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란 우리에게 무엇인가?

대한민국이란 우리에게 무엇인가?

작성일 2009.10.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에이포 2장분량정도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냥 터있는 생각으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이상한글올리시면 신고합니다

내공많이걸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한민국이란 <<< 에 검색하였더니ㅠㅠㅠㅠㅠㅠㅠ

 

'2010 남아공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8차전 - 한국 vs 이란' 컨텐츠검색

관련 컨텐츠 검색 : 2010 FIFA 남아공 월드컵

일시 :
2009년 6월 17일 (수), 오후 8시 (생중계 : KBS 2TV, SBS스포츠)
장소 :
대한민국 서울월드컵경기장
경기결과 :
한국 1:1 이란
관련정보 :
국가대표팀 경기일정, 이란 국가대표팀간 역대전적

이게 뜨네요 ㅠ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본론으로 들어오면

 

 

아시아대륙 북동부 한반도에 있는 민주공화국. 면적 9만 9000㎢
인구 4805만 3500(2003)
인구밀도 485.3명/㎢
수도 서울특별시
주요언어 한국어
종교 불교·가톨릭교·개신교·천도교 등
통화 원
환율 1달러=1198.5원(2002.11)
국민총소득 4210억 6900만 달러
(2000) 1명당 8910달러
무역수지 수출 1447억 4500만 달러
(1999) 수입 1197억 5000만 달러

너무 길어서 다 못 읽으실 수도 있지만 위에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지 나와 있으니까 보고 찾아 쓰세요.

주민


민족
한민족(韓民族)은 고유의 언어와 생활풍속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하나의 민족으로서 그 존재가 뚜렷하다. 한국에서는 BC 5000년경에 신석기시대가 열리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신석기인의 혈통은 구석기인과는 달리 끊임없이 계승되어 한민족의 형성에 일부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고(古)아시아족의 일파로 보이는 신석기인은, 압록강·대동강·한강·낙동강·두만강 하류지역의 강변·해안·도서에서 움집을 짓고 채집·어로·수렵생활을 하였다. 고아시아족은 새로 등장한 북방계의 다른 일파인 알타이족 또는 퉁구스족에 밀려서 북쪽과 동쪽 변방으로 이동하였다고 짐작된다. 고고학적·언어학적 증거에 의하면 한민족(韓民族)은 BC 4000∼BC 3000년 시베리아와 만주에서 살기 좋은 곳을 찾아 한반도로 옮겨온 퉁구스족으로 알려져 있다. BC 2400년경부터는 만주지방으로부터 민무늬토기인[無文土器人]이 한반도지역으로 들어왔는데, 이 민무늬토기인은 한민족의 근간이 되는 예맥족(濊貊族)으로 보고 있으며, 이들이 한국에서 청동기문화를 이룩한 사람들이었다. 이 청동기문화인이 BC 2300년경에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BC 108년 한(漢)나라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망한 후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게 되면서 한국 문화는 북방계통에서 중국계통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고조선인들은 남쪽으로 많이 이주하였으며, 기원 전후부터 남부지방에서는 진한(辰韓)·변한(弁韓)·마한(馬韓) 등의 한족(韓族)이 부여(夫餘)·고구려(高句麗)·동예(東濊)·옥저(沃沮) 등 한강 북쪽의 예맥족과 지역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 한족들도 해안지대를 따라서 화남(華南) 또는 동남아시아로부터의 이주민과 부분적·단편적으로 피가 섞였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대체로 청천강(淸川江) 북쪽의 평안도지방과 장진강(長津江) 동쪽의 함경도지방에서는 오랫동안 한민족과 만주족(滿洲族) 또는 여진족(女眞族)이 함께 섞여서 살았다. 이와 같이 한민족은 예맥족·한족(韓族)을 근간으로 이루어졌으며 다른 민족의 요소가 약간 섞이면서 형성되어 왔다. 그러다 조선 초기에 한국의 단일민족 성격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국경으로 하는 지역개념과 더불어 확립되었다.

민속
국토가 온대에 속하고 반도적 위치에서 4계절의 구분이 뚜렷하고 우량(雨量)이 알맞기 때문에 일찍부터 농경을 주업으로 삼아 그에 관련된 농경문화를 하나의 생활문화로서 정착시켜 왔다. 또한 농경생활에서 비롯된 세시풍속이 다양하게 뿌리를 내려 명절에는 각종 의례와 놀이, 조상을 모시는 차례를 비롯하여 각종 신을 모시는 여러 가지 의례가 행하여져 왔다. 한국의 2대 명절인 설날과 추석은 민족대이동을 이루며 세시풍속의 2대 정점일로서 현대생활에도 깊이 뿌리내려져 있다. 가족행사로는 돌·결혼식·환갑 등을 축하하는 풍습이 있다.

언어
원시 한국어는 터키어·몽골어·퉁구스어와 함께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이자 이들 언어의 공통조상인 알타이 공통조어(共通祖語)의 한 분파로서 BC 4000∼BC 2000년경에 갈라져 나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대 한국어는 고구려어로 대표되는 북방 부여계 언어와 신라어로 대표되는 남방 한계(韓系) 언어로 나뉘는데, 이들 두 지역 언어 사이에는 언어적인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7세기 중반 신라가 반도통합을 이루게 되면서 한반도의 언어는 처음으로 조정(경주방언 중심의 한계 신라어에 바탕을 둔 韓語化·중앙어화)을 거쳤으며, 918년 고려의 건국으로 한번 더 조정(북방 부여계 고구려어의 영향을 받은 개성어의 중앙어화)을 거쳤고, 그 때 이후로 경기지방의 언어가 중앙 언어가 되었다. 1910년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어문말살정책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근대화에 따라 영어를 중심으로 한 서유럽어의 사용 증가, 표준어 사용의 확산과 이에 따른 지방방언의 쇠퇴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분단 50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깊어진 남북 언어의 이질화는 더 이상 버려 둘 수 없는 문제로 떠올랐다.

문자
고유의 문자가 없어서 한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써야 하는, 말 따로 글자 따로의 기형적인 문자생활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1446년 한글 창제와 반포로써 언문일치를 이루게 되었으나 그 이후에도 여전히 한자가 쓰였으며, 한글은 부녀자와 서리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어문말살정책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고, 정부 수립 이후 민간과 학술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글전용정책을 추진하여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한글세대>가 점차 증가하였고, 각종 공문서·서적·신문 등에서 한글전용의 표기가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종전의 문어체 문장들이 구어체 문장으로 바뀌게 되는 변화도 문자생활에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한글 정서법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한 이래 몇 차례의 부분개정을 거쳐 현재는 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는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따르고 있다. 한국어의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며, 문장은 <주어+서술어>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짜여져 있다. 한국어를 쓰는 인구는 2002년 남한 4764만, 북한 2237만, 재외한국인 약 500만으로 전체 약 7501만으로 추산된다.

인구


인구성장
조선시대 이전의 인구나 호구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고 조선시대의 경우도 중기에 와서야 1000만 내외, 말기에는 약 1300만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국권피탈 후부터 현대적 인구조사를 실시하여 1925년 1900만, 30년 2105만 8000, 35년 2289만 9000, 40년 2432만 6000, 44년 2590만으로 1911년 인구 약 1380만에 비해 약 2배가 증가하였다. 8·15 당시 38°선을 기준으로 남한 인구는 약 1600만, 북한 인구는 약 880만이었는데, 49년 인구센서스에서 남한인구는 2018만 9000으로 4년 동안에 약 400만이 증가하였다. 55년 남한 인구는 2152만 6000에 머물렀고, 사회가 안정됨에 따라 60년 2498만 9000으로 8·15 전의 전국 인구와 비슷해졌다. 이러한 휴전 후의 인구증가는 55년 무렵부터 일어난 베이비붐과 의학의 발달에 따른 유아 사망률 저하가 그 원인이다. 그러나 60년대에 들어와서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더불어 가족계획사업이 추진되어 출생률이 점차 낮아지기 시작하여 60∼66년 사이에는 연인구증가율이 2.7%이던 것이 66∼70년 사이에는 1.89%로 떨어졌다. 81년 남한 인구는 3872만 3000, 인구증가율 1.57%인데 비해 91년에는 4329만 6000, 인구증가율 0.99%였다. 2002년 남한 인구는 4764만, 인구증가율은 0.63%이다. 이와 같이 남한의 인구증가율이 감소한 것은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적 수행과 보건·의료수준의 향상, 국민의식수준 및 가치관의 변화로 인한 출산력의 급속한 감소 때문이다. 한편, 2002년 북한 인구는 2237만(유엔인구기금자료)으로 남북한 인구는 7001만이다.

인구구조
성별 구조는 성비(性比;여자 100명에 대한 남자의 수)로서 표시한다. 1911년의 성비는 110.9로서 심한 남초현상(男超現象)을 보였으나 44년에는 99.4로서 여초(女超)로 바뀌었으며, 분단 이후 49년 남한이 102.1로서 다시 남초현상을 보이다가 55년에는 100.1로 균형을 이루었고, 80년 101.8, 90년 101.3, 2002년 101.4를 유지하였다. 2001년 평균수명은 남자 70세, 여자 77세로 1973년(남자 59.6세, 여자 67세)에 비해 남자 10.4세, 여자 10세가 각각 높아졌다. 전체 인구 중에서 15세 미만 유년인구의 비중이 80년 34.0%, 90년 25.6%, 2001년 20.8%로 꾸준히 낮아지는 반면,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의 비중은 80년 62.2%, 90년 69.3%, 2001년 71.6%로 높아졌다.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비중은 80년 3.8%, 90년 5.1%, 2001년 7.6%로 계속 높아져 마침내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인구분포
일제강점기에는 북부지방에 광공업과 신흥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남부지방의 농촌인구가 대량 유입되어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1955∼60년 사이에는 6·25 때의 피란민들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정착, 이들 도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60년대 후반부터는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하여 지역별 인구증감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하였는데, 서울의 인구증가는 주로 농촌인구 유입에 의한 것이었다. 70년대에는 수도권전철과 경인·경부·영동 고속도로 개통 및 인천·성남·안양·부천·일산 등의 성장과 함께 수도권에 속한 경기도의 인구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서울과 주변 수도권은 오늘날 국내 최대 인구집중 지역이 되었다. 인구의 도시집중현상은 서울·부산 이외에 대도시와 신흥공업도시에 편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인구이동
조선시대에는 북부 변경지방의 방어와 개척을 위해 남부지방의 주민이 그곳으로 이주하여 북부지방의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촌락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였다. 8·15 직후에는 북한에서 약 180만 명이 월남하였고, 6·25전쟁 기간에는 100만 명 이상의 피란민이 월남함으로써 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 인구이동이 일어났으며, 55년 이후 60년대 산업화 개발화시대를 맞아 농어촌인구의 도시지역으로의 이동이 증가하였다. 이로써 대도시지역의 인구과밀화 및 농·어촌지역의 인구과소화 현상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해외로의 인구이동으로는 8·15 당시 일본에 210만, 만주에 200만, 소련에 20만, 중국에 10만, 미국과 기타 지역에 3만 명이 분포하여 재외한국인 수는 전체 약 500만이었으나 8·15 후에 많은 사람이 남한으로 귀환하였다. 한편 이민은 62년 해외이주법의 시행 이래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전체 이민의 80% 이상을 미국이 차지하고 그밖에 브라질·파라과이·아르헨티나·볼리비아·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등지와 유럽·아프리카·중동·동남아시아 등에도 한국인의 국제이동이 이루어졌다.




취락


촌락
⑴ 촌락의 발달:선사시대의 촌락은 주거지·토기·조개더미[貝塚]·고인돌[支石墓] 등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들 유물분포의 최다밀집지는 대동강·한강·영산강·낙동강·두만강·압록강·청천강을 따라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선사시대의 구덩식[竪穴式] 주거지에서 선사촌락의 발달과정을 짐작할 수 있으며,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는 지방 호족을 중심으로 장원촌락(莊園村落)이 발달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농경지대의 중심지와 수륙교통의 요지에 읍성취락(邑城聚落)이 발달하였다. 읍성취락은 행정적 통제와 군사적 방어기능을 복합적으로 담당하였는데 외적방어를 위해 취락 주변에 성곽을 쌓았다. 또한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동족촌락(同族村落)이 성립되었다. 한국에는 동족촌락이 매우 많았는데 주민의 대다수가 동일조상에서 파생된 동성동본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촌락으로서 웅장하고 우아하며 건축연대가 오랜 종가의 기와집을 중심으로 일반 초가가 밀집되어 전형적인 괴촌(塊村)을 이루는 것이 특색이었다. 현대의 촌락으로는 일제강점기에 상업적 농업의 도입으로써 과원촌락이 발생하였다. 과원촌락은 대외경지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기업화되고, 경영거점으로서의 과원농가는 합리적 경영을 위해 경지에 밀착되어 나갔다. 이로써 집촌이 보편화되었던 한국에서 산촌(散村)의 형태가 출현하였다.

⑵ 촌락의 기능:촌락은 농업·임업·어업 등의 1차산업을 중심으로 그 생산활동 기능이 영위되고 있다. 한국의 농촌은 농업에 생활기반을 두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촌락형태로서, 산촌(山村)·어촌에서도 농사를 짓지 않는 촌락은 거의 없다. 중남부평야지대의 농촌은 집촌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북부지방과 산지로 갈수록 밭농사를 짓는 산촌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한국의 논농사 지대는 남해안을 중심으로 황해안을 지나 쐐기모양으로 북상함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집촌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한국의 밭농사 지대는 대체로 연천(漣川)∼포항(浦項)선 동쪽의 산악구릉지대와 서쪽의 평야지대 가운데 수리·지형·기후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논농사가 불가능한 곳에서 주로 나타난다. 최근에는 도시인구의 팽창, 생활수준 향상, 운송수단의 발달로 인해 채소류·과실·화초 등의 상품작물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교촌(郊村)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생활 향상에 따른 우유·유제품 소비량의 증가로 인하여 낙농업도 교촌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낙농업은 경기도의 평택(平澤)·안성(安城)·화성(華城)·시흥(始興)·안양(安養), 충청남도의 천안(天安)·아산(牙山), 경상남도의 양산(梁山) 등지에서 행해지고 있다. 산촌(山村)에서는 평지촌에 비해 임산물에 의한 수입이 크며 고랭지농업 및 화전농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고랭지농업은 대관령 부근의 강원도지방과 북부산간지대에서 행해지며, 감자·호밀·귀리·메밀·약초 등의 냉량작물이 조방적으로 경작되어진다.

