,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서 위장귀순. 3월 30일,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칭.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6월 8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8월 9일, 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 1월 21일, 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1월 23일,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 7일, 경전선 개통.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 5월 27일, 제1차 한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 15일,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8월 15일, 정치정화법 시효 완료. 9월 9일,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 14일,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 21일,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11월 29일,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 11일, 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 3월 1일, 국토통일원 개원. 3월 3일, 정부, 가정의례준칙 발표.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 17일, 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 21일, 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 7일, 신민당, 대통령 탄핵소추결의안 국회에 제출. 9월 14일, 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0월 17일,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12월 24일,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으로 지정.

1970년 4월 8일,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 16일, 서울대교 개통. 5월 18일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6월 2일, 특수층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 필자 김지하, 등 구속. 7월 1일, 우편번호제 실시. 7월 7일, 경부고속도로 개통. 8월 15일, 서울 남산 제1호터널 개통. 10월 31일,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12월 23일, 정부종합청사 준공. 12월 30일, 호남고속도로(대전~전주 간) 개통.

1971년 2월 9일,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3월 19일, 원자력발전소 기공(경남 동래). 3월 31일, 서울~부산 간 자동전화 개통. 4월 27일,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5월 25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7월 8일,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7월 26일, 제8대 국회 개원. 9월 20일, 남북적, 이산가족찾기 예비회담 판문점서 첫 개최. 10월 15일, 서울시에 위수령 발동. 12월 9일, 파월 국군 첫 철수부대 부산항에 개선. 12월 27일,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1972년 5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8월 30일,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0월 17일, 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 21일, 개헌 위한 국민투표 실시. 22일, 유신헌법 확정. 12월 15일,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2월 27일 유신헌법 공포(정치활동 재개).

1973년 2월 1일,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2월 27일, 제9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 1일, 주민세 실시. 4월 10일,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보).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개원. 5월 27일, 소련, 한국인(유덕형)에 첫 입국허가. 중앙선 전철 개통(청량리~제천 간). 8월 8일,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 1월 8일,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 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1월 14일, 국민생활 안정을 위한 긴급조치 3호 선포. 8월 15일,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8월 15일, 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9월 6일, 반일데모대, 일본대사관 침입, 일장기 찢고 자동차 등 불태움. 11월 15일,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11월 22일,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 2월 12일,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 1일,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9월 15일, 조총련계 재일교포 700여명 추석성묘차 모국 방문. 9월 22일, 민방위대 발대식. 10월 14일,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 6월 18일, 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 1일,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8월 18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 11일,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량 인양.

1977년 5월 24일,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 19일,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 1일, 부가가치세제 실시. 11월 11일, 이리역 화약운송열차 폭발로 참사 발생.

1978년 1월 1일, 동력자원부 발족. 4월 14일, 세종문화회관 개관. 4월 21일, 대한항공 B707여객기, 소련 무르만스크 남쪽 200마일 지점에 강제 착륙.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7월 6일,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12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979년 6월 29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월 11일,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무역 여공 200여명 강제 해산. 10월 4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10월 18일, 정부, 학생시위로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월 20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10월 26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10월 27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월 3일, 국장. 11월 6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0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2월 12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12.12사태).

1980년 2월 18일,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 17일,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5월 18일,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 5월 27일, 계엄군 개입으로 진압. 5월 31일,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7월 31일, 계엄사 김대중 등 37명을 내란음모혐의로 기소, 9월 17일, 김대중 사형선고. 8월 2일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 하야. 8월 27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 5일,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답변확정). 9월 29일,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 공고. 10월 22일, 제5공화국헌법 확정. 10월 27일, 입법회의, 국가보위입법회의법 의결. 11월 14일, 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2월 1일, 한국방송공사(KBS), 컬러텔레비전 첫 방영.

1981년 1월 15일,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월 17일,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류치송). 1월 24일,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2월 11일,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2월 25일, 전두환대통령, 제12대 대통령 당선. 3월 25일,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4월 20일,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 6일, 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월 30일, 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 1월 1일, 문교부, 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월 5일, 정부, 야간통금 전면해제. 9월 24일, 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1983년 청와대경제수석 김재익(金在益)버마 아웅산에서 순국. 1월 1일,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 30일,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9월 1일, 소련 전투기, 사할린 부근서 KAL기 격추(KAL기 사건).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 13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3일 2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11월 29일,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코트 발표.

1984년 서봉(西峰) 김사달(金思達)박사 사망하다. 1월 10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4월 2일, 안기부, 78년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 1일, 서울대공원 개원. 5월 3일, 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전).

1985년 2월 12일, 제12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5월 17일, 전국 80개 대학 3만 8000여명, 광주사태 진상규명 요구 시위. 6월 17일,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답변확정. 7월 19일, 부산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범어사~서면) 개통. 8월 17일, 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 20일, 남북한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도착(남북한 각각 151명씩 3박 4일간 체류). 9월 21일,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9월 27일,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 19일,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 3월 13일,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3월 26일,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 21일,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 20일,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 6일, (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월 4일, 과학기술원 윤한식, 손태항 박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3월 6일, 서울시교위, 시위전력의 교육대학 졸업생 12명 교사임용 제외. 6월 10일,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6월 24일, 전두환대통령,김영삼 민주당총재 회담. 6월 25일, 경찰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에 대한 연금해제. 7월 4일, 김영삼 민주당총재,김대중 민추협공동의장, 시국대처방안 위한 6개항을 발표. 8월 5일, 노태우 대표 민정당 총재  취임. 8월 29일, 대전 오대양(주) 여사장 등 32명, 용인공장서 동반자살시체로 발견. 9월 27일,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 발족. 10월 27일, 헌법개정국민투표 실시(찬성 93.1`%). 10월 29일, 개헌안 확정 공포.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 창당(총재,대통령후보 김종필). 11월 9일, 민주당, 임시정당대회에서 김영삼총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 11월 12일, 평화민주당 창당대회(총재,대통령후보 김대중 선출). 12월 3일, 중부고속도로(서울~대전 간) 개통. 12월 15일, 정부, 대한항공기 폭파용의자 하치야 마유미와 하치야 신이치(시체)를 바레인에서 서울로 이송. 12월 16일, 제13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8일, 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포.

1988년 1월 16일, 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월 12일, 교통부, 금호그룹에 제2민간항공인가. 2월 22일, 보사부, 국내 첫 AIDS환자 발생 발표.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 취임. 새 헌법(전문과 본문 130조, 부칙 6조) 발효. 제6공화국 출범.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7월 19일, 정부, 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월 17일, 제24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개막(10월 2일까지 16일간 160개 IOC회원국에서 1만 3626명의 선수단 참가). 10월 4일, 유고, 서울무역사무소 개설. 10월 15일,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개국 4,361명 참가). 11월 2일, 국회 5공비리 특위, 국회에서 일해재단(현 세종연구소)관련 비리조사를 위한 1차 청문회 시작. 11월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기로 발표.

1989년 2월 1일,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 26일,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4월 13일, 귀국, 공안합수부에 체포됨. 6월 30일, 북한의 중앙방송, 전대협대표 임수경(林秀卿)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 8월 31일,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2월  31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5공특위,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125개 항목에 걸친 서면질문에 관해 증언함.

1990년 1월 22일,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을 선언. 2월 9일, 3당합당 의결, 당명 민주자유당(민자당). 2월 21일,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처 개설을 발표. 5월 17일,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 5일, 노태우 대통령 코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상회담. 한,소간 조속한 수교에 합의하고 상호 교환방문하기로 합의. 6월 28일,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9월 4일, 강영훈 총리,연형묵 북한 총리, 서울에서 첫 총리회담 개최(~7일). 10월 31일, 정부, 새 민방텔레비전방송국의 지배주주로 (주)태영(泰榮)을 선정. 12월 13일, 노태우 대통령, 소련 방문(~17일). 14일 양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2월 15일, 국회, 지방자치법 지방의회선거법 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1991년 1월 15일, 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명 사우디에 파병. 1월 22일, 한국의료지원단 현지로 출발. 1월 30일, 군수송단 파견. 3월 26일, 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4월 19일 고르바초프 대통령, 소련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제주도) 방문. 6월 20일, 광역의회의원선거 실시. 9월 28일, 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월 9일, 새 민방 서울방송(SBS) 개국.

1992년 1월 6일,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월 8일, 통일국민당 창당대회(대표최고위원 정주영). 2월 8일, 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 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2월 18일, 정원식 총리 및 연형묵 북한총리,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 발효. 2월 20일, 정원식 총리, 김일성 주석 예방. 3월 24일, 제14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4월 10일, 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방한다는 내용의 &LT;UR농산물협상이행계획서&GT;를 GATT에 제출. 5월 5일, 제7차 남북고위급회담 개최. 북한총리 등 대표단 90명 서울 도착. 6월 12일, 정부, &LT;종합유선방송법시행령&GT; 확정. 8월 9일, 황영조(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8월 11일, 한국 최초의 과학위성 &LT;우리별 1호&GT; 발사 성공. 8월 24일, 한국 외무장관 및 중국 외교부장, 양국 정부의 외교관계 수립 등 6개항의 공동성명 발표. 8월 27일, 한국주재 중국대사관 개관. 9월 29일, 노태우 대통령, 중국방문 중 한 중정상 회담결과 8개항의 공동언론발표문 발표. 10월 8일, 노태우 대통령, 중립내각개편 단행. 12월 18일, 제14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9일, 김영삼후보 당선. 김대중, 대통령선거패배와 관련 정계은퇴선언. 12월 22일, 한국, 베트남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3년 2월 9일, 정주영 국민당 대표, 대표최고위원직 사퇴하고 정계은퇴의사를 밝힘. 2월 25일,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취임. 3월 12일,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3월 14일, 정부, 북한의 NPT탈퇴 해결 때까지 남북대화 중단. 3월 28일,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가 구포역 입구에서 지반붕괴로 전복(68명 사망, 124명 중경상). 3월 29일,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 부동산취득의혹과 관련 민자당 탈당. 4월 27일, 국회, 박준규의장 사퇴안을 가결하고 이만섭(李萬燮)의원을 새의장으로 선출. 4월 7일, 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기로 유엔측에 공시통보. 5월 6일 안기부, 작가 황석영(黃晳暎) 89년 3월 첫 밀입북한 이래 5차례 밀입북하여 김일성과 고려연방제 등을 논의했으며 대남공작지침에 따라 범민련 결성을 운영해 온 것으로 발표. 5월 20일, 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5월 29일, 정부, 종합유선방송(CATV)의 방송구역으로 서울 21구역을 비롯 전국 116개 구역을 고시. 6월 7일, 보사부, 약사관련 규칙개정으로 한 약사 분쟁. 7월 17일, 대검, 율곡(栗谷)사업비리사건과 관련 이종구(李鍾九) 이상훈(李相勳) 전국방장관과 한주석(韓周奭) 전공참총장 및 김철우(金鐵宇) 전해참총장 등 4명을 구속. 8월 6일, 대전엑스포 개막, 108개국 33개 국제기구 참가. 8월 12일, 김영삼 대통령 &LT;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GT;을 발표. 8월 17일, 감사원, &LT;평화의 댐&GT; 및 &LT;율곡사업&GT; 특별감사와 관련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게 책임소재 규명을 위한 서면조사서 전달. 8월 20일,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로 확정. 8월 31일, 국회 12.12사태·율곡사업·평화의 댐· 진상조사 착수. 9월 26일, 우리별 2호&GT;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월 10일, 전북 부안(扶安) 앞바다에서 서해페리호(110`t급) 침목로 268명 이상 사망 실종. 10월 15일, 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 전교조탈퇴 조건을 수용 복직하기로 결정. `12월 13일, 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년 1월 11일, 영남지역 악취수돗물 파동. 1월 24일, 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억원을 편취하고 37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2월 22일, 감사원, 정부서 불우이웃돕기 등으로 모은 성금을 판공비,시설비 등에 유용한 사실을 밝혀내 17개부처 시도에 문책 통보. 4.22. 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월 9일, 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일)을 보도. 7월 19일, 김일성 장례식. 7월 20일, (주)현대중공업 직장폐쇄, 전노대(全勞大) 개입. 8월 4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을 요구. 9월 5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태권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승인.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10월 24일, 안기부, 6.25전쟁 때 포로로 잡혀 납북된 조창호(趙昌浩)가 43년 만에 북한을 탈출하여 표류 중 구출되었다고 발표. 12월 3일, 기획원-재무부, 건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1995년 1월 9일, 정부, 부동산실명제를 7월 1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2월 21일,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공식 출범(총재 김종필). 3월 1일, 케이블TV 27개채널 본방송 개시. 4월 28일, 대구지하철 공사장에서 가스폭발사고 발생. 5월 26일, 정부, 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월 17일, 남북대표들, 베이징[北京]에서 대북 쌀제공에 관한 첫 회담 개최. 6월 25일, 대북 지원을 위한 대북 지원 쌀 동해항 출발, 청진항 도착. 6월 27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6월 29일, 서울 삼풍백화점 2개동 중 북쪽건물 붕괴. 사망․실종 506명, 부상 40여 명. 7월 18일,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 신당 창당 공식 선언. 7월 24일, 8만여 톤 원유를 적재한 유조선 시프린스호, 전남 여천군 해상에서 태풍으로 좌초 최악의 해양오염사고 발생. 8월 2일, 서석재(徐錫宰) 총무처장관, <전직 대통령 중 한 사람이 4,000여억원의 가명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이 해명을 요구. 8월 5일, 무궁화위성, 한국 최초의 위성으로 미국 케이프 커내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성공. 8월 11일, 교육부,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한다고 발표. 8월 18일, 북한 평양방송, 북한 대동강 일대 등에 폭우로 홍수가 발생했다고 보도. 9월 20일, 제1회 광주비엔날레 개막(9.20.~11.20). 10월 19일, 민주당 박계동(朴啓東)의원,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신한은행 서소문지점에 (주)우일양행 명의로 된 128억 2700여만원 예금조회표를 공개하며 <이는 노태우 전대통령의 퇴임 직전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예치됐던 4,000억원의 비자금을 100억원씩 40개 계좌로 분산 예치시킨 것 중 일부>라고 주장. 10월 27일, 노태우 전대통령, 자택 기자자회견에서 재임 중 통치자금을 조성, 대국민사과. 11월 8일,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11월 16일, 검찰, 노태우 전대통령이 재임기간에 30개 재벌기업체 대표들로부터 2,358억 9600만원의 뇌물을 받았다고 밝힘. 노태우 전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서울구치소에 구속수감. 12월 2일, 전두환 전대통령, 검찰의 12.12와 5.18재수사와 관련, 검찰의 소환요구 및 여타의 어떠한 조치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연희동 자택에서 성명을 통해 거부의사를 밝히고 측근들과 합천(陜川)으로 낙향. 12월 3일, 검찰, 검찰소환을 거부한 전두환 전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집행. 안양교도소에 수감. 12월 5일, 민자당, 새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변경. 12월 6일, 불국사,8만대장경,종묘 등 3건의 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록. 12월 19일, 국회, 12.12 및 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안 의결. 12월 26일, 5월 30일 북한군에 나포된 우성호 선원 5명과 사망한 3명의 유해, 판문점을 통해 송환.

 

 

안동김씨 대종회 사이트 입니다.

andongkim.net/na.html (14k)

 

 

 

출처..안동김씨 대종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신라김씨 비조(鼻祖) 대보공(大輔公 諱 閼智)

 비조(鼻祖)인 대보공(휘 알지-閼智)은 서기 60년(신라 탈해왕 4년) 8월 4일, 신라의 서울인 서라벌(금성) 서쪽 계림(鷄林, 또는 始林)의 숲속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던 금궤(金櫃)에서 태어났다. 탈해왕은 이는 <하늘이 준 아들>이라 하면서 금궤에서 나왔다고 하여 성씨를 김씨로 사성(賜姓)하였다.

 금궤 속에서 나온 동남(童男)이 마치 박혁거세(朴赫居世)의 고사와 같으므로(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 이름 했다. 이 '알지'는 향찰(鄕札-순 우리말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표기하던 신라시대의 문자)로 표기한 것으로서 '소아(小兒), 아이, 아기'를 일컫는다.

당시 탈해왕(脫解王)은 '알지'를 태자로 책봉했으나 후에 알지는 이를 파사에게 양위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6대손인 '미추(未鄒)'가 왕위에 올랐다. '알지'를 신라김씨(안동김씨 포함)에서는 시조로 모신다.

이에 대한 <三國遺事>(一然 著)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永平3年 庚申(一云 中元 六年. 誤矣. 中元盡二年而已), 八月四日, 弧公夜行月城西里, 見大光明於始林中(一作鳩林), 有紫雲從天垂地, 雲中有黃金櫃, 掛於樹枝, 光自櫃出, 亦有白鷄鳴於樹下.以狀聞於王, 駕幸其林, 開櫃有童男, 臥而卽起, 如赫居世之故事, 故因其言, 以閼智名之. 閼智卽鄕言小兒之稱也. 抱載還闕, 鳥獸相隨, 喜躍 足倉足倉 .王擇吉日, 冊位太子. 後讓於婆娑不卽王位, 因金櫃而出, 乃姓金氏, 閼智生熱漢, 漢生阿都, 都生首留, 留生郁部, 部生俱道(一作仇刀), 道生未鄒, 鄒卽王位, 新羅金氏自閼智始.

 <해석>

영평3년(*주1) 경신(*주2) 8월 4일에 호공이 밤에 월성(月城)의 서리(西里)를 걸어 가고 있었는데, 큰 광명이 시림(*주3) 속에서 나오는 것을 보았다. 자주색 구름이 하늘에서 땅으로 뻗쳐 있었고, 그 구름 속에는 한 황금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 빛은 바로 그 궤로부터 나오고 있던 것이었고, 그 나무 밑에서는 흰닭이 울고 있었다.

이 모습을 왕(석탈해왕)께 아뢰자 왕은 친히 그 숲으로 행차하였다. 그리고 왕이 그 궤를 열어 보았더니 그 속에서는 어린 사내아이가 있었는데 누워 있다가는 곧 일어났다. 이것은 마치 혁거세의 고사와 같았는데(혁거세가 알지라고 한) 왕은 그 말로 인하여 '알지'라고 이름하였다. 알지는 곧 우리말로 '아기(小兒)'를 일컫는다. 왕은 이 사내아이를 안고 대궐로 들어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라와 뛰놀고 춤추었다.

왕은 길일을 택하여 세자로 책봉했으나 (알지는) 뒤에 파사왕에게 사양하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金)씨라 했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郁部)를 낳고, 욱부는 구도(仇道 혹은 仇刀라 함)를 낳고, 구도는 미추(未鄒)를 낳았는데 미추가 왕위에 올랐으니 신라의 김씨는 알지에서 시작되었다.

<三國遺事>李丙燾譯.大洋書籍 刊. 1972. p104)

*주1. 영평3년 : 서기 60년, 탈해왕 4년

*주2. 경신(庚申) : 혹은 중원 6년이라고 하나 잘못이다. 중원은 2년 뿐이었다.

*주3. 시림(始林) : 혹은 구림(鳩林)이라고도 한다

  
          
<鷄林-대보공 탄강지. 경주시 >

*<신증동국여지승람> 내의 기록 내용 (2003. 4. 23. 윤만(문) 제공)

▣ 제3권 p236<경주부 고적(古蹟) ; 김알지(金閼智)>

--시림(始林) : 부의 남쪽 4리에 있다. 탈해왕(脫解王) 9년에 임금이 밤에 금성(金城)의 서쪽 시림(始林)의 수풀 사이에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대보(大輔) 호공(瓠公)을 보내어 가보게 하였더니, 황금빛 작은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임금이 궤를 가져다가 여니, 작은 사내아이가 있었다. 임금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훌륭한 아들을 보내줌이 아니겠는가?" 하고, 곧 거두어 양육하였다. 이름을 알지(閼智)라고 하였으며, 그가 금궤(金櫃)에서 나왔으므로 성(姓)을 김씨(金氏)로 하였다. 인하여 그 숲을 계림(鷄林)이라 이름하고, 인하여 나라 이름으로 하였다. 숲 속에 쌓은 돌이 있는데 높이가 3척이나 된다. 속설에 전하기를, "알지(閼智)의 태(胎)를 풀 때에 가위를 놓았던 돌로서, 가위의 흔적이 있다." 한다. 알지의 7대손 미추(味鄒)가 조분왕(助賁王)의 왕녀[딸]에게 장가들었더니, 아들이 없어서 미추가 대신하여 섰는데[즉위하였는데],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가진 시초였다.

 

1.<안동김씨(安東金氏)에 대한 개괄적 소개>

<우리 성씨의 명칭에 대해>

  안동김씨라 하면 일찍이 고려조부터 우리 안동김씨만을 일컬어 왔다. 그런데 조선 중기에 후안동김씨(後安東金氏, 일명 新安東金氏)가 생겨나 혼동이 생겼다. 일반적으로 안동김씨라 함은 우리만을 일컫는 것이 원칙이나 두 안동김씨를 구분해야 할 경우에는 우리를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또는 舊安東金氏)라고 부른다.

 옛날, 그리고 경상도에서는 안동의 다른 명칭을 살려 상락김씨, 화산김씨, 영가김씨, 고창김씨, 복창김씨, 또는 선안동김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종전에는 우리 성씨를 先 安東, 또는 舊 安東으로 혼용해 왔으나 본 홈페이지에서는 2001. 11. 11.부터 先安東이란 명칭을 가능하면 주로 사용하기로 함.)

 

 안동김씨는 신라김씨의 시조이신 대보공(大輔公) 휘 알지(諱 閼智)의 후손 중 한 성씨이다. 평장사공(平章事公) 휘 숙승(諱 叔承-경순왕의 손자)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경순왕의 8대손으로서 고려조에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높이 추앙받는 충렬공(忠烈公) 휘 방경(諱 方慶)을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충렬공은 안동에서 출생하여 고려조에 삼별초를 평정하고 고려 도원수로서 일본 원정에 나선 뒤 돌아와 최고 관직인 추충정난정원공신 벽상삼한 광정대부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推忠靖難定遠功臣 壁上三韓 匡靖大夫 三重大匡 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로 치사(致仕)한 후  가자(加資)되어 첨의령(僉議令)에 이르렀으며, 상락군(上洛郡) 개국공(開國公)에 봉해지고 안동을 식읍(食邑)으로 받았다. 몰 후 선충협모 정난정국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宣忠協謀 定難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에 추증되고 시호 충렬(忠烈)을 받으셨다.

