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에 대해서

3.1운동에 대해서

작성일 2004.10.2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3.1동에대해서

뉴스대본을 만들어야하는대요

자료가 조금 모잘라서요

많이 많이 도와주세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제하 민족해방운동사

1. 3.1운동과 민족해방운동사에서 갖는 의미

1. 일제의 강점과 민족해방운동사의 전개

□ 민족해방운동사란?

▶ 일제강점 후 식민지 조선은 정치적 독립과 사회혁명을 동시에 추구해야 했다.

▶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 사이에는 독립 이후 사회에 대한 전망의 차이가 존재했지만, 정치적 독립과 낡은 봉건잔재와 일제 파시즘에 의해 왜곡된 민중의 삶을 민주적으로 건설하는 사회혁명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점에서 같았다.

▶ 정치적 주권을 목표로 하는 ‘독립운동’이나 자칫 복고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광복운동’ 그리고 저항적 측면만 주목하는 ‘항일투쟁’이라는 용어 대신 민족해방운동이라 한 것도 이 때문이다.

□ 민족해방운동사의 전개

▶ 시기적으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 1단계) 3․1운동~1920년대 전반기 임시정부, 만주․연해주 지방의 무장항쟁.

2단계) 1920년대 후반기 국내 대중적 노농운동/조선공산당 운동.

민족협동전선운동으로서의 국외 민족유일당운동과 국내 신간회 운동.

3단계) 1930년대 국외전선의 민족통일전선운동/무장유격활동.

국외 민족통일전선운동/무장유격활동, 국내 공산당 재건운동/혁명적 노농운동, 건국동맹의 성립




□ 민족해방운동사를 바라보는 시각

▶ 3․1운동 후의 민족해방운동을 흔히 독립운동 혹은 민족주의 운동으로 불린 우익운 동과 사회주의 운동 혹은 공산주의운동으로 불린 좌익운동으로 나누어 따로 정리해 왔다.

▶ 민족주의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은 일제에 대항해 공동투쟁전선을 형성하기도 했고, 때로는 사상․이론의 차이 때문에 서로 갈등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초기 임시정부나 신간회운동, 중국관내의 조선민족혁명당이나 일제패망 직전의 좌우연합적 임시정부에서 드러나듯 민족해방운동전선을 통일하려는 흐름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 남북이 분단된 이후 남한사회에서 반공주의와 남한정권만을 정통으로 보는 시각이 강화되면서 사회주의운동을 우리 민족해방운동사에서 배제해 왔다.

▶ 냉전이 해체되고 통일이 가시화되어가고 있는 현재 반공과 분단의식에 사로잡혀 역사를 편협한 시각으로 보는 인식은 과감히 벗어던지고, 비타협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민족해방운동을 전체 민족해방운동의 구성부분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 일제 지배정책의 전개

▶ 제1기 무단통치기 : 식민지화에 반대하는 의병전쟁과 애국계몽운동은 탄압하기 위해 군사활동․정치활동․문화활동 일체를 금지하고 공포분위기 속에서 행정․경제․사회․문화면에 걸친 식민통치의 기반을 마련해가던 시기. 헌병경찰제도가 한반도 전체를 완전히 장악. 그러한 탄압정책 아래서도 민족적 저항운동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마침내 3․1운동과 같은 전국적․전민족적 민족해방운동으로 폭발.

▶ 제2기 문화정치기 : 3․1운동 이후 ‘문화정치’를 가탁한 민족분열정책으로 바꾸어 나간 시기. 헌병경찰제도를 보통경찰제도로 바꾸고 신문발간, 집회와 결사 허용하는 한편 친일파 양성책을 강화하여 민족해방운동전선을 분열시키는 데 성공.

▶ 제3기 동화정치기 : 일본이 파쇼체제로 넘어가면서 침략전쟁을 만주사변․중일전쟁․태평양전쟁으로 확대, 식민지 조선에 대해 전쟁 협력을 강요하던 시기. 수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식민정책에 대한 동화정책과 사상탄압, 민족말살정책이 수반.




□ 식민지기에 대한 역사적 인식

▶ 식민지기에는 폭력적 약탈 수준을 넘어 식민지에서 제국주의 자본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식민지 자본주의의 체제적 성립이 이루어졌다.

▶ 식민정책에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자기 문화와 역사에 대한 열등의식, 민족의식과 정체성을 배제한 기능적 교육이 주입되었다.

