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호칭들

조선 시대 호칭들

작성일 2007.07.3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질문하겠습니다!

 

 

1. 조선 시대에서 왕족, 일반 백성, 관리 등등..

많은 계급이 있잖아요..? 이들 사이에서 서로 간 부를 때, 호칭을 어떻게 썼을까..?

 

2. 관리들의 부서명과 각 부서에서 일하는 사람의 계급, 직위명, 권력, 하는 일, 받는 월급 등.. 자세하게 설명 부탁합니다. (예를들면, 누군가 죄를 지었을 때 심문하고 고문하는 등의 일을 하는 부서.. 수입 수출을 담당하는 부서.. 이런 것 말이죠..)

 

3. 정 몇 품.. 이렇게 말하는 건 무엇이며, 이에 대해서도 1번과 같이 종류별로 자세하게 설명 부탁합니다!

 

4. 중전이 폐위 됐을 때, '폐비'라고 부르는데, 태자/세자/공주/세자비/태자비 등.. ( <- 만약 있다면...) 나라님( <- 만약 있다면) 어떻게 부르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되는대로 내공 드리겠습니다! 확실하고 자세한, 성의있는 답변 부탁 드려요!!!


#조선 시대 검색 엔진 #조선 시대 #조선 시대 영어로 #조선 시대 음성에서 태어난 충신 #조선 시대 과학 기술 #조선 시대 그림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과학자 #조선 시대 양반 가문 순위 #조선 시대 신분제도 #조선 시대에 내수사에 속한 노비의 원적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 시대 품계 입니다.

 

正一品官:정 일품
대군(大君), (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 부(師 傅=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위(尉=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한다.)
감 사(監事=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從一品官: 종 일품
군(君), 위(尉),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판사(判事), 제학(提學=규장각의 관직), 사부(師傅=세손 강서원의 관직)

正二品官: 정 이품
군(君), 위(尉=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贊), 우참찬(右參贊),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규장각의 관직), 판윤(判尹),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도총관(都摠管).

從二品官: 종 이품
군(君), 참판(參判), 대사헌(大司憲), 동지사(同知事), 관찰사(觀察使=도의감사), 좌윤(左尹), 우윤(右尹), 직제학(直提學=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留守),
목사(牧使)=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提學), 좌부빈객(左副賓客), 우부빈객(右副賓客), 제조(提調),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大將=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副摠管), 중군 (中軍=정三품까지 있음), 사(使=무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관찰사가 겸임하기
도 함).

방어사(防禦使=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겸사복장(兼司僕將), 내금위장(內禁衛將), 별장(別將=용호령).

正三品官: 정 3품
부위(副尉=군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僉尉=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도정(都正), 대사간(大司諫),
 대사정(大司成), 참의(參議), 부제학(副提學), 도청(都廳), 도정원정(都正院正),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첨지사(僉知事), 직각(直閣=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都承旨),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 제주(祭酒), 찬선(贊善), 보덕(輔德), 겸보덕(兼輔德), 판결사(判決事), 대장(大將), 정(正), 시(寺), 원(院), 감(監), 사(司)등의 관직,

좌통례(左通禮), 우통례(右通禮), 판교(判校), 수찬관(修撰官), 편수관(編修官=종三품까지 있음), 제검(提檢=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종九품까지 있음), 별장(別將=훈련도감), 천총(千摠=훈련도감), 상호군(上護軍), 중군(中軍), 진영장(鎭營將=목사가
겸임함), 목사(牧使), 사림위장(司林衛將), 부사(府使=대도호부), 국별장(局別將), 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 기사장(騎士將), 관성장(管城將).

從三品官:
첨위(僉尉), 부정(副正), 집의(執義), 사간(司諫), 전한(典翰), 사성(司成), 편수관(編修官), 참교(參校), 상례(相禮), 익례(翊禮), 내승(內乘=종九품까지 있음), 제거(提擧), 제검(提檢), 부사(府使), 대호군(大護軍), 진영장(鎭營將=부사가 겸임함), 절도사(節度使), 방어사(防禦使), 첨절제사(僉節制使), 우후(虞候=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騎士將), 선전관(宣傳官).