⑶ 촌락의 형태:대부분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자연부락이자 농촌과 어촌이다. 이러한 촌락은 가옥이 집단을 이루고 있는 집촌(集村)과 가옥이 흩어져 있는 산촌(散村)으로 구분된다. ① 집촌:한국의 촌락은 대부분 집촌이며, 가옥이 불규칙하게 밀집되어 있는 괴촌인 것이 보통이다. 괴촌은 저지대나 평야지대에 널리 분포하며, 주로 장구한 세월에 걸쳐 가옥이 누적되어 형성된 것이다. 전형적인 괴촌은 가옥이 울타리를 경계로 밀집해 있으며, 가옥은 일반적으로 작고 마당도 넓지 않다. 그런데 집촌 형성의 가장 큰 원인은 흩어져 살기보다는 한곳에 모여 상부상조하면서 살기를 좋아하는 인간의 본성에 있다. 논농사지역에서 발달한 집촌은 수리시설의 축조·관리와 영농에서 공동작업과 협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농가와 농토가 분리되어 있고 농토가 여러 필지로 나누어져 분산되어 있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이다. 한국의 촌락은 70년대 이래 집촌을 대상으로 추진되어 온 취락구조개선사업으로 경관상 획기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② 산촌:산촌은 가옥이 집단을 이루지 않고 상호간에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흩어져 있는 형태의 촌락을 가리킨다. 산촌은 밭농사를 주로 하는 개마고원과 태백산지를 비롯한 산악지대와 당진(唐津)에서 태안에 이르는 태안반도(泰安半島)를 비롯한 황해안의 간척지·개간지와 과수원지대, 대도시 부근의 근교농업지대, 특히 경상북도의 사과재배지역, 제주도의 감귤재배지역 등 각지에 부분적으로 분포한다.

⑷ 촌락의 입지:지형 및 방어·교통로·관광·휴양지·광산·종교 등의 사회적·자연적 환경과 풍수지리설에 영향을 받아왔다. ① 지형:역사가 오랜 대부분의 촌락은 산이나 구릉의 양지바른 기슭에 발달되어 있어서 겨울철의 찬 북서계절풍을 막고 연료를 구하기도 비교적 쉬웠다. 특히 한 방향이 들을 향해 훤하게 트여 있고, 세 방향이 산이나 구릉으로 둘러싸인 <골>로 되어 있으면 촌락의 입지로는 이상적인 곳으로 꼽혔다. 김해평야(金海平野)·만경평야(萬頃平野)·김제평야(金堤平野) 등 넓은 평야지대의 촌락 중에는 일제강점기에 방수제가 설치되고 관개시설이 확충됨에 따라 형성된 것들이 많다. 해발고도가 높은 태백산지역의 산간지대에 발달한 산촌(山村)은 산지농업과 임업을 토대로 이루어진 촌락이다. ② 방어:남한산성(南漢山城)의 산성리(山城里)는 대표적인 산성취락으로서 해발고도 약 340m에 있으며, 그 주위는 가파른 산지로 둘러싸여 천험(天險)의 요새로 되어 있는데 지금은 관광지로 바뀌었다. 남한산성은 영변산성(寧邊山城)과 더불어 산성의 쌍벽을 이루었고, 영변은 관서지방 최대의 방어취락이었다. 또 청주(淸州) 북동쪽의 상당산성(上黨山城)은 충청병영이 있던 곳이며, 이곳의 산성리도 근래 관광지로 변모하였다. 남·서해안지방과 북쪽 국경지대에는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성곽을 쌓은 도읍이나 진취락이 많았다. 서산의 해미읍성(海美邑城)과 고창의 모양성(牟陽城)은 성곽의 보존은 양호하나, 성내의 민간주택은 철거되었다. 또한 6·25 후 미군 주둔지역에 형성된 기지촌(基地村) 가운데 특히 포천(抱川)지방의 동두천(東豆川)은 기지촌을 근간으로 발전하여 시(市)가 되었다. ③ 교통로:도로와 큰 하천이 교차하는 곳에서는 사람들이 일찍부터 나룻배로 강을 건넜고, 강을 건너는 양쪽 나루터에는 나루터취락이 발달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교량이 많이 건설되어 나룻배가 사라졌으며, 과거의 나루터취락은 원래의 기능을 잃어버렸다. 조선시대의 주요 역로를 따라서는 요소요소에 역원취락(驛院聚落)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철도와 신작로 같은 새로운 근대교통의 도입으로 신흥교통취락이 발달하여 서울의 영등포·신촌과 김제 등지에 역전취락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60년대 이후 버스교통이 활발해지고 생활권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신흥취락들도 큰 중심지에 시장기능을 빼앗겨 정체상태에 머물거나 쇠퇴하게 되었다. ④ 관광·휴양:6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더불어 관광열기가 일어나자 전국의 관광지나 온천이 있는 휴양지에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또한 교통이 편리하고 모래톱이 좋은 해수욕장에는 해수욕객을 위한 취락이 발달하였으며, 국립공원과 기타 주요 관광지의 관광취락도 급속히 발전하였다. ⑤ 광산:지하자원은 일제강점기에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므로 광산취락의 역사는 짧다. 오늘날 가장 활발히 채굴되고 있는 지하자원은 석탄이기 때문에 광산취락 중에는 탄광취락이 가장 많다. ⑥ 종교:한국의 대표적 종교취락은 계룡산의 신도안과 풍기(豊基)의 정감록촌(鄭鑑錄村)이다. 신도안은 조선시대 풍수가들에게 길지(吉地)로 통했으며, 조선왕조가 망한 다음 정씨(鄭氏)가 이곳을 도읍지로 왕국을 세운다는 정감록의 예언을 믿는 사람들이 3·1 운동을 계기로 모여들었고, 8·15와 6·25를 거치는 동안 유사종교 집단이 많이 집결하였다. 풍기에도 정감록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정감록촌을 이루었다. 이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길지를 택하여 집을 지었기 때문에 대체로 산촌을 형성하였다.

도시
⑴ 도시의 발달: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고구려 초기의 수도 국내성(國內城)을 들 수 있다. 도시의 규모는 알 수 없으나, 427년(장수왕 15) 이후의 수도였던 평양(平壤)은 그 출토품들을 통하여 훌륭한 도시문명을 이루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백제시대의 위례성(慰禮城)·웅진(熊津;공주)·사비(부여) 등의 도시규모에 대해서도 정확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서 신라의 도시규모나 형태는 부분적으로 알 수 있다. 조선의 도읍지인 한양(漢陽;서울)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6세기에 걸쳐 한국의 수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주요 도읍은 성곽으로 둘러싸였고, 행정·교육·상업 이외에 군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1876년(고종 13)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체결 후 부산(釜山)·원산(元山)·인천(仁川) 등이 차례로 개항되고, 이와 함께 경인선(京仁線)·경부선(京釜線)·경의선(京義線) 등 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도시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주요 개항장에는 일본·중국 및 각계 조계(租界)가 설치되고 항만정비 및 매축공사(埋築工事)와 서양식·일본식·중국식 건물이 신축됨으로써 새로운 모습의 도시경관이 출현하였다. 8·15이후 해외동포의 귀국, 북한으로부터의 월남 등으로 남한의 인구는 단시일 내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인구의 대다수가 도시지역에 정착함으로써 남한의 도시 인구는 급격하게 팽창하였으며, 8·15 당시 모두 12개(서울·부산·인천·대구·광주·대전·개성·목포·전주·군산·마산·진주)였던 남한의 도시는 81년까지 모두 48개로 늘어났다. 95∼96년에는 시·군통합을 통해 도농복합형태의 통합시를 설치하는 행정구역개편이 이루어졌다. 2002년 1월 시는 모두 82개(특별시, 광역시 포함)이다.

⑵ 도시의 기능:도시의 기능은 공업·광업·수산업·임업도시를 포함하는 생산도시와 상업·교통도시의 교역도시, 행정·군사·교육·관광 휴양도시에 속하는 소비도시 등으로 구분된다. 한국의 도시는 대부분 행정과 상업기능이 탁월한 소비도시 내지 교역도시였으나, 60년대 이후 경제의 고도성장과 더불어 공업기능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공업도시가 발전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부천·구미·창원·울산·여천 등이 신공업도시로 건설·육성되었으며, 인천·안양·수원·마산 등과 같은 일부 기존 도시도 공업도시로 바뀌었다. 생산도시 중에서 광공업 이외의 기능이 뛰어난 도시로는 법성포·사천·구룡포·주문진·속초 등의 수산업도시와, 8·15 이전에 임업도시로 성장한 압록강 연안의 만포·혜산 등이 있다. 철도의 개통으로 인해 발달한 대표적인 교통도시로는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점에 있는, 인구 약 140만(2002)의 대도시로 발전한 대전이 있으며, 철도의 분기점에 있는 익산·송정·천안·조치원·제천·영주·김천도 교통의 영향으로 도시가 크게 발달한 경우이다. 부산·인천·목포·군산 등의 항구도시도 철도개통과 더불어 급성장하였으며 청주는 교육도시로 유명하고, 대구와 전주 또한 교육기능이 탁월하지만 한국교육의 총본산은 역시 서울이다. 진해(鎭海)는 대표적인 군사도시로 관광기능도 겸하고 있으며, 이 밖에 연무(鍊武)·동두천·의정부·평택·오산·조치원·원주도 군사기능이 탁월하다. 관광휴양도시로는 경주·부여·제주·서귀포·아산·유성 등이 유명하며, 이중 경주는 국내 제일의 관광도시로 개발·육성되어 왔다. 이 밖에 관광기능을 가진 도시로는 사적과 관광시설이 다른 어느 곳보다 풍부한 서울이 있다.

⑶ 도시의 형태:도시의 형태나 경관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틀의 하나는 가로망(街路網)이다. 경주는 직교식 가로망의 대표적인 도시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읍은 가로망이 불규칙하였고, 서울의 4대문 안에서도 지금의 종로와 같은 일부 대로만이 곧게 뻗었을 뿐 나머지 도로는 불규칙하였다. 처음부터 신도시로 건설된 군산·익산·대전의 경우에는 가로가 전체적으로 직교식으로 계획되었다. 도시의 중심부분만을 고려할 때 대전·경주·사천 등은 직교식, 진해는 방사상, 속초·통영 등은 직선형, 천안·김천 등은 커브식 선형에 가까운 도시들이다. 서울이나 마산과 같은 경우에는 비록 부분적으로 계획되었더라도 미로형 내지 불규칙한 도로망이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시의 윤곽을 좌우하는 가장 큰 외적 요인 가운데 하나는 도시 내의 교통수단의 발달과 그 수용과정에 있다. 부산은 철도축을 따라 발달된 전형적인 도시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사실상 항구라는 입지여건과 지형적 장애에 의해 형태가 크게 왜곡되어 있다. 그리고 광주·전주·대전 등은 모두 도시화 형태로 보아 도시를 통과하는 기간철도축에 평행하는 도시형태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과 인천 구간에는 미국의 시카고와 밀워키간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은 도시회랑의 발달현상을 볼 수 있다. 각 도시별로 개발된 장기도시계획의 실시도 매우 중요하다. 도시형태를 좌우하게 될 장기도시계획은 현대도시가 지니고 있는 도시문제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창안되어야 할 것이다.

⑷ 도시의 구조:도시발달이 행정수행 및 통치를 목적으로 한 수도 중심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도시 내부의 구조가 자연발생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대부분 계획된 구조를 지닌 것이 특색이다. 그래서 20세기에 접어들 때까지도 옛 행정중심기능 위주의 도시로 출발한 대부분의 도시 내부구조는 단순하게 계획된 구조로서 관가·주택가·시장터 외에 넓은 경지를 가지고 있었다. 60년을 전후하여 급격한 도시인구의 성장과 교통수단의 변화는 도시구조 재편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울은 조선시대 이래 600년 동안 한국의 중앙집권적 정치체제의 중심지였으며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계획에서도 개발거점이었다. 서울·부산·대구와 같은 거대도시의 경우, 상업지역이 대체로 중심업무지구와 도매시장, 주요 간선도로를 따라 발달한 상가, 동단위로 발달한 도매시장이나 쇼핑센터 등이 주류를 이루며, 최근 도시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각종 유통센터의 건설이 새로운 도시상업지역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 내부구조의 주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가 공업지역의 발달이다. 최근 도시내 대규모 공업단지 설치 이전의 공업지가 계획된 바도 있으나 거의 자연발생적인 형태로 주택지역과 혼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도심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시대구분
시대구분은 역사의 흐름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구분하는 것으로 역사인식의 방법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일찍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신라사를 상대(上代)·중대(中代)·하대(下代) 또는 상고(上古)·중고(中古)·하고(下古) 등으로 3구분한 바 있듯이, 한국사의 시대구분은 역사발전의 체계적 인식을 위해 무엇보다도 필요한 작업이다. 최남선(崔南善)·이병도(李丙燾) 등은 신석기시대∼통일신라시대까지를 상고 또는 상대, 고려왕조를 중고·중세, 조선왕조를 근세로 각각 구분하였고, 백남운(白南雲)은 《조선사회경제사(1933)》에서 원시씨족사회(신석기시대)·원시부족국가(고조선 및 삼한)·노예국가(삼국과 통일신라)·집권적 봉건국가(고려∼조선)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이기백(李基白)은 1967년 《한국사신론》에서 씨족사회·부족국가로부터 민주주의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18부분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최근 들어서는 북한의 김석형, 남한의 윤내현 등은 식민사관 극복과 민족의 주체적 역사발전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에서 원시사회, 고대사회(단군조선∼남북국시대), 고려사회, 조선사회, 근대사회, 민족의 수난과 저항, 현대사회로 나누어 그동안 왜곡되었던 사실들에 대해 재조명을 시도했다.