▶ 근대국민국가 수립이 압살되어 부르주아는 예속되고 국가와 사회 운용의 헤게모니를 제국주의가 장악했다.

▶ 근대성 실현의 가장 중요한 가치인 민주주의적 훈련을 가질 기회가 봉쇄되고 이 점은 해방 후에도 사회발전의 큰 장애요인으로 남게 되었다.

▶ 국민국가의 회복, 부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정책결정의 주권 회복, 민주화영역의 확보, 자기문화와 역사에 대한 정체성의 회복 등이 시대적 과제로 요청되었다.

▶ 민족해방운동의 투쟁 대상이 무자비한 폭력을 동원한 제국주의였기 때문에 역사적 비용이 과다했고, 더구나 각 지역별․부문별로 극한 상황에서 운동이 전개되었기 때문에 배타적인 국가주의 모습이 부각되어 개인에 대한 존중 의식이 키워질 여지가 제한되는 측면도 있었다.




2. 3·1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




□ 민족자결주의와 3·1운동의 관계

▶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이후 러시아에서는 사회주의혁명이 성공하고, 유럽에서는 영국 대신 미국이 세계자본주의의 주도적 위치로 부상.

▶ 신생 소비에트 공화국의 레닌은 제정 러시아의 피압박민족에 대해 민족자결의 원칙을 선언, 아시아 각 피압박민족에게 영향을 줌.

▶ 미국의 윌슨 대통령도 패전국 식민지에 대해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를 통한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민족자결주의 주장.

▶ 같은 전승국이었던 일본은 패전국의 식민지에 대한 영토적 병합을 확장시켜감.

▶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주로 패전국의 식민지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나, 식민지 조선의 민족대표들과 청년·학생들은 세계적인 큰 물결을 이용하여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함.




□ 1910년대 무단통치 아래서의 식민지민의 저항

▶ 비밀결사 - 대한독립의군부(1913), 대한광복회(1915), 조선국민회(1915), 신민회, 혈성단, 혜성단 등

▶ 문화교육운동 - 서당·사립학교운동, 노동·농민야학운동, 만주 명동학교·신흥학교 설립.

▶ 외교활동 - 1918년 상해, 여운형, 김규식 등의 신한청년단이 구미열강 활동. 미주지역에서는 이승만, 안창호 등이 대한인국민회를 결성. 동경 유학생 600여 명이 ‘2·8독립선언서’ 발표 등.

▶ 1910년대에 공화주의 이념과 국민주권에 바탕을 둔 운동론으로 수렴.




□ 무단통치하 민중생활

▶ 개항이후 일부 형성되던 자본가층이 ‘화폐정리사업’과 「회사령」등으로 위축.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특히 중소지주층과 자작농층이 심함 타격을 받음.

▶ 중간층과 상층 자작농민들은 농업에서의 자생적 자본주의화의 담당층으로 성장할 길이 봉쇄되고 소작농으로 전락. 소작농민은 소작조건이 더욱 열악해짐.

▶ 노동자 수는 점증하면서도 노동 조건은 극도로 열악함. 1912년 노동파업 6건에서 1918년 50건, 1919년에는 89건, 8,283명의 조선인 노동자 참가.

3. 3·1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성




□ 3·1운동의 전개과정

▶ 1단계 -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 단계. 이후에 전개된 전국적 시위운동의 도화선.

▶ 2단계 - 청년·학생, 교사, , 도시 노동자 및 상인층에 의한 전국 주요도시로의 확산 단계.

▶ 3단계 - 전국 각 농촌으로의 확산. 전체 인구의 10%에 달하는 200만여 명이 시위에 참가. 일제의 집계만으로도 검거 4만 6천여 명, 부상 1만 6천 여 명, 피살 7,500여 명.




□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조선민족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전파한 점에서 성공한 운동.

▶ 부르주아계급 주도에서 사회주의 세력 주도의 민족해방운동으로 전환된 계기.

▶ 만주지방의 무장독립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성과.

▶ 민족해방운동에서 복벽주의를 극복하고 공화주의 운동의 정착 계기.

▶ 공화주의 노선 위에 사회주의 사상 수용의 계기.

▶ 독립의 방법론의 분화 - 독립전쟁론과 외교독립론, 절대독립론과 실력양성론.







2.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민족해방운동의 고양




1. 1920년대 ‘문화정치’의 본질




□ 3·1운동 직후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상해)

▶ 만주지방의 무장독립운동 - 서간도·북간도의 교포사회를 근거로 이동녕·이상용· 회영 등과 이동휘·김좌진·홍범도 등의 독립군 계속 국내 진공작전 전개(청산리·봉오동전투).

