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의 발전

통일신라의 발전

작성일 2005.03.0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그냥 아주~~ 간단하게 통일 신라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알려주세요

꼭 간단하게 해주셔야 하구요,...

되도록 오늘 안에 해주셨음 좋겠습니다...

통일 신라가 어떻게 통일을 했는지는 아니까..

어떻게 발전을 해가다가 멸망했는지를 알려주세요,.

잘 해주시면 내공 드립니다.


#통일신라의 발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마디로 말해서 왕권의 강화입니다..
그 밑바탕이 되었던 것이 불교이고 골품제도이지요
불교는 왕즉불사상을 내세워 왕을 신격화시켰습니다. 그러무로 중앙집권체제가 강화되고 또한 골품제도는 중앙집권적 정치를 할수있었던 밑바탕이 되었지요
집사부설치오 또한 그러한 맥락으로 보면 되겠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사

신라 (시조 박혁거세) : 금성(도읍지)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삼국중(고구려,백제,신라) 가장 늦게 발전하였으나, 나중에 삼국을 통일하였다.

신라의 전성기

1.법흥왕 : 불교를 국교로 인정한 후 왕권을 크게 강화하였다.

2.진흥왕 6세기경, 인재 양성을 위해 화랑 제도를 만들었으며, 한강 유역을 차지 하는 등 영토를 크게 넓혔다.

신라의 특징

경주에 있는 고분에서 금관을 비롯한 화려한 유물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2. 신라의 예술품은 고구려의 씩씩함과 백제의 우아함을 둘다 지니고 있으며 소박하면서도 조화미가 넘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신라의 삼국 통일

1. 삼국 통일의 과정

(1)백제 고구려의 멸망 :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 (660년), 고구려 (668년)를 차례로 멸망 시켰다.
(2)그 후 다시 옛 백제인과 고구려인의 힘을 모아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이루었다.

2. 통일 신라의 정책

(1)불교를 내세워 국민들의 정신을 하나로 모으고자 노력했다.(원효 대사)

2.신라 문화의 전통 위에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를 합하여 찬란한 민족 문화를 이룩하였다.(불국사,석굴암,성덕 대왕 신종 등..)

문화

통일신라의 정치·사회적 안정은 문화의 융성을 가져왔다. 백제·고구려 문화의 발전적 흡수, 盛唐文物의 수용, 귀족들의 경제적 기반의 확대 등과 왕권의 전제화과정으로 8∼9세기는 미증유의 문화번영을 구가할 수 있었다. 귀족 위주와 불교중심의 문화일 망정, 민족문화의 근간으로서 통일신라문화는 일대 도약을 할 수 있었다.


유학은 漢文學 위주의 특징을 지녔으나 왕도정치의 이념으로서 전제왕권의 정당성을 뒷받침하였다. 우선 國學은 전제왕권의 확립과 유교정치구현의 상징으로 설치되었으며, 善政의 명분과 敎書나 詔書의 내용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국학의 설치는 讀書出身科의 필요성을 높여주었으며, 사회의 윤리적 덕목과 국민의 교화에 기여하게 되었다. 따라서 삼국시대의 역사편찬의 경험과 당의 史官制의 영향으로 국사편찬의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추측은 宿衛學生들의 활동이나 신라 말의 瑞書院·崇文臺·翰林院 등 문한 기관의 확충에서도 엿보인다.

신라유학의 발달은 무엇보다도 도당유학생인 숙위학생들의 활약으로 이룩되었다. 6두품 계열인 이들은 진골 위주의 신라사회를 벗어나 자유로운 수학과 활동이 보장된 당나라 국학에서 賓貢科를 통하거나 그곳의 문인·학자들과 교우하여 선진문물을 체득한 전환기의 知的集團이 되었다. 그 후 일부는 외직에 참여한 바 있고, 대체로 도교·불교와 관련을 맺었으며, 한림직과 근시직에 종사함으로써 왕권강화 내지 유교정치풍토를 주도하였다. 최치원·최신지 등은 불우한 일생을 마쳤으나, 신라에 중국문화를 소개하였고 科擧制와 國史編纂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고려왕조 건설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동시에 유교에다 불교·도교까지 포용하여 고려왕조가 지향한 유·불의 조화라는 시대정신을 이끌어 나말여초의 사상적 연결을 꾀한 교량인이 된 것이다.