正四品官:
수정(守正), 전첨(典籤), 사인(舍人), 장령(掌令), 시강관(侍講官), 응교(應校), 진선(進善), 필선(弼善), 겸필선(兼弼善), 사예(司藝), 사업(司業), 봉례(奉禮), 호군(護軍), 별제(別提=수성금화사의관직), 첨정(僉正=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도선(導善), 우후(虞候), 제검(提檢=종四품까지 있음).

從四品官:
경력(經歷), 부응교(副應敎), 서윤(庶尹), 수(守)=사(司), 창(倉)의 관직, 부수(副守), 교감(校勘), 부호군(副護軍), 군수(郡守), 유영별장(留營別將), 성기별장(城機別將), 파총(把摠), 외방겸파총(外方兼把摠), 선전관(宣傳官), 제검(提檢),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만호(萬戶).

正五品官:
령(令=종친부의 벼슬), 전부(典簿), 검상(檢詳), 정랑(正郞), 지평(持平),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사의(司議), 헌납(獻納), 시독관(侍讀官), 교리(校理), 겸교리(兼校理),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직강(直講), 기주관(記注官=종五품까지 있음), 찬의(贊儀), 별좌(別坐=종五품까지 있음), 전훈(典訓), 전수(典需), 사직(司直).

從五品官:
부령(副令=종친부의 벼슬), 판관(判官), 도사(都事=종九품까지 있음), 별좌(別坐), 부교리(副敎理), 좌권독(左勸讀), 우권독(右勸讀), 좌사어(左司禦), 우사어(右司禦), 기주관(記注官), 령(令)=서(署), 궁(宮), 고(庫)등의 벼슬, 현령(縣令), 부사직(副司直), 선전관(宣傳官).

正六品官:
감(監=종친부의 벼슬), 좌랑(佐郞), 감찰(監察), 사평(司評), 정언(正言), 검토관(檢討官), 수찬(修撰),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전적(典籍), 기사관(記事官=정九품까지 있음),

교검(校檢), 전악(典樂), 사회(司誨), 별제(別提=종六품까지 있음), 평사(評事), 사과(司果), 장원(掌苑), 사포(司圃), 좌익찬(左翊贊), 우익찬(右翊贊).

從六品官:
주학교수(籌學敎授), 별전수(別典需), 율학교수(律學敎授), 별제(別提),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지리학겸교수(地理學兼敎授), 명과학교수(命課學敎授), 교수(敎授), 부수찬(副修撰), 좌찬독(左贊讀), 우찬독(右贊讀), 좌위솔(左衛率), 우위솔(右衛率), 좌장사(左長史), 우장사(右長史), 기사관(記事官), 인의(仁儀), 부전악(副典樂), 사축(司畜), 사지(司紙), 의학교수(醫學敎授), 한학교수(漢學敎授), 선화(善화), 부전수(副典需), 영(令)=능(陵)의 벼슬), 찰방(察訪), 현감(縣監), 절제도위(節制都尉), 감목관(監牧官), 종사관(從事官), 부장(部將), 낭청(郞廳=선혜청의 벼슬), 부사과(副司果), 수문장(守門將=종九품까지 있음).

正七品官:
주서(注書), 봉교(奉敎), 대교(待敎=정九품까지 있음), 박사(博士),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사경(司經), 설저(說書), 겸설서(兼說書), 자의(諮議), 전률(典律), 참군(參軍), 좌부솔(左副率), 우부솔(右副率), 낭청(郞廳), 기사관(記事官), 수문장(守門將).

從七品官:
직장(直長), 좌종사(左從史), 우종사(右從史), 사(士=호조의 벼슬), 명률(明律), 부전률(副典律), 선회(善繪), 부사정(副司正), 별회(別會).

正八品官:
사록(司錄), 저작(著作), 설경(說經), 학정(學正), 부직장(副直長),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전음(典音), 별검(別檢=종八품까지 있음)), 사맹(司猛).