▶ 민족해방운동의 고양을 저지하기 위해 개량주의·민족분열주의 정책을 전개, 3·1운동 후 일본의 통치정책이 ‘문화정치’로 변화.




□ 문화정치의 본질

▶ 문화정치의 표면 - ㉠관료주의, 형식적 행정 타파 통한 시정 쇄신, ㉡조선인 관리 임용과 대우 개선 통한 민족차별 철폐, ㉢언론·출판·집회 자유의 인정 통한 민의 창달, ㉣지방자치제 실시 통한 민풍 함양과 민력 작흥, ㉤조선 문화·관습 존중.




■ 헌병경찰제도 폐지와 보통경제제도의 답변확정

▶ 경찰관서 751개(1918)→2,716개(1920), 3배 증가. 경찰인원 5,400여 명(1918)→약18,400명(1920). 1군 1경찰서, 1면 1주재소 제도 확립.

▶ 치안유지법(1925)을 통한 사상통제와 사회운동 탄압 강화.




■ 친일파의 양성과 ‘자치제’의 실시

▶ 사이토오(齊藤實)의 ‘조선민족운동에 관한 대책’에서 드러나듯이 식민통치의 협조자와 동맹계층을 적극적으로 양성하고자 함.

▶ 친일 여론 조성 위해 교풍회·국민협회·대동동지회/대정친목회·유민회/대동사문회·유도진흥회/조선인소작회상조회 등 조직.

▶ 동아일보·조선일보 등 한글 신문과 잡지 창간.

▶ 「조선교육령」(1922) 개정을 통해 직업·기술교육 확대. 수재교육을 명분으로 한 친일 양성

▶ 실력양성론, 자치론 의 등장-조선인은 민족개조가 급선무이며, 이를 위해 식민통치를 수용하고 일본 정부로부터 참정권·자치권 획득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

▶ 지방제도 개편과 함께 자문기관(부·면협의회, 도평의회) 설치. 일본인의 밀집 거주 지역인 24개 지정면과 부협의회만 선거제임. 선거권도 소득수준에 따라(5엔 이상의 지방세 납부자) 규정.




■ 유산층 포섭을 위한 경제정책

▶ ‘산미증식계획’, 「조선회사령」 철폐를 통한 농외투자의 확산, 미곡 상품화를 통해 성장한 지주층. 세제·금융상의 보호 통해 친일화로 유인되는 대상.




□ 문화운동과 자치론의 의미

▶ 사회주의 운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내 민족주의자의 일부는 민족운동의 방향을 문화운동으로 유도, 종교·수양·사교·생활개선·농촌계몽운동 등을 적극 장려.

▶ 식민지 사회의 문화운동 역시 저항성을 가지나, 저항성이 결여된 경우 타협주의적, 더 나아가서는 친일적 노선이 될 수밖에 없음. → 민족성 개량, 실력양성, 자치주의.




2.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으로서의 조선공산당 운동




□ 고려공산당의 성립

■ 한인사회당의 성립

▶ 러시아 극동 이주 조선인을 중심으로 권업회 조직, 『권업신문』발간. 러시아혁명이후 귀화 한인들을 중심으로 全露韓族會 중앙총회 결성(1917.5). 이후 이동휘 등이 가입.

▶ 한인 최초의 사회주의 단체인 한인사회당 결성(1918.5).

▶ 3·1운동 이후, 한인사회당에 불참한 극동지역 민족주의 세력은 전로한족회→대한국민회로 개편.

▶ 이동휘 등 주도세력이 임시정부 통합과정에서 상해로 옮긴 후, 여운형·안병찬 등이 한인공산당 조직(1920.8).




■ 두개의 고려공산당

▶ 3·1운동 후 시베리아·연해주·만주 및 국내 여러 개의 공산주의 단체 조직

-일세당(1919), 한족공산당 연해주연합총회(1920.6), 아무르주 한인공산당(1920.4), 치타 한족공산당(1920), 옴스크 한인공산당(1919.11), 러시아공산당 이르꾸쯔끄현 위원회 고려부(1920.1)/서울공산주의단체(1919.10),사회혁명당.