 안동김씨는 신라 왕손이며 고려왕의 외손(外孫)으로서 고려 500년간 대대로 공경장상(公卿將相)이 끊이지 않았다. 고려가 망하자 많은 사람들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지켜 각 지방에 흩어져 은거하였고, 그 후 형성된 세거지(世居地)를 중심으로 후손들이 번성하였다.

 조선조에 와서도 태종조에 좌정승을 지내신 익원공(翼元公) 휘 사형(諱 士衡)을 비롯한 4분의 정승(政丞-士衡, 石質, 壽童, 自點), 6분의 호당(湖堂-壽寧, 澍, 弘度, 瞻, 緻, 德龍), 4분의 청백리(淸白吏-碔, 延壽, 睟, 時讓), 두 분의 충무공(忠武公-時敏, 應河), 5분의 장신(將臣- 應海, 世翊, 重器, 흡(水+翕), 善弼) 등이 배출되었고 수많은 고관대작(高官大爵)과 충신열사(忠臣烈士)가 끊이지 않았으며, 모름지기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서의 명분을 지켜왔다.

 근대에 들어와 일제 강점 시절에는 많은 분들이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였으며, 특히 상해 임시정부의 주석으로서 평새토록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백범 김구(金九)선생이 배출되어 문명(門名)을 크게 빛냈다.

 

 *<안동김씨 인구>

  1)2000년 통계청 발표 : 425,000여명(전체의 0.9%). 인구 순위 18위.

  2)안동김씨 대종회의 기미보(1979년 간 대동보) 기준 자체 추정인원 : 약 60만명(2000. 12. 현재. 재외교포 포함)

 

 *<통계청 발표--2000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2003. 1. 29. 정보미님 제공)

1985년 조사결과 398,240명(전체의 1%), 인구 순위로는 18위 에서 이번 조사시 425,000 (전체의0.9%) 여명으로 인구순위는 변동없이 18위이며, 안동김씨 인구는 6.8% 증가한 2만7천여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됨

 

2. 주요 역사적 인물 간략 소개  (자세한 것은 본 홈 <역사적 주요 인물>란에서 볼 수 있음)

 *김효인(孝印) : 방경의 父. 병부상서·한림 학사(兵部尙書翰林學士)를 지냄.

 *김방경(方慶) : 고려 충렬왕 때의 명신. 삼별초 평정, 2차에 걸친 일본 정벌에 고려 도원수로 참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림. 최고 관직인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三重大匡 僉議中贊 判典理司事 世子師)로 치사(致仕)하고 상락군 개국공(上洛郡開國公)에 봉해짐. 첨의령(僉議令)에 가자되고 몰 후 충선왕때 선충협모 정난정국공신 벽상삼한 삼중대광(宣忠協謀 定難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에 추증.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안동김씨의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세수(世數)를 정(定)한다.

 *김선()  : 방경의 장자. 밀직사부지사(密直司副知事)를 지냈다.

 *김흔(忻) : 방경의 차자. 찬성사를 지냈다.

 *김순(恂): 방경의 三子. 삼사판사(三司判事)를 지냈다.

 *김윤(惀): 방경의 四子.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를 지냈다.

 *김승용(承用) : 선의 아들. 대제학을 지냈다.

 *김승택(承澤) : 평장사를 지냈다.

 *김영돈(永暾) : 고려조에 좌정승역임. 조적의 난 평정. 1등공신. 상락부원군이 되었다.

 *김영후(永煦) : 우정승을 지내고 후손이 조선 전기에 세력을 크게 떨쳤다.

 *김사형(士衡) : 조선조 개국공신, 좌의정을 역임했다.

 *김질(石質) : 좌의정을 지냈다.

 *김시민(時敏) : 진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진주대첩을 이루었다.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시호는 충무공이다.

 *김수동(壽童) : 영의정을 지냈다.

 *김찬(瓚) : 이조판서를 지냈다.

 *김자점(自點) :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김제갑(悌甲) : 원주목사로 임진왜란 때 아들 시백, 부인 전주이씨와 함께 순절했다.

 *김시양(時讓) :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중추부사를 역임.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김휘(徽) : 김시양의 아들. 이조판서를 지냈다.

 *김득신(得臣) : 숙종 때의 유명한 시인이며 참판을 지냈다.

 *김응하(應河) : 무장(武將)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응해(應海) : 김응하의 동생. 훈련대장을 지냈다.

 *김중기(重器) : 훈련대장을 지냈다.

 *김구(九) : 백범(白凡). 독립운동가, 정치가. 3.1운동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의 경무국장과 내무총장을 지냈으며, 1928년에 한국독립당을 결성했다. 1940년 임시정부의 주석이 되었으며, 해방이 되자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귀국하여 독립당 당수 등으로 있다가 안두희에게 암살 당했다.

 

3. 기타 주요 내용 소개

 1)공신(功臣)소개 (11명)

1. 개국공신(開國功臣) 태조원년(1392) : 1등 金士衡(익) ***원종 金哲(정)
2. 정사공신(定社功臣) 정종원년(1398) : 1등 金士衡(익)
3. 좌익공신(左翼功臣) 세조원년(1455) : 3등 金 石質(김질, 익)
4. 좌리공신(佐理功臣) 성종 2년(1471) : 2등 金 石質(김질, 익), 3등 金壽寧(전)
5. 정국공신(靖國功臣) 중종원년(1506) : 2등 金壽童(익), 3등 金壽卿(익), 4등 金 石武(김무, 익)  ***원종 金百勻(정)
6. 광국공신(光國功臣) 선조23년(1590) : 3등 金澍(안)
7. 호성공신(扈聖功臣) 선조37년(1604) : 3등 金龍(?군)
8. 선무공신(宣武功臣) 선조37년(1604) : 2등 金時敏(제) ***원종 金欽(익), 金益哲(익)
9. 정사공신(靖社功臣) 인조원년(1623) : 1등 金自點(後 追奪, 익), 3등 金鍊(익)
10. 진무공신(振武功臣) 인조 2년(1624) : 2등 金慶雲(문), 3등 金光 火肅(김광수, ?군) ***원종 金自剛(익) 金涉(김섭, 안)
11. 분무공신(奮武功臣) 영조 4년(1728) : 3등 金浹(김협, 부) ***원종 金天柱(안), 金天章(안), 金聲玉(안), 金聲秋(안), 金時達(안)

 

  2)상신(相臣) 소개 (4명)

  1. 사형(士衡,익) : 조선 태조, 좌의정

  2. 질(石質, 익) : 조선 세조 , 좌의정

  3. 수동(壽童, 익) : 조선 연산, 영의정

  4. 자점(自點, 익) : 조선 인조, 영의정

 

 3)역대 삼도수군 통제사 역임자 (10명)

  김응해(金應海), 김적(金 책받침+易),  김세익(金世翊), 김중기(金重器), 김중원(金重元), 김흡(金 水+翕), 김집(金潗), 김광(金 洸), 김윤(金潤), 김영수(金永綬),

   가)삼도 수군 통제사란 : 1593년 초대통제사 이순신, 2대원균, 3대이순신…1894년 208대통제사 홍남주에 이르기 까지 300년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3도의 수군을 지휘한 총사령관(종2품직)이다. 원래는 각 도의 수군절도사가 수군을 지휘하였으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수군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삼도수군통제사를 신설하고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을 임명한 것이 그 시초였다. 삼도수군통제영 예하에는 경상좌,우수영과 전라좌,우수영 그리고 충청도 수영등 5개 수영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각 수사(水使)는 정3품직이다.

  나)역임자와 역임 기간 :

  (1) 35대   김응해(金應海)  1646. 3. ~ 1648. 3.  만기.(副使公 孫)

  (2) 43대   김   적(金 책받침+易)  1659. 8. ~ 1660. 1.  병으로 사임.(翼元公 10代孫)

  (3) 63대   김세익(金世翊)  1685. 3. ~ 1686. 6.  병으로 사임.(應海의 孫)

  (4) 71대   김중기(金重器)  1695. 8. ~ 1695. 11. 이인좌의 난으로 고난.(應河의 曾孫)

  (5) 85대   김중원(金重元)  1711. 11. ~ 1713. 5.  전근.(應海의 曾孫)

  (6) 92대   김중기(金重器)  1718. 9. ~ 1720. 1.  재임.(應河의 曾孫)

  (7) 100대 김   흡(金    翕)  1727. 12. ~ 1729. 12.  만기.(世翊의 孫)

  (8) 104대 김   집(金    潗)  1733. 6. ~ 1736. 4.   만기.(重元의 子) 

(9) 106대김 광(金 洸) 1737. 9.~ ? (應海의 玄孫)

  (10)116대 김   윤(金    潤)  1754. 3. ~ 1755. 2.   파직 (應海의 玄孫)

  (11)140대 김영수(金永綬)  1786. 1. ~ 1786. 7.   순직 (郡事公 後孫)

    *김중기선조님 은 1회 재임하셨기 때문에 10분이 통제사를 역임함

 

 4.<후 안동김씨(後 安東金氏-일명 신 안동김씨)에 대하여>

 안동김씨에는 신라김씨의 시조인 태보공(諱 閼智)의 후손으로서 본관명은 같으나 그 시조를 달리하는 두 종중(宗中)이 있으니 선(先)안동김씨와 후(後)안동김씨가 그것이다.

 후안동김씨는 고려 태사공(泰師公-金宣平)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태사공은 신라말에 고창(古昌-안동의 옛이름)의 성주였는데 신라가 후삼국으로 나뉘어 각축을 벌이고 있을 때 후백제의 견훤군을 격파하고 고려 태조 왕건에게 귀부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고, 벼슬이 태광태사(泰匡泰師)에 이르렀다. 후에 그 후손들이 본관을 안동으로 삼았으며, 조선 중기에 도정(都正)을 지낸 김극효(金克孝)를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그밖에 지절파, 원수파, 열파 등 3파가 있다.

 조선 중기에 와서 성씨 운(姓氏 運)이 크게 일어났는데, 인조때 도정공의 아들로서 우의정을 지내고 대문장가인 선원 김상용과 좌의정을 지낸 청음 김상헌 형제가 나타남으로써 비로소 크게 번성하였다. 그 후 300년 동안 15명의 정승과 6명의 대제학, 1명의 호당, 1명의 청백리, 9명의 장신(將臣), 그리고 3명의 왕비를 배출하였다.

 순조 이후 철종까지 약 60년 동안은 후안동의 일문인 장동김씨들이 정권을 좌우하는 세도정치 가문으로서 대명문(大名門)을 이루기도 하였다.

 선 안동김씨(先 安東金氏)와 후 안동김씨(後 安東金氏)는 이처럼 그 시조를 달리하기 때문에 서로 일가(一家)는 아니며, 서로 통혼을 하였고 지금도 합법적으로 혼인할 수 있다.

 * 후안동김씨 중앙 화수회 연락처 : 02) 465-0727

 * 후안동김씨 홈페이지 : andong-kim.co.kr

 

 *후안동 김씨(일명 신안동) 항렬표(태사공 김선평 22세손 이하)

 0 淳 0 根 炳 0 0 圭(均) 0 鎭 0 漢 0 東 0 顯 0 年 0 鎰 0 求 0 模 0 然

 

 

5. 각종 통계표

 1) 파별 인원 및 과거 급제자 상황 (1979년 간 대동보(기미보) 기준) (2003. 12. 6. 정보미제공)    

 15 대 파   

대동보의 면수(P)

대동보의
비 율 (%)

유명인물(명) 

과거급제자문과(명) 

과거급제자무과(명) 

과거급제자합계(명) 

주 거 주  지 

밀직사사공파

        168

 1.6

  . 

 .

 .

 .

함경도 

개성윤공파

 308 

 2.9

  . 

 2

 3

 5

서울,경기도

군사공파 

 686 

 6.4

  1 

13

14

 26

서울,경기,충청

전서공파 

 537 

 5.1

  2 

 4

 3

 7

경기,충청,경상

부사공파 

 322 

 3.0

 3

 7

 90

97

강원전라경상

문온공파

 962 

 9.0

 .

 7

 2

 9

서울,경기도

안정공파 

  24 

 0.2

 1

 1

 .

 1

충청도 

도평의공파

 437 

 4.1

 1

12

 2

14

경상도

대호군공파

 109 

 1.0

 .

 1

 .

  1

전라도

제학공파 

       1126

10.6

 8

24

21

 44

충청,경상도

판삼사공파

   27 

 0.2

 .

 1

 .

  1

황해도

안렴사공파

2047 

19.3

 2

 21

  31 

 52

경기,충청도 

익원공파 

3557 

34.5

 9

32 

 8

 40

충청,경상,전국

서운관정공

  138 

 1.3

 4

 13

 .

 13

서울,경기도

정의공파 

  154 

 1.5

 .

 .

 .

 .

강원도

합계 

      10602 

    100.7

 31

 137

174 

 311

 

비고: 

(1) 각파별 상황은 1979년 발행 대동보에서 차지하는 면수와 비율로 추산함.

(2) 유명인물은 조선시대 인물중 동국여지승람, 한국전고, 조선명인전, 새우리말 큰 사전에 실린 인물을 선정하였으며 도평의공파의 큰 학자 종덕공과 서운관정공파 성립공의 부인 허난설헌을 추가 하였음.

(3) 과거 급제자는 대동보 1권의 등과 방목을 기준으로 함.  

(4)  출처: 삼소재 문집(P.275) 

    

 2) 행정구역별 가구 및 인구수

    (1) 1985년 통계청 발표 자료 (2002. 10. 16. 정보미 제공)

    * 통계청 (http://www.nso.go.kr/)의 자료.  이 자료에는 선.후 안동김씨 모두의 통계가 따로 나와 있지만, 선안동의 통계(95,736 가구/398,245 명)가 순수(1985년 조사.통계시 선.후를 확실히 나누어서) 한 선안동만의 통계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시의 성씨별 자료는 아직 발표(발표 미정?)가 안 된걸로 알고있음.

  가구수(세대) / 인구수(명)

서울25,641/105,122 

종로구           736 /2,810      

중구550 /2,138       

용산구774 /3,210   

성동구2,056 /8,533   
  동대문구2,708 /11,247  성북구1,526 /6,211  도봉구2,498 /10,148  은평구1,079 /4,691 
  서대문구1,000 /4,130  마포구1,175 /4,724  강서구1,844 /7,623  구로구1,785 /7,148 
  영등포구1,163 /4,786  동작구1,012 /4,229  관악구1,302 /5,382  강남구1,980 /8,220 
  강동구2,453 /9,892        
부산 6,082 /25,309  

중구   166 /595

서구 314 /1,381  동구307 /1,341  영도구305 /1,307 
  부산진구1,020 /4,115   동래구1,426 /5,806  남구846 /3,513  북구662 /2,854 
  해운대구495 /2,050   사하구487 /2,126  강서출장소54 /221    
대구6,858 /27,481  중구601 /2,289  동구1,117 /4,631  서구1,890 /7,478  남구1,080 /4,331 
  북구1,207 /4,818  수성구963 /3,934     
인천 3,727 /15,121  중구   211 /869  동구    387 /1,633 남구1,640 /6,628  북구1,489 /5,991 
경기도12,247 /50,284  수원시1,235 /4,796  성남시1,154 /4,818  의정부시412 /1,600  안양시977 /3,786 
  부천시1,020 /4,037  광명시569 /2,232  송탄시144 /566  동두천시182 /758 
  양주군152 /709  남양주군752 /3,087  여주군218 /958  평택군361 /1,641 
  화성군495 /2,126  시흥군396 /1,623  파주군422 /1,793  고양군432 /1,771 
  광주군442 /1,795  연천군 150 /623  포천군298 /1,218  가평군158 /650 
  양평군204 /830  이천군339 /1,489  용인군393 /1,702  안성군233 /1,135  
  김포군280 /1,238  강화군288 /1,149  옹진군 90 /349  반월출장소266 /1,079 
  과천출장소185 /726       
강원도4,745 /20,139  춘천시440 /1,732  원주시460 /1,898  강릉시488 /2,038  동해시267 /1,119  
  태백시565 /2,466  속초시 155 /605  춘성군 93 /385  홍천군111 /501 
  횡성군 90 /384  원성군 152 /635 영월군212 /922  평창군186 /817 
  정선군368 /1,643  철원군 181 /750 화천군 78 /321   양구군 63 /264 
  인제군    85 /363 고성군  56 /258  양양군 32 /148  명주군182 /814 
  삼척군481 /2,076       
충북 5,916 /25,503  청주시1,697 /6,983  충주시416 /1,772  제천시454 /1,983  청원군704 /3,185 
  보은군120 /488  옥천군  97 /428  영동군170 /673  진천군261 /1,168 
  괴산군871 /3,997  음성군463 /1,898  중원군266 /1,214  제원군138 /622 
  단양군259 /1,092       
충남6,325 /28,472  동구694 /3,114   중구 933 /4,173  유성출장소55 /267  천안시557 /2,757 
  금산군 76 /350   대덕군164 /749  연기군519 /2,066  공주군394 /1,822 
  논산군309/1,400  부여군339 /1,499  서천군 64 /280  보령군165 /782 
  청양군102 /429  홍성군 139 /582  예산군228 /1,123  서산군309 /1,377 
  당진군301 /1,417  아산군404 /1,872  천원군573 /2,413   
전북2,287 /10,137   전주시351 /1,522  군산시 206 /982  이리시202 /908  정주시 65 /307 
  남원시   31 /143  완주군189 /875   진안군56 /227   무주군68 /273 
  장수군  37 /154  임실군   29 /149   남원군   22 /123  순창군78 /340 
  정읍군153 /665  고창군258 /1,108  부안군138 /558  김제군177 /793 
  옥구군105 /441  익산군122 /569     
전남 1,428 /6,661  동구    73 /398     서구  171 /764     북구   148 /629  목포시62 /303 
  여수시   58 /279  순천시    45 /199   금성시 15 /113  광산군87 /344 
  담양군  60 /252  곡성군    28 /126   구례군  7 /36      광양군 30 /159 
  여천군      6 /42  승주군  20 /110  고흥군167 /761  보성군 78 /386 
  화순군34 /145   장흥군     26 /129   강진군    28 /117  해남군19 /111 
  영암군      4 /43  무안군  15 /81     나주군 30 /130  함평군 47 /193 
  영광군 74 /327  장성군  52 /229  완도군    8 /45  진도군    4 /21
  신안군   10 /69  여천출장소22 /120     
경북14,490 /59,374   포항시665 /2,654  경주시192 /743  김천시139 /549  안동시2,618 /9,660 
  구미시363 /1,717  영주시923 /3,679  영천시 91 /472  달성군121 /530 
  군위군   84 /364  의성군768 /3,184   안동군2,202 /8,803  청송군430 /1,863 
  영양군489 /2,147  영덕군375 /1,474  영일군177 /752 월성군145 /603 
  영천군154 /645  경산군298 /1,291  청도군  67 /269  고령군43 /141 
  성주군  84 /338  칠곡군175 /772  금릉군144 /573  선산군88 /436 
  상주군399 /1,702   문경군603 /2,789  예천군1,039 /4,289  영풍군540 /2,490 
  봉화군698 /2,927  울진군338 /1,390  울릉군  38 /128   
경남5,843 /24,089   중구460 /1,843  남구  365 /1,530  방어진출장소367 /1,495  마산시970 /3,824 
  진주시282 /1,167   창원시339 /1,342  진해시254 /1,086  충무시55 /243 
  삼천포시38 /141  김해시117 /538  진양군  83 /331 의령군64 /317 
  함안군118 /432   창녕군393 /1,492  밀양군245 /1,058  양산군315 /1,275 
  울주군144 /626  김해군153 /650  의창군118 /513  통영군23 /127 
  거제군245 /1,031   고성군    54 /206  사천군   65 /292  남해군     11 /60 
  하동군60 /278   산청군106 /436  함양군143 /616  거창군130 /636 
  합천군126 /504        
제주도    147 /553  제주시  81 /296  서귀포시39 /138  북제주군15 /66  남제주군 12 /53 
전국95,736 /398,245          


  (2) 2003년 통계청 발표 자료  (2003. 2. 13. 통계청 발표) (2003. 11. 23. 정보미 제공)

  <안동김씨의 행정구역(시.군.구)별 인구>

 이 자료는 2000.11.1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0 인구주택총조사>> 성씨및 본관별 자료 중 우리 (선)안동김씨에 관한 자료입니다.

 안동김씨의 인구는 1985년 경제기획원 통계국의 조사시 95,736 가구에 398,24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2000년 통계청 조사시 132,645가구에 425,264명으로 조사되어 본관별 성씨 순위로는 18위이며, 1985년 이후 15년동안 36,909가구 27,019명이 늘어나 안동김씨의 인구는 6.8% 증가하였습니다.