유학이 주로 귀족사회에서 발달하였는데 대하여 신라의 시가인 향가는 일반민간에도 퍼져 있었다. 향가는 이미 통일 전부터 만들어졌으나 통일신라에 들어와 더욱 발달하였는데, 특히 승려와 화랑들 사이에서 많은 작품이 나와 종교적인 색채를 띤 것이 많았다.


통일기의 元曉도 향가를 만들어 유명하였는데, 그의 작품인〈無碍歌〉는 당시 민간에 널리 불려졌다 한다. 그러나 이들 향가는 대부분이 전하지 않고 다만《삼국유사》에 실린 14수와《均如傳》에 실려있는 普賢十願歌 11수 등 모두 25수가 전해지고 있어 이를 통해서 그 문학세계를 엿볼 수 있다. 진성여왕 때에 각간 魏弘과 大矩和尙이 향가를 수집하여《三代目》을 지었지만 이 책도 역시 남아 있지 않다.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14수는 통일전의 작품인〈薯童謠〉·〈彗星歌〉와 통일 이후의 작품이 12수이다. 이 가운데는 효소왕 때 낭도 時鳥가 화랑 竹旨를 사모하여 지은〈慕竹旨郞歌〉와 경덕왕 때 승려인 忠談師가 화랑 耆婆郞을 찬양한〈讚耆婆郞歌〉를 비롯해서 光德·月明師·永才 등 승려의 작품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어 향가가 화랑 또는 승려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용에 있어서 월명사가 지은〈도솔가〉에는 미륵의 자비를 비는 신앙심이 그려져 있고, 그의〈祭亡妹歌〉에는 위의〈慕竹旨郞歌〉·〈讚耆婆郞歌〉와 함께 죽은 사람을 사모하고 그리워하는 서정시적인 성격이 담겨있다. 또 광덕이 지은 것으로 보이는〈願往生歌〉는 제목 그대로 서방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며, 이 밖에는 希明의〈千手大悲歌〉등에서도 불교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통일신라 문화융성에는 불교철학을 빼놓을 수 없다. 唯識 위주의 교학기반을 이어 통일신라는 뚜렷한 종파가 형성되어 광범한 불교의 대중화와 독자적 교학체계가 확립되었다. 통일기 교학활동의 중심은 유식과 華嚴이었다. 유식은 瑜伽論을 소개한 圓測의 활약으로 정착되었는데, 그는「識說과 三性說」에 자신의 사상을 집대성하였다. 그는 진제·규기의 사상을 비판하고 포용과 화해의 견해를 나타내었으며, 順憬·憬興·太賢 등으로 이어져 法相宗으로 연결되었다.

한편 원효는 다양한 교학섭취와 朗智·사복 등 많은 스승을 섭렵하면서 자유로운 구도생활과 왕실의 지원 등을 통해 국민교화와 종파의 극복·화해를 지향하였다. 원효의 사상은 중생의 佛性을 기반으로 發心과 念佛을 강조한 一心의 淨土觀이다. 따라서 그는 200여 권의 저술을 통해서 교파간의 갈등과 차이와「空과 有의 대립」을 극복하는 융통무애한 화합을 강조한 것이다. 그리고 義湘은 一乘法界圖를 통해 화엄일승의 연기법을 밝히는 동시에 그는 洗穢法을 통해 이론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三位一鉢의 정신으로 八不淨財를 몸으로 실천하면서 백성을 교화시키는 데 게을리 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의상은 觀音信仰과 彌陀信仰을 화엄교단의 중심신앙으로 전개하여 신라 중대사회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동시에 그는「一卽多 多卽一」의 화엄법계연기설을 풀이하여 연기의 핵심을 中道義로 파악하였다. 眞正·表勳·智通 등으로 이어지는 그의 법통은 신라 화엄학을 주도하였다.