원시사회
한국의 역사는 근년에 한반도 전지역에 걸쳐 구석기문화의 유적이 발굴됨으로써 그 기원이 구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 약 60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인류가 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들이 전기 구석기시대부터 중기·후기에 걸치는 장구한 시기 동안 계속 생존하였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한반도의 구석기문화인이 오늘날 한국인의 직접적인 조상이었다고는 할 수 없다. 한반도에는 1만 년 전 빙하기(홍적세)가 끝나고 후빙기(충적세)가 되면서 새로운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는데, 오늘날 고고학에서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그 상한을 BC 6000년까지 올려 잡고 있다. 신석기시대 유물상의 특징은 간석기[磨製石器]와 토기의 등장이다. 이전 구석기시대인은 뗀석기[打製石器]만을 제작하였는데, 신석기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보다 정교하게 만든 간석기가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또한 진흙을 빚어 불에 구워 만든 토기를 사용하였다. 한반도에서의 신석기시대의 전형적인 토기는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라고 할 수 있으나, 이에 앞서 한때 원시민무늬토기[原始無文土器]나 융기무늬토기도 사용되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토기의 계통은 명확하지 않으나, 다음 단계의 빗살무늬토기 문화인은 시베리아에 살던 주민과 같은 계통인 고아시아족(Paleo-Asiatics)으로서 한국인의 직접적인 조상이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빗살무늬토기문화 다음에는 민무늬토기문화[無文土器文化]가 성립되었다. 이 문화는 전단계 문화와는 그 주민이나 문화의 계통이 다른 것이었다. BC 2400년경 이 민무늬토기인들에 의해 청동기문화가 시작되었고 이어 철기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한국문화의 주류를 이루었다. 한편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중국 동해안의 화이허강유역[淮河流域]·산둥반도·보하이만[渤海灣]·남만주·한반도를 연결하는 지역에 민무늬토기문화가 중심이 된 동이문화권(東夷文化圈)이 성립되어, 퉁구스족에 속하는 예맥족(濊貊族)과 한족(韓族)이 이 문화권 안에서 성장하였고 고아시아족으로 추정되는 빗살무늬토기문화인을 흡수하였으며, 이어 주위의 여러 계통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한민족의 주류를 형성해 나갔다.

구석기시대
이 시대의 유적·유물은 한국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그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평양 교외 검은모루의 40만∼50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동굴유적, 나진선봉직할시 선봉군(先鋒郡) 굴포리(屈浦里)·부포리의 3만∼10만 년 전 유적, 충청남도 공주시(公州市) 장기면(長岐面) 석장리(石壯里)의 3만 년 전에서 그보다 더 오래된 시대에 이르는 유물 포함층, 경기도 연천군(漣川郡) 전곡읍(全谷邑) 전곡리에서 출토된 손도끼[握斧] 등이 있다. 당시 사람들은 뗀석기와 나무·뼈의 도구를 사용하여 동물을 사냥하였고 열매와 구근을 채집하며 생활하였다.

신석기시대
구석기시대가 한동안 지속되다가 BC 5000년경 토기와 간석기를 사용하는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 토기로는 꼬챙이[櫛]의 가느다란 부분으로 긁어 무늬를 새긴 반달걀모양[半卵形]의 기하무늬토기인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가 있다. 도구로서는 돌살촉[石鏃]·돌칼[石刀]·골창(骨槍)·골섬 등의 수렵·어로 용구 외에 돌보습[石犁]·돌괭이[石鋤]·돌가래·돌낫[石鎌] 등의 농업용구가 있다. 유적은 하천의 하류 지역과 해안에 많다. 당시 사람들은 집락을 이루어 정주하면서 씨족사회를 형성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반도에서 농경생활이 시작된 시기는 신석기시대 말기부터이며, 특히 쌀농사가 시작된 시기는 청동기시대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었다. 그러나 1991년 일산 가와지 유적 발굴조사에 참여하여 BC 3000년경 토탄층에서 볍씨를 찾아낸 손보기(孫寶基)와 이융조(李隆助)는 기존의 청동기시대 기원설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면서, 한반도에서 쌀농사가 시작된 시기는 BC 1000년경(청동기시대)이 아니고 BC 3000년경(신석기시대)이라고 발표하였다.

고대사회


청동기시대
전기·중기·후기로 나뉘는데, 후기 세형동검시기는 철기시대와 중복된다. 한국에서 청동기문화가 시작된 시기는 BC 2400년경으로 고조선 건국(BC 2300년경)보다 조금 앞선다. 이 시기는 대체로 소형 청동기로 전기에 해당된다. 출토된 유물은 화살촉·칼·귀거리·반지·바늘·창·거푸집 등이다. 고조선지역 청동기문화는 BC 2000년경 황허강[黃河]유역 청동기문화보다 수백년 빠르다. BC 900년경에 이르면 청동기문화가 높은 수준에 이르는데 이 시기를 중기로 잡는다. 대표적인 청동기는 비파형동검이다. 이 시기에는 비파형동검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용기와 무기·장신구·거울·수레와 말의 장식품 등이 이전보다 넓은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토기는 한국의 팽이 모습을 한 민무늬토기로 변화하였다. 농업은 한 단계 더 발달하였고, 돼지·소·말의 사육도 행하여졌다. 사유재산제도는 이때부터 싹텄고, 권력을 지닌 지배층이 출현하였다. 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세워진 고인돌이 그 상징이다.

동이족 문화권과 고조선
청동기를 사용하던 민무늬토기인들이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데, 이들은 중국의 선진문헌(先秦文獻)에 나타나는 동이족(東夷族)으로 알려졌다. 동이족은 당시 화이허강[淮河] 이북의 연해 일대인 장쑤성[江蘇省]·안후이성[安徽省]의 일부에서 산둥성[山東省]·허베이성[河北省]을 거쳐, 보하이만을 포함한 랴오허강 유역과 만주지역에 살았던 민족의 총칭이었다. 동이족은 중국 북서지역에서부터, 한 갈래는 만주 남동부와 한반도로, 다른 한 갈래는 허베이·산둥 방면으로 이동하였으며, 산둥 방면의 동이는 은대(殷代)로부터 한족(漢族)과 끊임없는 접촉과 투쟁을 벌였고, 주대(周代)에는 화이허강 유역까지 진출하여 대연합세력을 이룬 것 같다. 그러나 이 지역 동이족은 진시황(秦始皇)의 통일정책에 따라 한족(漢族)에게 점차 동화·정복되거나 쫓겨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동이족은 한(韓)·예맥족으로 일컬어졌고, 몇 차례 민족이동을 계속하면서 중국 동북지방(만주), 한반도 등지에 우수한 청동기문화를 이룩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사에는 최초의 국가형태를 갖춘 고조선(古朝鮮)이 등장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고조선은 BC 2333년경에 단군에 의하여 건국되었다. 그런데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에 쓰여졌을 뿐만 아니라 고조선에 관한 내용이 너무 간략하기 때문에 그것을 그대로 믿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근래 고조선 연구가 진전되면서 이 기록이 상당히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의 《한서(漢書)》 <지리지>에는 BC 1200년경 기자(箕子)시대 고조선에 <8조 금법(禁法)>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이 시기에 법률이 있었다면 고조선이 고대 국가체제를 갖춘 것은 그보다 앞선 시대로 추정된다. 또 최근 고고학 연구에 의하면 한민족의 청동기문화가 시작된 시기가 BC 2400년경으로 확인되었다. 이 시기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의 고조선 건국시기와 비슷하며, 청동기시대에 대체로 국가사회 단계에 진입하였다는 일반론을 따르면 BC 2333년경에 고조선이 건국되었다는 기록은 타당한 근거가 있다. 《삼국유사》에는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하는 신화가 실려 있다. 즉, 제석천(帝釋天)인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홍익인간의 뜻을 품고 천부인(天符印) 3개를 가지고 풍백·우사·운사 등을 거느리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 내려와 신시를 베풀고 인간사회의 여러 가지 일을 교화하다가 뒤에 곰의 화신인 웅녀(熊女)와 결혼하여 단군왕검(檀君王儉)을 낳았다. 단군왕검은 중국의 요(堯)와 때를 같이하여 조선을 건국, 아사달에 도읍하였다고 한다. 이 단군신화는 몇 가지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데, 즉 부족의 시조를 하느님의 손자에 비유하는 천신사상, 제사장인 단군과 정치의 수장인 왕검의 동시사용으로 나타나는 제정일치사회, 단군의 어머니를 곰에 비유하는 곰 토템씨족설, 풍백·우사·운사 설화에 보이는 원시농경사회적 요소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연숭배신앙은 신석기시대에서 시작하여 청동기시대에 들어오면서 천신사상과 결합되었음을 의미한다.

철기문화의 전래와 위만조선
고조선의 청동기문화는 BC 400년경에 이르면 세형동검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에 이른다. 이 시기는 철기가 보편화된 때이므로 실제로는 청동기시대를 지나 철기시대에 진입한 후가 된다. 세형동검은 무기로서의 실용성과 조형적 예술성이 잘 조화를 이룬 우수한 공예품이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청동기와 세형동모는 기술면에서 세형동검과 공통성이 있는 것으로 고조선의 특징적인 무기이다. 고조선에서 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대략 BC 800년경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널리 보급된 것은 BC 500년경이고 BC 300년경에 이르면 보편화되었다. BC 300년경 유적에서는 긴검·단검·창·가지창·과 등의 무기류와 괭이·호미·낫·반달칼 등의 농구류, 도끼·자귀·끌·손칼·송곳 등의 공구류가 출토되어 당시에 다양한 철기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금속문화의 전래는 생활에 큰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가옥은 움집에 온돌장치를 한 가옥이 나타났고 또한 지상에 목조가옥을 짓고 살기도 하였다. 이리하여 철기인들은 새로운 무기와 농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고인돌인[支石墓人]을 손쉽게 몰아낼 수 있었다. 이 금속문화는 단순한 이식이 아니라 토착화로 이어졌다. 이로써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한 중국 유이민과 토착민과의 연합정권인 위만조선(衛滿朝鮮)이 성립되었다. 즉 위만조선은 중국인 이주자들에 의한 식민정권이라기보다는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은 유이(流移) 동이계 한인(韓人)과 토착 조선인의 연합정권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의 군현
고조선은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나, 한무제(漢武帝)의 침략을 받아 BC 108년 멸망하였다. 한나라는 고조선의 자리에 낙랑(樂浪)·진번(眞番)·현도·임둔(臨屯)의 4군을 설치하여 중국 영토에 편입시켰다. 낙랑군 이외 3군은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되었으나 낙랑군만은 후대의 4세기 초까지 존속하였다. 그 사이 3세기 초에는 낙랑군의 남부에 대방군(帶方郡)이 설치되었다. 낙랑과 대방 2군은 중국 역대왕조의 동방지배 거점이 되었다. 군현 설치 이후 중국 지배에 대해 한국 민족은 항전을 시작하였다. 선봉장격인 고구려는 부여족의 일파로서 압록강 중류역을 중심으로 기원 전후에 왕국을 세웠다. 이후 중국 역대 왕조와 악전고투를 거듭하였고 또 주변 여러 종족을 정복하면서 4세기 초 낙랑군을 아울렀으며 계속해서 대방군을 격파하였다. 이로써 약 400년간 지속된 중국의 한국 일부지역에 대한 지배는 끝났고, 고구려는 만주에서 한국 북부에 이르는 고조선의 옛 영토를 회복하였다.