 아래 [표2]를 보면 우리 안동김씨는 1가구당/ 평균 3.2명이 거주하며, 서울ㆍ경기지역에 가장 많이 살고 있으며, 다음으로 경북ㆍ대구ㆍ부산ㆍ충북ㆍ인천 순으로 많이 살고 있어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1] 각 시.군.구별 세부 인구 사항 (2000.11.1 통계 조사 실시. 2003. 2. 13 통계청 발표)   가구수/인구수(명)

전국 132,645 /425,264

 

1985년 통계는 

95,735가구에 

398,245명 임 

 

서울29,778/94,981 

종로구 518 /1,538  

중구 357 /1,018  

용산구 646 /2,071  

성동구977 /2,970  

광진구 1,198 /3,696  

 

동대문구1,267 /3,895  

중랑구 1,298 /4,206  

성북구 1,398 /4,465  

강북구 1,019 /3,269  

도봉구 1,095 /3,557  

 

노원구 1,894 /6,234  

은평구 1,207 /4,029  

서대문구1,047 /3,319  

마포구 1,049 /3,312  

양천구 1,288 /4,377  

 

강서구 1,629 /5,284  

구로구 1,119 /3,592  

금천구 795 /2,451   

영등포구1,245 /3,879  

동작구 1,191 /3,737  

 

관악구 1,352 /4,249  

서초구 1,147 /3,575  

강남구 1,671 /5,175  

송파구 1,887 /6,190  

강동구 1,484 /4,893  

부산8,476/27,861  

중구132 /379   

서구 271 /899   

동구 319 /938   

영도구 368 /1,184  

부산진구999 /3,218  

 

동래구 658 /2,178  

남구 724 /2,430  

북구 720 /2,455  

해운대구1,006 /3,328  

사하구 781 /2,649  

 

금정구 630 /2,058   

강서구 107 /322   

연제구 512 /1,690   

수영구410 /1,365   

사상구622 /2,072   

 

기장군 217 /696   

       

대구10,040 /32,603  

중구 352 /1,017   

동구 1,547/4,799  

서구 1,277/4,125  

남구 694 /2,149   

북구 1,835/6,059  

 

수성구 1,719 /5,664  

달서구 2,139 /7,220  

달성군 477 /1,570   

   

인천7,396 /24,279  

중구 201 /643   

동구 235 /743   

남구 1,210/3,922 

연수구 825 /2,731   

남동구 1,121/3,700  

 

부평구 1,511 /4,978  

계양구 1,000 /3,410  

서구 1,002/3,325  

강화군265 /741   

옹진군 26 /86   

광주     850 /2,937

동구 68 /188   

서구 168 /618   

남구 117 /401   

북구 290 /1,046  

광산구 207 /684   

대전3,774 /12,312  

동구 671 /2,093   

중구 642 /2,134   

서구 1,336/4,380  

유성구 400 /1,419   

대덕구 725 /2,286   

울산 2,666/8,887  

중구 589 /1,977   

남구 834 /2,714   

동구 560 /1,886   

북구 322 /1,093   

울주군 361 /1,217   

경기도 26,337/87,728  

수원시 2,906 /9,530  

수원장안구911 /2,985   

수원권선구952 /3,193 

수원팔달구1,043 /3,352  

성남시 2,708/8,948  

  성남수정구751 /2,403 

성남중원구768 /2,464  

성남분당구1,189 /4,081  

의정부시1,033 /3,457  

안양시1,679 /5,626  

 

안양만안구761 /2,413  

안양동안구918 /3,213  

부천시2,237 /7,344  

부천원미구1,116 /3,680  

부천소사구583 /1,884  

 

부천오정구538 /1,780  

광명시 903 /3,139  

평택시 902 /3,041  

동두천시232 /754  

안산시1,679 /5,496  

 

고양시2,305 /7,654  

고양덕양구1,059 /3,453  

고양일산구1,246 /4,201  

과천시 217 /674  

구리시 508 /1,744  

 

남양주시1,111 /3,770  

오산시 268 /910  

시흥시 857 /2,924  

군포시 770 /2,542  

의왕시 331 /1,153  

 

하남시 372 /1,241  

용인시1,114 /3,804  

파주시 524 /1,778  

이천시 522 /1,767  

안성시 355 /1,207  

 

김포시 425 /1,398  

양주군 277 /923  

여주군 290 /993  

화성군 498 /1,670  

광주군 402 /1,305  

 

연천군 147 /465  

포천군 388 /1,299  

가평군 159 /516  

양평군 218 /656  

 

강원도5,277 /16,050  

춘천시 771 /2,372  

원주시 969 /3,089  

강릉시 965 /2,892  

동해시 364 /1,170  

태백시 349 /1,054  

 

속초시 245 /722  

삼척시 395 /1,044  

홍천군 133 /444  

횡성군 97 /303  

영월군 178 /534  

 

평창군 147 /457  

정선군 163 /458  

철원군 166 /539  

화천군 59 /165  

양구군 56 /178  

 

인제군 91 /261  

고성군 76 /226  

양양군 53 /142  

   

충북8,111 /25,397  

청주시3,427 /11,209  

청주상당구1,394 /4,616  

청주흥덕구2,033 /6,593  

충주시984 /3,085  

제천시757 /2,327  

 

청원군726 /2,362  

보은군 103 /302  

옥천군 85 /274  

영동군 162 /501  

진천군340 /1,015  

 

괴산군435 /1,056  

음성군492 /1,459  

단양군 191 /585  

증평출장소409 /1,222  

 

충남5,714 /17,932  

천안시1,840 /5,856  

공주시413 /1,346  

보령시 199 /645  

아산시621 /2,003  

서산시342 /1,075  

 

논산시 289 /928  

금산군 83 /269  

연기군520 /1,534  

부여군 327 /872 

서천군 46 /167  

 

청양군 88 /275  

홍성군 149 /442  

예산군 208 /709 

태안군115 /367  

당진군397 /1,174  

 

계룡출장소77 /270  

       

경북13,999 /41,780  

포항시 1,475 /5,034  

포항남구750 /2,513   

포항북구725 /2,521   

경주시531 /1,656   

김천시298 /939   

 

안동시 3,001 /8,627  

구미시 1,142 /3,945  

영주시 1,365/4,203  

영천시 313 /931   

상주시423 /1,153 
 

문경시526 /1,615   

경산시755 /2,413   

군위군 81 /262   

의성군863 /2,146   

청송군 339 /947   

 

영양군399 /1,013   

영덕군328 /820   

청도군 63 /192 

고령군 67 /171   

성주군 87 /269 
 

칠곡군343 /1,124   

예천군757 /2,108   

봉화군456 /1,180   

울진군 358 /947   

울릉군 29 /85   

경남 6,144/19,516  

창원시 1,211 /4,066  

마산시 1,009/3,212  

마산합포구505 /1,606   

마산회원구504 /1,606   

진주시538 /1,741   

 

진해시329 /1,051   

통영시 108 /364   

사천시124 /383   

김해시718 /2,452   

밀양시 285 /859   

 

거제시304 /1,008   

양산시443 /1,522   

의령군 75 /182   

함안군119 /300   

창녕군 306 /811   

 

고성군 58 /148   

남해군 16 /45 

하동군   57 /171   

산청군 78 /187   

함양군114 /282  
 

거창군 165 /484   

합천군 87 /248       

전북2,666 /8,274  

전주시708 /2,443  

전주완산구343 /1,208  

전주덕진구365 /1,235  

군산시392 /1,342  

익산시453 /1,422  

 

정읍시 202 /573  

남원시 66 /194  

김제시161 /495  

완주군 148 /445  

진안군 38 /104  

 

무주군 60 /167  

장수군 33 /86  

임실군 31 /77  

순창군 60 /144 

고창군 210 /514  

 

부안군 104 /268  

       

전남1,123 /3,787  

목포시 98 /340  

여수시133 /509  

순천시 136 /473  

나주시 42 /130  

광양시118 /422  

 

담양군 46 /166  

곡성군 26 /63 

구례군     7/25

고흥군 115 /373  

보성군 69 /168  

  화순군 37 /132 

장흥군 29 /89  

강진군 20 /54 

해남군 28 /108  

영암군 24 /99     

 

무안군  16 /68  

함평군 31 /71  영광군 54 /151  장성군 35 /144 

완도군 12 /52   

  진도군     6 /33 

신안군 41 /117   

     
제주도   294 /940 

제주시 178 /562  

서귀포시54 /163 

북제주군31 /111  

남제주군31 /104  

 

 

  [표2] 각 시.도별 인구 사항 (2000. 11.1 통계조사 실시. 2003. 2.13 통계청 발표)  

   행정구역

가구수

인구수(명)

행정구역

가구수

인구수(명)

전       국

 132,645     425,264  

울산광역시 

      2,666         8,887   

읍   단   위

   10,705       34,350

경   기   도 

    26,337       87,728  

면   단   위

   16,751     48,855  

강   원   도 

      5,277       16,050  

동   단   위

 105,189     342,059  

충 청 북 도 

      8,111       25,397  

서울특별시 

    29,778         94,981  

충 청 남 도 

      5,714       17,932  

부산광역시 

      8,476         27,861  

경 상 북 도 

    13,999       41,780  

대구광역시 

    10,040         32,603  

경 상 남 도 

      6,144       19,516  

인천광역시 

      7,396         24,279  

전 라 북 도 

      2,666        8,274  

광주광역시

        850          2,937 

전 라 남 도 

      1,123         3,787  

대전광역시

      3,774         12,312  

제   주   도 

         294            940 

 

 

 6.<안동김씨 조선조 과거(문과) 시험 합격자 명단> (2001. 7. 9. 주회(안) 제공)

 1) 파별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 디지털한국학 홈페이지( http://www.koreandb.net/)의 조선조방목에 나와 있는 선안동김씨 급제자를 현존하고 있는 15파별로 집계함.

파명

인원수

급제자 명

1. 밀직사사공파(칠우)

 

 

2. 개성윤공파(칠림)

2

김중초, 김중옥

3. 군사공파(칠양)

13

김진, 김돈, 김석정, 김정일, 김경, 김두남, 김홍택, 김광국, 김광위, 김회빈, 김상룡, 김정호, 김영섭

4. 전서공파(성목)

4

김익정, 김익렴, 김수녕, 김한

5. 부사공파(천순)

7

김인명, 김인상, 김인, 김유, 김중희, 김호, 김영섭

6. 문온공파(구용)

9

김맹헌, 김계우, 김연수, 김극녕, 김구, 김확, 김환, 김시경, 김복인

7. 안정공파(구덕)

1

김뉴

8. 도평의공파(구정)

10

김서형, 김설, 김성좌, 김도응, 김성, 김오응, 김종구, 김종경, 김종발, 김희유

 

9. 대호군공파(유)

1

김수준

10. 제학공파(익달)

23

김고, 김익, 김충갑, 김제갑, 김효갑, 김시회, 김방, 김제현, 김시헌, 김치, 김시언(시양), 김상윤, 김호, 김경, 김소, 김휘, 김득신, 김구만, 김가경, 김덕원, 김회원, 김항광, 김명저, 김변광

11. 판삼사공파(장)

 

 

12. 안렴사공파(사렴)

17

김환, 김공망, 김공예, 김주, 김욱, 김적, 김희, 김언, 김련, 김진, 김태기, 김세익, 김도, 김복원, 김우국, 김영묵

13. 익원공파(사형)

28

김질, 김수동, 김작, 김성동, 김엄, 김형, 김식, 김언, 김덕룡, 김언심, 김억령, 김덕곤, 김찬, 김흠, 김직재, 김대유, 김계도, 김효건, 김이경, 김식, 김일성, 김정하, 김전, 김환, 김서구, 김재경, 김재성, 김경행

14. 서운관정공파(수)

12

김중연, 김희수, 김로, 김홍도, 김수, 김첨, 김성립, 김진, 김경, 김수신, 김유헌, 김회명

15. 정의공파(철)

 

 

      파 미상

3

김영세, 김명원, 김진원

130

 

 

 2)선안동과 후안동의 과거합격 비교

  (1) 조선 인조 이전까지는 안동김씨 문과합격자의 대다수가 선안동이나 인조때의 영상 김자점이 역모로 죽음을 당한후 선안동의 세가 위축되고 또한 순조이후 후안동이 세도정치를 하면서부터는 문과합격자 거의가 후안동임.

  (2)왕대별로 안동김씨 급제자중 선안동김씨 /후안동김씨 급제자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음.

태조 1/1 (선안동김씨/후안동김씨) 정종 0/0 태종 4/5 세종 3/3 문종 1/1 단종 2/2 세조 2/3 예종 0/0 성종 6/8 연산 4/6 중종 11/13 인종 0/0 명종 9/10 선조 15/20 광해 11/12 인조 10/17 효종 0/2 현종 3/5 숙종 11/24 경종 5/8 영조 18/43 정조 1/1 순조 2/29 헌종 7/30 철종 0/22 고종 2/45 순종 0/0

 

 3) 장원 급제하신 분(8분)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문) 김계우(金季友) 세종18(병진, 1436) 친시(親試) 同進士1

 ⊙문) 김맹헌(金孟獻) 세종8(병오, 1426) 식년시(式年試) 同進士1

 ⊙서) 김수신(金秀臣) 사길(士吉) 정조20(병진, 1796) 별시(別試) 甲科1

 ⊙제) 김시헌(金時獻) 자징(子徵) 선조21(무자, 1588) 식년시(式年試) 甲科1

 ⊙군) 김정호(金正浩) 고종4(정묘, 1867) 식년시(式年試) 甲科1

 ⊙안) 김주(金澍) 응림(應霖) 우암(寓庵) 중종34(기해, 1539) 별시(別試) 甲科1

 ⊙서) 김홍도(金弘度) 중원(重遠) 남봉(南峯) 명종3(무신, 1548) 별시(別試) 甲科1

 

 4)최연소로 합격하신 분

 ★전) 김수녕(金壽寧) 단종1(계유, 1453) 식년시(式年試) 乙科1 --18세

 ★익) 김수동(金壽童) 미수(眉<0x3CE4>) 성종8(정유, 1477)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18 --21세

 ★제) 김치(金緻) 사정(士精) 남봉(南峰) 선조30(정유, 1597) 알성시(謁聖試) 丙科2 --21세

 ★서) 김경(金憬) 경심(景心) 정조14(경술, 1790) 춘당대시(春塘臺試) 甲科1 --21세

 

 5)최고령으로 합격하신 분

 ★제) 김명저(金明著) 정조10(병오, 1786) 식년시(式年試) 丙科9 --69세

 ★제) 김득신(金得臣) 자공(子公) 백곡(栢谷) 현종3(임인, 1662) 증광시(增廣試) 丙科19 --59세

 ★제) 김항광(金恒光) 영조49(계사, 1773) 증광시(增廣試) 丙科44 --57세

  

 6)여러 대에 연속 급제하신 분

 ★서) 김희수-김로-김홍도-김첨-김성립-김진은 (6대)

 ★익) 김질-김성동-김언-김억령 (4대)

 ★서) 김수신-김유헌-김회명 (3대)

 ★제) 김충갑-김시회-김경은 (3대)

 

 7)형제분이 급제하신 분

 ★군) 김칠양- 김진, 김돈

 ★도) 김남응- 김종발, 김종경

 ★문) 김명리- 김맹헌, 김계우

 ★부) 김중화- 김유, 김호

 ★서) 김홍도- 김첨, 김수

 ★안) 김낙서- 김욱, 김언

 ★익) 김종숙- 김질, 김작

 ★전) 김휴- 김익정, 김익렴

 ★제) 김석- 김충갑, 김제갑

 ★(제학공파) 김시회- 김경, 김치

 ★익) 김해- 김덕룡, 김덕곤

 ★제) 김계종- 김명원, 김진원

 ★부) 김진- 김인상, 김인명

  

 8)조선조 무과방목

 우리 안동김씨 족보의 등과방목에는 김시민, 김응하 등 무과에 급제하신 분이 184분이 있는데 현재 인터넷이나 자료에서 무과방목이 게재된 것이 없어 확인할 수 없음.

 아마도 조선조에는 문신우대 풍조로 말미암아 무신들은 낮추어 보았고, 또한 무신들은 전쟁터에서 젊은 나이에 많이 죽게 되는 관계로 무과방목 서류가 많이 전해지지 않아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봄.

 

 9)조선조 사마방목

현재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되는 사마방목은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나 서울대학교 도서관, 청주대학교 도서관 등 대형도서관에 사마방목CD를 비치하여 구내에서만 서비스하고 있음.

몇해전에 국립중앙도서관 5층에 있는 전산정보실에서 우리 선안동김씨의 사마방목을 복사를 시도한 적이 있으나 신안동김씨와 같이 "안동김씨"로 게재되어 있어 누가 구안동인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고 자료가 워낙 방대하여 중단한 적이 있음.

 

 10)고려방목

고려시대에도 우리 선안동김씨는 김민성, 김효공, 김효인 할아버지를 필두로 많은 분들이 과거에 합격하였으나 별도로 정리된 것은 없음.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의 족보] 홈페이지(http://www.gamoon.co.kr/) 에서 고려방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완료되어 검색이 가능해지면 본 게시판에 알려 드리도록 하겠음.

 

 7. 중요 묘, 사, 영당, 서원, 정려 위치 (2002. 11. 2. 태서(익) 제공)

명    칭

선조명

위     치

송천서원

김사렴

충북 청원군 오창면

도정사우

김영돈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도정사우

김진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도정사우

김익달

충남 천안군 병천면 가전리

충렬사

김제갑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충렬사

김응하

함북 종성군

충렬사

김응하

함북 경원군

충렬사

김응하

평북 창성군

충민사

김시민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창렬사

김시민

경남 진주시

포충사

김응하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하갈리

의열사

김응하

평북 선천군

도암사

김질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효자정려

김익정

충남 연기군 전동면 양곡리

효자정려

김질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사충정려

김천주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천장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성추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사충정려

김성옥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효열정려

김몽상

강원도 강릉시 교동

부조묘

김사형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부조묘

김주

경기도 이천군 율면 본죽리

영당

김사형

경남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8. <상락사 연표> (2004. 10. 태영(군) 제공)

◀上洛史年表▶

◎ 기원전


70만년전 한반도에 구석기 문화 시작

10000년 중석기문화 형성. 공주 석장리유적의 단구(段丘) 제1문화층과 단구 제3문화층. 욕지도(欲知島)유적지 등의 세석기 제작.

6000년 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Ⅰ류 제작사용. 부산 동삼동유적 하층 형성.

5000년 서울 암사동유적 형성.

4000년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하층의 제1기 및 제2기 문화층, 온천 궁산리유적 하층 문화 등   형성.

3500년 중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제3,4,5기 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층 두도기 형성.

3000년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제6문화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3문화층, 회령 오동유적 제1,2문화층 등 형성.2333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년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3,4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년 부산 동삼동유적 5층 영도기 형성.

1300년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3기 유적 등 형성.

1200년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년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년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년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년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 형성.

700년 논산 신기리고인돌유적, 단양 안동리석관묘유적, 부여 송국리선사취락지유적, 제천 양평리유적(청동기주거지) 등 형성.

600년 요령 정가와자유적, 파주 덕은리주거지유적, 회령 오동유적 등 형성.

500년 요령 윤가촌유적 하층 1기문화 형성. 강계 풍룡동분묘유적, 고흥 운대리지석묘유적, 광주 송암동주거지유적, 남제주 상모리조개더미유적, 밀양 월산리고분군유적 등 형성.

450년 송화강 상류 일대에 부여(扶餘) 성립.

403년 진국(辰國) 성립.

400년 철기문화 들어옴. 진국의 이주민이 서부 일본에 진출.

350년 신평 선암리유적, 진양 대평리유적 형성.

310년 승주 오봉리고인돌유적, 제주 오라동지석묘 등 형성.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 유역에 철기문화 널리 시작. 한문자(漢文字) 전래. 원3국시대 시작.

221년 진(秦)의 중국통일로 회하(淮河) 방면에서 동이(東夷)의 활동이 중단. 조선후(朝鮮侯) 조선 왕을 칭함. 연(燕)의 진개(秦開)가 조선의 서방을 침공하여 2,000여 리를 강점.

214년 조선왕 부(否) 즉위. 진의 장성공사가 요동에 이름.

209년 조선의 준왕(準王)에게 연(燕),제(齊)의 수만 호(戶)가 피난 옴.

203년 맥족(貊族)의 기병이 한(漢)을 도와 초(楚)를 공격.

202년 기자조선이 패수(浿水)를 한과의 경계로 삼음.

200년 해모수(解慕漱)설화, 금와(金蛙)설화 성립.

195년 기자조선에 요동의 위만(衛滿)이 망명해 옴. 준왕(準王)이 박사(博士)를 삼고 서계(西界)를 지키게 함.

194년 위만이 왕검성을 공략, 위만조선을 건국. 기자조선의 준왕이 남하하여 한왕(韓王)이 됨.

190년 위만왕이 진번(眞番), 임둔(臨屯)을 복속시킴.

175년 함흥 이화동유적의 토광묘, 동검(銅劍), 철기의 문화 형성.

149년 서홍 문무리유적의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관계형성.

128년 예군(濊君) 남려(南閭)가 호구(戶口) 28만을 데리고 한(漢)의 요동군에 귀부(歸附). 그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126년 창해군 폐지.

125년 황주 금석리유적의 동기(銅器),철기,목곽묘 문화의 형성.

108년 위씨조선(衛氏朝鮮) 멸망. 한(漢)의  고조(高祖) 조선을 침공, 위만의 고조선을 멸하고 낙랑(樂浪), 임둔(臨屯), 진번(眞番), 현토(玄唾)의 4개군을 설치.

107년 금속문화 전래.

99년 와질토기 제작 시작.

82년 고구려족이 임둔,진번군을 축출. 한이 낙랑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남부도위를 설치.

75년 고구려족이 현토군을 공격하여 서북쪽으로 축출.

69년 신라에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

59년 해모수(解慕漱)가 북부여(北夫餘)를 건국.

58년 동부여(東夫餘)에서 주몽(朱蒙) 탄생.

57년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칭함.

50년 신라, 왜구(倭寇)를 격퇴.

37년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京城)을 쌓고 금성(金城)이라 칭함.

28년 고구려, 부위염(扶尉..), 북옥저를 병합.

27년 신라, 천일창(天日槍)이 왜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19년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琉璃王) 즉위. 신라, 석탈해(昔脫解) 탄생.

18년 온조(溫祚)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백제국(百濟國) 건국(~후660).

5년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 기원후


3년 고구려, 졸본(卒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년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즉위.

8년 백제, 마한(馬韓)을 멸하고 병합.

14년 고구려, 양맥(梁貊)을 멸하고, 한(漢)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여 척으로 왜구 격퇴.

15년 백제, 봄~여름에 대기근 발생.

18년 백제, 탕정성(湯井城)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축조. 고구려, 유리왕 죽고(?~), 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

22년 고구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부여, 대소왕의 동생을 옹립하여 갈사국(曷思國)을 건국.