통일신라 불교계에는 미타신앙·관음신앙·미륵신앙·지장신앙 등도 크게 번창하였으며, 불교의 평등·자비사상은 기층민의 지위를 향상시켜 주었다. 이로써 화엄사상은 중대 전제왕권이나 사회안정에 부응함으로써 불국토내의 정신적 일체감 조성에 기여하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여 통일신라로 되는 것은 단지 정치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문화도 일시에 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문화로 일컬어지는 중국화·불교화 경향의 것들은 통일 이전 7세기초부터 본격화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고구려나 백제계통의 돌방무덤이 들어와서 귀족층에 채용되며 토기에 있어서도 굽다리가 낮아지고 굽구멍이 형식화하는 등 통일신라의 토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일신라의 왕들이 넓은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행한 여러 방법이 통일신라의 貴族, 佛敎文化를 지방으로 점차 확산시켰다.


신라가 통일된 후 100여 년간에는 신라 불교미술의 극치인 佛國寺가 창건되고 안압지와 石窟庵이 조영되며 釋迦塔과 多寶塔을 비롯해서 梵鐘, 石燈, 석부도, 석조, 당간지주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들이 만들어진다.

이런 불교미술의 극치를 다루고 있던 통일신라의 문화는 잦은 왕권쟁탈전과 지방호족들의 반란으로 쇠락의 길을 가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귀족들의 내부분열과 6두품세력의 불만, 그리고 지방호족세력의 등장으로 甄萱이 後百濟를, 弓裔가 後高句麗를 세워 다시 통일 이전의 양상과 같은 후삼국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그 후삼국은 궁예의 뒤를 이어 고려를 새로이 건국한 왕건에 의해 통일되었다. 그와 함께 1000년에 걸쳐 영화를 누렸던 신라문화도 함께 그 종말을 맞게 된다. 이런 역사를 걸어온 통일신라의 문화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면 먼저 통일신라의 무덤에는 돌방무덤과 돌무덤, 화장무덤이 있다.


돌방무덤은 6세기경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서 초기 것으로는 노서동의 쌍창총이 있다. 쌍창총은 깬 돌을 방형으로 쌓아 올려 널방을 만들고 그 남벽 중앙에 청동귀면문고리가 달려있는 두 짝의 돌문이 있어 밖으로 마련된 널길로 통하고 있다. 돌방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 3미터이며, 높이는 4미터로 위로 올라갈수록 좁혀지다가 그 꼭대기에 이르러 한 장의 판석으로 덮인 것이다. 널방 바닥의 중앙에는 깬 돌로 쌓은 2인용 널받침이 마련되어있어 어울무덤으로 밝혀졌는데, 널받침의 윗면에는 사람모습을 새겨놓아 주검을 누이도록 한 것이었다.

돌방무덤은 아무런 석물이 없는 봉토분, 자연석을 돌리거나 석축을 쌓은 것, 십이지신상이 둘레 돌로 돌려져 있거나 또는 십이지신상 이외에도 다른 석인을 배치한 것이 있다.

십이지신상이란 십이지신이라는 당에서 얻은 기본요소를 신라화 한 것이다.

불교의 극성으로 통일신라시대에는 화장이 성행하기도 하였다. 화장한 나머지 뼈는 항아리에 담아 땅속에 묻기도 하고 혹은 지하에 돌로 덧널을 짜고 그 안에 뼈항아리를 넣기도 했다. 또 어떤 것은 뼈항아리가 들어있는 다듬은 돌상자를 지하에 묻는 방법으로 한 것도 있다.

통일신라의 고분들은 신라 때와는 달리 껴묻거리가 원래 적은데다 널길이 딸려있어 도굴이 용이해 무덤 출토품이 적다.

따라서 통일신라의 유적의 대부분은 궁성유적이나 절터유적의 발굴로써 출토된 것이다.

통일신라의 토기에는 낮고 넓은 굽이 달려 있는 굽다리접시나 유개합이 많이 보여 기본적으로 신라의 토기가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나라와의 본격적 교류와 불교미술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병 종류나 뼈항아리와 같이 새로운 형태의 토기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뼈항아리는 8세기 이후에 화려한 무늬가 토기 전면에 베풀어지며 색깔도 녹, 황, 록으로 다양해지며 그 기형 또한 다양해진다. 병 종류에는 입큰병, 목긴병, 자라병 등 여러 형태의 것들이 제작되며 그 표면에는 도장무늬 외에 점토띠를 붙여 장식한 것도 제작된다.


안압지에서는 실용적인 토기들이 많이 출토되었는데 접시, 토기뚜껑, 화덕, 벼루, 병 등 중국의 청동기와 도자기에 유사한 것들이 많다.