삼국시대
삼국시대는 《삼국사기》에 나타나는 삼국의 건국연대로부터 660년 백제 멸망, 668년 고구려 멸망까지의 700여 년간을 말한다. 삼국이 고대왕권의 기반을 형성한 것은 고구려는 6대 태조왕 때, 백제는 8대 고이왕 때이고, 신라는 17대 내물마립간 때부터이다. 따라서 그 이전 시기는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로 불린다. 원삼국시대 이래 철기문화의 급속한 보급은 어로·목축과 함께 농경생활의 능력과 군사능력을 크게 발달시켰다. 이것을 바탕으로 안으로는 부족통합을 촉진하였고, 밖으로는 중국의 식민지세력과 충돌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고대왕권의 성립과 지배력이 강화되었다. 고구려는 중국의 교통요충지에서 성장하며 태조왕 때 동해안지역에 진출하였고 청천강 상류지역을 확보하면서 계속해서 랴오둥지방으로 진출했다. 미천왕 12년(311)에는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하였고, 중국의 침입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하였다. 백제는 고구려보다 약 100년 늦은 고이왕 때부터 고대국가체제로 발전하였는데,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중국식민세력과의 힘든 대결을 겪었다. 반면에 3세기 초부터 가야 등 주변세력들과 대항하는 부족연맹체를 형성하고 있던 신라는 낙랑군과 연결된 부족들, 가야의 지배하에서 조종을 받던 왜(倭) 및 한강 상류지역을 개척하고 있던 백제 등과 빈번한 충돌을 하면서 고대국가의 기틀을 다져 나갔다. 삼국은 각각 중국의 제도·문화를 흡수하여 자국의 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서로 경쟁하였다. 그 가운데 고구려의 광개토왕(재위 391∼413)은 신라를 복속시키고 백제를 공격했으며, 중국과 교전하여 광대한 왕국을 세웠다. 그 뒤 장수왕은 도읍을 압록강 중류지역에 있는 지금의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輯安縣]인 국내성에서 평양성으로 옮겨(427) 백제와 신라를 압박하였다. 백제는 고구려에게 한산성(漢山城)을 빼앗긴 뒤 도읍을 웅주(熊州)로 옮겼고(475), 다시 사비성으로 옮겼다(538). 또 왜와 연맹하여 고구려·신라와 대항하였다. 신라는 6세기에 가야연맹을 병합한 뒤, 한강 하류를 장악하고서 화전(和戰) 양면책을 구사하며 영토를 넓혀 나갔다. 삼국의 관등조직은 고구려 14등급, 백제 16등급, 신라 17등급으로 조직되었으며, 문화적으로는 불교의 전래로 부족국가시대에 비하여 크게 확대되고 복잡해진 고대사회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철학을 제시하는 한편 고도의 다양한 불교문화·예술을 꽃피워 삼국의 고대문화 발전의 길잡이가 되었다. 또 한문학이 수입되어 학문수준이 고양되었으며, 이와 같은 문화축적은 후진국 일본을 교화시키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남북국시대-통일신라와 발해
삼국이 항쟁하며 발전한 4∼6세기에 걸친 시기에 중국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남북조(南北朝)의 혼란기로서 한국에 간섭할 여유가 없었다. 그러나 6세기 말에 수(隋)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그 힘은 한국으로 향하게 되었다. 수는 7세기 초 3번에 걸쳐 고구려에 침입하였으나 고구려의 분투로 패퇴하였고, 4번째 침공을 계획하던 중에 자국내의 농민반란으로 인하여 멸망하였다(618). 당(唐)도 7세기 중기에 몇 차례나 고구려를 침입하였으나, 번번이 고구려의 반격에 굴복하였다. 이에 당은 작전을 바꾸어, 바다 건너 백제를 침공하였다. 이 때, 신라는 숙적을 물리치기 위해 당과 연합하며, 나·당연합군은 660년 백제를 무너뜨렸고, 또 백제를 원조하기 위해 온 일본군을 백촌강(白村江)에서 대파하였다(663). 뒤이어 나·당연합군은 고구려를 공격하여 내부 균열이 생긴 고구려를 멸망시켰다(668). 당은 백제와 고구려의 땅을 자국 영토로 편입시키고자 했으나, 당의 한반도 점령에 반대한 신라와 6년간(671∼676) 전쟁을 벌인 끝에 패퇴하였다. 당의 철수에 따라 신라는 한반도 대부분을 영유하게 되었다. 이 광대한 국토를 지배하기 위해 신라는 율령제도(律令制度)를 채용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건설을 이루었다. 집사부(執事部)·조부(調部)·창부(倉部)·예부(禮部) 등의 중앙관청, 9주 5 소경 및 군현 등의 지방통치기구, 9서당(九誓幢) 10정(十停)의 군사조직 등을 7세기 말까지 정비했다. 왕족·귀족은 골품제로 특권을 유지했으며, 그들이 거주한 수도 경주에는 전국으로부터 공물이 들어왔다. 경주 주변에 남아 있는 사원·불상·동종과 고분으로부터의 출토품 등은 당시의 영화를 보여준다. 한편 멸망한 고구려지역과 한반도를 경영하기 위해 당이 평양에 설치하였던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가 신성(新城)으로 옮겨 압록강 이북의 고구려 옛 땅만을 통치하게 된 지 20여 년 후 중국은 안으로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전횡과 밖으로 거란족(契丹族) 이진충(李盡忠)의 난이 일어나 내우외환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좋은 기회에 고구려 별부(別部) 출신으로 알려진 대조영(大祚榮)이 다수의 말갈족(靺鞨族) 세력을 규합하고 지금의 지린성 둔화현[敦化縣] 밖에 성을 쌓고 건국의 터전을 쌓은 뒤 자립하여 진국왕(震國王)을 칭하였다. 곧 발해(渤海)의 건국이다.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선진 중국문물을 흡수하여 대규모의 짜임새 있는 수도를 건설했다. 최근 출토되고 있는 유물들을 보면 불교문화가 꽤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발해는 시라무렌강[西喇木倫]에서 흥기하여 거란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에게 15대 220여 년 만에 멸망하였다.

고려사회


고려왕조의 성립과 발전
신라 말 고려 초에 한국 고대사회는 중세사회로 큰 전환을 보게 되었다. 이로써 한국의 역사는 한 민족 한사회 안에서, 그리고 같은 지역 안에서 자기 사회모순을 극복하고 중세문화를 성립시킴으로써 고대에서 중세로 계기적 발전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성취는 민족문화의 저변 확대와 민족문화 능력의 전체적 증대에서 온 것이었고, 보다 강력한 민족문화전통의 확립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중앙의 진골귀족(眞骨貴族) 중심이고, 수도 경주의 집중적인 고대문화에 반발하면서 성장한 지방호족이 주체세력이 되어 성립시킨 중세문화로서의 고려문화는 2가지의 특성을 갖는다. 첫째로 고려문화는 안으로 신라시대의 고대문화적 모순을 극복하면서, 밖으로는 중국과 다른 성격의 전통과 사회기반 위에서 개성 있는 문화를 성립시켰다. 그런 까닭에 선진적인 송(宋)문화를 수입하면서도 모방적인 단계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성격을 띠면서 독특한 개성을 성립시킬 수 있었다. 중앙집권체제의 운영원리로서의 유교정치이념의 수립과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의 속장경 간행에서 볼 수 있는 국제적인 문화활동,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의 독창적인 선교(禪敎)통합사상체계의 수립 등에 나타난 새로운 문화능력의 발휘가 바로 그것을 증명한다. 둘째로 고대문화의 모순을 자체적으로 극복하였다는 역사적 경험에서 오는 문화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곧 새로운 문화의식을 토대로 보다 강력한 민족의 공동체의식을 성립시켰다. 태조 왕건(王建) 때 후백제와 연결된 거란(契丹)을 경계하고 거란에 망한 발해의 유민을 포섭하면서부터 북방의 유목민족이나 반농반목(半農半牧)의 민족과 대립하였다. 그리하여 반농반목의 문화단계에 머물러 있던 거란의 침입에 대해서 자기 문화의 수호관념이 굳건하게 성립되어 있었고, 이러한 고려인의 문화의식과 민족의식은 대거란전쟁에서 커다란 구실을 하였다. 이 전쟁에서 성공하여 거란의 팽창을 막은 것은 안으로 민족의 문화능력에 대해 더욱 자신을 갖게 하였고, 밖으로 고려·송·요(遼)가 정립하는 국제세력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여 문화의 발전을 한층 더 가속화 하였다. 그 뒤에도 그러한 문화능력의 축적이 있었기 때문에 강력한 유목민족인 몽골의 침입에 대항해서 30여 년에 걸친 항전을 전개하여 국가를 유지할 수 있었다.

농민반란과 무인정권
12세기 이래 고려 정계에서는 권력투쟁이 격화되어 지배체제는 동요되었다. 또 지방에서는 농민의 유랑과 반란이 일어났다. 그 불안한 분위기 속에서 그때까지 문신에게 업신여김을 받던 무신이 반란을 일으켜, 일거에 정권을 장악하였다(1170). 그 후 얼마간 무인 상호간의 권력투쟁이 계속되다가 1196년 최씨무인정권이 성립하였다. 이것은 한국사에서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외압과 몽골의 침입>10세기 말∼11세기 초에 거란(遼), 12세기에는 여진(金), 13세기 이래 몽골(元)족의 침입을 받았다. 특히 몽골은 약 30년(1231∼59)에 걸쳐 고려 전토를 짓밟았다. 최씨무인정권은 완강히 항전하였으나, 화친을 주장한 문신파에게 무너졌다(1259). 이후 고려는 몽골의 제후나라로 전락하여 내정간섭을 받았고, 2차례의 일본원정에 참전할 것을 강요받았다. 이어 14세기가 되자 왜구(전기 왜구)가 내습하여 해안선뿐만 아니라 오지까지 황폐하게 되었다. 이러한 외환 중에서 토지는 소수의 권력자 손에 집중되었고, 다수의 농민은 토지를 잃게 되었으며 관료 가운데에도 토지와 녹(祿)의 지급에서 누락되는 사람이 나타났다.

조선사회


조선왕조의 성립과 발전
조선왕조는 고려 후기에 누적된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고, 몽골·홍건적·왜구의 침략과 명(明)의 압박으로 인한 민족적 시련을 극복하려는 참신한 이념을 지닌 사대부 문인층과 일부 무장들에 의해서 세워졌으며, 여기에 하층민의 협조도 크게 작용하였다. 고려 말의 신흥 사대부 문인들은 대체로 송학(宋學)의 이념을 지표로 삼아 불교에 의해서 지탱된 구질서를 온건한 방법으로 개혁하려고 하였으나, 개혁의지를 왕조교체로까지 몰고 간 것은 특히 신분이 낮은 문인과 무인들이었다. 새 왕조는 이렇듯 급진적 성향을 가진 세력에 의해서 세워졌으나, 차츰 온건파 사대부가 참여하여 두 흐름이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수성(守城)이 마무리되었다. 그리하여 15세기 100년간에는 중앙집권체제가 강화되고 국력이 크게 신장되었으며, 하층민의 경제생활이 개선되고, 전통문화와 외래문화를 폭넓게 절충한 실용적이며 개성 있는 문화가 꽃피었다. 16세기에는 대외관계가 안정되어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었지만, 안으로는 권력과 부가 지나치게 중앙에 집중하는 폐단이 생기면서, 이에 대한 반발로 향촌의 자율성을 높이고 문인 위주의 도덕정치를 구현하려는 정치세력이 성장하였다. 이들이 곧 사림(士林)으로서 그들의 이상주의가 현실주의적인 훈구세력과 몇 차례 충돌을 일으키다가 마침내 16세기 말 선조 때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사림정치는 정치의 지방적 확산과 활발한 비판풍토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지나친 문약과 파벌(朋黨)간의 대립으로 왜란과 호란을 자초하는 결과를 빚었다. 두 난을 거치면서 일부 사림들은 주자학적 사회질서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한계를 느끼고 양명학·고증학·천주교 등 새로운 외래사조와 민간신앙을 흡수하면서 세계사의 진운에 발맞추어 사회를 개혁하려고 하였으나, 대부분의 지도층은 주자학을 고수하면서 구질서를 지켜 나가려고 하였다. 18세기 중엽의 영·정조시대에 부분적으로 개혁이 시도되었으나, 보수적 유림의 반발로 이루지 못하고, 19세기 이후로는 보수파의 일당독재가 출현하였다. 이른바 세도정치가 그것이다. 세도정치하에서 국가기강은 극도로 무너지고 부패가 만연하여 민생은 어느 때보다도 피폐하였으나, 이 시기에도 세계사의 조류에 발맞추어 사회를 혁신하려는 농촌 출신의 향반층(鄕班層)과 도시 출신의 중인층은 꾸준히 성장하였다. 그들은 실학을 더욱 과학적으로 발전시켜 갔으며, 농민·상인·노동자층과 연결하여 민란을 지도하기도 하였다.

왜란과 호란
당쟁이 격화하던 시기에 왜구(후기 왜구)가 내습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대군이 침입하여 전후 7년간(1592∼98)에 걸쳐 전국토가 병화(兵禍)를 입었다. 왜구에 대항하여 양반·유생·승려 등이 농민을 이끌고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웠다. 또 해상에서는 이순신(李舜臣)이 일본의 해군을 격파하여 보급을 차단했으며, 명(明)의 지원군도 참가하여 결국 일본군은 성과를 얻지 못하고 철퇴하였다. 그 뒤 후금(淸)군이 2차례(1627, 1636∼37) 침입하였는데 병자호란은 조선과 후금의 형제맹약을 후금이 어기고 무리한 경제적 요구를 하자 조선의 척화론과 충돌하여 일어났고 정묘호란은 조선의 친명배금정책으로 후금과 갈등을 빚었다. 결국 두 호란으로 조선은 청에게 사대의 예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상품화폐경제의 발전>그러나 조선사회는 두번의 전란을 겪은 뒤 새로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여, 정기시인 장시(場市)가 전국에 성립되었고, 주조화폐의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농업에서는 2모작의 보급으로 상품작물의 재배가 성행하였고, 종래의 양반지주 외에 농민 출신의 서민지주가 나타났다. 18세기가 되면서 농업에서 분리된 전업 수공업자가 증가하였고, 광산에서는 부역노동에 의한 임금노동이 등장하였다. 또 전부터 있던 특권적 어용상인에 대항하여, 장시를 돌아다니며 행상과 점포를 개설하는 객주·여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제의 발전은 농민층의 와해를 가져와 일부는 부농화·지주화하였고, 대다수는 영락하고 말았다. 한편으로는 관직과 양반신분의 매매가 일어나 전통적 사회질서를 동요시켰다. <새로운 사상·문화의 대두>사회적 변동은 새로운 사상과 문화를 창출하였다. 국교(國敎)로서의 권위를 과시한 주자학이 관념론과 의례론에 얽매이는 것에 대해 반대하고, 자연과 사회의 합리적 인식과 현실비판을 목적으로 한 실학이 대두되었다. 자연과학·철학·역사학·지리학·농학·언어학에서 문학·미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새로운 기운이 일게 되었다. 그즈음 중국을 경유하여 천주교가 전래되면서, 지식층과 농민층에 폭넓게 퍼져 나갔다. 정부는 새로운 사상의 대두를 두려워하였는데, 이에 천주교에 대한 대탄압(1801, 신유박해)이 시작되어 전통질서를 비판하는 사상을 이단시하였다. 이 때문에 실학의 정상적인 발전의 길은 저지되었고 소수의 지식층 중에서만 명맥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었다. 농민들 사이에서는 1860년에 최제우(崔濟愚)가 창시한 동학(東學)이 널리 퍼졌는데, 이는 서양의 침략에 반대하는 동시에 기성의 신분질서를 부정하였고 농민의 해방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제우는 처형당했으나(1864) 동학은 농민들의 신앙심을 모았다. 사상계의 변동과 아울러 19세기에는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났다. 평안도에서 일어난 홍경래(洪景來)의 난(1811∼12), 남부일대를 소란으로 몰아넣은 진주민란(1862)은 대표적인 예로서 왕조지배체제를 동요시켰다.