24년 신라, 남해차차웅 죽고(?~), 유리이사금(瑠璃尼師今) 즉위.

26년 고구려,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7년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년 백제, 온조왕 죽고(?~), 다루왕(多婁王) 즉위.

37년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2년 변진구야(弁辰狗耶)의 9간(九干)이 수로(首露)를 추대하여 금관가야(金官伽倻)를 건국. 신라, 이서국(伊西國)을 병합.

44년 고구려, 대무신왕 죽고(4~), 민중왕(閔中王) 즉위(?~48).

48년 고구려, 민중왕 죽고(?~), 모본왕(慕本王) 즉위(?~53).

49년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53년 고구려, 모본왕이 살해되고(?~), 태조왕(太祖王)이 즉위(~145).

57년 신라, 유리이사금 죽고(?~), 탈해이사금 즉위.

65년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년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백제, 다루왕 죽고(?~), 기루왕(己婁王) 즉위(?~128).

80년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년 고구려, 한의 요동 6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08년 신라, 비지국(比只國)․초인국(草人國)․다벌국(多伐國)을 병합.

111년 고구려, 예맥과 함께 현도를 공격.

112년 신라, 파사이사금 죽고(?~),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즉위(?~134).

128년 백제, 기루왕 죽고(?~), 개루왕(蓋婁王) 즉위(?~165).

132년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34년 신라, 지마이사금 죽고(?~),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즉위(~154).

146년 고구려, 태조왕이 아우 차대왕(次大王)에게 선위(禪位).

154년 신라, 일성이사금 죽고(?~),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즉위(~184).

166년 백제, 개루왕 죽고(?~), 초고왕(肖古王) 즉위(~214).

179년 고구려, 신대왕 죽고(?~), 고국천왕(故國川王) 즉위(~197).

184년 신라, 아달라이사금 죽고(?~),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즉위(~196).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196년 신라, 벌휴이사금 죽고(?~),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즉위(~230).

197년 고구려, 고국천왕 죽고(?~), 산상왕(山上王) 즉위(~227).

199년 가야, 수로왕 죽고(42~), 거등왕(居登王) 즉위(~253).

209년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14년 백제, 초고왕 죽고(?~), 구수왕(仇首王) 즉위(~234).

227년 고구려, 산상왕 죽고(?~), 동천왕(東川王) 즉위(~234).

230년 신라, 내해이사금 죽고(?~),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즉위(~247)

234년 백제, 구수왕 죽고(?~), 사반왕(沙伴王)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되고 고이왕(古爾王)이 즉위(~286).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247년 신라, 조분이사금 죽고(?~),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즉위(~262).

248년 고구려, 동천왕 죽고(209~), 중천왕 즉위(~270).

261년 신라, 첨해이사금 죽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즉위(~284).

270년 고구려, 중천왕 죽고(224~), 서천왕(西川王) 즉위(~292).

284년 신라, 미추이사금 죽고(?~),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즉위(~298).

286년 백제, 고이왕 죽고(?~), 책계왕(責稽王) 즉위(~298).

292년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298년 백제, 책계왕 죽고(?~), 분서왕(汾西王) 즉위(~304). 신라, 유례이사금 죽고(?~),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즉위.

300년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봉상왕 자살(?~).

307년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10년 신라, 기림이사금 죽고(?~),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즉위(~356).

331년 고구려, 미천왕 죽고(?~), 고국원왕(故國原王) 즉위(~371).

342년 고구려, 전연(前燕)의 모용황이 침공, 환도성 함락.

344년 백제 비류왕 죽고(?~), 계왕(契王) 즉위(~346).

346년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56년 신라, 흘해이사금 죽고(?~), 내물마립간(柰勿麻立干) 즉위(~402).

371년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근초고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75년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84년 백제, 근구수왕 죽고(?~), 침류왕(枕流王) 즉위(~385).

385년 백제, 침류왕 죽고(?~), 진사왕(辰斯王) 즉위(~392).

391년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392년 백제, 진사왕 죽고(?~), 아신왕(阿辛王) 즉위(~405).

400년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02년 신라, 내물마립간 죽고(?~),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즉위(~417).

405년 백제, 아신왕 죽고(?~), 전지왕 즉위(~420).

407년 가야, 이시품왕 죽고(?~), 좌지왕(坐知王) 즉위(~421).

413년 고구려, 광개토왕 죽고(374~), 장수왕(長壽王) 즉위(~492).

414년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17년 신라, 눌지(訥祗)가 실성마립간을 죽이고(?~) 즉위(~458).

420년 백제, 전지왕 죽고(?~), 구이신왕(久爾辛王) 즉위(~427).

427년 백제, 구이신왕 죽고(?~), 비유왕(毗有王) 즉위(~455).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55년 백제, 비유왕 죽고(?~), 개로왕(蓋鹵王) 즉위(~475).

458년 신라, 눌지마립간 죽고(?~),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즉위(~479). 고구려의 묵호자(墨胡子)가 불교 전파.

475년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77년 백제, 해구(解仇)가 문주왕을 살해(?~), 삼근왕(三斤王) 즉위(~479).

479년 자비마립간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즉위(~500). 백제, 삼근왕 죽고(?~), 동성왕(東城王) 즉위(~501).

491년 고구려, 장수왕 죽음(394~).

492년 고구려, 문자명왕(文咨明王) 즉위(~514)..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0년 신라, 소지마립간 죽고(?~), 지증왕(智證王) 즉위(~514).

501년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년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년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14년 신라,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519년 고구려, 문자명왕 죽고(?~), 안장왕(安藏王) 즉위(~531).

520년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1년 가야, 겸지왕 죽고(?~), 구형왕(仇衡王) 즉위(~532).

523년 백제, 무령왕 죽고(462~), 성왕(聖王) 즉위(~554).

527년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1년 고구려, 안장왕 죽고(?~), 안원왕(安原王) 즉위(~545).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년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년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40년 신라, 법흥왕 죽고(?~), 진흥왕(眞興王) 즉위(~576).

545년 고구려, 안원왕 죽고(?~), 양원왕(陽原王) 즉위(~559).

551년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2년 백제, 불상과 경론(經論)을 왜에 보냄.

553년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4년 백제, 성왕 죽고(?~), 위덕왕(威德王) 즉위(~598).

555년 신라왕,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59년 고구려, 양원왕 죽고(?~), 평원왕 즉위(~590).

561년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년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568년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76년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진흥왕 죽고(534~), 진지왕(眞智王) 즉위(~579).

579년 신라, 진지왕 죽고(?~), 진평왕(眞平王) 즉위(~584).

584년 신라, 건복(建福)으로 개원(改元).

586년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0년 고구려, 평원왕 죽고(?~), 영양왕 즉위(~618).

598년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백제, 위덕왕 죽고(525~). 혜왕(惠王) 즉위(~599).

599년 백제, 혜왕 죽고(?~), 법왕(法王) 즉위(~600).

600년 백제, 법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641).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만듦.

602년 백제, 승려 관근(觀勤)이 왜에 천문․지리․역서․방술서 등을 전함.

612년 수나라의 제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년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2차 공격).

618년 고구려, 영양왕 죽고(?~), 영류왕(榮留王) 즉위(~642).

632년 신라, 진평왕 죽고(?~),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647).

634년 신라, 인평(仁平)으로 개원(改元).

641년 백제, 무왕 죽고(?~), 의자왕(義慈王) 즉위(~660).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654년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02년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년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년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년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년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년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년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년 신라, 원성왕 `죽음(?~).

799년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800년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공식(公式) 20여조(條)>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년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년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년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년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년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년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년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년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871년 발해, 대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년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6년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년 신라, 원종(元宗), 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년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E) 즉위(~906).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년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년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여 성을 공략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년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년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년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 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년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2년 신라, 효공왕 죽고(?~), 신덕왕(神德王) 즉위(~917).

914년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7년 신라, 신덕왕 죽고(?~), 경명왕(景明王) 즉위(~924).

918년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년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4년 신라, 경명왕 죽고(?~), 경애왕(景哀王) 즉위(~927).

926년 발해의 103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934년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여 성이 항복.

935년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양여, 신라 멸망.

936년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년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년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년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년 왕규(王規)의 난. 혜종 죽고(?~), 정종(定宗) 즉위(~950).

947년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년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년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년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승과제(僧科制) 설치.

960년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西都)라 칭함.

961년 과거를 실시. 고시과목은 시(詩).부(賦).의(醫).복(卜) 등.

972년 내의시랑(內議侍郞) 서희(徐熙)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감.

975년 광종 죽고(925~), 경종(景宗)이 전시과(田柴科)를 제정.

981년 경종 죽고(956~), 성종(成宗) 즉위(~997).

983년 전국에 12목(牧)을 설치. 3성(省),6조(曹),7시(寺)를 정함.

987년 각 촌(村)의 대감(大監), 제감(弟監)을 촌장(村長),촌정(村正)으로 개정.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제정.

991년 중추원(中樞院)을 설치.

992년 국자감(國子監)을 창립하고 전장(田莊)을 함.

993년 제1차 거란침입. 안융진(安戎鎭)에서 거란군을 격파. 서희가 소손녕(蕭孫寧)과 화약(和約)을 맺음. 개경,서경과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994년 서희,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구주(龜州)에 축성.

995년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치고, 전국을 10도(道),128주(州),449현(縣),7진(鎭)으로 나눔.

997년 성종 죽고(960~), 목종(穆宗) 즉위(~1009).

998년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

1002년 6위(衛)의 군영(軍營)을 새로 설치.

1004년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1007년 화산분출로 탐라 해중에 산이 생겨남.

1009년 서북면순검사(西北面巡檢使)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980~) 현종(顯宗)을 즉위시킴(~1031).

1010년 제2차 거란침입. 순무사(巡撫使) 양규(楊規)가 곽주(郭州)에서 거란군을 섬멸.

1011년 거란군에게 개경(開京) 함락, 현종 나주(羅州)로 파천. 양규,정성(鄭成) 등이 거란군을 파하고 여러 성을 회복. 현종 환도.

1012년 도절도사(道節度使)를 폐지하고, 5도호부(都護府) 75목(牧) 안무사(按撫使)를 둠.

1014년 흥화진(興化鎭)에서 거란군 격퇴.

1015년 거란군이 흥화진,통주(通州),용주(龍州)에 침입.

1016년 곽주에서 거란군 격퇴.

1018년 제3차 거란침입. 강감찬(姜邯贊)이 흥화령(興化嶺)에서 거란군을 대파.

1019년 구주대첩(龜州大捷).

1020년 거란과 강화.

1024년 대식국(大食國:아라비아)의 상인 100여 명이 특산물을 가지고 무역하러 옴. 개경을 확장하여 5부(部) 35방(坊),314리(里)로 정함.

1029년 여진 해적선 30여 척의 침범을 격퇴.

1031년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신설.

1033년 북경(北境)에 천리장성 축조를 개시.

1034년 덕종 죽고(1016~), 정종(靖宗) 즉위(~1046).

1037년 거란의 병선이 압록강에 침입.

1044년 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에 축성함으로써 천리장성 완성.

1046년 정종 죽고(1028), 문종(文宗) 즉위(~1083).

1049년 동번(東蕃) 해적이 임도현(臨道縣)에 침입. 동여진 해적이 금양현(金壤縣) 진명(鎭溟)에 침입. 소굴을 소탕함.

1055년 최충(崔沖)이 사학(私學)을 일으킴(12公徒).

1058년 승려 해린(海鱗)을 국사(國師)로, 난원(爛圓)을 왕사(王師)로 함.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을 설치.

1061년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침.

1062년 호경(鎬京)을 다시 서경으로 고침.

1063년 국자감의 규율과 직제를 정비 강화. 거란, 대장경(大藏經)을 보내옴.

1066년 거란, 국호를 요(遼)로 고침.

1067년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흥왕사(興王寺) 준공.

1068년 양주(楊州)를 남경(南京)으로 하고 신궁을 건립. 최충(崔沖)이 구제학당(九齊學堂) 건립.

1071년 김제(金悌)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국교를 회복.

1073년 동여진 15주, 서여진 2진, 여진족 12촌 등을 편입.

1076년 등과자(登科者)의 급전제(給田制)를 정함.

1080년 보병과 기병 3만으로 정주성 외곽의 여진족을 토벌함.

1083년 문종 죽고(1019~), 순종(順宗) 즉위(~1084). 순종 죽고(1047~), 선종(宣宗) 즉위(~1095).

1094년 선종 죽고(1049), 헌종(獻宗) 즉위(~1095).

1095년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침. 헌종이 숙종(肅宗)에게 선위(禪位).

1097년 국청사(國淸寺) 낙성. 천태종(天台宗) 일어남.

1101년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고, 남경 신궁(新宮) 조영 착수.

1102년 고주법(鼓鑄法)을 제정, 해동통보 1만 5천 관을 주조하여 문무양반․군인에게 나누어줌.

1104년 윤관, 서북면행영병마도통(西北面行營兵馬都統)에 임명됨. 윤관 여진과 싸워 결맹(結盟)하고 돌아옴.

1105년 숙종 죽고(1054~), 예종(睿宗) 즉위(~1122). 탐라국을 폐하고 군(郡)으로 함.

1107년 윤관을 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여진토벌의 군사를 일으킴. 점령지역에 9성(城)을 쌓음.

1108년 여진토벌군이 포위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함.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을 포위공격, 오연총이 구원.

1109년 오연총이 길주를 구(救)함. 오연총이 공검진(公險鎭)에서 패전. 윤관 다시 길주를 구함. 9성을 여진에게 돌려줌. 국학(國學)에 7재(齋)를 둠.

1110년 제술(製述),명경(明經) 등의 과거과목을 제정.

1112년 혜민국(惠民局) 설치.

1119년 국학(國學)에 처음으로 양현고(養賢庫)를 둠.

1122년 이자겸(李資謙)이 중서령(中書令)이 되어 집권.

1128년 이자겸의 난. 궁궐을 태우고, 인종을 사가에 이어(移御)시킴. 혜민국(惠民局) 설치.

1129년 묘청(妙淸)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

1131년 노장(老莊)의 학문을 금지.

1135년 중서시랑평장사 김향(金珦)사망 (安東人 시호 원정(元靖). 묘청의 난.

1142년 8도에 어사(御史)를 보내어 주현(州縣)의 관리를 감찰.

1145년 김부식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편찬.

1147년 처음으로 승보시(陞補試) 시행.

1149년 5군(軍)을 3군으로 변경.

1155년 완산(完山)에서 농민 반란.

1162년 이천(伊川) 등지에서 대규모의 민란 발생.

1163년 남도지방에 농민반란 발생.

1164년 의종, 인지재(仁智齋)에 행차. 야반까지 유연(遊宴), 시종 정중부(鄭仲夫) 등 공분(公憤).

1168년 탐라에서 농민반란 발생.

1169년 별궁 건축을 위해 별공(別貢)을 징수.

1170년 정중부의 난.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明宗)을 세움.

1171년 궁궐에 불이 나서 전우(殿宇) 모두 불탐.

1172년 정중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됨. 서북면에서 민란 발생.

1173년 계사(癸巳)의 난, 동북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난을 일으킴. 문신 축출, 무인(武人) 임용.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의 난. 서북방 40여 성이 호응. 정중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됨.

1175년 관군, 연주(漣州)를 함락, 서경을 포위.

1176년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난. 남부지방에 민란 성행. 대규모 관군 조직.

1177년 망이․망소이의 난을 평정.

1179년 경대승(慶大升), 정중부를 죽이고 반대파를 처형. 도방(都房)을 설치.

1180년 무신(武臣)들이 사병(私兵)을 두기 시작.

1184년 이의민(李義旼)이 정권 장악.

1193년 김사미(金沙彌)의 난.

1196년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성립.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멸하고 정권을 장악.

1197년 최충헌, 명종을 폐하고, 신종(神宗)을 세움(~1204).

1198년 만적(萬積)의 난.

1200년 최충헌, 사저에 도방(都房) 설치.

1202년 탐라민란 평정. 경주,운문,울진 등이 연합하여 민란을 일으켜 주군(州郡)을 장악.

1206년 최충헌을 진강후(晉康侯)에 봉하고, 부(府)를 흥녕(興寧)이라 함.

1209년 희종(熙宗), 최충헌의 집으로 옮겨갔다가 연경궁(延慶宮)으로 돌아옴. 최충헌,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1211년 최충헌이 희종을 폐하고 강종(康宗)을 세움(~1213).

1212년 김방경(金方慶) 탄생

1216년 몽골군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寧朔鎭),정계진(定戒鎭)에 침입하여 재물을 약탈. 거란병, 황주를 침공.

1217년 5군(軍), 태조탄(太祖灘)에서 거란병에게 대패.

1218년 거란병 재침. 조충 등이 거란병을 강동성(江東城)으로 패주시킴.

1219년 조충, 김취려(金就礪), 몽골 및 동진(東眞)과 함께 강동성을 공략. 최충헌 죽고, 아들 최우(崔瑀) 집권.

1222년 몽골에 대비하여 선주(宣州),화주(和州),철관(鐵關)에 축성.

1223년 처음으로 융기도감(戎器都監)을 둠. 금주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퇴.

1225년 최우, 정방정치(政房政治) 시작(~1249).

1226년 경상도 거제(巨濟)에 침입한 왜구를 현령 진용갑(陳龍甲)이 격파.

1227년 김방경(金方慶)이 음보로 산원겸 식록목사가 되었다. 경상도 웅신현(熊神縣)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왜국이 국서를 보내어 사죄하고 수호통상을 청함.

1228년 동진(東眞), 정주(定州),장주(長州)에 침입.

1231년 제1차 몽골군 침입. 살리타[撒禮塔]를 원수로 삼아 평주(平州)를 치고 개경에 육박.

1232년 강화도(江華島) 천도.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축출. 김윤후(金允侯)가 지휘하는 부곡민이 처인성(處仁城)에서 항전. 살리타를 사살.

1233년 필현보(畢賢甫),홍복원(洪福源) 등이 모반. 필현보는 처형되고, 홍복원은 요양(遼陽)으로 달아나 반고려세력을 형성.

1234년 최윤의(崔允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주자(鑄字)로 인행(印行).

1235년 몽골군, 용강(龍岡),삼등(三登),용진진(龍津鎭),동주성(洞州城) 등을 함락, 동경(東京)까지 침입. 야별초군(夜別抄軍)이 지평(砥平)에서 몽골군 격파.

1236년 개천(价川),죽주(竹州)에서 몽골군을 크게 격파. 이규보(李奎報),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음. 이연년(李延年)의 난을, 김경손(金慶孫)이 평정. 강도(江都)에서 대장경의 재조(再雕) 시작.

1238년 몽골군에 의해 동경의 황룡사탑,황룡사장륙상(皇龍寺丈六像)이 불탐.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골에 투항, 홍복원의 지휘를 받음.

1239년 몽골군 철수. 몽골 사신이 와서 왕의 친조(親朝)를 조유(詔諭).

1241년 족자(族子) 영녕공(永寧公)을 왕자(王子)라 칭하고 몽골에 보내어 볼모[禿魯花]로 삼음.

1247년 김방경(金方慶)이 서북면 병마판관이 되다. 아모간(阿母侃)이지휘, 제4차 몽골군침입.

1249년 몽골, 고려왕의 출륙친조(出陸親朝)를 강요. 별초군, 동계(東界)에 침입한 동진군을 격파. 최우 죽고, 최항(崔沆)이 정권 장악.

1253년 11월 경인일에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金孝印)사망. 야굴(也窟)의 몽골군이 제5차 침입. 고종 출륙하여 승천(昇天) 신궐(新闕)에서  

           야굴의 사자와 회견.

1254년 차라대(車羅大) 제6차 몽골군 침입.

1255년 차라대 제7차 몽골군 침입.

1256년 수군을 남하시켜 몽골군을 막게 함. 몽골의 차라대(車羅大), 고려왕자의 몽골방문 요청. 차라대 철군.

1257년 최항 죽고, 최의(崔誼) 집권. 차라대의 제8차 몽골군 침입.

1258년 최씨무신정권 붕괴. 충주의 별초군이 박달령서 몽골군 격퇴.

1259년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 몽골군 대파. 한계성(寒溪城)에서 몽골군 격멸. 고종 죽고(1192~), 태자 전(k) 몽골로 감.

1260년 김방경(金方慶)을 지형부사로 삼다.

1261년 몽골, 요양(遼陽)의 고성(故城) 수리,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摠管府)를 둠. 동서학당(東西學堂)교역장 설치.

1268 년 김방경(金方慶)을 형부상서 추밀원부사로 삼다.

1269년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I)을 세웠으나 반년 만에 원종이 복위.

1270년 강화에서 환도. 삼별초군(三別抄軍)의 항몽전(抗蒙戰). 삼별초군의 해산명령에 배중손(裵仲孫) 등이 항쟁 시작.

1271년 삼별초군, 합포(合浦),동래(東萊)를 공격, 금주(金州)를 점령. 세자 심(諶)을 몽골에 보냄.

1272년 세자 심이 변발(辨髮)과 호복(胡服)으로 돌아옴.

1273년 김방경(金方慶)이 원군(元軍)과 함께 탐라의 삼별초군을 공략. 탐라에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摠管府]를 둠.

1274년 원(元)이 전함 300척을 만들게 함. 제1차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 일본정벌 실패.

1276년 김방경이 원나라에서 호두금패를 받고 조서를 가지고옴.

1278년 충렬왕, 원의 관리와 원군의 철수 및 고려인 송환을 요구.

1279년 김순(金恂)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1280년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둠.

1281년 제2차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 실패.

1285년 김방경(金方慶)을 상락군 개국공에 봉하고 식읍1천호 식실봉 300호를 받다. 일연(一然)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술.

1287년 이승휴(李丞休) 《제왕운기(帝王韻紀)》 저술.

1290년 우군만호 김흔(金忻)이 연기에서 합단적을 물리쳤다. 충렬왕, 강화로 피란. 국사 문적(文籍) 강화로 옮김. 김승용(金承用)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1년 원의 군대와 함께 합단군을 연기(燕岐)에서 격파. 상서성(尙書省) 폐지, 다시 중서성(中書省)을 둠.