통일신라 말이 되면 도장무늬토기는 민무늬토기로 바뀌어지고 입큰병 등 청자에 유사한 것들이 제작되어 고려토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통일신라의 궁성문화는 신라최대의 인공 못인 안압지와 주변의 건물터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서 그 우수한 수준을 엿볼 수가 있다. 유물들은 대개 못의 서편에 있는 건물터와 이곳과 인접된 못 속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는데 그 수량이 3만여 점에 달하여 그 당시 문화연구를 위한 보고가 되고 있다.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속 공예품은 실생활과 직결되는 생활용구가 대부분이며, 금동제 건축장식품은 조각수법과 투조 기법이 세련되어 당시의 공예기술이 얼마나 우수했던가를 짐작케 한다. 이 외에 반지, 비녀, 동곳, 뒤꽂이 등의 장신구가 출토되어 당시 궁녀들의 치장도구를 파악 할 수 있고 연못이나 건물을 관리하던 인부들이 사용하던 철제공구와 같은 간단한 작업도구들이 출토되어 다양한 유물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불교조각품으로는 금동여래입상과 좌상, 금동삼존불, 금동팔보살 등의 불상류와 광배장식의 화불, 천개장식, 보상화무늬 장식 등의 불구류 등이 출토되었는데 절터에서 발견된 것과는 달리 그 양식이나 의장이 특수하고 주조기술이 뛰어나 궁중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것 같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고유신앙과 관계되는 목랑, 남근, 신심용왕의 문가 새겨진 토기, 거울 등과 같은 유물들이 출토되어 불교신앙과 함께 전통신앙이 함께 공존하는 복합성을 확인 할 수 있다. 목재품으로 건축부재들이 출토되어 신라시대의 목조건축을 일부나마 복원할 수가 있었으며 목재장신구들이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상을 살필 수가 있었다. 이 외에 칠기류를 포함하여 그릇과 일상용기가 출토되었고 다양한 무늬가 장식된 기와와 전들이 출토되어 통일신라의 문화연구를 위한 전반적인 자료가 망라 되고있다. 안압지가 궁궐터이기 때문에 유물의 대부분이 궁중의 생활용품으로서 매우 화려하고 장식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신라의 대표적인 불교 문화로는 몽고의 침입을 받아 불타 없어진 황룡사터에서 출토된 유물을 들 수가 있다.

그 유물은 기와와 전들이 대부분이지만 금동여래입상과 좌상, 청동나발편, 청동역사상 등의 불상류와 은제금구, 방울, 청동제 장식구 등의 불구류 등이 출토되어 신라 불교미술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신라의 기와와 전은 황룡사터와 안압지에서 출토된 것이 대표적이다.

신라에서 연꽃무늬가 장식된 수막새가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된 때는 불교가 고인 되고 흥륜사, 황룡사 등의 사찰이 조영되기 시작한 6세기 중반부터이다.

신라는 이 무렵에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을 받아 두 계통의 복합과정을 거치면서 6세기 후반 경에는 독자적인 양식을 가지게 된다. 古新羅時代에는 얼굴무늬와 귀면무늬가 새겨진 수막새가 약간씩 제작되고 있으나 연꽃무늬가 장식된 것이 대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투박함을 보여주고 있다. 황룡사터에서 출토된 대형의 망새는 옆면과 뒷면에 얼굴무늬와 연꽃무늬를 서로 번갈아 장식하고 있는 특수한 의장을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장식기와라고 할 수 있다.


통일직후는 우리 나라 와전사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이다. 삼국기의 전통을 바탕으로 당의 자극에 힘입어 새로운 기와와 전돌들이 개발되게 되었고 무늬도 다채롭게 베풀어져 다양한 양식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순·소박한 단판과 연꽃무늬양식에서 벗어나 연판의 내부에 자엽이 새겨지고 주연부에 구슬무늬가 배치되는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면서 복판, 중판, 혼판 등의 양식으로 발전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연꽃이외의 주요한 무늬로는 보상화, 인동, 초화등 식물을 소재로한 서화무늬와 봉황, 기린, 사자 등 벽사와 길상을 의미하는 새나 짐승의 무늬를 들 수 있다.

다음의 보기는 보상화무늬 전돌이다.