從八品官:
계사(計士), 심율(審律), 봉사(奉事), 부전음(副典音), 별검(別檢), 전곡(典穀), 화리(화吏), 부사맹(副司猛).

正九官:
주학훈도(籌學訓導), 율학훈도(律學訓導), 정자(正字), 전경(典經), 검열(檢閱),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학록(學錄), 부봉사(副奉事), 전성(典聲),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명과학훈도(命課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한학훈도(漢學訓導), 몽학훈도(蒙學訓導), 왜학훈도(倭學訓導), 여진학훈도(女眞學訓導), 사용(司勇).

從九品官:
회사(會士), 부정자(副正字), 분교관(分敎官), 학유(學諭), 겸인의(兼引儀), 가인의(假引儀), 참봉(參奉), 감역관(監役官), 가감역관(假監役官), 부전성(副典聲), 전화(典貨), 회리(繪吏), 권관(權管),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부사용(副司勇), 초관(哨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4. 중전이폐위되었을때- 폐비

 

  예)성종비 제헌왕후,  연산군의아내 폐비신씨, 중종비 단경왕후신씨, 광해군의 아  문성군부인 유씨

 

   왕세자가 폐위되었을때-폐세자

 

 예)태종의 아들 양령대군, 연산군의 아들 폐세자 황, 광해군의 아들 폐세자 질,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

 

  세자빈이 폐위되었을때-폐빈, 또는 폐세자빈

 

예) 태조의 아들인 세자 방석의 빈 유씨,  문종이 세자였을때 맞은 휘빈김씨, 순빈봉씨

       광해군의 며느리 폐세자빈박씨

 

공주, 옹주, 왕자가 폐위되었을때-그저 이름을 불렀다고 생각하시면됨.

 

예) 안평대군이 대역죄로 죽자, 이용이라는 이름만불렀고,

       인조의 고명딸 효명옹주가 어머니와함께 죄인이 되자 작호를 삭탈시키고 "해도여

       자"라고 불렀고,(해도땅으로 유배)

          

왕의 후궁이 폐위되었을때-폐빈, 폐귀인, 폐숙의

 

예) 중종후궁 경빈박씨, 인조후궁 폐귀인조씨, 영조후궁 숙의문씨

 

왕이(나랏님) 폐위되었을때 - 폐주

 

예)연산군, 광해군

 

조선시대의 경우만 적었습니다. 

조선시대 호칭(내공 50)

조선시대 호칭 소설을 쓰고 있는데 호칭을 잘 모르겠어서 물어봅니다. 1. 왕국 최고의 장군(나이가 좀 있는 사람) 을 뭐라고 불렀나요? 2. 국왕의 아들 호징 ( 차기 국왕일때도...

조선시대 호칭

... 조선시대 사람들을 뭐라고 불렀는지 알고싶어서여 젊은 장군은 뭐라고 불렀나여?? 왕의 딸은 뭐라고 불렀나여?? 세손, 세자비는 무엇인가여?? 이외에도 다른 호칭들이 있으면...

조선시대 호칭과 어미 질문

조선시대 배경의 대화에서 호칭과 어미를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아래의 대화를 정확하게 고쳐주실 수 있나요? 임금: 숙비, 과인은 이제 다시 그대를 찾지 않을 것이오. 숙비...

조선시대 호칭

제가 가족 통화 이름을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호칭으로 쓸려는데 혹시 엄마는 뭐라고 불렀나요? 아빠는 뭐라고 불렀나요? 할머니는 뭐라고 불렀나요? 할아버지는 뭐라고...

조선시대 호칭좀 알려주세요!

조선시대 호칭과 공명첩에 대해 알려주세요! 1.중인이 양반을 부를때 부르던 호칭 2.천민이나 상인이 양반밑에서 일했을때 양반을 부르는 호칭 (주인님 이라는 호칭은×) 3....

조선시대 호칭에 대해서요~

현재 일반적으로 하는 "~씨" 이런 호칭조선시대엔 뭐라고 했나요? 오늘날 '~씨'을 호칭하는 경우는 두경우이죠.. 평범하게 ***씨라고 하는 경우와, 하대조로 성만 붙여 *씨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