1292년 김운(金惲)을 첨의참리세자이부(僉議參理世子貳傅)로 삼고 김흔(金忻)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삼았다. 개경으로 환도.

1293년 8월에 김방경에게 상락군개국공(上洛郡開國公)의 작(爵)내렸다.

1294년 원나라 세조(世祖) 죽고, 동방정벌 중지. 탐라에서 원나라 철수.

1295년 탐라를 제주(濟州)로 고침.

1298년 충렬왕 태상왕(太上王)이 되고, 충선왕(忠宣王) 즉위.

1300년 8월 무오(戊午)에 상락군 김방경이 졸(卒)하였다.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에 추증하고 시호를 충렬(忠烈)이라 하였다.

1308년 김순(金恂)을 광정부사.승지.성균제주(光政副使.承旨.成均祭酒)로 임명하였다.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에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년 7월에 김흔(金忻)이 사망하였다. 판삼사사에서 지도첨의사가 되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삼중대광 상락공에 습봉(襲封)되었다. 각염법 제정.

1310년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에 봉함.

1311년 4월에 김사원(金士元)을 평양윤(平壤尹)으로 삼았다.

1312년 김순(金恂)을 중대광 상락군(重大匡上洛君)에 봉하였다.

1313년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의 세자로 함.

1316년 상왕(上王), 심왕의 위(位)를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년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를 복구.

1319년 1월 임술일에 첨의찬성사 김사원(金士元)이 사망하였다. 일찍이 평양윤을 지내고 상의회의 도감사가 되고 첨의 찬성사가 되었다. 시호를 경정(景貞)이라 하였다.

1320년 정방(政房)을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원,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1년 김순(金恂)을 판삼사사로 삼았는데 이해 8월 사망하였다. 중대광 상락군에 봉하고 시호를 문영(文英 )이라 하였다. 예서(隸書)에 능했다.

1323년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년 상왕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28년 김승용(金承用)이 하(賀)성절사로 원나라에 들어갔다.

1329년 밀직사사 보문각 대제학 김승용(金承用)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충숙(忠肅)이라 하였다.

1332년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감. 삼사우윤 김영후를 원나라에 파견함.

1340년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를 제3황후에 봉함.

1342년 상락부원군 김영돈(金永旽). 삼사우사 김영후(金永煦)등을 1등공신으로 삼아 벽상(壁上)에 도형(圖形)하고 그 부모와 처에게는 3등을 제수하고 전답 100결과 노비10명을 하사하고(1결은 8천평) 영창군(永昌君) 김승택(金承澤)등은 2등 공신으로 각각 추서하였다.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을 지음.

1343년 원, 충혜왕을 게양(揭陽)에 귀양.

1344년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년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8년 7월 무신일에 상락부원군 김영돈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며 호는 균헌(筠軒) 구봉(龜峰)이다.

1349년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년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년 복창부원군 김영후. 전찬성사 김자. 영창군 김승택등에게 경일시독(更日侍讀)하게 하고 하교 하기를 원로대신 대부들은 윤차(輪次)로 입시하여 경사법언(經史法言)을 진강하게 하였다.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을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5년 김구용(金九容)이 과거에 급제하다.

1356년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년 중서평장사로 치사한 영창군 김승택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양간(良簡)이라 하였다.

           최영(崔瑩)이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가 됨.

1359년 홍건적(紅巾賊)의 제1차 침입. 4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년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년 복창부원군 김영후가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홍건적 10만으로 제2차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로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년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옴.

1366년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 신돈(辛旽)을 판사(判事)로 함.

1367년 성균관(成均館)이 중영(重營)되자 김구용(金九容)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하여 성리학을 일으키는 선봉이 되다

1368년 신돈이 보낸 자객에 의해 김제안(金齊顔)이 사망하였다.

1369년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원(元)나라와 절교.

1370년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2년 김구용(金九容)이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중국에 갔다.이듬해 7월 귀국하였다.

1374년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년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년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0년 김익달(金益達)이 문과에 급제하다.

1387년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을 편성.

1384년 척약재(惕若齋)김구용(金九容)이 유배중에 대리에서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온(文溫)이며 척약재 학음집(惕若齋 學吟集)이 전한다. 물계서원. 용장서원에 배향되었다.

1388년 김사형을 교주강릉도 도관찰출척사로 삼았다.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이성계, 우왕을 폐하고 창왕(昌王)을 세움.

1389년 박위, 대마도(對馬島) 정벌. 왜선300여척 격파. 창왕 폐위되고 공양왕(恭讓王) 즉위.

1391년 전라도관찰사 김사안(金士安)이 사망하다. 상락후김영후의 손자로 창왕때 동지밀직사사가되고 명나라에 정조사로 다녀왔다. 시호는 충강(忠康)이다. 이성계,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가 되어 군사통수권을 장악.

1392년 김사형을 문하시중 상락백으로 삼았다.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1393년 상락군 김진(金縝)의 집에서 태조가 거처하였다.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결정. 식년문과(式年文科) 실시(33인 급제).

1394년 정도전(鄭道傳),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편찬. 한양(漢陽)으로 천도.

1395년 정도전등이《고려사》37권을 간행. 예문춘추관 설치. 중앙군 10위(衛)를 10사(司)로 고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소속.

1396년 근정전에서 과거를 보았다. 이때 김익정이 1등으로 장원급제 하였다.

1398년 김승(金陞)을 동지중추원사로 삼았다. 제1차 왕자의 난(戊寅靖社). 태조가 왕세자 방과(芳果)에게 선위(禪位), 정종(定宗)즉위. 이때 김철(金哲)등은 함경도 단천으로 피신 하였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芳幹의 난). 방원(芳遠)을 왕세자로 책봉. 정종이 방원에게 선위. 태종(太宗) 즉위.

1401년 증광문과(增廣文科) 실시. 신문고(申聞鼓) 설치.

1402년 무과의 과거 실시. 호패법(號牌法) 실시.

1403년 계미자(癸未字) 주조(鑄造). 명나라에서 고명(告命)․인장(印章)․조칙(詔勅)을 보내옴.

1405년 김사렴(金士廉)이 사망하다. 고려가 망하자 청주에 은퇴하였다.

1408년 김고(金顧)가 문과에 급제하다.

1411년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를 승문원(承文院)으로 고침. 오부학당(五部學堂)을 운영. 동북면지방으로 양전(量田)을 실시.

1413년 도(都),군(郡),현(縣)의 칭호 개정.

1414년 김전(金塡)이 문급제 하였다. 노비소산한품속신법(奴婢所産限品贖身法)을 제정. 무과(武科)에 삼장통고법(三場通考法) 적용.

1415년 시장세와 상인세를 저화(楮貨)로 징수. 장인세(匠人稅)를 신설. 1417년 명빈(明嬪)김씨의 아버지 김구덕(金九德)을 지돈령부사로 삼았다. 김돈(金墩돈)문과에 급제하다. 각 도(道)에 잠소(蠶所)설치. 의흥현(義興縣)에서《향약구급방》 중간.

1419년 이종무(李從茂),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 제주에 양전(量田) 시행.

1420년 집현전(集賢殿) 설치. 경연청(經筵廳) 설치.

1423년 한성의 남산에 봉수대 축조. 불교를 선교(禪敎) 양종으로 정리. 조선통보(朝鮮通寶) 주조.

1426년 김맹헌(金孟獻)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28년 김돈(金墩)이(세종 10) 왕명으로 《서한이하역대보계도 西漢以下歷代譜系圖》를 찬진하였다. 김구덕(金九德)이 사망하였다. 시호를 안정(安靖)이라 했다.

1429년 정초(鄭招),《농사직설(農事直說)》저술. 경상도․충청도에서 양전사업(量田事業)진행.

1431년 김고(金顧)가 사망하였다.

1432년 맹사성(孟思誠) 등이 《신찬팔도지리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편찬. 《세종실록지리지》를 편찬. 설순 등이 여연군(閭延郡)에   침입한 여진기병을 격퇴.

1433년 압록강변의 여진족을 토벌. 화포전(火砲箭)을 발명.

1434년 갑인자(甲寅字) 주조, 갑인자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행. 북동․북서에 6진(鎭)을 설치. 장영실 등이 경복궁에 자격루(自擊漏)를 설치.

1435년 화약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발명. 함길도에 목화를 심게 함.

1436년 김익정(金益精)이 사망하였다. 대사헌을 거쳐 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납활자 병진자(丙辰字)를 주조.

1437년 물시계인 행루(行漏)․앙부일구 등을 제조, 간의대(簡儀臺)를 설치. 승지 김돈(金墩)이 서문을 지음.

1438년 성천도호부사 김명리(金明理)가 사망하다. 왜선의 삼포평균분박(三浦平均分泊) 엄수를 지시. 장영실, 자동물시계 옥루(玉漏)를 제작.

1440년 인순부윤 김돈(金墩) 사망이 사망하였다.

1441년 장영실 등이 세계 최고(最古)의 측우기(測雨器)를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를 세움.

1442년 김전(金塡)을 예문관 직제학으로 임명.

1443년 통신사와 대마도주가 계해조약(癸亥條約) 체결. 세견선(歲遣船)을 5척으로 약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4년 양전산계법(量田算計法) 제정. 무과삼관법(武科三官法) 실시.

1446년 수양대군이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편찬. 훈민정음 반포(頒布).

1447년 보문각 직제학 김전(金塡) 사망.《용비어천가》의 주해 완성.

1450년 동활자 경자자(庚子字) 주조. 정음청(正音廳)을 설치.

1451년 국방강화를 위해 군사(軍士)를 늘림. 문종이 창안한 화차(火車)를 제작하여 배치. 김종서(金宗瑞) 등이 《고려사》 136권을 개찬.

1452년 김종서 등이 《고려사절요》 편찬. 《동국정운(東國正韻)》을 과거과목 신설.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 인 등을 죽이고 정권장악. 안평대군(安平大君) 사사(賜死)됨. 이징옥(李澄玉)의 난.

1455년 김질(金礩)이 장인인 의정부 우찬성 정창손(鄭昌孫)을 통하여 모의를 고변

1456년 사육신(死六臣)사건.

1457년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 노산군(단종) 죽음.

1460년 하삼도민(下三道民) 4,500호를 평안․강원․황해도에 이주시킴.

1461년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1463년 김수녕(金壽寧)이. 양성지(梁誠之)·서거정(徐居正) 등과 함께《동국통감>을 편찬하였다.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4년  김뉴(金紐)가 문과에 급제 하였다. 전폐(箭幣)를 주조.

1466년 과전법(科田法)을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을 실시.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 규형(窺衡)과 인지의(印地儀)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발명.

1468년 김질(金礩)이 좌의정에 오르고 원상이 되었다. 남이(南怡)․강순(康純) 등이 반역으로 사형됨.

1469년 세조실록을 수찬하는데 공조참판 복창군 김수녕(金壽寧), 예문관 직제학 김뉴(金紐)등이 참여하였다.

1473년 복창군 김수녕(金壽寧)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문도(文悼)이다.

1474년 개찬한 《경국대전》과 《속록》을 반포.

1477년 김수동(金壽童). 김작(金碏)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78년 우의정 원상(院相) 김질(金礩)이 사망하였다.

           김뉴(金紐)가 대사헌으로 군비확충을 위해 전라도 지방에 석보를 쌓았다.

1481년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권을 찬진(撰進).

1483년 김석정(金石精)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후에 이조정랑이 되었다.

           김연수(金延壽)가 문과에 급제 하였다. 후에 대사헌을 역임 하였다.

1484년 성균관에 학전(學田) 400결(結)을 줌. 서거정 등이 《동국통감(東國通鑑)》을 찬진.

1487년 김작(金碏)이 형조판서에 올랐다.

1488년 김작(金碏)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효소(孝昭)이다.

1489년 유교(儒敎)의 전적(典籍)을 각 향교(鄕校)에 배포.

1490년 김뉴(金紐)가 이조참판이 되었다. 글씨와 거문고 그림을 잘그려 삼절로 불리웠다.

           울산,거제,동래,남해 등지에 축성. 순천에 전라좌수영을 설치.

1491년 북정(北征)을 결의. 두만강 방면의 여진족 정벌.

1492년 김성동(金誠童)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493년 성현(成俔) 등이 《악학궤범(樂學軌範)》 9권을 완성.

1495년 부사 김성동(金誠童)이 사망하였다.

1496년 무오사화(戊午史禍). 유자광(柳子光) 등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이 처형되고, 김종직(金宗直)을 부관참시(剖棺斬屍)함.

1498년 김수동(金壽童)이 성절사로 명나라에 가서《성학심법 聖學心法》4권을 구하여 왔다.상평창(常平倉) 설치.

1501년 철원부사 김곤(金坤)이 사망하였다.

1502년 하삼도(下三道)의 주민 1,600호를 평안,함경,황해도에 이주시킴.

1503년 김감불(金甘佛),김검동(金儉同)등이 연철(鉛鐵)에서은(銀)을 분리하는 제련법을 발명.

1504년 김수동(金壽童)이 이조판서에 올랐다. 갑자사화(甲子士禍).

1506년 김공망(金公望) 문과에 급제 하였다. 중종반정(中宗反正).

1507년 이과(李顆) 등이 반란을 꾀하다 발각되어 옥사.

1510년 김수동(金壽童)이 영의정에 올랐다. 삼포왜란(三浦倭亂), 황형(黃衡),유담년(柳聃年) 등이 이를 평정.

1512년 영의정 김수동(金壽童)이 사망하였다. 김적(金磧)의 아들로 상락군 김사형의 후손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시호를

            문경(文敬)이라 하였다. 일본과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하여 세견선(歲遣船) 및 세사미(歲賜米)를 반감함.

1513년 김공예(金公藝)가 장원으로 급제 하였다.

1515년 을해동활자(乙亥銅活字) 주조.

1517년 김안국(金安國)이 《여씨향약(呂氏鄕約)》을 간행하여 반포.

1518년 소격서(昭格署)를 혁파하고, 소장한 그림을 도화서(圖畵署)에 이장(移藏).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

1520년 제주의 한지(閑地)에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둔전(屯田)을 설치.

1526년 경상관찰사 김희수(金希壽)가 사망하였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이가서법을 남겼다.

           영상 김수동비문등 많은 유필을 남겼다. 동궁에 작서(灼鼠)의 변이 일어남. 4월, 최세진(崔世珍)이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지음.

1528년 김공망(金公望)이 사망하였다.

1530년 이행(李荇) 등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편찬.

1532년 조정관리의 녹봉을 감하여 구황(救荒)에 충당.

1538년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지 않는 사찰을 폐지함.

1539년 김주(金澍)가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1543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건립.

1544년 4월, 사량진왜란(蛇梁鎭倭亂).

1545년 김충갑(金忠甲)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조광조 복관(復官)되고, 현량과 다시 실시. 왕대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가 섭정. 8월,   

           을사화(乙巳士禍).

1547년 첨지중추부사 김노(金魯)가 사망하였다. 글씨에 뛰어나 조정의 전책(典冊)을 모두 썼다. 정미사화(丁未士禍). 대마도주(對馬島主)와

           정미약조 체결(수호조약을 개정).

1549년 이홍윤(李洪胤)의 옥 일어남.

1550년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을 하사함(사액서원의 시초). 12월, 선교양종(禪敎兩宗)을 다시 둠.

1551년 양종선과(兩宗禪科)를 설치하고 시경승(試經僧)에게 도첩(度牒)을 발급.

1552년 김억령(金億齡)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553년 김제갑(金悌甲)이 문과에 급제 하였다.

1555년 을묘왜변(乙卯倭變).

1559년 황해도에서 임꺽정(林巨正)의 난 일어남(~1562).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에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관한 서신왕래 시작(~1566).

1560년 이황, 예안(禮安)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움(75년에 사액).

1561년 10월, 이정(李楨)이 경주에 서악서원(西岳書院)을 세우고 설총(薛聰),김유신,최치원을 향사(享社). 이지함이 《토정비결》을 지음.

1562년 임꺽정의 난을 평정.

1563년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가 사망하였다. 시호를 문단(文端)이라 하였다.

1567년 명종 죽고(1534~), 선조(宣祖) 즉위(~1608).

1572년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사이에 사단칠정론에 관하여 서신 왕래 시작(~1578).

1573년 김수(金睟)가 급제하였다.

1574년 안동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우고 이황을 향사(75년에 사액).

1575년 김충갑(金忠甲)이 사망하였다. 구암집이 전한다.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왜국이 조선침략을 위해 전선을 건조하고 있음을 통지. 7월, 심의겸(沈義謙)․김효원(金孝元)의 동서당론이 일어남.

1577년 이이, 《격몽요결(擊蒙要訣)》 간행.

1580년 김억령(金億齡)이 안동김씨 최초의 족보 서문을 쓰다.

1583년 김흠(金欽)이 문과 급제하였다. 이이,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건의함.

1588년 김시헌(金時獻)이 장원급제 하였다.

1589년 관찰사 김억령(金億齡)이 사망하였다.

        김성립(金誠立)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일어남.

1590년 김대래(金大來)가 급제하다.

1592년 김시민(金時敏), 김성립(金誠立), 김제갑(金悌甲), 김흠(金欽)등이 사망. 김수(金睟)는 청백리에 녹선. 임진왜란(壬辰倭亂) 시작. 일본침략군 21만이 부산포에 상륙. 옥포해전에서 왜선 26척을 대파. 명(明)나라의 1차원군 압록강을 건너옴.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 명나라의 2차원군 4만이 압록강을 건너옴.

1593년 왜군이 철수 시작. 선조가 한성으로 귀환.

1597년 김치(金緻)가 문과에 급제하다. 제정유재란(丁酉再亂), 약 20만의 왜군 상륙. 원균(元均) 휘하의 수군이 칠천(漆川)․고성(固城)에서 대패.

1598년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 왜군 철수.

1601년 정랑 김정일(金鼎一)이 사망. 한성에 동묘(東廟) 건립.

1603년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연경에서 마테오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옴.

1604년 유정(惟政)을 쓰시마섬과 일본에 보내어 그곳 사정을 알아보게 함.

1605년 김시양(金時讓)이 급제하였다. 유정이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일본에서 귀국.

1608년 직제학 김대래(金大來)가 사망하였다. 선조 죽고, 왕세자 즉위(광해군).

1610년 허준(許浚)이 《동의보감》 25권 찬진.

1612년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이 역모하였다고 사사됨.

1613년 영창대군의 관작을 삭탈하고 서인으로 함. 폐모론 일어남.

1615년 영중추부사 김수(金晬)가 사망하였다. 경상관찰사. 한성부판윤 지중추부사가 되고 시호는 소의(昭懿)이다. 김언(金言)이 문고에 급제.

            강화부사 정항(鄭沆)이 영창대군을 죽임.

1618년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대북파 정권 장악.

1619년 김응하(金應河) 명나라에 1만 명의 원군 파견할때. 좌영장으로 출전 심하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명나라

           신종(神宗)이 요동백(遼東伯)으로 추봉하고 경원의 충렬사와 선천의 의렬사에 제향하였다.

1623년 김자점.이귀.김류 등이 광해군을 폐하고 능양군(綾陽君) 추대, 인조반정을 주도함.

1624년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킴.

1625년 경상관찰사 김치(金緻)가 사망하였다. 안흥군(安興君)에 봉해졌다.

1626년 호패법시행.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둠.

1627년 창성부사 김시약(金時若)이 두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후금이 조선에 침입(정묘호란). 인조가 강화로 피신.

1628년 2월, 명나라의 숭정연호(崇禎年號)를 사용.

1630년 무감(武監) 설치.

1633년 척화(斥和)의 교를 내리고, 후금의 침략에 대비케 함. 임경업(林慶業)을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에 임명. 상평청에서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전.

1635년 김소(金素)가 문과에 급제하다. 금나라 사신 마부대(馬夫大)가 국서를 전함.

1636년 성천부사 김언(金言)이 사망하였다. 후금의 국서를 거절. 금나라 사신 용골대(龍骨大) 옴. 청군 침입(병자호란).

1637년 강화도 함락됨. 인조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 인조 환궁. 왕세자 일행 불모가 되어 선양[瀋陽]에 도착. 명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청나라 연호를 씀.

1640년 세자 선양에서 돌아옴.

1642년 김시양(金時讓)이 청백리에 녹선되고 아들 김휘(金徽)가 문과에 급제하다.

1643년 김시양(金時讓)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부계기문. 하담파적록. 자해필담등이 전한다.

1644년 김자점(金自點)이 영의정에 올랐다.

1645년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샬(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자로 책봉됨.

1646년 청풍군수 김경(金坰)이 사망하였다.

1649년 낙흥부원군 김자점(金自點)이 사형 당했다. 인조 죽음. 세자 봉림대군 즉위(효종). 관상감 청나라 역서에 따라 역법(曆法)을 고침.

1652년 연경에 천문학관을 보내어 시헌력법(時憲曆法)을 배워오게함. 어영청(御營廳) 설치.

1653년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의 화순포(和順浦) 표착을 보고.

1655년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추쇄, 강화(江華)방비에 임하게 함. 일본통신사 조형(趙珩) 일행 부산에서 대마도로 떠남.

1657년 최유지(崔攸之) 천문관측기구를 제작.

1658년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옴.

1659년 효종 죽음. 왕세자 즉위(현종).

1660년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에 대동법 실시.

1662년 김득신(金得臣)이 문과급제 하였다. 김감(金堪)사망. 현종 창덕궁으로 옮김. 고려조의 능침(陵寢)을 봉식(封植).

1666년 총융사(摠戎使) 김응해(金應海)가 사망하였다. 충청관찰사 김소(金素)사망.

1671년 현종 경덕궁으로 옮김. 전국적으로 대기근. 경기,충청도에서 민란 일어남.

1674년 현종 죽음. 세자 즉위(숙종). 북한산성을 수축함.

1677년 판서 김휘(金徽)가 사망하였다.

1678년 김구만(金龜萬)이 문과급제 하였다.