근대사회
중세적 사회체제를 극복하면서 근대사회를 지향해 가고 있던 조선왕조는 개항을 계기로 세계자본주의체제에 강압적으로 편입되었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이러한 위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통치구조를 개편하고 쇄국양이정책(鎖國攘夷政策)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그러나 역사의 대세는 개국통상 쪽으로 기울어, 조선은 열강들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불평등조약체제하에서 이루어진 대외무역은 조선의 사회·경제를 점차 반(半)식민지적으로 재편하여 갔다. 조선의 사회세력은 급격한 사회변동에 대처하는 방법을 둘러싸고 크게 세 갈래로 분립하였다. 첫째는 왜양(倭洋)과의 우호적 관계를 단절하고 유교적 신분사회질서를 지키려는 위정척사(衛正斥邪) 세력이었다. 둘째는 서양의 법률·제도와 과학·기술을 일정하게 수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하려는 개화세력이었다. 셋째는 조선 후기 이래의 사회개혁론의 전통을 이어받아 토지의 균등분배를 실현하고 신분제도를 타파하려는 농민세력이었다. 위정척사세력은 임오군란(壬午軍亂)과 항일의병투쟁을 주도하였고 개화세력은 갑신정변(甲申政變)과 갑오개혁(甲午改革) 및 독립협회운동을 거쳐 구국계몽운동에서 중심 역할을 하였다. 반면 농민세력은 동학농민운동, 영학당(英學黨)·활빈당(活貧黨)운동 및 항일의병투쟁에서 주력군으로서 활약하였으나 각 세력이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고 상호협력하여 근대민족국가를 건설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조선은 결국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조선의 개국 후, 일본인 상인들은 곡물과 금을 사들였고, 대신 목면과 잡화를 팔았다. 조선에서는 물가가 올라 민중의 생활은 피폐해져 갔다. 유학자는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서양화한 일본을 배격하였고, 일본에 협력한 민씨정부를 공격하였다. 그런 시기에 구식 군대 해산을 계기로 반정부·반일의 임오군란이 발생하였다(1882). 이때 일본을 견제하면서 반격의 기회를 엿보고 있던 청이 출병하여, 봉기를 진압하는 동시에 친청보수파정권을 세웠다. 이에 대해 근대적 개혁에 의한 조선의 독립과 부강을 목표로 한 개화파가 일본의 지원 아래 쿠데타를 일으켜 보수파를 누르고 개화파정권을 세웠으나, 청군의 반격에 의해 삼일천하의 단명으로 끝났다(1884).

동학농민운동
서양열강이 밀려오고, 조선은 열강항쟁의 무대가 되었다. 그럼에도 관료는 혼란을 틈타 농민에 대한 수탈을 일삼았다. 이때 동학의 유대로 맺어진 농민은 반외세·반봉건의 농민혁명운동을 일으켰다(1894). 농민군은 정부의 토벌군을 타파하면서 탐관오리의 처단, 노비·천민의 해방, 과중세금의 폐지, 토지의 평균분배, 과부의 재혼 허가, 외적과 내통한 자에 대한 처벌 등을 정부에 요구하였다.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농민군을 진압할 수 없었던 정부는 청에 출병을 청하였고, 일본도 역시 출병하였다. 일본은 청군을 공격하는 한편 조선정부를 위협하여 민씨정권을 무너뜨리고 개화파정권을 세웠다. 이 정권은 근본적으로, 관료기구의 정비, 화폐·도량형의 통일, 세금의 금납화, 양반과 양인(良人)과의 신분차별 철폐, 노비·천민의 해방, 과부 재혼의 자유 등을 내세웠다(1894). 그러나 일본의 무력시위 아래에서 행해진 것이기 때문에, 민중의 눈에는 침략의 수단으로 비추어졌으며, 개혁의 성과는 없었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에 대한 독점적 지배권을 획득했다고 여겼으나, 1895년 삼국간섭에 의해 실패로 돌아갔고, 조선에서는 삼국간섭을 주도한 러시아가 득세하였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세력을 되찾기 위해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는 일본군인·깡패를 동원하여 왕궁을 습격하고, 반일파였던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하였다(1895, 을미사변).

의병
명성황후 시해는 한국민들을 격분시켰다. 유학자를 지도자로 하는 의병이 각지에서 들고 일어나 저항하였다. 의병의 진압을 위해 정부군이 지방으로 출동한 사이 러시아와 결탁한 일파는 국왕을 왕궁에서 러시아공사관으로 옮겨 놓았다(1896, 아관파천). 이러한 사태의 연속선상에서, 철도·광산·삼림 등의 이권은 차츰 서양 및 일본에 넘어가 조선의 위기는 한층 심화되었다. 위기에 직면한 급진적 개화파는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를 결성하였으며(1896), 조선의 민주화를 통한 독립의 달성을 목표로 대중운동을 전개하였다. 1897년 고종은 황제로 즉위하여,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고쳤고, 자주독립국가임을 국내외에 천명하였다. 개화파는 보수파가 탄압을 가함에 따라 해산되었다(1898).

민족의 수난과 저항


일제의 식민지 정책
1910년 8월 대한제국이 일본에게 강점된 뒤 45년의 8·15까지 한민족은 일제의 지배하에 있었다. 일제는 1906년 2월 통감부(統監府)를 조선총독부로 고치고, 데라우치 마사요시[寺內正毅]를 초대 조선총독으로 하였다. 총독은 일본 천황에 직속되며, 데라우치는 헌병경찰에 의한 무단통치를 하였다. 한국인의 결사(結社)와 정치집회는 물론, 옥외에서 행하는 비정치적인 집회까지도 금지하였고, 식민지지배에 비협조적인 인사는 이른바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검거되었다. 그리고 일반 관리나 학교의 교원들까지 제복과 칼을 착용케 하였다. 일제는 한국인이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고 독립을 주장하게 될 것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필요한 식민지 교육만을 강요하여 보통교육과 실업교육만 허락하였다. 한편 일제는 조선을 식량·공업원료의 공급지 및 상품판매 시장으로서의 식민지적 경제로 재편성, 토지수탈을 위한 토지조사사업(1905∼18)과 <회사령(會社令)>을 시행하여 민족자본의 발전을 억제하였다.

3·1운동
일제의 무단통치에 반발하여 서울에서 거세게 일어난 19년 3월 1일의 독립만세시위는 평양·개성·원산·함흥 등의 주요 도시를 거쳐 주변의 농촌으로 번져갔다. 그리고 3월 10일을 전후해서는 전국적으로 파급되어, 5월 말까지 230개의 부·군에서 200여 만 명의 사람들이 1500여 회의 만세시위에 참가하는 대민족운동으로 발전하였다. 3·1운동은 비록 독립이라는 목적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이를 통해 민족공동의 의사를 온 세계에 알리고, 민족의 자주독립에 대한 역량을 보여주어 세계 각국으로 하여금 한민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다. 특히 3·1운동 이후의 민족운동은 보다 더 조직적, 계획적으로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운동과도 연결되어, 이후의 거듭되는 민족운동의 밑바탕이 되었다.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일제는 무력으로 3·1운동을 진압한 뒤 국제 여론에 밀려 문화정치를 내세웠다. 그러나 이것은 한민족의 근대적 성장을 탄압하고,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는 하나의 기만적 회유책이었다. 일제는 1920∼34년에 걸쳐 산미증산계획 아래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였고, 대외 침략전쟁수행을 위하여 한국을 병참기지화하였다. 일제는 전쟁수행을 위한 인적·물적 수탈과 탄압을 가중시켰고, 또 한민족의 문화를 완전히 말살하려 하였다. 한국어의 사용금지와 한국사 교육의 금지 및 창씨개명을 강요하였다.

항일무장투쟁
1931∼45년 일제는 독립운동에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해외의 독립운동세력들은 무장투쟁의 전열을 정비하고, 민족연합전선을 결성하여 민족국가건설의 방안을 찾았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김구(金九)의 지도 아래 애국단원들이 침략의 원흉들을 직접 공격하는 의열활동을 펼치면서 활기를 되찾았다. 이봉창(李奉昌)은 도쿄[東京]에서 일왕(日王)에게 폭탄을 던졌고(1932.1), 윤봉길(尹奉吉)은 상해에서 폭탄을 던져 시라가와[白川]대장 등 일제 고위장성 10여 명을 살상하였다(1932. 4). 그렇지만 일제의 중국침략이 본격화하자, 임시정부는 국민당정부와 함께 난징[南京;1932]·항저우[杭州;1932]·자싱[嘉興;1935]·전장[鎭江:1937]·창사[長沙;1937]·광둥[廣東;1938]·류저우[柳州;1938]·치장[1939]·충칭[重慶;1940] 등지로 근거지를 옮겼다. 그 뒤 김원봉(金元鳳)이 이끄는 조선의용대와 함께 좌우익의 통일전선으로 기존의 광복군 전력을 강화하였으며 일부 병력은 인도와 미얀마전선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한편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김좌진(金佐鎭)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홍범도(洪範圖)의 대한독립군, 이범윤(李範允)의 의군부, 김성극(金星極)의 광복단 등이 청산리전투에 참여하였고, 김좌진의 피살 후 이청천(李靑天)이 한국독립군을 거느리고 일본군과 싸웠으며, 최동오(崔東旿)·양세봉(梁世奉)의 조선혁명군, 좌익계열인 김무정(金武渟)·김두봉(金枓奉)·박효삼(朴孝三)의 조선독립동맹 산하 조선의용군 등이 후자창[胡家莊]전투 등을 통해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갑산파(甲山派)라고 불리는 김일성(金日成)·최용건(崔鏞健)·김책(金策) 등이 1930년대 중반 이후 만주와 함경북도 갑산 등지에서 활약하다 함경남도 보천보(普天堡)와 백두산기슭 홍치허[紅旗河]에서 일본경찰과 싸워 대승을 거두고 뒷날 소련 극동군과 연결되었다. 해외의 무장독립운동세력들은 일제의 만주침략,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을 통하여 끊임없이 일본군과 항쟁을 벌였다.

현대사회
일본제국주의가 연합국에 패함으로써 한민족은 8·15를 맞았지만 8·15가 곧 완전한 민족국가의 수립을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 미·소 양군이 남북한에 진주함으로써 8·15는 국토와 민족의 분단으로 이어졌다. 미·소의 군정하에서 남북한의 정치·사회세력들은 식민지 유제를 청산하고 통일된 민족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주도권은 남북한에 단독정부를 세우려는 극우·극좌세력 쪽으로 기울어졌다. 결국 48년 남북한에는 체제가 다른 정부가 각각 수립되어 국토와 민족은 분단되었고, 6·25를 거치면서 분단은 굳어졌다. 이후 남북간의 체제경쟁 과정에서 정치권력의 배타성과 독재성은 강화되고, 국민들에 대한 이데올로기 주입과 통제 역시 기승을 부리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의 당위는 국토와 민족의 통일이었기 때문에 남북한 정권은 그 대결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위한 대화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1970년대에 본격화되기 시작한 남북적십자회담,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남북조절위원회의 설치 및 80∼90년대의 남북체육회담, 이산가족방문, 남북총리회담 등이다. 한반도는 90년대 들어와 큰 변화를 일으켰다. 경제적으로 북한은 소련의 와해와 자연재해 등으로 최악의 상태에 빠졌다. 한국도 60년대 이후 정경유착·재벌중심 경제체제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97년 이른바 IMF체제로 전락했다. 정치적으로 남쪽은 군사통치시대가 끝나고 민간정치시대가 되면서 민주주의가 확대되었으며, 북한은 권력세습의 형태로나마 통치자가 바뀌었다. 민족문제·남북문제에서도 오랫동안 계속된 대결구도를 화해구도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98년 11월 시작된 금강산 관광사업과 2000년 6월 15일 개최된 역사적 남북정상회담, 같은 해 8월 15일 남북이산가족 상봉, 남북경협 등을 통해 화해정책이 비로소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20세기 냉전구도가 남긴 분단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한반도의 평화로운 통일은 여전히 한민족이 해결해야 할 최대의 역사적 과제로 남아 있다.


정치


8·15와 정부 수립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은 국가를 되찾아 민족의 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줄기찬 투쟁을 벌였다. 그러나 한국이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난 것은 제 2 차세계대전 종결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까닭으로 8·15를 맞았으나 민족이 스스로 자주독립국가를 세우지 못하고, 미·소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일제는 패망에 따른 조선에서의 통치권 부재와 혼란으로 인해 일본인의 재산과 생명이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을 예상하고, 일본인들의 보호와 치안확보를 위해 조선인 민족지도자에게 질서유지를 위임하였다. 처음에는 송진우(宋鎭禹)에게 의뢰하였으나 송진우가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내세워 거절하자 여운형(呂運亨)에게 치안권을 넘겼다. 여운형은 권력의 공백기에 치안을 유지하고 한국의 정부수립을 준비하는 과도정부 수립을 목표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건준은 시·도조직을 상부구조로 하고 지방의 하부조직까지 구성하여 한민족의 자치조직으로서 질서유지에 힘썼다. 그러나 좌우익과 중간노선 등 모든 정파를 포함하려 했던 처음 의도와는 달리 안재홍(安在鴻) 중심의 우파가 탈퇴하였다. 그 뒤 박헌영(朴憲永)이 이끄는 공산주의자들이 주도권을 장악, 45년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朝鮮人民共和國)을 선포함에 따라 건준은 해체되었다. 인공(人共)은 미군정이 시작된 뒤 불법단체로 규정된 10월 10일까지 존속하였다. 이 무렵 미군정에 의해 법적 정통성이 부인된 임시정부 민족지도자들은 개인자격으로 귀국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국에는 김구 중심의 임정지지세력과 여운형 중심의 좌익중도노선, 공산주의자 세력 등이 등장하였다. 45년 12월 미·영·소 3개국 외무장관회의에서 결정된 한반도의 신탁통치안은 반탁을 주장하는 비상국민회의와 찬탁을 주장하는 민족주의민족전선이 대립하는 가운데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려 한반도의 통치문제가 논의되었다. 미·소공동위원회는 46년과 47년 소집되었으나, 위원회 참가 대상 단체의 선정을 두고 의견을 달리하여 단일정부 수립이라는 목표를 이루지 못한 채 결렬되었다. 단일정부 수립에 실패한 미군정 당국은 빠른 시일 안에 독립정부 수립을 추진하기 위해 한반도문제를 국제연합에 상정하였다. 국제연합에서는 국제연합 감시 아래 총선거를 실시, 정부를 수립할 것을 결정하고 국제연합 한국임시위원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이들의 입북을 거부함으로써, 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총선거를 실시하여 198명의 제헌의원을 선출하였다. 제헌국회는 정부 수립을 위한 헌법을 제정하였고 이승만(李承晩)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마침내 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를 수립하고,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공표하였다. 대한민국의 수립에 이어 북한도 9월 9일을 기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 김구 등을 중심으로 한 통일정부수립의 노력은 허사로 돌아갔다. 한반도에서 두 개의 정부가 수립된 것은 국민의 열망을 저버린 것으로, 한민족은 민족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서로 다른 체제와 이념의 지배를 받으며 두 개로 나누어진 국가의 국민으로 살게 되었다.