이외에 불각, 불탑, 불상, 사천왕상 등이 조각된 탑벽돌이 제작되고 있으며 전돌의 모양도 삼각형, 마름모꼴의 여러 형태로 만들어 지고있다. 이 가운데 사천왕사터에서 출토된 녹유사천왕상전돌은 목탑의 하단부에 감장된 것으로 통일신라 직후의 조각 솜씨를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통일신라의 문화는 삼국과 당의 영향을 받으며 변모했으며 그 독자적인 모습이 두드려 진 것도 많았다. 무엇보다도 신라인의 조각 솜씨와 금속공예품에 남아 있는 세공솜씨는 통일신라의 미술이 그 어느 시기보다도 우수했던 것으로 평가받게 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것 같다.

통일신라의 문화에는 그 외에도 천문학·수학·도량형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지리·농업기술·의학·인쇄술 등에서 큰 발전을 보였다. 그리고 뛰어난 항해술을 장보고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특히 불교예술의 발달에 따라 불상의 조성에 뛰어난 솜씨를 보여 석굴암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석굴암은 그 후 불좌상 표현에 모본이 되었으며, 사원 건축과 탑파예술의 극치를 보게 된다. 한편 석탑에 있어서는 감은사지 3층 석탑 등 한국석탑의 전형을 이룩하게 되었으며, 다보탑·화엄사 4사 3층 석탑 등 특수양식의 발생도 보게 되었다.

통일신라의발전과정

통일신라의 발전 좀 최대한 많이 알려주세요 급해요 ㅠㅠ 통일 신라의 발전 1. 통일 후 신라 ◇ 영역 확대, 인구 증가 - 생산력 증가 ◇ 대외 관계 안정 - 비약적 발전 계기...

통일신라의 발전과정

통일신라의 발전과정을 알려주세요! 통일신라가 되는 과정 말고 통일신라의 발전과정를 10줄정도 알려주세요!! 내공 (200 채택은 할려나 ▶ 삼국 통일 이후 영토와 인구 증가...

통일신라의 발전에 대해서.....

통일신라의 발전에 대해서 핵심을 정리해주세요 오늘 안에로요.... 네??? 제발요... 국민들의단결 통일신라의 발전 1.나라의 제도를 바꾸었다 2.불교를내세워백성들의 정신을...

통일신라의발전에대하여

통일신라의발전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내공30검!!! 통일 신라의 발전 신문왕의 전제 왕권 확립 귀족 세력 억압(녹읍 폐지) 군사 제도의 정비 유교 정치 이념의 강조 (국학 설치)...

통일신라의 발전!!!~

통일신라의 발전, 장보고, 불교, 원효대사의 대해서...<내공20> 가능한 중요한 내용만... 통일신라의 발전 1.전제 왕권의 강화 (1) 귀족 세력의 억압,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정비 2....

통일신라의 발전과정과 문화

저기요,,,,, A4용지 크기의 만큼의 통일신라의 발전과정과 문화를 써주세요^*^;;; 내공... 통일 신라의 발전 1. 삼국 통일의 의의 (1) 우리 민족은 같은 민족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고...

통일신라의 발전모습과쇠퇴

6학년 인데 통일신라의 발전모습과쇠퇴를 너무길게하지말고 짧게하지도않게 그냥... 통일 신라의 발전은 이차돈의 희생을 통하여 법흥왕 때 불교를 통하여 백성들을 하나로...

통일신라의 발전~♥

통일신라의 발전에 대헤서 알고 싶은데요 내공 많이 드릴테니까 되도록이면 빨리... ☆통일신라의 발전 1.정치:나라의 제도를 바꿈.불교를 내세워 백성들의 정신을 하나로...

통일 신라의 발전 과정

제가 학교 숙제로 통일 신라의 발전 과정을 조사 해야 되여~~~ 도와 주세요... 오늘 내로..... ㅎㅎ` 써드릴께여!!ㅎㅋㅎㅋ 통일신라의 발전과정은 일단 고구려 백제 신라 이...

통일신라의 발전 모습좀 갈쳐주세염

... 빨리 통일신라의 발전모습에 대해 입력해주시 면 감사하겠습니다. Ⅳ. 통일 국가의 성립 2. 통일 신라의 발전 1) 전제 왕권의 강화 →귀족 세력의 억압, 왕권 중심의 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