1679년 강화에 돈대(燉臺) 축조함.

1682년 김시경(金始慶)이 문과에 급제하다.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설치.

1684년 안풍군(安豊君) 김득신(金得臣)이 사망하였다. 진주목사 김시민의 손자다.

           호는 백곡(栢谷)으로 문집이 전한다.

1687년 김두남(金斗南)이 문과에 급제하다. 금위영(禁衛營) 폐지. 숙종 탕평책(蕩平策)을 유시함.

1688년 창덕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觀天臺) 축조.

1689년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됨.

1690년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2년 숙종 창덕궁으로 돌아옴. 북경에서 동을 수입, 화폐 주조.

1694년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월,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697년 장길산(張吉山)이 이끈 농민군 봉기. 도성안의 거지들을 각 섬으로 보냄. 막부(幕府)를 통하여 왜인의 울릉도 출입금지를 보장받음.

1698년 숙종 탕평책을 지시.

1699년 좌승지 김구만(金龜萬)이 사망하였다.

1702년 백두산 화산 폭발. 이준명(李浚明) 울릉도를 답사, 지도 작성.

1711년 김중원(金重元)이 삼도통제사에 올랐다. 평양성과 안주성을 개축케 함. 북한산성 축성 시작. 조태억(趙泰億) 등을 일본에 통신사로 보냄.

1712년 청나라 오라총관 목극등(穆克登)이 백두산정계비를 세움. 북한산성 역사를 끝냄.

1713년 중인,서얼 출신에게 죽은 뒤 벼슬을 주는 규정 제정.

1714년 8도에 지진 발생.

1715년 헌납(獻納)김두남(金斗南)이 사망하였다. 호는 탁청헌(濯淸軒)이며 청백리(淸白吏)녹선 되었다.

1716년 삼도통제사 김중원(金重元)이 사망하였다.

1720년 숙종 죽고, 세자 즉위(경종).

1723년 김변광(金卞光)이 문과급제 하였다. 서양의 수총기(소화기)를 만들게 함. 10월, 관상감에서 서양의 문진종(서양식 시계)을 만들게 함.

1724년 경종 죽고, 왕세제 연잉군 즉위(영조). 서얼 200여 명이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

1725년 화폐주조를 중지하고 무기 제작.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밀풍군(密豊君) 추대, 반란을 일으킴.

1729년 사형수에 대하여 삼복(三覆)을 시행함.

1732년 관상감 관원 청나라에서 《만년력(萬年曆)》을 가져옴.

1735년 우승지 김시경(金始慶)이 사망하였다. 만은집(晩隱集)이 전한다. 김광국(金光國)이 문과에 급제하다.

1736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함(사도세자).

1740년 각 지방의 도량형기를 통일시키도록 함.

1745년 예각(藝閣)에서 《경국대전》 《속대전》을 1책으로 간행.

1746년 《속대전》이 활자본으로 간행됨.

1750년 균역청 설치.

1752년 새돈 44만 4000냥 주조.

1756년 금주령 선포, 밀주를 엄히 단속함. 11월, 흉년으로 기아민 다수가 도성에 들어옴.

1758년 해서,관동 지방에 천주교가 크게 보급 됨.

1759년 원손을 왕세손으로 책봉함(정조).

1761년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私刑) 금지.

1762년 왕세자, 궤 속에 갇혀 굶어 죽음. 금주령을 엄수케 하고 범법자는 사형에 처함.

1763년 김수장(金壽長)이 《해동가요》 편찬. 장안의 승려들을 추방함.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가지고 들어옴.

1764년 장례원(掌隷院)을 혁파.

1765년 김복원(金復元)이 문과에 급제하다. 홍계희(洪啓禧) 등 《해동악장》을 편찬. 10월, 장례원에서 맡았던 노비관계 사무를 형조에 이관.

1767년 공조참의 김변광(金卞光)이 사망하였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1768년 각도의 성곽시설과 장비를 수리토록 함.

1769년 청천강을 따라 남당성(토성)을 쌓음.

1770년 전국의 제언(堤堰)을 수축. 《동국문헌비고》 100권 40책을 완성.

1772년 갑인자(甲寅字)를 개수하여 활자 15만 자를 주조(임진자).

1773년 한성 청계천의 뚝을 돌로 쌓기 시작함. 11월, 총융청에서 조회포,일화봉 등 새로운 포탄을 만들어 사격 실험.

1774년 종1품에서 당상 정3품을 대상으로 등준시(登俊試)를 실시(15인 급제).

1775년 김회빈(金晦彬)이 문과 급제하였다.

1776년 영조 죽고, 왕세손 즉위(정조). 《열성어제(列聖御製)》 간행. 경모궁(景慕宮)을 다시 세움. 금원 북쪽에 규장각(奎章閣)을 새로 지음.

1777년 고쳐 주조한 갑인자 15만자를 주조(점유자).

1779년 처음으로 내각검서관(內閣檢書官)을 설치.

1780년 《문헌비고(文獻備考)》의 수정에 착수(1796년에 완성). 창덕궁에 측우기를 설치하고, 서운관(書雲觀)에 명하여 《천세력(千歲曆)》을  만들게 함.

1783년 병조참판 김광국(金光國)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편저로는 <선배수간(先輩手柬)>,<간독(簡牘)>이 전한다. 승려의

           장안 입성을 금함. 이승훈(李承薰)이 동지겸사은사 일행을 따라 연경으로 떠남.

1784년 이승훈이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라몽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음. 이승훈, 천주교 관련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벽(李檗),권철신(權日身) 등이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음.

1785년 한성에 천주교교회가 생김(진고개 김범우의 집). 해시계 간평일귀(簡平日晷),혼개일구(渾蓋日龜) 등을 제작함.

1786년 통제사(統制使) 김영수(金永綬)가 순직하였다. 연경에서 서양서적의 구입을 금함. 검서시예(檢書試藝)의 규정을 정함.

1787년 프랑스함대 페루즈 일행 제주도를 측량하고 울릉도에 접근함. 동 5월 책문후시(柵門後市)를 금지함.

1788년 서학관계 서적을 대량 불태움.

1789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학행으로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퇴계 학통을 계승한 영남 학파의 조선후기 대표적인

           학자. 이상정의 문인이다.

1791년 박필관(朴弼寬)의 격고(擊鼓) 사건 일어남. 신해교난(辛亥敎難) 일어남.

1792년 북경 주교 구베아가 교황 비오 6세에게 조선교회 창립을 보고. 정약용(丁若鏞) 기중기(機重器)를 발명.

1794년 수원성[華城]을 쌓기 시작함. 울릉도 지도를 제작케 하고 토산물을 조사함. 12월,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 밀입국 상경.

1795년 천주교도 김시삼(金始三)이 청나라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 포교사실을 밀고.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한중록》을 지음

1797년 천사 김종덕(金宗德)이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천사집 川沙集 ≫·≪성학입문 聖學入門≫·≪예문일통 禮門一統≫·≪석학정론 釋學正論≫·≪정본고증 政本考證≫·≪초려문답 草廬問答≫·≪예서 禮書≫ 등이 있으며 사림에서 불천위로 정하였다 영국제독 브로우튼의 북태평양 탐험선 프로비던스호 동래 용당포(龍塘浦)에 표착.1800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순조). 정조 죽고, 세자 즉위(순조). 대왕대비(영조계비 정순왕후), 수렴청정을 함.

1801년 정순왕후(貞純王后) 대왕대비 김씨(金氏)의 명에 따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실시. 서얼소통 시행, 내사노비(內寺奴婢) 폐지 등 제도 개혁.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 등 30여 명의 교도가 처형되는 <신유교난(辛酉敎難)> 일어남.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사건 일어남.

1802년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화를 입은 이들에게 증직(贈職).

1804년 순조의 친정시작, 김대왕대비 수렴정치 폐함. 평양에 대화재, 공해 여사 600여 호 소실.

1805년 정조실록(正祖實錄) 인간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치 시작.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록(恨中錄)》 완간.

1806년 전라도 영광(靈光) 등 40여 군현에 흉년. 기아자 약 50여만명 발생. 정부 2만 5000석의 구휼미를 배급.

1807년 황해안 대해일(大海溢)로 패해도 극심. 유구인 99명 제주도에 표착. 대마도(對馬島)에 통신사(通信使) 파견 요청 거절하자, 왜관(倭館)의 왜인들 난동을 벌임.

1808년 성환도찰방(成歡道察訪)김복원(金復元)이 사망하였다. 호(號)는 인와(忍窩)이다. 북청(北靑) ․ 단천(端川)에서 민란 발생.

          《만기요람(萬機要覽)》 완성.

1809년 함흥에 대화재. 필리핀 루손섬의 원주민 3명, 제주도 표착 9년 만에 송환.

1811년 곡산 등 민란 일어남. 홍경래(洪景來)의 난(평안도 농민전쟁) 일어남. 역법(曆法)을 개정, 시행.

1812년 4월 19일, 홍경래 전사, 난이 평정됨. 왕자 호(昊), 왕세자에 책봉됨(훗날의 익종).

1813년 공충도(公忠道)를 다시 충청도로 개칭. 제주도 토호 양제해(梁濟海) 등의 민란 일어남.

1814년 함경도 일대, 경상도 지방에 대홍수.

1815년 경상도 함안(咸安) 등지에 대홍수. 을해교난(乙亥敎難).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 남공철(南公轍)의 《금릉집(金陵集)》 24권 121책 완간.

1816년 영국 군함 알세스토호,리라호가 충청도 마량진(馬梁津)에 옴. 이로 인해 서양 해도(海圖)상에서 한반도 서해안의 지형 분명해짐. 한성과 경상도 일대에 홍수.

1817년 삼남지방에 대홍수. 김정희(金正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순수비 발견, 68자의 비문 판독. 해인사에 대화재.

1818년 경상도 유생(儒生)들, 상소(上疏)로 채제공(蔡濟恭)의 신원을 요구. 정약용, 유배지 강진(康津)에서 《목민심서(牧民心書)》 완성.

1819년 충청도 공주,전라도 전주 등지에 대홍수. 전국적 호구,인구조사 실시. 호수:153만 3515호, 인구:651만 2349명.

1821년 평양 지방에 괴질 유행, 10여만 명 사망. 국가재정 궁핍상태에 빠짐.

1822년 호적법을 강화함. 인삼밀수출 엄금, 위반자 사형에 처함.

1823년 충청도,경상도 일부에 홍수. 경기,충청,황해도 등 5도 유생들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서얼(庶孼)의 임용을 요청.

1824년 정하상(丁夏祥)이 베이징에 가 교황에게 사제 파송을 요청. 감자씨 전해짐. 유희(柳僖), 《언문지(諺文誌)》(1권 1책) 등을 완성.

1825년 무신의 승교(乘轎)를 금함. 정하상,유진길(劉進吉) 등, 교황청에 서한 발송, 조선천주교의 수난사실을 보고.

1826년 6월에 지진 발생.

1827년 왕세자(익종) 대리청정. 호적법 정비. 서울(한성)에서 야간통행금지 실시. 전라,경상도 각지에서 천주교도 탄압사건 일어남(정해교난). 평안도,함경도,전라도 일대 등, 전국적으로 홍수피해 막심. 지진 발생.

1828년 법사(法司),반족(班族)의 백성들에 대한 재산침해를 엄금. 삼남(三南)지방에 병충해 극심.

1829년 김선필(金善弼)이 무과급제하다. 영종(英宗),진종(眞宗),정종(正宗) 3대 왕의 어필집(御筆集) 발간. 남공철, 영의정 사퇴. 경희궁에 대화재 발생, 여러 전각 소실. 작자미상의 《이두편람(吏頭便覽)》 완성.

1830년 선정비(善政碑) 남립(濫立) 금지. 효명세자(孝明世子) 병사, 왕세자 책봉.

1831년 경희궁 중건 완료.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교구 창설.

1832년 개성(開城)출신 무과 급제자의 임용 허용. 영국 상선 로도 아마스트호, 몽금포(夢金浦) 앞바다에 나타나 외교사상 처음 통상을 요구. 순조, 경희궁으로 천궁.

1833년 전국 각지의 제방 수축. 북한산성 수축 완료. 황해도 재령(載寧)지방 소작인들, 소작료 납부거부운동. 삼남지방의 목화 흉작으로 대동포(大同布)를 대동미(大同米)로 징수.

1834년 폐습,사치를 금함. 창덕궁의 숭문당,양화당 등 많은 전각들 준공. 순조 죽고 왕세손 즉위(현종), 대왕대비(순조의 비, 純元王后金氏)가 수렴청정.

1835년 전국에 전염병(大疫)유행. 《순조실록》 편찬 위해 실록청(實錄廳) 설치. 청주성 화약고에 낙뢰. 세곡방납(稅穀防納)의 폐를 바로잡음. 왕, 창덕궁으로 환어(還御).

1836년 프랑스인 신부 모방, 의주(義州)를 거쳐 밀입국. 소의 밀도살, 금광(金鑛)의 잠채(潛採)를 금함.

1837년 충청도 대흥군(大興郡)에서 성국로(成國老) 등이 집권자들의 죄를 폭로한 괘서(掛書)사건 일어남.

1838년 지진발생. 《순조실록》 34권과 《정조실록》 15권 완성. 《만기요람(萬機要覽)》완성.

1839년 유진길,정하상(丁夏祥) 등 교도 다수 처형됨(己亥敎難). 평안,황해,경상도에 홍수. 조인영(趙寅永)이 제진한 척사윤음(斥邪綸音)을 헌종이 반포함. 오가작통법 실시.

1840년 앙반들의 상민(常民)착취 엄금. 영국선 2척, 제주도에서 소 등 가축을 약탈해 감. 대왕대비(純元王后 金氏)수렴청정 중단, 헌종의 친정 시작. 풍양 조씨(豊陽趙氏)의 세도정치 시작됨.

1841년 전국에 전염병 유행.

1842년 순천부(順川府) 송광사(松廣寺)에 화재. 《천세력(千歲曆)》 발간.

1843년 송광사 중건. 공주(公州)의 대동미(大同米) 착복한 이양옥(李陽玉) 처형.

1844년 이원덕(李遠德) 등, 원경(元慶)을 받들고 모반을 획책하다 처형됨. 김정호(金正浩)의 《오대주도(五大洲圖)》 완성. 김정희(金正喜)가 《세한도(歲寒圖)》 그림.

1845년 영국군함 사마랑호(號), 무단으로 제주도와 전라도 서남해안을 측량. 훈련도감에서 대완구, 비격진천뢰 등 무기를 제작. 왕 경희궁으로 천궁. 김대건, 상하이[上海]에서 조선인 최초의 신부가 되어 밀입국.

1846년 프랑스 세실 해군소장, 천주교탄압을 구실로 군함 3척 끌고 충청도 외연도(外煙島) 정박, 왕에게 항의 서한 전달. 김대건 신부, 새남터에서 순교.

1847년 프랑스 군함 글로아르호(號), 지난해 세실 소장이 전한 국서에 대한 해답을 받고자 서해안으로 들어오다가 고군산열도(古群山列島)에서 좌초. 정부는 청나라를 통해 그 답신을 전달(서양과의 첫 외교문서).

1848년 정부, 아편흡연을 엄금.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재개.

1849년 헌종이 죽자 은언군(恩彦君) 인의 증손 원범(元範) 즉위(철종). 정학유(丁學游) 또는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편찬.

1850년 개성에서 사적인 인삼재배 성행.

1851년 국가경상비 부족으로 비상대비용인 봉부동전(封不動錢)을 변통 사용. 김문근(金汶根)의 딸이 철종비가 됨(純明王后 金氏). 김씨 세도정치 재개됨. 12월, 대왕대비(순조비 純元王后 金氏)청정중단, 철종의 친정 시작됨.

1852년 김흥근(金興根), 영의정이 됨. 오위장(五衛將)의 임명을 엄정, 진장(鎭將)도 매관매직 엄금.

1853년 페레올 주교 사망. 왜관(倭館)을 다시 건립. 춘궁기에 전국적으로 많은 아사자 발생.

1854년 러시아 선박 함경도 덕원(德源), 영흥(永興)해안에 침입, 어민들을 살상.

1855년 영남의 유생들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추존(追尊)을 상소. 영국함 흐네트호(號) 독도(獨島)를 측량, 프랑스함 비르지니호(號) 동해안 일대를 측량.

1856년 가축의 무단도살 엄금.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중건을 위한 공명첩(空命帖) 300장, 승첩(僧帖:度牒) 100장을 발행. 《동문휘고(同文彙考)》 완간. 《통문관지(通文館志)》 속편 완성.

1857년 최한기(崔漢綺), 세계지리서 《지구전요(地球典要)》 저술 완료.

1859년 《대명률(大明律)》 《대전통편(大典通編)》 등 간행. 원자(元子) 죽음. 서울 근교 사찰들을 훼파. 억불책의 일환.

1860년 경희궁으로 천궁(遷宮). 최제우(崔濟愚), 경주에서 동학(東學)을 창시.

1861년 창덕궁으로 환어.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완성, 간행. 러시아 함대, 함경도 원산항(元山港)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

1862년 충청,전라,경상도 곳곳에서 잇단 민란 일어남. 1850년 이후에 세운 서원을 모조리 철폐.

1863년 금위영(禁衛營)군졸들, 받은 녹미(祿米)의 질 문제로 소요. 동학 교조 최제우 체포되고, 남해에 민란. 흥선군을 대원군(大院君)으로 봉하고, 대왕대비 조씨가 수렴청정을 시행.

1864년 북인(北人),남인(南人)을 등용하고, 비변사(備邊司)와 의정부(議政府)의 업무분장. 최제우, 대구에서 사형. 김정호, 대동지지《(大同地志)》완성.

1865년 통제중군(統制中軍) 설치. 찬집소(纂輯所) 설치 《대전회통(大典會通)》 편찬, 《양전편고(兩銓便攷)》 등과 함께 완성.

1866년 대왕대비의 수렴청정 끝내고 왕에게 환정(還政). 민치록(閔緇祿)의 딸이 왕비가 됨. 미국 상선 제네럴 셔먼호(號), 군민(軍民)에 의해 불탐. 척사윤음(斥邪綸音) 발표. 프랑스 함대, 양화진(楊花津)에 내침. 해군대령 올리비에가 이끄는 프랑스군, 재차 내침, 강화도 점령, 양헌수(梁憲洙) 등이 대파.

1867년 서울 각 성문에서 통과세(通過稅) 징수. 신관호(申觀浩)가 수뢰포(水雷砲)를 만듦.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경회루(慶會樓) 완공.

1868년 당백전(當百錢)의 통용을 명령.

1869년 전라도 광양현(光陽縣)에서 민란 발생. 대원군의 명에 좇아 전국 8도(八道) 4도(四都)에 원납전(願納錢) 납입을 독촉.

1870년 일본주재 독일공사 브란트, 일본 외무서기 하나부사[花房義質] 등 군함 헬타호(號)를 타고 부산에 입항, 통상을 요구, 거절당하자 귀국. 청국인 7,000여 명이 평안도 후창군(厚昌郡) 일대에 침입, 벌목을 시도하다 축출됨.

1871년 사액(賜額) 서원 47곳만 남기고 전국의 서원을 철폐.

1873년 선혜청(宣惠廳) 별창(別倉)에 화재. 최익현(崔益鉉), 대원군을 배척하고 시폐(時弊)를 논단하는 상소로, 호초참판에 특임. 소사(疏辭)가 과격하다 하여 제주에 유배. 국왕, 친정 선포(대원군 실각).

1874년 강화도 연안 포대 축조 완성. 일본의 정한설(征韓說)로 각 군영(軍營)에 엄중경계령 내림. 병조판서 민승호(閔升鎬)의 침실 화약 폭발로 일가족 폭사. 달레(프랑스 신부)의 저서 최초의 《한국교회사》 발간.

1875년 울산에서 민란 일어남(29일 진압). 왕이 경복궁으로 옮기고, 양주(楊州)에서 은거하던 대원군 운현궁으로 환거. 일본 군함 운요호를 포격, 퇴각.

1876년 백범 김구(金九)가 태어났다. 최익현(崔益鉉), 척사소(斥邪疏)로 일본과의 통상조약에 반대, 흑산도에 유배. 불평등조약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강화도조약, 병자수호조약)에 조인. 경복궁에서 실화로 열조 어필(列祖御筆), 대보(大寶) 등 소실.

1877년 제생의원(濟生醫院), 종두(種痘) 실시. 천주교 조선교구 주교 리델(프랑스인) 및 두새, 로베르 신부 등 체포.

1878년 청의 요청으로 리델 등 프랑스 신부를 베이징으로 귀환 조처.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가 부산해관의 철폐를 요구하는 무력시위 감행.

1879년 강수관(講修官) 홍우창(洪祐昌),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와 원산개항예약 의정서(議定書)에 조인.

1880년 김홍집(金弘集)을 일본수신사(日本修信使)에 임명. 원산에 일본 영사관 개관. 하나부사, 일본 국왕의 친서(親書) 고종에게 전달. 삼군부(三軍府)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 《동경대전(東經大典)》 등 출간. 지석영, 종두(種痘) 실시.

1881년 박정양(朴定陽) 등 10여 명을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에 임명. 별기군(別技軍)을 두고 신식군사훈련을 실시.

1882년 조미(朝美)수호조규, 조영(朝英)수호조규 조인. 원산,부산,인천 개항. 5월,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군인들, 급료 체불과 급여양곡의 변질, 정량부족 등에 격분, 난동(壬午軍亂). 대원군, 원군으로 들어온 청군에 의해 납치, 청국으로 호송. 7월, 제물포조약 및 수호조규속약(修好條規續約) 체결. 박영효(朴泳孝)를 일본특사 겸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선중에서 태극기를 고안).

1883년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김선필(金善弼)이 사망하였다. 태극기를 국기로 정함. 당오전(當五錢)을 주조. 초대 미국공사로 푸트 착임, 수호조규(修好條規)를 비준, 교환. 기기국(機器局)을 새로 설치. 최초로 영어교육 실시. 조영(朝英)수호통상 조약,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1884년 부산~나가사키[長崎] 간 해저전선 개통. 우정총국(郵政總局) 개설. 이탈리아 및 러시아와 수호조규에 조인. 개화당 일파, 수구당 민씨 일파를 죽이고 새 정부를 조직(甲申政變). 5개조항으로 된 한성조약 체결.