제 1 공화국
제 1 공화국은 48년 7월 17일 공포된 헌법에 의하여, 반공을 주요 정책목표로 출범하였다. 5·10총선거 당시 김구 중심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이 단독정부수립에 반대하여 불참하자, 제헌국회에서는 5·10총선거를 추진하던 이승만계열과 호남의 지주들이 중심이 되었던 한국민주당(韓國民主黨)이 대다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한민당과의 제휴로 정권을 장악한 이승만은 한민당을 배척하고 자신의 지지기반을 넓혀나갔다. 이승만이 이끄는 제 1 공화국 정부의 우선 과제는 식민지 지배의 유산을 청산하고 자주독립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것이었다. 당시 국민의 관심의 초점이던 친일민족반역자의 처벌을 위해 국회에서는 반민특위법을 제정하였고, 민족반역자처벌특별위원회(약칭 반민특위)를 설치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일제의 손발이 되어 민족을 수탈하고 고문하던 민족반역자에 대한 조사와 처벌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 정부관료와 고위 경찰간부 중에 많은 친일경력자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국회 안에도 적지 않은 친일파들이 있었기 때문에 반민특위는 원래의 취지대로 활동하지 못하였다. 심지어 친일민족반역자의 조사에 앞장섰던 몇몇 국회의원들을 <공산당의 사주를 받아 국회를 혼란에 빠뜨리려 한다>고 체포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그것이 국회프락치사건이었다. 이어 이승만은 반공과 정국혼란의 방지 및 국민화합을 이유로 반민특위 활동의 종결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반민특위는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50년 5월 30일 제 2 대 민의원선거가 실시되어 남북협상을 지지하는 세력과 중도파가 국회로 진출한 반면, 이승만계열과 이승만으로부터 배척당해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으로 개편하였던 옛 한민당계열의 진출은 주춤해졌다. 이 선거의 결과는 민족의 통일을 바라는 국민들의 의지가 표현된 것이었다. 그 뒤 6·25 발발로 정부를 부산으로 옮기자 이승만은 자신의 지지세력으로 자유당을 창당하고 직선제개헌을 추진하였다. 52년 직선제개헌안을 통과시킨 이승만은 선거에 의해 제 2 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55년 선거에서 자유당이 원내 제 1 당이 되었고, 야당인 민국당은 열세를 면치 못하였다. 이승만은 사사오입(四捨五入)으로 대통령중심제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자유당의 이와 같은 전횡으로 반대세력이 생겨났는데, 국회내에는 민주당과 진보당이 등장하였다. 그런 상황 아래서 제 3 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졌다. 자유당의 이승만과 진보당의 조봉암(曺奉岩)의 대결에서 이승만이 승리했으나 조봉암이 200여 만 표를 획득했고, 제 3 대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이 당선됨으로써 자유당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이 강하게 드러났다. 58년 실시된 제 4 대 민의원선거는 제 1 야당인 민주당이 승리하여 원내의석 1/3을 확보해 국민들의 관심이 자유당으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자유당정부가 60년 제 4 대 대통령선거에서 이른바 3·15부정선거라고 하는 선거부정을 행하고 이승만과 이기붕(李起鵬)을 정·부통령으로 당선시키자 이를 계기로 쌓였던 국민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기 시작하였다. 같은해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의 시위를 시작으로 4월 19일에는 전국적인 학생시위가 일어났다. 진보적인 학생들의 시위로부터 시작된 저항은 경찰들의 발포로 온 국민이 참여한 전국적 규모의 시위로 발전했다. 결국 이승만의 하야로 사태는 진정되었으나 제 1 공화국시절 억눌렸던 각계각층의 욕구가 한꺼번에 터져 나와 사태수습을 담당한 허정(許政)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를 무력화시켰다. 허정정부는 의원내각제로 개헌을 하고 7월 29일 민의원선거와 참의원선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민주당이 승리를 거두고 윤보선(尹潽善)을 대통령으로, 장면을 국무총리로 하는 제 2 공화국을 출범시켰다.

제 2 공화국
제 2 공화국정부는 사회제도의 개혁 등을 통해 민주주의를 정착시키고 사회의 안정을 꾀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자유당정부의 붕괴와 그에 따라 제 몫을 찾으려는 사회 각계각층의 욕구분출은 사회를 걷잡을 수 없는 혼란과 무질서 속으로 빠뜨릴 뿐 도무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혁신계를 중심으로 통일운동과 현상타파운동까지 일어났다. 이런 혼란 가운데 박정희(朴正熙)를 중심으로 하여 군사쿠데타가 일어났는데 그것이 5·16이다. 쿠데타의 지도자들은 무력을 앞세우고 서울로 진격, 장면정부를 무너뜨리고 군정을 실시하였고, 국민투표로 헌법을 확정했다. 63년 민간인의 정치활동 재개와 함께 5·16세력은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을 창당하고 정치에 참여하였다. 제 5 대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의 박정희후보가 윤보선을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실시된 국회의원선거에서 공화당은 제 1 당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제 3 공화국
박정희는 빈곤 추방을 목표로 5개년 경제개발계획을 수립, 이를 추진하였다. 한편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를 꾀하여 65년 국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일국교를 성사시켰다. 또한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6·25 때 연합군이 한국을 도와준 데 대한 답례와 국가이익 차원에서 월남파병이 이루어졌다. 67년 박정희는 윤보선 후보를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같은 해 실시된 국회의원선거에서도 공화당은 제1당이 되었다. 69년 박정희는 단임의 약속을 어기고 3선 개헌안을 불법적으로 통과시키고, 71년 제 7 대 대통령선거에 입후보하였다. 신민당의 김대중(金大中)후보와 접전 끝에 힘겹게 승리하였다. 이 무렵 제 3 공화국정부는 남북대화를 열고, 72년 7월 4일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 통일에의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그러나 야당과 재야운동세력의 저항도 거세어졌다. 이에 대응하여 박정희는 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국회를 해산하고, 정당활동을 금지시키는 한편 비상국무회의가 국회를 대신케 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개헌작업을 추진, 72년 11월 21일 국민투표를 거쳐 유신헌법을 통과시켰다. 유신헌법에 따라 72년 12월 23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박정희가 재선되고, 12월 27일 제 8 대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유신체제라 불리는 제 4 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제 4 공화국
73년 2월 27일 실시된 제 9 대 국회의원선거는 공화당과 유신정우회(維新政友會)의 여당이 다수의석을 차지하여 원내는 여권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원외에서는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투쟁이 범국민적으로 번져 나갔고 정부는 이에 대해 물리적 힘으로 대처하였다. 78년 7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를 통해 박정희가 제 9 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반정부운동은 줄어들지 않고 개헌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같은해 12월에 치러졌던 국회의원선거도 공화당이 지역구에서 신민당보다 1.1%나 뒤져 민심이 떠난 것을 드러냈다. 선거 결과에 자신한 신민당은 김영삼(金泳三) 의원을 새 총재로 선출하고 유신체제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였다. 이에 정부여당은 79년 10월 4일 김영삼을 제명하고 정치활동을 금지시켰다. 김영삼의 제명으로 인해 대학가의 민주화시위는 가속화되었다. 그런 가운데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가 박정희를 저격함으로써 유신체제는 붕괴했다.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를 열어 국무총리 최규하(崔圭夏)를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반대세력들은 반정부 투쟁을 전개해 나갔고, 80년 5월 17일 신군부는 계엄령을 전국에 확대하고 김대중을 비롯한 민주인사들을 구속하는 한편 국회와 정당을 해산하였다. 이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난 5월 18일 광주에서의 학생집회를 경찰이 무력을 사용하여 진압함에 따라 유혈사태가 확대되어 수많은 시민이 생명을 잃는 광주민주화항쟁이 일어났다. 박정희의 죽음과 함께 12·12사태를 일으켰던 신군부는 80년 5월 30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10월 27일에는 국가보위입법의회를 발족시켜 정치 등 각 분야에 개혁조치를 단행하였다. 또한 <정치풍토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여 정치인들의 정치활동을 금지시켰으며, 언론인·공직자들의 해직 및 언론사 통폐합 등의 조치를 단행하였다. 80년 8월 16일에 최규하를 퇴진시키고 신군부의 실권자인 전두환(全斗煥)이 통일주체국민회의선거를 통해 9월 1일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제 5 공화국
80년 9월 국민투표를 통해 7년 단임의 대통령간선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헌법안을 확정하였다. 81년 1월 5일 신군부를 중심으로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이 창당되고, 81년 2월에는 대통령선거인단 선거와 선거인단에 의한 대통령선거 실시, 81년 3월 3일 전두환이 제12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제 5 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제 5 공화국 출범과 더불어 3월 25일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었는데, 민정당이 다수당으로, 민한당이 제 1 야당으로 등장하였다. 85년에는 해금정치인이 주축이 되어 신한민주당을 창당, 그해 2월 12일 선거에서 제 1 야당으로 등장하였다. 야당은 헌법의 개헌논의를 부각시키면서 재야세력 및 학생들과 함께 민주화요구시위를 계속하였다. 정부와 여당은 이에 대해 87년 4월 13일 성명을 발표, 호헌을 내세웠다. 정부의 호헌조치로 가열된 민주화운동의 열기는 6월 민주화시위를 가져왔고,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는 87년 6월 29일 직선제 개헌, 김대중 사면복권 등 8개항으로 된 6·29선언을 발표하였다. 87년 10월 12일 5년 단임의 대통령직선제 개헌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12월 16일 대통령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노태우(盧泰愚)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 6 공화국
1) 노태우정부:88년 2월 25일 노태우가 5년 단임의 제13대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제 6 공화국이 출범하였다. 같은 해 4월 26일 제13대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 등 야당이 다수의석을 확보하여 여소야대(與小野大)의 정국이 시작되었다. 국회의 개원으로 야당은 공조체제를 형성하고 대정부 공세를 취해 88년말 청문회를 열어 제 5 공화국의 비리와 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추궁했고, 그에 대한 책임으로 전두환은 대국민사과성명을 발표하였다. 90년에 들어와 민정당은 여소야대정국의 타개를 위해 야당인 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과 합당, 90년 2월 15일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을 창당하여 제 6 공화국의 정치구도를 바꾸어 놓았다. 야권도 91년 9월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이 합당, 김대중·이기택 중심의 민주당을 창당하였다. 92년 3월 24일 제14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고, 총 299석 가운데 민주자유당 149석, 민주당(총재 김대중) 97석, 통일국민당(총재 정주영) 31석으로 나타났다. 여당인 민주자유당은 3당통합에도 불구하고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고, 통일국민당은 31석 확보라는 뜻밖의 결과를 낳았다. 92년 12월 18일 대통령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제14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2) 김영삼정부:93년 2월 발족한 김영삼정권은 부정부패 척결, 직권남용과 탈세를 엄중하게 다스려, 박철언 전체육청소년부장관을 비롯해 고위공직자 출신들이 뇌물수수혐의로 체포되었다. 8월에는 타인이나 가공명의로 금융거래를 못하도록 금융실명제를 실시했고, 94년 3월에는 정치개혁 관련 3법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4월에 이회창 국무총리가 대통령과 대립, 사임하는 한편,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로 32명이 사망하는 등 사고가 잇달아 일어나 정권의 지지율이 떨어졌다. 95년 3월 여당 대표를 사퇴한 김종필이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을 결성했고 6월 29일에는 502명이 사망하고 937명이 부상당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7월 김대중이 정계복귀를 선언하고 9월에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를 창당해, 정계는 새로운 3김시대를 맞았다. 반격을 꾀한 김영삼정권은 민족정신의 회복을 강조하며 8월, 일본 식민지 지배의 상징이었던 구 조선총독부건물 해체에 착수, 96년 11월 철거를 완료했다. 또한 <역사바로세우기>를 내세워 군인출신정권에 대한 본격적인 추궁에 나섰고, 검찰은 11월 16일 비밀정치자금사건의 수뢰혐의로 노태우 전대통령을, 12월 3일에는 반란주모혐의로 전두환 전대통령을 체포했다. 12월 19일 광주사건 관련자를 처벌하는 특별법이 성립되었다. 96년 4월 총선거에서는 여당인 신한국당(현 한나라당)이 과반수에 가까운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다.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공판이 8월에 처음 열렸는데 제 1 심에서 전 전대통령은 사형, 노 전대통령은 징역 22년 6개월이 구형되었다. 12월 공소심에서 각각 무기징역과 징역 17년으로 감형되어 97년 4월 17일 형이 확정되었으나, 12월 20일 김영삼 대통령이 특별사면을 발표, 전·노 전대통령은 22일 석방되었다. 한편 검찰은 97년 2월, 1월에 도산한 한보철강에 대한 거액의 융자와 관련해 김영삼대통령 측근들을 뇌물수수혐의로 체포했다. 5월 17일에는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이 뇌물수수혐의로 체포되었고, 10월 13일 징역 3년이 구형되었다. 오랜동안 누적되어 온 정경유착, 기아그룹 등 재벌기업의 잇따른 도산과 경영파탄으로 11월 원화의 가치가 대폭 하락했다. 보유외화가 바닥나는 위기를 맞아 대통령은 11월 21일 국제통화기금(IMF)에 긴급지원을 요청,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추가분을 포함해 총 550억 달러 융자를 받았지만, 대신 경제구조개혁이 요구되었다.

3) 김대중정부:97년 12월 18일 대통령선거에서 의원내각제 개헌과 2년 내 실시를 조건으로 자민련 김종필과 후보 단일화를 한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한나라당의 이회창, 국민신당의 이인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한국정치사상 처음으로 여야의 정권교체가 실현되었다. 98년 2월, 김대중은 취임연설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최대의 과제로 내걸고, 재벌개혁과 외국자본유치 추진을 내세우는 한편, 북한에 대해서는 햇볕정책(포용정책)이라 불리는 유연책을 취했다. IMF 외환위기는 IMF와의 합의를 토대로 경영파탄은행과 기업의 통폐합을 가속화해 99년 플러스 10.2%의 성장을 보일 만큼 빠르게 수습해 나갔다. 2000년 4월 13일 시행된 16대 총선에서 야당인 한나라당이 전체의석 273석 가운데 133석을 차지, 115석을 확보한 여당인 민주당(국민회의의 후신)을 누르고 제1당이 되었다.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이루었고, 8월 남북이산가족 만남 등 남북화합의 길을 열었다. 반면, 금융부정대출사건, 인사정책의 지역편중인사가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2002년에는 이용호·진승현·윤태식·최규선 등 각종 게이트와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 김홍업·김홍길, 민주당 실세인 권노갑 등의 부정부패사건들이 잇따라 발생, 관련자들이 구속되었다. 2002년 6월 13일 제3기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압승, 정권탈환의 호기를 맞았으나 12월 19일 대통령선거에서는 민주당에게 패배하였다.

3) 노무현정부:2002년 12월 19일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제치고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노무현은 그해 3,4월 민주당 국민경선과 11월 25일 국민통합21 정몽준 대표와의 후보단일화를 통해 대권을 잡는데 성공했다. 노무현의 당선은 3김시대의 종언과 인터넷시대의 도래, 20,30대 젊은 세대의 적극적 투표 참여라는 변화도 이끌어냈다. 노무현 정권은 당면한 북한 핵문제를 비롯해 국민화합·경제안정·정치개혁 등의 과제를 안고 2003년 2월 출범하였다.

헌법
1948년 7월 17일 제정된 이래 9번의 개헌이 있었다. 제헌 이래 제출된 개헌안은 모두 14개였고, 그 처리과정에서 국회는 5차례 해산되었다. 48년 5월 10일 유엔한국위원단의 감시 아래 실시된 총선에서 제헌국회(制憲國會)가 탄생되었고, 7월 17일 역사적인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당시 정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국회의장 이승만의 뜻에 따른 대통령제가 답변확정됨과 함께 한민당의 주장인 국무원제(國務院制)와 국무총리제가 답변확정되었다. 헌정사에서 최초의 개헌은 6·25 때 임시수도였던 부산에서 이루어졌다. 제 2 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다수인 야당의원들이 의원내각제 개헌안을 제출하자 이승만대통령은 이에 대항하여 정·부통령 직선과 국회양원제 개헌안을 제출하였고, 이 두 개헌안 제출을 계기로 야당의원들이 연행되고 비상계엄이 부산에 선포되는 이른바 <5·26 정치파동>이 일어났다. 결국 정·부통령 직선제와 국회양원제가 답변확정되는 한편, 국회의 국무원불신임제도 반영되는 타협책으로 수습되었다. 제 1 차 개헌은 정부의 대통령 직선제와 국회의 내각책임제 요소가 절충된 것이므로 <발췌개헌>이라고 한다. 한편 54년에는 여당인 자유당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자, 이승만대통령의 3선을 가능케 하기 위한 개헌안이 정부측에서 제출되었다. 대통령의 종신연임제와 의원내각제적 요소의 삭제로 철저히 대통령 중심의 권력구조를 보장하는 내용의 개헌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개정에 필요한 재적의원 2/3(당시 136명)에 1표가 부족하여 부결되었다. 그러나 여당은 <사사오입>이라는 논리를 도입하여 개헌안의 부결을 번복, 가결시켰다. 이승만정권에 이어 등장한 제 2 공화국에서는 제3·4차 개헌이 이루어졌고 특히 제 3 차 개헌안은 정부체제를 내각책임제로 하고 양원제를 실질적으로 답변확정하였다. 국가최고기관인 <국가재건최고회의>는 62년 7월 11일 <헌법심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개헌작업에 들어갔다. 이렇게 마련된 제 5 차 개정안은 내각책임제에서 대통령제로 바꾸고, 국회를 양원제에서 단원제로 바꾸었으며, 대통령은 1차에 한해 중임하도록 하였다. 이 개헌안은 헌정사상 처음으로 국민투표에 붙여져 투표인의 76%가 찬성함으로써 통과되었다. 제 6 차 개헌은 <3선개헌>이라고 한다. 69년 9월 14일 공화당 단독으로 개헌안을 통과시켰고, 이어 10월 17일 국민투표에서 가결되었다. 제 6 차 개헌안은 <대통령의 재임은 3기에 한한다>로 하고, 국회의원이 국무위원을 겸직할 수 있다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72년 10월 17일 박정희대통령은 10월유신을 단행하였고, 정부는 10월유신의 헌법개정안을 10월 27일에 공고하고, 국민투표로써 확정하였다. 제 7 차 개헌으로 제정된 <유신헌법(維新憲法)>은 대통령선거를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선거로 바꾸었고, 대통령에게 긴급조치권을 부여하여 권한을 강화하는 한편, 중임제한 규정을 없애는 것 등이었다. 79년 10월 26일 박정희대통령 저격사건으로 제 4 공화국이 끝나고, 80년 10월 10일 헌법개정안이 의결된 뒤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됨으로써 제 5 공화국 헌법이 탄생되었다. 제5공화국을 탄생시킨 헌법은 80년 말 정치적 위기상황에서 비상계엄이 선포된 가운데 비정상적으로 제정되어 국민적 합의라는 바탕이 결여되었다. 그 뒤 85년 2월 실시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가 87년 6월 <민주화시위>로 불거지자 민정당 노태우대표위원의 <6·29선언> 요구가 수용됨으로써 10월 27일 국민투표로 현행 헌법이 탄생하였다. 대통령직선제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제 9 차 개정헌법은 대통령을 직접 뽑겠다는 국민의 의지가 반영됨으로써 이루어진 민주적 개헌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으나 대통령임기 5년 단임제 및 헌법재판소제도 등을 제외하면 대체로 제5공화국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바뀐 대한민국의 현행 헌법은 전문과 본문 10장 130개조 및 부칙 6개조로 되어 있다. 현행 헌법은 현대 입헌주의적·복지국가적 헌법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전문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4·19이념의 계승, 조국의 민주개혁의 사명이 밝혀져 있다.

통치구조
입법·행정·사법 3권을 담당하는 국회·정부·법원의 권력분립·상호견제를 명시하여 지향하고 있다. 정부는 대통령과 행정부로 이루어지며,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원수이다. 5년 단임제로 국회해산권은 없다. 국무회의는 대통령·국무총리·국무위원으로 구성한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의 보좌기관으로 내각의 일체성을 상징하며 행정부장관의 임명을 대통령에게 제청한다. 행정 각부는 대통령·국무총리가 통할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서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사무를 집행한다. 국회의 지위는 제 5 공화국 헌법에 비하여 격을 높였다. 국회는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는데, 대법원장·국무총리·대법관 임명 동의권을 가지며 입법·재정·정부 견제·국정감사 및 주요공무원 임명 동의권을 가진다. 법원은 사법기관이며 국민의 기본권 보장기관으로 대법원장은 일반법관을 임명하고, 법관은 탄핵·형벌에 의하지 않고서는 파면되지 않는다. 법원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법원으로 조직되며, 헌법재판소는 헌법보장기구로 법률의 위헌심사를 담당하고 헌법소원심판권을 가진 최종적인 기본권 보장기관이다.

정당
제 1 공화국 이래 정당정치는 양당구조였으며, 이는 각 공화국별로 양태를 달리하였다. 그 차이는 역대 총선결과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이었다. 제 1 공화국에서는 4번의 총선이 치러졌고 제1·2대 총선은 무소속의 진출이 두드러졌다. 제3·4대 총선은 자유당의 장기집권 기도와 야당탄압 때문에 공정한 경쟁이 되지 못하였다. 제 2 공화국에서는 제 5 대 총선이 실시되었는데, 민주당이 압도적 지지로 집권당이 된 반면(의석 75% 차지), 자유당은 사실상 무너져 제1야당이라고 할 만한 정당은 없었다. 그러나 민주당의 신·구 파벌대립으로 제 2 공화국의 정당정치는 체제가 약했고 새로이 신민당이 창당되었다(1960. 8. 31). 민주당과 신민당의 대립으로 정국이 혼미한 가운데 61년 5·16으로 정당이 해산되고, 국회도 문을 닫았다. 5·16으로 정권을 장악한 군부세력은 63년 2월 26일 민주공화당을 창당하여 정당에 의한 군부체제를 시도하였다. 제 3 공화국의 여당인 민주공화당은 제 6 대총선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제 7 대총선에서는 3선개헌 파동으로 그 지지도가 떨어졌고, 제 8 대 총선에서는 더욱 떨어졌다. 유신이 단행되자 정당정치는 껍데기만 남게 되었다. 제4공화국, 즉 유신체제하에서는 대통령이 의원 총수의 1/3에 달하는 전국구의원을 지명할 수 있었고, 이들은 정당소속을 초월하였기 때문에 정당정치의 발전을 가로막는 역기능 요인이 되었다. 10·26으로 유신체제가 무너지고 신군부로 인해 정당과 국회가 해산되어, 한국의 정당정치는 또다시 제자리걸음이었다. 제 5 공화국에 실시된 제11대 총선은 군부세력이 창당한 민주정의당이 여당으로, 다수의 야당정치인들의 정치활동이 금지된 가운데 친여적인 민주한국당이 제 1 야당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제12대 총선에서는 해금·재야 인사들이 중심이 된 신한민주당이 제 1 야당이 됨으로써 민주한국당은 군소정당으로 전락하였다. 제 6 공화국에서 실시된 제13대 총선에서는 민주화로 인해 야당세력이 급성장했다. 그동안의 양당체제는 다당체제로 바뀌었으나 91년에 다시 거대여당인 민주자유당과 통합야당인 민주당의 양당체제로 재정립되었다. 92년 문민정부가 출범한 이후 여당인 민주자유당에서 자유민주연합이 분리되어 나왔고 9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야당인 민주당에서 새정치국민회의가 분리되어 양당구조는 무너지게 되었다. 97년 대통령선거에서 야당인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연합하여 여당인 한나라당에 승리함으로써 한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두 여당과 하나의 야당 체제가 되었다. 2000년 집권당인 새정치국민회의는 일부 신진세력을 끌어들인다는 명분으로 새천년민주당으로 당의 이름을 바꾸어 새로이 창당했다. 2002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이 승리, 정권재창출에 성공했으나, 선거 이후 당의 주도권을 놓고 친노무현 세력인 신주류가 반노세력인 구주류와 대립하다가 분당하여 2003년 11월 열린우리당을 창당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보면 한국의 정당들은 그동안 바람직한 정치활동을 보여주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정당들이, 정치적 이념과 이해를 같이하는 정치인들 스스로가 만든 집합이 아니라 대중과의 연계 없이 카리스마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제 6 공화국까지의 여당은 정권을 잡은 실권자의 필요에 따라 하향적으로 이루어졌고, 야당은 특정인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단체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그래서 한국의 정당들은 제도·정치 면에서 근대정당으로서의 형식을 갖추었으나, 실제 기능면에서 여당은 통치권자의 장기집권과 권위주의의 지배방식이었고, 야당 역시 한 개인이나 단체를 위한 당파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당정치가 실패한 이유는 정권교체가 정당체계를 통해 평화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탈정치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당이 정치권력을 능동적으로 창출·유지하지 못하고 새로운 정치권력에 합법성과 정통성을 부여하는 수동적인 기능만 행해 왔다는 점, 그리고 분단구조와 안보위기에 함께 나타난 반혁신 풍조 때문에 보수·혁신의 정책적·이념적 경쟁이 활발하게 될 수 없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자치
1948년 정부가 수립된 뒤 곧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어 시·읍·면 의회에 그 장(長)의 선임권과 불신임권이 부여되는 등 지방분권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1949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은 50년 6·25로 52년까지 실시가 연기되었다. 52년 부산 임시정부 당시 지방의회 총선거를 통해 지방의회를 구성하여 최초로 지방자치가 실시되었으나, 56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됨으로써 시·읍·면장을 중앙정부에서 임명하여 중앙집권체제로 돌아갔다. 60년 4·19 후에는 시·읍·면장뿐 아니라 서울특별시장·도지사 및 동·면장까지 직접선거로 선출되어 지방분권의 전환기를 마련하였으나 올바른 분권화를 위한 선행조건이 갖춰지지 못해 지방행정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결여, 지방의회 내의 불화 등 모순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5·16 이후 지방의회가 해산되었고 그 기능을 중앙정부가 대신하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도 국가공무원으로 임명하여 중앙집권체제가 강화되었다. 제 5 공화국은 헌법에 <지방의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구성하되 그 구성시기는 법률로 정한다>고 밝힘으로써 지방의회를 구성할 뜻을 보였으나 구체적인 실행이 뒤따르지 않았다. 지방자치에 대한 논의는 제 6 공화국에서 급진전되었다. 89년 5월 24일의 여야합의로 91년 3월과 6월 두 차례 지방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95년 6월 27일 기초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원과 광역자치단체장을 뽑는 선거가 실시됐다. 지방자치는 특별시·광역시·도의 광역자치단체와 시·군·구의 기초 자치단체 등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의회가 구성되고, 지방자치단체장이 주민들의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지방의원은 시·도의원의 경우 시·군·구당 1명씩 소선거구제로 선출되고, 인구 30만 명 초과시 20만 명에 1명씩 추가하도록 하였다. 또 시·군·구의원은 읍·면·동당 1명씩 소선거구제로 선출되고, 인구 2만 명 초과시 1명씩 추가하도록 하였다. 시·도의회의원 선거는 정당추천을 허용하되 시·군·구의회의원 선거는 정당추천을 없앴다. 지방의회의원은 임기 4년의 무보수 명예직이다. 99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되었고, 99년 12월 지방자치법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회기를 상황에 따라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2002년 3월에는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 의한 선거구 개편이 있었고 그해 6월 13일에는 제3회 전국 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되어 광역·기초 자치단체장 및 광역·기초의회의원들을 선출하였다. 2003년 1월 광역자치단체는 1특별시, 6광역시, 9도, 기초자치단체는 74시, 89군, 69자치구, 행정보조계층은 일반구 21, 읍 207, 면 1215, 동 2100개이다.