1885년 광혜원(廣惠院)을 설립, 미국인 의사 알렌 진료 실시. 영국함대 거문도를 불법점령.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 등 내한. 최초의 개신교회(소래교회) 창립. 배재학당(培材學堂) 설립. 대원군 귀국. 《한성주보》 발간.

1886년 이헌영을 초대 주일공사에 임명. 서대문 밖에 수력화약공장(水力火藥工場) 건설. 스크랜튼,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설립(梨花學堂). 한불수호조규(韓佛修好條規) 조인. 언더우드, 학당 개설(儆新學校).

1887년 거문도 점거했던 영국 함대 철수(1885~). 광무국(鑛務局) 설치. 최초의 감리교회 정동교회(貞洞敎會) 창립. 김홍집(金弘集)을 좌의정 겸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使)에 임명. 새문안교회 창립. 상공회의소 개설.

1888년 이화학당에서 최초로 주일학교(主日學校) 시작. 군제 개편, 삼남지방에 큰 흉년.

1889년 함북 길주(吉州)와 강원 정선군(旌善郡) 등지에서 민란 발생.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록(西遊見聞錄)》 완성. 언더우드, 조선야소교서회(朝鮮耶蘇敎書會:현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부산에 최초의 기선회사 설립.

1890년 경상좌수사 김인호(金寅浩)가 사망하다. 부산, 인천의 25객주(客主)를 철폐. 침례교회 선교를 시작. 커피, 홍차 등이 소개되고 서양의 배, 사과, 복숭아 등이 원산(元山), 길주(吉州), 대구(大邱) 등지에서 재배 시작.

1891년 제주민란 발생.

1892년 일본 어선, 제주 성산포(城山浦)에 상륙, 민간인을 살해하고 부녀자 폭행. 정부, 김옥균(金玉均) 암살계획을 세워 이일식(李逸植) 등을 일본에 파견. 현대식 화폐 주조.

1893년 동학교도 2만여 명, 충청도 보은군(報恩郡) 장내(帳內)에 모여 척왜척양(斥倭斥洋), 창의(倡儀)의 기치 아래 농성시위 계속. 지석영(池錫永), 교동(校洞)에 우두보영당(牛痘保謁堂)을 설립. 중림동(中林洞) 약현성당(藥峴聖堂) 준공. 전봉준(全琫準) 등 학정 시정을 진정. 최초로 전화기 들여옴. 최초의 시계포, 구리개(을지로 入口)에 등장.

1894년 김옥균,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게 암살당함. 갑오경장(甲午更張)의 시작. 과거제도 폐지. 15일, 김홍집내각 성립. 경북 안동(安東)에서 서상철(徐相轍) 의병 봉기(최초의 反日의병운동).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무장봉기 선포. 홍범십사조(洪範十四條)와 독립선고문을 종묘에 고함.

1895년 동학운동 주모자 전봉준 등 사형. 을미개혁(乙未改革) 단행, 재판소(법원) 구성법 등 34건의 개혁안 의결. 군제(軍制)개혁도 단행, 훈련대 등 설치.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 부임. 소학교령(小學校令) 공포. 8월, 명성황후(明成皇后:閔妃)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 발생. 제3차 김홍집내각 성립.

1896년 연호 건양(建陽), 태양력 사용(음력 1895.11.17). 이범진(李範晋),이완용(李完用) 등 고종 및 왕세자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俄館播遷).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침. 국호(國號)를 대한제국(大韓帝國), 왕의 호칭을 황제로 정함.

1898년 한성전기회사(漢城電氣會社) 설립. 2월 9일, 독립협회, 종로 네거리에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개최. 22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5월 국장).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처형. 농상공부(農商工部)에 철도사(鐵道司) 설치. 《제국신문(帝國新聞)》 순한글 신문으로 창간. 《황성신문(皇城新聞)》(일간) 발행. 서울 종현(鐘峴)에 천주교회당 건립.

1899년 정선(旌善), 제주 등지에서 민란 발생.  광제원(廣濟院) 개설. 서울에서 전차 운행 시작. 대한국 국제의정(國制議定)을 반포. 경인선(京仁線:인천~노량진간) 완성(33.2km). 《독립신문》 폐간. 관립경성의학교부속병원(현 서울대 부속병원) 설립.

1900년 만국우편연맹 가입. 의사,약제사,약품순시 규칙 등 공포. 한성전기회사(한,미인 공동경영)가 최초로 종로에 가로등 3개 가설. 한강철교 준공, 경인선철도 완전 개통. 태극기 규정발표(흰 바탕에 長2자, 廣1자 8치, 태극은 지름 7치에 청,홍색).

1901년 2월 21일, 신식 화폐조례(貨幣條例) 공포,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 실시. 7월, 최초의 안남미 수입. 9월 17일, 흥선대원군을 왕으로 추봉. 10월 9일, 활빈당원 하원홍(河元泓) 등 참형. 혜민원(惠民院) 설치. 강일순(姜一淳), 증산교 창시.

1902년 1월 13일, 갑산(甲山) 동광(銅鑛)의 갱도(坑道) 무너져 광부 600여 명 참사. 5월, 일본제일은행 부산지점, 1원권을 발행, 한국에서 강제유통시킴. 6월 16일, 이상재(李商在) 등 개혁당 사건과 관련, 구속. 황제등극 40주년 칭경식(稱慶式)을 거행. 8월, 국가(國歌)를 처음 제정. 제1차 하와이 이민단 100여 명 출발.

1903년 개성~평양간 전화 개통. 6월 14일, 주한 외국공사들, 러시아 공사관에서 비밀회담. 장지연(張志淵)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등 편찬.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조인. 25일, 의주(義州)를 개방. 3월 17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특파대사로 내한. 8월 18일, 송병준(宋秉畯) 등, 유신회(維新會) 조직. 20일에 일진회(一進會)로 개칭. 22일, 제1차 한일협약(韓一協約) 체결. 11월 16일, 제중원(濟衆院:세브란스병원)낙성식. 26일, 원직(元稷)․나유석(羅裕錫), 보부상을 규합, 진명회(進明會) 조직(12월 共進會와 통합). 12월 미국인 천일외교관 스티븐스, 외교고문에 임명. 21일, 대한적십자사발족, 세계적십자사에 가맹.

1905년 2월 22일, 일본 독도(獨島)를 강점, <다케시마[竹島]>로 명명. 3월 25일, 황제, 러시아 정부에 밀서. 이용익(李容翊), 보성학교(普成學校) 설립(고려대학). 11월 9일,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한. 17일,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 제2차 한일협상조약(乙巳條約) 조인. 12월 1일, 손병희(孫秉熙), 동학(東學)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 21일, 일본, 한국 통감부(統監府) 및 이사청(理事廳)관제 공포 시행.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

1906년 3월 2일,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입국. 4월 21일, 엄비(嚴妃), 진명(進明)여학교 설립. 6월 4일, 최익현(崔益鉉),신돌석(申乭石) 등 의병 일으킴. 7월 2일, 일본 경찰, 경운궁(덕수궁)의 경비권을 강탈. 8월 18일, 최익현,임병찬 등 9명 대마도에 유배. 31일, 《한성신보》 폐간. 9월 1일, 통감부의 기관지로 《경성일보(京城日報)》 창간. 10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13도 11부 333군으로 개편). 18일, 한국 최초의 기념우표 발행. 19일, 가톨릭교에 주간지로 《경향신문》 창간. 11월 1일, 최초의 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최초의 전국적 호구조사 실시.

1907년 1월 29일, 서상돈(徐相敦) 등,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5월 22일, 이완용(李完用) 내각 성립, 23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 창간. 6월 15일, <헤이그밀사사건>(李儁 분사). 7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24일,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丁未七條約) 및 비밀부 각서 조인. 31일 군대해산 조칙(詔勅) 발표. 8월 2일, 연호를 융희(隆熙)로 함. 12월 27일, 경운궁에서 순종, 황제 즉위식. 9월 1일, 서울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11.15.).

1908년 1월 7일, 청진항(淸津港) 개항. 4월 1일, 관립한성고등여학교(현 京畿女高) 설립. 부산역 개설. 23일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안창호(安昌浩) 등 대성학교(大成學校) 설립. 11월 1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최초의 신극 이인직(李仁稙)의 《은세계》, 원각사에서 공연. 12월 3일, YMCA회관 개관식 거행.

1909년 1월, 나철(羅喆), 대종교(大倧敎) 창시. 2월 1일, 미주(美洲) 한국인단체들, 통합해 국민회로 발족, 6월 2일, 《대한민보(大韓民報)》 창간. 10월 24일, 안중근(安重根),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창립.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高羲東), 화가로 데뷔.

1910년 3월 26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 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여명 기소..1911년 3월, 김좌진(金佐鎭) 등 18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 3월 29일, 조선은행법 공포. 4월 17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월 15일, 《소년》지 폐간(지령 23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년 2월 16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년 5월 13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월 15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년 1월 11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월 22일 개통). 3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년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 이시영(李始榮) 등 30여명, 경북 달성을 중심으로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9월 11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년 4월 25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월 25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건물 기공식. 8월 2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 9월 12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월 16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년 1월 1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월 30일, 이왕가(李王家)에 아악생(雅樂生)양성소 설립. 6월 8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일 귀국). 10월 17일, 한강인도교 준공. 29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25개국약소민족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1918년 1월 17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월 15일, 신한청년당원 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 제출. 30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대통령에게 보낼 한국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월 5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 도쿄유학생 600여명,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LT;독립선언문&GT;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조 발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선임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9월 2일, 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1920년 1월 6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월 28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월 25일,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월 13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월 20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년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1월 7일,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 3월 31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 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 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년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LT;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 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년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 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월 1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1927년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 3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 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 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4월 1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이롄[大連] 간 항공로 개설. 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 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 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 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1월 8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년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백범 김구가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조직했다.

1936년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 5월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 6월 7일, 안창호 등 150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 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2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 3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 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2월 11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 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3월 15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년 3월 1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백범 김구가 임시정부 주석(主席)에 선임되었다. 2월 8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 6월 17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 8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1945년 4월 4일,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 획득). 8월 14일, 여운형(呂運亨), 아베 총독의 정권이양 교섭에 동의. 15일, 일본 무조건항복. 9월, 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2일, 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7일,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9일,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1일, 군정장관에 아놀드 소장 취임. 16일, 한국민주당 결성. 10월 10일, 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25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월 3일, 평양에서 조선민주당 결성(당수 조만식). 11일, 조선인민당 결성(당수 여운형). 23일, 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 북한 신의주에서 반공학생들 의거. 12월 20일, 《합동통신(合同通信)》 창립.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 29일, 반탁(反托)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30일, 송진우(宋鎭禹), 괴한에게 피살. 31일, 전국에서 반탁데모,파업,철시 단행.

1946년 1월 2일, 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월 1일, 비상국민회의 결성.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반탁국민총동원중앙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통합(총재 이승만). 평양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14일, 군정청 최고자문기관 남조선민주의원 구성(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김규식, 의원 25명). 3월 5일, 북조선임시인민위, 토지개혁을 단행. 20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소집. 한국독립당(30.1.25. 창당) 개편. 23일, 북한, 20개 정강 발표. 5월 15일, 미군정, 조선정판사 위폐사건 진상 발표. 6월 22일, 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국. 7월 17일, 38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22일, 북조선,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 25일, 좌우합작위원회, 정식회담 개시. 28~30일, 북한에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 북조선노동당 결성. 8월 10일, 북한, 주요산업의 국유화 실시. 9월 7일, 공산당 간부 이주하(李舟下) 체포, 박헌영(朴憲英)․이강국(李康國) 등 도피 10월 1일, 10.1대구사건 발생. 13일, 조선민족청년당 결성(단장 이범석). 11월 23일, 좌익3당통합 강경파,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결성(위원장 허헌). 12월 2일, 이승만 도미, 남한 &#180;昞뗍ㅊ&#206; 수립의 필요성 역설. 12일,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개원(의장 김규식)..

1947년 2월 11일, 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3월 1일, 좌우 진영, 3.1절 행사를 따로 거행, 남대문 앞에서 양 세력 충돌. 4월 19일, 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5월 21일, 제2차 미소공동위(미 대표 브라운 소장, 소 대표 스티코프 중장) 개최. 6월 3일, 군정청, 한국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20일, 군정청, 서재필(徐載弼)을 특별의정관으로 초빙(7.1. 착임). 7월 18일, 여운형 피살(8.3. 국민장). 8월 6일, 조선임시정부 약헌(約憲), 입법회의에서 통과. 21일,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 30일, 군정장관에 딘 소장 취임. 12월 2일, 장덕수(張德秀) 피살. 16일, 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년 1월 7일, 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월 26일, 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3월 8일, 김구, 남북협상을 제의. 16일, 북한,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4월 3일, 제주도에서 4.3사태 시작. 16일, 최초의 총선거, 입후보자 등록마감(934명 등록). 19일, 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1차) 참석. 5월 10일, 유엔감시하에 남한총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14일, 북한, 남한 송전(送電) 중단, 남북협상 결렬. 31일, 제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7월 17일, 헌법 및 정부조직법 등 공포. 20일, 국회,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선출(24일 취임). 8월 1일, 국회 이범석(李範奭) 국무총리 인준. 4일, 국회의장에 신익희(申翼熙), 부의장에 김약수(金若水) 선출. 5일, 국회, 김병로(金炳魯) 대법원장 인준. 15일,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상호 0시 기해). 하지 중장, 미군정 폐지를 선포. 25일, 북한총선거 실시. 9월 1일,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개최.(수상 김일성). 9일,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10월 20일, 여수,순천사건 발생. 12월 10일,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2일, 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대 6 가결).

1949년 1월 8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월 20일, 남로당(南勞黨) 국회프락치사건 적발. 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월 21일, 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25일, 북한 남북의 민족전선을 통합,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29일, 김구 피살(포병소위 안두희가 백주에 경고장에서 저격). 7월 5일, 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월 6일 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년 1월 26일,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2월 16일,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문. 3월 13일, 국회, 제1차 개헌안(내각책임제) 부결. 27일, 남로당 총책 김삼룡(金三龍),이주하(李舟河) 검거. 4월 12일, 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위 제패. 24일, 제1회 국전(國展) 개최.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6월 1일, 6년제 의무교육 실시. 12일, 한국은행 발족(초대 총재 具鎔書). 16일, 북한, 김삼룡,이주하와 조만식(曺晩植) 교환 제의. 이대통령, 조건부 수락. 북한 조건 불수락으로 이뤄지지 않음. 19일, 제2대국회 개원(의장 신익희, 부의장 택상,조봉암). 25일, 북한군 불법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27일,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제 결의. 28일,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월 1일, 연합군 지상부대, 부산에 상륙. 9월 1일, 부산 문화극장에서 피난국회로 재개. 15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16일, 낙동강전선에서 반격전 개시. 26일,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일 수복. 10월 1일, 국군, 38선 돌파, 19일 평양 탈환. 25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일, 정부, 서울 환도. 29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2월 4일, 평양 철수. 북한주민 약 50만 명, 피난길 등정. 16일, 국민방위군설치령 국회 통과. 24일, 서울시민에 피난령 발함.

1951년 1월 1일, 중공군 6개 사단, 압록강 건너 남진 시작. 3일, 정부, 부산으로 이전. 2월 10일, 국군, 서울에 진입. 11일,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발생. 3월 5일, 정부, 120만 소작인에 대한 농지분배 발표. 4월 11일,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직에서 해임.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임명. 5월 9일, 이시영(李始榮) 부통령, 이대통령을 성토하고 사직. 15일,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金性洙) 선출. 6월 23일, 말리크 소련 유엔 대표, 38선 정전회담 제의. 7월 8일, 휴전예비회담 개성(開城)에서 열림. 9월 6일, 여군 창설. 10월 17일,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 양원제 개헌안 의결. 20일 한.일 제1차 회담 도쿄에서 개막. 25일, 남북휴전회담, 장소를 판문점(板門店)으로 옮김. 12월 1일, 부산,대구를 제외,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2일, 서남지구(지리산 일대) 공비토벌작전 개시(52.3.12. 종료).

1952년 1월 18일, 국회, 제2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정부안) 부결.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포. 2월 15일, 제1차 한일회담 개최. 18일,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 좌익계 폭동 발생. 4월 17일,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20일, 장면(張勉), 국무총리직 사임. 동양통신(東洋通信) 창립. 24일, 서민호(徐珉濠) 의원사건 발생. 5월 6일, 장택상, 국무총리에 임명됨. 7일, 거제도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 폭동. 10일, 초대 도의원 선거. 14일, 정부, 제4차 개헌안(대통령직선제,양원제) 제출. 19일, 민중자결단, 땃벌떼, 백골단 등, 국회해산 요구 시위. 25일, 부산과 경남,전남북에 계엄령 선포(~7.28.). 26일, 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계 격동. 29일, 김성수 부통령, 이대통령 탄핵하고 국회에 사표 제출. 6월 18일, 국회, 임시의장에 신익희, 부의장에 조봉암,김동성 선출. 20일, 부산국제구락부에서 야당인사들, 반독재호헌구국선언 발표(국제구락부사건). 21일, 발췌개헌안 국회에 상정. 25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범인 유시태(柳時泰) 체포. 7월 4일, 국회, 경찰 포위 속에 제3,4차 개헌안 발췌통과(제1차 개헌 발&#195;欲냘愼. 8월 5일, 직선제 정,부통령선거 실시(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咸台永) 당선. 13일,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53.5.13. 공포). 9월 30일, 장택상 총리, 고시진(古市進)사건 인책사임. 10월 17일, 국회, 이윤영(李允榮) 총리인준 부결. 29일, 국회, 정부 불신임안 발의. 11월 27일, 부산국제시장 대화재. 12월 2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 내한. 3일, 유엔총회, 한국전쟁포로의 중립지대로 이송안(인도案) 통과.

1953년 1월 5일, 이승만 대통령 일본 방문 요시다[吉田] 총리와 회담.  2월 15일,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제1차 통화개혁(110대 1로 인하. 원(圓)을 환으로 개칭). 23일, 휴전회담 재개. 6월 8일, 포로교환협정 조인(8.5. 교환 시작, 9.6. 완료). 18일, 반공포로 석방 단행. 7월 27일, 휴정협정 조인.

1954년 1월 9일, 국방대학원 창설. 18일, 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21일, 반공포로 인수, 28일, 친공포로 인도 완료.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5월 20일, 제3대 민의원 선거 실시(의장 이기붕, 부의장 최순주,곽상훈). 6월 15일,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민족대회 개최(~21일). 11월 14일, 수복지구 행정권 인수받음. 불교의 대처승과 비구승 간 분쟁 격화. 29일, 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30일, 국회에 호헌동지회 결성됨. 12월 7일, 국회, 초대대통령 중임제한 폐지 개헌안(9.8. 정부가 제안) 부결. 10일, 국보 3,400점을 부산 용두산 화재로 소실. 20일, 정부기구를 12부 1설 1원으로 개편.

1955년 2월 18일, 김성수(金性洙) 국회부의장(전부통령) 사망(2.24. 국민장). 조경규(趙瓊奎), 부의장이 됨. 8월 8일, 증권시장 개장. 16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죽음. 9월 13일, 《대구매일(大邱每日)》, 학생정치도구화 반대 사설을 게재로 필화(筆禍). 18일, 호헌동지회의 자유민주파, 민주당 창당(대표최고위원 申翼熙). 10월 1일, 광복10주년기념 산업박람회 개최. 26일, 중공군 6개 사단 철수 완료.

1956년 1월 2일, 제2여당으로 민정당(民正黨) 발기(최고위원 이범석,장택상). 3월 30일에 공화당(共和黨)으로 발족. 30일, 김창룡(金昌龍) 육군특무대장 피살. 2월 27일, 김창룡 저격범 허태영(許泰榮) 대령 등 구속(11.22. 강문봉 중장 등 추가구속). 5월 5일,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12일,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 15일,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6월 8일 국회, 의장에 이기붕, 부의장에 조경규,황성수(黃聖秀) 선출. 9월 28일, 민주당전당대회, 대표최고위원회에 조병옥(趙炳玉) 선출. 대회장에서 퇴장하던 장면 부통령 피습. 현장에서 범인 김상붕(金相鵬) 체포. 10월 1일, 장부통령 저격사건 배후조종자 최훈(崔薰) 구속. 11월 10일, 진보당 창당위원장 조봉암(曺奉岩), 간사장 윤길중(尹吉重) 선출. 29일, 국제시계밀수사건에 황성수 국회부의장, 박영출(朴永出) 외무위원장 관련.1957년 1월 11일, 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4일, 유도회(儒道會) 분규 격화. 5월 5일, <어린이헌장 선포>. 25일, 야당 주최 장충단(獎忠壇) 시국강연회장에서 테러단 난동(12.5. 주범 유지광 체포됨). 8월 가짜 이강석(李康石)사건으로 사회가 소란. 9월 1일에 주인공 강성병 체포됨. 10월 9일, 《우리말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답변확정.

1958년 1월 1일, 민,참의원 선거법안 국회통과. 13일, 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59.2.27. 대법원에서 조봉암 사형 확정). 3월 3일, 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5월 2일, 4대민의원 선거 실시(자유당 126, 민주당 79, 무소속 27석 등 차지).