국제관계


정책변천
제 1 공화국 수립과 동시에 대한민국이 한국에서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북한의 불법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외교정책을 안보적 차원에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즉 한국은 48년 9월 1일 조병옥(趙炳玉)을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특사를 미국·영국·프랑스 등 17개 자유 우방국가에 보내 대한민국정부 승인을 요청하고, 같은 해 9월 9일 유엔총회에 장면을 수석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각국 대표와 접촉, 대한민국정부 승인을 위한 활동을 폈다. 우선 12월 12일 제 3 차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하였고, 곧, 49년 1월 1일 미국, 1월 4일 중화민국, 1월 18일 영국, 2월 5일 프랑스, 3월 3일 필리핀, 그리고 8월 15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각각 대한민국을 승인하였다. 49년 말까지 대한민국을 승인한 나라는 30개국에 가까웠다. 이에 비하여 북한을 승인한 나라는 공산권뿐이었다. 국제사회에서의 승인을 넓혀 가면서, 제 1 공화국은 초기에 태평양동맹체의 발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는 미국의 냉담한 반응으로 좌절되었다. 50년 6·25로 대한민국은 미국과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한국은 유엔군과 효과적인 작전을 위하여 50년 7월 15일 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 한국에서 전투가 끝날 때까지 유엔군사령관에게 넘겨주었다. 3년간의 전쟁이 휴전협정으로 매듭지어진 뒤 한국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치회담이 54년 제네바에서 열렸다. 남북한이 함께 참석한 이 회담에서 대한민국 대표단은 14개 항목의 제의를 하였는데, 그 핵심은 대한민국 주권 아래 남북한을 통일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네바회담은 결렬되었고, 6·25와 제네바회담을 거치면서 대한민국의 친미·친서방·친유엔외교는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 공산권과 중립국가들은 반공적 입장에서 철저히 반대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한국외교정책은 반공이 그 특징이었다. 60년 4·19로 제 1 공화국이 붕괴되고 제 2 공화국이 수립되자, 정부는 냉전적 논리를 수정하고, 외교정책을 유연하고 다원적으로 펼치며, 통일문제도 제 1 공화국의 <북진통일론>이 아닌 평화적 수단에 의한 통일정책을 중요시하였다. 61년 5·16으로 집권한 군정은 아시아·아프리카의 신생국가들과 중립국가들에 외교적으로 접근해 갔다. 이 노력은 효과를 나타내어 대한민국의 외교관계는 폭넓어졌다. 군정을 계승한 제3공화국은 우선 일본과의 관계정상화를 추진, 국내에서의 반발을 무릅쓰고 65년 6월 22일 <한·일기본관계협정>을 체결하였다. 그 뒤 베트남전쟁에 65년∼73년 국군을 파병하였다. 베트남파병은 한·미간의 유대를 크게 강화하였으나 친공적 중립국가들로부터는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 제 3 공화국은 이어 아시아태평양이사회(ASPAC)의 창설에 성공하였다. 66년 6월 일본과 필리핀을 비롯한 8개국 각료들과 서울회의를 열고 이 지역 최초의 지역협력기구를 발족시켰다. 그러나 70년대에 이 기구는 사실상 소멸되었다. 한국정부는 국제질서의 변화를 받아들여 북한과 대화를 추진, 72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70년대는 세계정치질서의 다원화 추세의 심화와 강대국간의 긴장완화 및 미국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이념보다는 국가이익이 중시되었다. 80년대말과 90년에 소련과 동유럽의 개방화로 동구권에 변화가 일어나자 한국정부는 북방외교를 활발히 전개하였다. 88년 7월 7일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7·7대통령 특별선언>으로 대공산권 외교의 폭을 넓혔으며, 그 뒤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와 외교관계 및 무역관계를 수립하였다. 90년 9월 30일 소련과, 92년 8월 중국과 수교를 맺는 등 북방 외교의 영역을 넓혀갔다. 한편 93년 11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각료회의(APEC) 정상회담에 김영삼대통령이 참석, 본격적인 다자간 정상외교가 시작되었다. 95년 11월 한국은 국제연합 비상임이사국이 되었고, 96년 10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97년 12월에는 남북한과 미국·중국의 4자회담 본회담이 처음 열렸다. 98년 2월 출범한 김대중 정부는 대북한 포용정책을 꾸준히 추진하여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으며, 주변의 4강외교와 통상외교를 강화해왔다. 이렇듯 한국외교의 주체와 경로가 다각화되어 행정부·의회·언론계·학계 등을 통해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의 상대국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근래 한국외교는 수직외교에서 수평외교로, 일방적인 의존관계에서 상호의존관계로 그 형태와 내용이 변화했다. 2003년 8월 한국의 수교국은 186개국(북한 153개국, 남북한 동시 수교국 150개국)이다.

한·미관계
국가 안전보장은 어느 국가나 가장 중요한 국가의 목표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이를 위하여 대미정책이 강조되었다. 47년 9월 발표된 <웨드마이어조사단 보고>와 같이 북한의 군사적 도발 가능성이 높은데 반하여 한국의 군사력은 열세하여, 주한미군의 철수계획을 연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물론 한국은 유엔임시한국위원단에게 주한미군 철수를 연기하도록 요구하는 보고서를 유엔총회에 제출하였으나 미국이 이것을 실천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러나 50년 1월 26일 <대한민국정부와 미합중국정부간의 상호방위원조협정>을 체결하여 군사원조제공을 약속받았으나 그것이 이루어지기 전 북한의 남침을 받게 되었다. 이에 한국은 미국에 긴급 무기원조를 요청하면서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긴급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하여 미국과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이루어진 뒤 한국은 미국과의 상호방위조약을 위한 회담을 하였고, 같은 해 8월 8일 이 조약에 가조인하였으며 10월 1일 변영태(卞榮泰) 외무부장관이 미국을 방문하여 정식조인하였다. 이 <한·미 상호방위조약>은 54년 11월 17일부터 발효되었다. 이로써 한국안전보장에서 가장 중요한 동맹관계의 법적장치와 한국의 안보를 위한 외교정책을 마련하게 되었다. 휴전협정조인과 더불어 제기된 문제는 주한미군이 한국의 안보를 위하여 계속 주둔해야 하는가였다. 이에 대하여 한국은 안보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진행하는 한편, 국군의 전력증강을 위한 미국의 군사원조를 얻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6·25에 참전했던 주한미지상군 6개 사단이 54년 8월 말까지 철수하였으며, 54년 11월 17일 <경제 및 군사원조에 관한 한·미간의 합의의사록>에 합의하여 55년 한국에 7억 달러가 제공되었다. 한국은 60년대 4·19 및 5·16 등 정치적 변혁을 겪었다. 61년 11월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미국의 케네디대통령과 회담에서 한국의 입장과 정책방향을 밝히는 한편, 태평양지역에서의 공산권에 대한 상호방위체제의 강화를 재확인하면서 미국의 경제 및 군사원조의 제공에 합의하였다. 제 3 공화국의 박정희대통령은 65년 5월과 68년 4월 미국의 존슨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양국간의 전통적 우의와 군사원조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존슨대통령을 66년 11월에, 69년 8월에는 닉슨대통령을 초청해 양국간 협조를 마련하였다. 60년대말 한국의 안보를 위한 대미정책은 주한미군의 철수와 군사원조의 성격변화 및 그에 따른 군대감축 문제였다. 69년 7월 26일 닉슨은 괌도에서 <닉슨독트린>을 발표, 미국은 아시아 및 세계에 대한 미국의 정책원리를 명백하게 밝혔다. 미국의 대외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전환될 것인가 하는 것은 70년 1월말 70회계년도 대외원조액을 18억 달러로 낮게 책정한 데서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미국의 대외정책 성격의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무상원조의 감소 내지 중지, 군사원조 및 주한미군의 감축경향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대미정책의 과제는 한·미 상호방위체제의 강화와 국군의 증강과 장비현대화 및 장비 자주생산을 위한 군원의 획득이었다. 한국은 68년 1·21사태와 1월 23일 미해군 <푸에블로호> 납치사건으로 미국의 밴스 대통령특사가 68년 2월 방한하였을 때 향토예비군 창설의 필요성과 한·미 상호방위체제의 보강을 위하여 양국 국방장관의 연례안보회의를 제의하였다. 그리고 68년 4월 호놀룰루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한국의 안전보장의 필요성에 합의하였으며 또한 국군의 현대화에 미국의 지원을 얻었다. 70년대에 들어서 국제정세의 변화와 <닉슨독트린>이 구체적으로 현실화함으로써 주한 미지상군 제 7 사단 철수문제가 제기되어 한국은 전쟁을 막기 위해 대미교섭을 수 차례 펼쳤다. 그러나 미국의 일부는 주한 미지상군의 철수가 한국의 군사균형을 깨뜨리지 않는다고 하여 이러한 주장은 카터대통령의 대외정책이 되었다. 한국은 주한 미지상군이 대북억제력 역할을 해온 사실에 비추어 대미교섭을 펼친 결과 미국은 철군의 동결을 결정하였다. 이런 가운데 10·26이 발생하였고, 80년 제 5 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제 5 공화국은 탄생에서부터 정통성 문제를 비롯하여 10·26, 12·12 및 광주민주화항쟁 등으로 한·미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러나 전두환대통령은 81년 2월 3일 레이건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였고, 그 결과 안보·경제·통상·문화면에서 협력관계를 쌓았다. 83년 레이건대통령이 방한, 15개 항목으로 된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한국의 안보상황에 관심을 보였다. 제 6 공화국 이후 한·미는, 88년 서울올림픽대회의 성공적 개최와 북방정책에 대한 미국의 협력으로 유대관계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북방정책이 활기를 띠어 소련과 시베리아 합작개발 등에 합의하자 미국은 이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한·미관계의 기조는 안보협력과 유대강화임이 여러 차례 공식회담에서 확인되었다. 91년 부시대통령의 단거리핵무기 포기선언으로 노태우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합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93년 출범한 김영삼정부는 대북문제는 미국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SOFA 개정협상과 자동차협상 등 현안에서는 마찰을 빚었다. 97년 12월 남북한과 미국·중국의 4자회담 첫 본회담이 성사된 것은 한미간 공조의 힘이 컸다. 98년 출범한 김대중정부는 대북포용정책과 함께 한미의 대북공조를 통해 북한의 대외개방을 빠르게 진행시켜,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에 이르렀다. 한편 1999년부터, 6·25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한국피난민 중 북한군 스파이가 침투한 것으로 의심한 미군병사가 주민을 무차별 사살한 노근리사건이 보도되었고 60년대 미군이 휴전선 부근에 유독화학물질인 고엽제를 살포한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2000년에는 미군기지사격장 철거를 요구하는 매향리사건, 불평등한 SOFA의 개정 요구 등 새로운 현안들이 떠올랐다. 2002년 1월 29일 미국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하자 북한은 이를 즉각적으로 선전포고라며 반발, 한반도에 북핵위기를 조성하였다. 한국정부는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 미국을 설득하고 북한을 달래는데 초점을 맞춰 외교적 노력을 벌였다. 이 와중에 6월 13일 의정부에서 주한미군 장갑차 여중생 치사사건으로 시작된 반미감정은 장갑차 관제병과 운전병이 무죄판결으 받은 뒤 높아졌다. 한국에서 열린 촛불시위는 부시 대통령이 김대중 대통령에게 사과전화를 한 뒤에도 계속되었고 미국 여론이 주한미군 철수문제를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북핵위기 속에서 일어난 반미감정은 한·미 공조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핵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천부인권(기본권)이란 무엇인가요?

... 천부인권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결혼할 자유와 권리 같은 것인가요? 3. 우리나라 기준으로, 위와 같은... 제1조 ①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대한민국의 주권은...

월드컵이란 진정 우리에게 어떤 의미였나?

... 과연 무엇우리를 그러하게 만들었을까요? 침체된 경기와 부정한 정치속에서... 그들과 월드컵에대한 얘기를 할 때면 제가 대한민국 국민이란게 아주 자랑스럽게...

대한민국이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이름은 그 유래나 배경이 무엇인가요? 대한제국이 그 유래가... 1884년 갑신정변을 계기로 우리나라는 대한제국이 되었고 왕은 황제가 되었습니다. 이...

에코젠(ECOZEN)이란 무엇인가요?

최근 인터넷 뉴스에서 우리나라기업인 SK케미칼이... 바이오플라스틱이란 무엇인가요? 무슨 식물같은 걸로... 2010년 대한민국 10대 기술상을 받았고 기술대상 은상을...

탄압, 3․1운동,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수립

... ② 식민지 교육이란? ③ 무단통치란? ☞ 사회 : 110 2. 3...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수립 ① 우리 민족이 대한 민국... 월슨대통령 3.2.8독립 선언은 무엇인가? 일본유학생들이...

대한민국의 "韓"이라는 글자의 기원이...

... 大韓이라는 말의 來歷(내력) "한"은 웃어른이나 큰 사람을 뜻하는,上古時代 이전 부터 쓰이던 우리 말 입니다. 이"한"을 뒤에 한문(漢文)으로 기록 할 때에 "韓"이란 字를...

이스라엘 이란 전쟁

이스라엘과 이란 전쟁 이유와 우리나라가 입는피해가 무엇인지 3차대전이... 대한민국은 원유 등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유가 상승에 직접적 영향을...

죽음에. 대해서

... 경우를 우리는 뉴스를 통해서 많이 봐왔습니다ㅜㅜ 왜... ' 인간이란 천국의 영생복락 축복과 광대한 우주의... 되었으며 , 대한민국 의 조용기 목사님 ( 1936 ~ 2021 년 ) 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