1959년 1월 5일,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월 13일, 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14일, 교포북송 제1진 975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년 2월 5일, 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장). 28일,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 15일, 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4월 6일, 민주당,민총,공명선거위원회 등 3개단체가 합동, 3.15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2마산 데모 발생. 18일, 고려대학생 데모대, 정치깡패의 기습으로 부상. 19일, 서울시내 2만여 학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경무대 어귀에서 경찰발포로 42명 희생. 서울 등 5개도시에 비상계엄령 선포. 21일, 국무위원 일괄사표. 23일, 장면(張勉) 부통령 사임. 24일,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 26일, 데모군중 증가. 상오 10시경 10만에 달함.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27일, 대통령권한대행에 허정(許政) 외무장관. 28일, 이기붕일가 자살. 조용순(趙容淳) 대법원장 사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선거 무효확인). 5월 21일,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6.15. 국회 통과,공포. 제2공화국 성립됨).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6.19, 17일, 곽상훈(郭尙勳) 국회의장, 새 헌법에 의거, 대통령권한을 대행. 7월 29일, 민,참의원선거 실시(민주당 대승). 8월 8일, 국회 양원 개원(참의원 의장 白樂濬, 민의원 의장 郭尙勳). 12일, 민,참 합동회의,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1961년 2월 3일,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답변확정. 5월 16일,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 부의장 박정희). 5월 18일,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5월 20일 최고회의 내각 조직(내각수반에 장도영 의장 겸임). 7월 1일, 서울국제방송국(HLCA) 개국. 7월 2일, 최고회의 의장에 박정희 소장 취임. 7월 3일, 반공법 공포. 7월 22일, 경제재건 5개년계획 발표. 8월 12일, 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22일,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2년 1월 1일,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1월 13일,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 16일, 정치활동정화법 공포. 3월 19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3월 22일, 윤보선 대통령 사임. 3월 24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대통령권한대행. 5월 31일,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결제 불이행(증권파동). 6월 10일, 제2차 통화개혁(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12월 17일,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가결. 12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절차 발표.

1963년 1월 1일,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 18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2월 21일, 민주공화당 창당. 3월 16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3.16성명 발표. 5월 14일, 민정당 창당, 대통령후보에 윤보선 지명. 7월 27일,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민정이양일정 발표. 10월 10일, 서울가정법원 개원. 10월 15일,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당선). 11월 26일, 국회의원선거 실시. 12월 17일, 제3공화국 발족(새 헌법 발효). 박정희 제5대 대통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 1월 18일, 제주도 일원 첫 통금해제. 5월 2일, 민주,자민,국민당 통합 선언. 6월 3일, 6.3사태 발생. 서울에 비상계엄령 선포. 8월 2일, 언론윤리위법안 국회 통과. 8월 17일, 한국기자협회 발족. 10월 31일,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 1월 8일,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 1일, 충북지역 야간 통금 해제. 3월 22일,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3월 24일, 비둘기부대 제1진 사이공 도착. 4월 17일, 한.일협정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5월 3일, 민정,민주 양당, 민중당 창당. 6월 22일, 한,일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 2일, 국무회의, 1개 전투사단 월남파병 의결. 7월 17일, 이승만 하와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 2월 4일,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 1일, 국세청,수산청 발족. 3월 30일, 신민당 창당. 6월 25일,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 9일, 한,미행정협정 조인(67. 2. 9. 발효). 7월 29일, 국무회의,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9월 5일, 백마부대 제1진 월남 상륙. 10월 31일,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1월 1일, 한․미정상회담, 2일 공동성명 발표.

1967년 1월 1일, 대구 서문시장에 큰불. 2월 7일 민중․신한당 통합, 신민당 창당. 3월 22일,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서 위장귀순. 3월 30일,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칭.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6월 8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8월 9일, 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 1월 21일, 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1월 23일,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 7일, 경전선 개통.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 5월 27일, 제1차 한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 15일,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8월 15일, 정치정화법 시효 완료. 9월 9일,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 14일,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 21일,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11월 29일,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 11일, 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 3월 1일, 국토통일원 개원. 3월 3일, 정부, 가정의례준칙 발표. 3월 28일,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 17일, 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 21일, 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 7일, 신민당, 대통령 탄핵소추결의안 국회에 제출. 9월 14일, 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0월 17일,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12월 24일,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으로 지정.

1970년 4월 8일,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 16일, 서울대교 개통. 5월 18일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6월 2일, 특수층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 필자 김지하, 등 구속. 7월 1일, 우편번호제 실시. 7월 7일, 경부고속도로 개통. 8월 15일, 서울 남산 제1호터널 개통. 10월 31일, 국토종합개발심의회,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정. 12월 23일, 정부종합청사 준공. 12월 30일, 호남고속도로(대전~전주 간) 개통.

1971년 2월 9일,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3월 19일, 원자력발전소 기공(경남 동래). 3월 31일, 서울~부산 간 자동전화 개통. 4월 27일,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5월 25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7월 8일,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7월 26일, 제8대 국회 개원. 9월 20일, 남북적, 이산가족찾기 예비회담 판문점서 첫 개최. 10월 15일, 서울시에 위수령 발동. 12월 9일, 파월 국군 첫 철수부대 부산항에 개선. 12월 27일,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1972년 5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8월 30일,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0월 17일, 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 21일, 개헌 위한 국민투표 실시. 22일, 유신헌법 확정. 12월 15일,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2월 27일 유신헌법 공포(정치활동 재개).

1973년 2월 1일,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2월 27일, 제9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 1일, 주민세 실시. 4월 10일,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보).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개원. 5월 27일, 소련, 한국인(유덕형)에 첫 입국허가. 중앙선 전철 개통(청량리~제천 간). 8월 8일,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 1월 8일,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 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1월 14일, 국민생활 안정을 위한 긴급조치 3호 선포. 8월 15일,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8월 15일, 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9월 6일, 반일데모대, 일본대사관 침입, 일장기 찢고 자동차 등 불태움. 11월 15일,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11월 22일,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 2월 12일,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 1일,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9월 15일, 조총련계 재일교포 700여명 추석성묘차 모국 방문. 9월 22일, 민방위대 발대식. 10월 14일,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 6월 18일, 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 1일,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8월 18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 11일,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량 인양.

1977년 5월 24일,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 19일,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 1일, 부가가치세제 실시. 11월 11일, 이리역 화약운송열차 폭발로 참사 발생.

1978년 1월 1일, 동력자원부 발족. 4월 14일, 세종문화회관 개관. 4월 21일, 대한항공 B707여객기, 소련 무르만스크 남쪽 200마일 지점에 강제 착륙.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7월 6일,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12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1979년 6월 29일,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8월 11일, 경찰, 신민당사에서 농성 중인 YH무역 여공 200여명 강제 해산. 10월 4일,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10월 18일, 정부, 학생시위로 부산에 비상계엄령 선포. 10월 20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10월 26일,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10월 27일, 전국(제주도 제외)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하 국무총리 취임. 11월 3일, 국장. 11월 6일, 계엄사,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전모 발표.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0대 대통령에 최규하 선출. 12월 12일, 수사당국, 정승화 육참총장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 관련혐의로 연행(12.12사태).

1980년 2월 18일,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 17일,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5월 18일,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 5월 27일, 계엄군 개입으로 진압. 5월 31일, 정부,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7월 31일, 계엄사 김대중 등 37명을 내란음모혐의로 기소, 9월 17일, 김대중 사형선고. 8월 2일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 하야. 8월 27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 5일, 문교부,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답변확정). 9월 29일,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 공고. 10월 22일, 제5공화국헌법 확정. 10월 27일, 입법회의, 국가보위입법회의법 의결. 11월 14일, 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2월 1일, 한국방송공사(KBS), 컬러텔레비전 첫 방영.

1981년 1월 15일,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월 17일,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류치송). 1월 24일,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2월 11일,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2월 25일, 전두환대통령, 제12대 대통령 당선. 3월 25일,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4월 20일,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 6일, 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월 30일, 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 1월 1일, 문교부, 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월 5일, 정부, 야간통금 전면해제. 9월 24일, 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1983년 청와대경제수석 김재익(金在益)버마 아웅산에서 순국. 1월 1일,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 30일,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9월 1일, 소련 전투기, 사할린 부근서 KAL기 격추(KAL기 사건).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 13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3일 2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11월 29일,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코트 발표.

1984년 서봉(西峰) 김사달(金思達)박사 사망하다. 1월 10일,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4월 2일, 안기부, 78년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 1일, 서울대공원 개원. 5월 3일, 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전).

1985년 2월 12일, 제12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5월 17일, 전국 80개 대학 3만 8000여명, 광주사태 진상규명 요구 시위. 6월 17일,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답변확정. 7월 19일, 부산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범어사~서면) 개통. 8월 17일, 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 20일, 남북한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도착(남북한 각각 151명씩 3박 4일간 체류). 9월 21일,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9월 27일,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 19일,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 3월 13일,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3월 26일,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 21일,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 20일,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 6일, (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월 4일, 과학기술원 윤한식, 손태항 박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3월 6일, 서울시교위, 시위전력의 교육대학 졸업생 12명 교사임용 제외. 6월 10일,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6월 24일, 전두환대통령,김영삼 민주당총재 회담. 6월 25일, 경찰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에 대한 연금해제. 7월 4일, 김영삼 민주당총재,김대중 민추협공동의장, 시국대처방안 위한 6개항을 발표. 8월 5일, 노태우 대표 민정당 총재  취임. 8월 29일, 대전 오대양(주) 여사장 등 32명, 용인공장서 동반자살시체로 발견. 9월 27일,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 발족. 10월 27일, 헌법개정국민투표 실시(찬성 93.1`%). 10월 29일, 개헌안 확정 공포.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 창당(총재,대통령후보 김종필). 11월 9일, 민주당, 임시정당대회에서 김영삼총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 11월 12일, 평화민주당 창당대회(총재,대통령후보 김대중 선출). 12월 3일, 중부고속도로(서울~대전 간) 개통. 12월 15일, 정부, 대한항공기 폭파용의자 하치야 마유미와 하치야 신이치(시체)를 바레인에서 서울로 이송. 12월 16일, 제13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8일, 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포.

1988년 1월 16일, 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월 12일, 교통부, 금호그룹에 제2민간항공인가. 2월 22일, 보사부, 국내 첫 AIDS환자 발생 발표.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 취임. 새 헌법(전문과 본문 130조, 부칙 6조) 발효. 제6공화국 출범.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7월 19일, 정부, 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월 17일, 제24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개막(10월 2일까지 16일간 160개 IOC회원국에서 1만 3626명의 선수단 참가). 10월 4일, 유고, 서울무역사무소 개설. 10월 15일,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개국 4,361명 참가). 11월 2일, 국회 5공비리 특위, 국회에서 일해재단(현 세종연구소)관련 비리조사를 위한 1차 청문회 시작. 11월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기로 발표.

1989년 2월 1일,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 26일,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4월 13일, 귀국, 공안합수부에 체포됨. 6월 30일, 북한의 중앙방송, 전대협대표 임수경(林秀卿)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 8월 31일,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2월  31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5공특위,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125개 항목에 걸친 서면질문에 관해 증언함.

1990년 1월 22일,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 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을 선언. 2월 9일, 3당합당 의결, 당명 민주자유당(민자당). 2월 21일,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처 개설을 발표. 5월 17일,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 5일, 노태우 대통령 코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상회담. 한,소간 조속한 수교에 합의하고 상호 교환방문하기로 합의. 6월 28일,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9월 4일, 강영훈 총리,연형묵 북한 총리, 서울에서 첫 총리회담 개최(~7일). 10월 31일, 정부, 새 민방텔레비전방송국의 지배주주로 (주)태영(泰榮)을 선정. 12월 13일, 노태우 대통령, 소련 방문(~17일). 14일 양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2월 15일, 국회, 지방자치법 지방의회선거법 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1991년 1월 15일, 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명 사우디에 파병. 1월 22일, 한국의료지원단 현지로 출발. 1월 30일, 군수송단 파견. 3월 26일, 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4월 19일 고르바초프 대통령, 소련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제주도) 방문. 6월 20일, 광역의회의원선거 실시. 9월 28일, 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월 9일, 새 민방 서울방송(SBS) 개국.

1992년 1월 6일,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월 8일, 통일국민당 창당대회(대표최고위원 정주영). 2월 8일, 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 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2월 18일, 정원식 총리 및 연형묵 북한총리,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 발효. 2월 20일, 정원식 총리, 김일성 주석 예방. 3월 24일, 제14대 국회의원선거 실시. 4월 10일, 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방한다는 내용의 &LT;UR농산물협상이행계획서&GT;를 GATT에 제출. 5월 5일, 제7차 남북고위급회담 개최. 북한총리 등 대표단 90명 서울 도착. 6월 12일, 정부, &LT;종합유선방송법시행령&GT; 확정. 8월 9일, 황영조(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8월 11일, 한국 최초의 과학위성 &LT;우리별 1호&GT; 발사 성공. 8월 24일, 한국 외무장관 및 중국 외교부장, 양국 정부의 외교관계 수립 등 6개항의 공동성명 발표. 8월 27일, 한국주재 중국대사관 개관. 9월 29일, 노태우 대통령, 중국방문 중 한 중정상 회담결과 8개항의 공동언론발표문 발표. 10월 8일, 노태우 대통령, 중립내각개편 단행. 12월 18일, 제14대 대통령선거 실시. 12월 19일, 김영삼후보 당선. 김대중, 대통령선거패배와 관련 정계은퇴선언. 12월 22일, 한국, 베트남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3년 2월 9일, 정주영 국민당 대표, 대표최고위원직 사퇴하고 정계은퇴의사를 밝힘. 2월 25일,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취임. 3월 12일,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3월 14일, 정부, 북한의 NPT탈퇴 해결 때까지 남북대화 중단. 3월 28일,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가 구포역 입구에서 지반붕괴로 전복(68명 사망, 124명 중경상). 3월 29일,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 부동산취득의혹과 관련 민자당 탈당. 4월 27일, 국회, 박준규의장 사퇴안을 가결하고 이만섭(李萬燮)의원을 새의장으로 선출. 4월 7일, 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기로 유엔측에 공시통보. 5월 6일 안기부, 작가 황석영(黃晳暎) 89년 3월 첫 밀입북한 이래 5차례 밀입북하여 김일성과 고려연방제 등을 논의했으며 대남공작지침에 따라 범민련 결성을 운영해 온 것으로 발표. 5월 20일, 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5월 29일, 정부, 종합유선방송(CATV)의 방송구역으로 서울 21구역을 비롯 전국 116개 구역을 고시. 6월 7일, 보사부, 약사관련 규칙개정으로 한 약사 분쟁. 7월 17일, 대검, 율곡(栗谷)사업비리사건과 관련 이종구(李鍾九) 이상훈(李相勳) 전국방장관과 한주석(韓周奭) 전공참총장 및 김철우(金鐵宇) 전해참총장 등 4명을 구속. 8월 6일, 대전엑스포 개막, 108개국 33개 국제기구 참가. 8월 12일, 김영삼 대통령 &LT;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GT;을 발표. 8월 17일, 감사원, &LT;평화의 댐&GT; 및 &LT;율곡사업&GT; 특별감사와 관련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게 책임소재 규명을 위한 서면조사서 전달. 8월 20일,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로 확정. 8월 31일, 국회 12.12사태·율곡사업·평화의 댐· 진상조사 착수. 9월 26일, 우리별 2호&GT;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월 10일, 전북 부안(扶安) 앞바다에서 서해페리호(110`t급) 침목로 268명 이상 사망 실종. 10월 15일, 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 전교조탈퇴 조건을 수용 복직하기로 결정. `12월 13일, 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년 1월 11일, 영남지역 악취수돗물 파동. 1월 24일, 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억원을 편취하고 37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2월 22일, 감사원, 정부서 불우이웃돕기 등으로 모은 성금을 판공비,시설비 등에 유용한 사실을 밝혀내 17개부처 시도에 문책 통보. 4.22. 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월 9일, 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일)을 보도. 7월 19일, 김일성 장례식. 7월 20일, (주)현대중공업 직장폐쇄, 전노대(全勞大) 개입. 8월 4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을 요구. 9월 5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태권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승인.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10월 24일, 안기부, 6.25전쟁 때 포로로 잡혀 납북된 조창호(趙昌浩)가 43년 만에 북한을 탈출하여 표류 중 구출되었다고 발표. 12월 3일, 기획원-재무부, 건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1995년 1월 9일, 정부, 부동산실명제를 7월 1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2월 21일,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공식 출범(총재 김종필). 3월 1일, 케이블TV 27개채널 본방송 개시. 4월 28일, 대구지하철 공사장에서 가스폭발사고 발생. 5월 26일, 정부, 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월 17일, 남북대표들, 베이징[北京]에서 대북 쌀제공에 관한 첫 회담 개최. 6월 25일, 대북 지원을 위한 대북 지원 쌀 동해항 출발, 청진항 도착. 6월 27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6월 29일, 서울 삼풍백화점 2개동 중 북쪽건물 붕괴. 사망․실종 506명, 부상 40여 명. 7월 18일,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 신당 창당 공식 선언. 7월 24일, 8만여 톤 원유를 적재한 유조선 시프린스호, 전남 여천군 해상에서 태풍으로 좌초 최악의 해양오염사고 발생. 8월 2일, 서석재(徐錫宰) 총무처장관, <전직 대통령 중 한 사람이 4,000여억원의 가명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이 해명을 요구. 8월 5일, 무궁화위성, 한국 최초의 위성으로 미국 케이프 커내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성공. 8월 11일, 교육부,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한다고 발표. 8월 18일, 북한 평양방송, 북한 대동강 일대 등에 폭우로 홍수가 발생했다고 보도. 9월 20일, 제1회 광주비엔날레 개막(9.20.~11.20). 10월 19일, 민주당 박계동(朴啓東)의원,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신한은행 서소문지점에 (주)우일양행 명의로 된 128억 2700여만원 예금조회표를 공개하며 <이는 노태우 전대통령의 퇴임 직전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예치됐던 4,000억원의 비자금을 100억원씩 40개 계좌로 분산 예치시킨 것 중 일부>라고 주장. 10월 27일, 노태우 전대통령, 자택 기자자회견에서 재임 중 통치자금을 조성, 대국민사과. 11월 8일,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11월 16일, 검찰, 노태우 전대통령이 재임기간에 30개 재벌기업체 대표들로부터 2,358억 9600만원의 뇌물을 받았다고 밝힘. 노태우 전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서울구치소에 구속수감. 12월 2일, 전두환 전대통령, 검찰의 12.12와 5.18재수사와 관련, 검찰의 소환요구 및 여타의 어떠한 조치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연희동 자택에서 성명을 통해 거부의사를 밝히고 측근들과 합천(陜川)으로 낙향. 12월 3일, 검찰, 검찰소환을 거부한 전두환 전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집행. 안양교도소에 수감. 12월 5일, 민자당, 새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변경. 12월 6일, 불국사,8만대장경,종묘 등 3건의 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록. 12월 19일, 국회, 12.12 및 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안 의결. 12월 26일, 5월 30일 북한군에 나포된 우성호 선원 5명과 사망한 3명의 유해, 판문점을 통해 송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튼 제가 줄 수 있는 도움을 최대한 드리지요.

 

먼저 뿌리를 찾아서라는 홈페이로 들어가시면 갈략한 소개가 있을 것입니다.

http://www.rootsinfo.co.kr/

 

다음으로 구안동김씨와 신안동김씨 인데요..

안동김씨는 안동을 본으로 쓰는 김씨 집안으로 본관은 같지만 시조는 다르지요.

구안동(선안동김씨 또는 상락김씨)과  신안동(장동김씨)으로 나뉘는데요.

 

님의 아버님 돌림자만으로는  족보나 항렬을 찾기가 어렵군요.

할아버지 - 아버지 - 본인 - 아들(조카) 4대의 돌림자를 확인해 봐야 할 것 같구요.

이왕이면 어느공파인지를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안동 김씨는 조선 초기까지 잘나가는 대표적인  문중이었구요.

신안동김씨는 조선 후기에 잘나간 집안으로 조선후기 유명한 안동김씨의 대부분은 신안동김씨입니다.

 

구안동김씨 홈페이지  http://andongkim.net/main.html

신안동김씨 홈페이지 http://www.adkim.net/

 

홈페이지에 들어가 파를 확인하시고  위에서 말씀 드린것처럼  4대의 돌림자를 확인해 보세요.

간혹 돌림자를 바꿔 쓰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이 안되시면 종친회로 전화해 문의해 보세요.

 

광산김씨와  안동김씨에 대해서 비교하는 것은 조금 조심스러운데요

안동김씨는  왕실의 외척으로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이 많지만 조선후기 세도정치를 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습니다.

반면  광산김씨는 사계 김장생, 신독재 김집 등 예학에 밝고 문묘에 배향된 학자들이 많아 성리학을 숭상한 조선시대에는 조선 5대 명문으로 불릴 정도로 명문가로 대접받았습니다.

 

아마 이 정도면 찾을 수 있을 거라구 믿습니다.

점수 좀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수이10이지만

안동김씨는 조선에서 막강한힘과 권력있어서

왕과 그지역의 주민과 결혼을 시키고 안동김씨가 왕이되어서

정치를 하다가 흥선대원군이 안동김씨를 몰아냈었다........

 

안동김씨 질문드립니다.

... - 신안동김씨의 대동항렬은 27세 ... 漢 28세 ... 東 29세 ... 顯 30세 ... 年으로 이어 집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시고 신안동 김씨라면 질문자의 자식들은 年자를 쓰면 됩니다

안동김씨 질문입니다

... 안동김씨 질문입니다 제가 안동김씨 부윤공파인데 제가 몇대손인지 또 구안동김씨인지 신안동김씨인지 헷갈려서요, 할머니,할아버지 모두 안계셔서 아버지도 정학히...

안동김씨 알림사파

... 여기가 안동김씨 디렉토리입니다. 성씨에 깊은 관심을 우러러봅니다. 이곳에 질문하시면 일가 어른님들이 잘 알려 주실 겁니다. 항상 이곳을 가까이 하여...

안동김씨 질문

... 안동김씨 질문 할아버지가 김재0이고 아버지가 김광0이고 저는 김태0인데 구안동김씨인가요? 신안동김씨인가요? 답변 : 님은 구 안동 김씨 제학공파 이시군요. 구 안동...

안동김씨 질문

... 안동김씨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안동 김씨 입니다.제가 신 안동김씬지 구 안동김씬 지 알고 싶습니다.아버지가 "일"자 돌림 이시고 할아버지께선 "년"자 돌림 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