▶ 통일공산당을 조직하기 위한 노력 계속되었으나, ㉠대체로 러시아 귀화 교포를 중심으로 하며 사회주의 혁명을 우선적으로 지향하는 이르꾸쯔끄파 고려공산당과, ㉡일본의 한반도 강점 과정에서 망명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하며 민족해방을 우선적 과제로 하는 상해파 고려공산당으로 양분(1921.5).




■ 고려공산당의 해체

▶ 자유시 사변(1921.6)을 계기로 이르꾸쯔끄 고려공산당과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대립 격화.

▶ 코민테른의 ‘조선문제 결정서’ 답변확정, 동수의 두 파 대표로 고려공산당 임시 중앙간부 구성, 당 통일을 위한 고려공산당대회 개최(1922.10)

▶ ㉠러시아 귀화인/비귀화인의 대립, ㉡자유시사변의 응어리, ㉢모스크바 자금 40만 루불의 사용문제로 인한 갈등 등으로 통합회의 실패 →코민테른에서 두 당 해체(1922.12)

▶ 코민테른은 이동휘(상해파)·한명서(이르꾸쯔끄파)·정재달(국내파) 등을 위원으로 하는 ‘꼬르뷰로’(고려국) 설치, 계속되는 반목으로 다시 ‘오르그뷰로’(조직국)을 설치(1924.3).




□ 조선공산당의 성립

■ 화요회 중심의 조선공산당

▶ 상해파와 이르끄쯔꾸파의 국내조직, 서울청년회(1921), 무산자동지회(1922), 신사상연구회(1923), 화요회(1924), 북풍회(1924) 등 사회주의 그룹이 자생적으로 조직.

▶ 제1차 조선공산당(1925.4.17) : 김재봉 책임비서. 꼬르뷰로 국내부 계열인 화요회를 중심으로 조직. 박헌영을 책임비서로 하는 고려공산청년회도 화요회 중심으로 뒤이어 조직. 신의주 사건을 계기(1925.11)로 220명이 검거, 해체.

▶ 제2차 조선공산당(1925.12) : 강달영·권오설 책임비서. 1926년 7월 일본제국주의 박멸, 반일 민족유일전선 조직, 조선독립, 인민공화국 건설을 주장한 강령과 ‘조선공산당선언’ 발표하면서 민족통일전선운동 추진. → 6·10만세운동으로 100여명 검거로 사실상 해체. → 1차,2차 공산당 사건으로 화요계 중요 간부들은 거의 검거되거나, 망명.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새로운 세력에 의한 통합당적 성격으로 구성.

▶ 제3차 조선공산당(ML당, 1926.9) : 김철수→안광천 책임비서. ‘정우회 선언’(1926.8)을 통해 민족통일전선 결성 주장. 신간회에도 적극적으로 참가. 김준영·김세연으로 책임비서가 바뀌면서 1년이상 유지하다가 1928년 2월 해체.

▶ 제4차 조선공산당(1928.3) : 차금봉 책임비서. ‘조선민족해방운동에 관한 테제’ 답변확정 후 신간회 지회조직을 더욱 활성화시킴. 그러나 차금봉·김재명 등이 고문으로 학살, 170여 명의 검거로 사실상 해체.

▶ 코민테른은 12테제(1928)를 통해 당의 해체와 재건을 지령.

▶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건설과정은 일제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탄압과, 그에 대한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으로서의 끈질긴 투쟁과정이었음.

▶ 노동총동맹·농민총동맹·청년총동맹 등 대중운동의 고양에 기여.

▶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의 통일전선을 지향하면서 신간회 통해 합법적 활동도 전개.

▶ 소수 지식계급과 학생 중심의 결합체로서 한계, 노동자·농민 중심 당의 재조직 투쟁 전개.




3. 민족유일당·신간회 운동의 추진




□ 해외 민족유일당 운동의 전개

■ 민족통일전선 운동의 추진

▶ 1920년대 후반기 좌우익 통일전선운동 발생 배경 : ㉠ 3·1운동 후 민족주의 세력 일부가 타협주의노선으로 선회. ㉡상해 임시정부운동이 국민대표회 실패 이후 침체. ㉢국내외 사회주의운동의 확대·발전. ㉣1920년 코민테른 ‘식민지 민족문제에 관한 테제’. ㉤1924~27년 간 중국의 국공합작의 선례.

▶ 이당치국 원리에 의한 민족유일당 운동의 전개

▶ 연해주·중국 관내지역에서 민족유일당 운동, 그 연장선에서 만주의 3부 통일운동과 좌우익 전선 통일운동 전개.

▶ 국내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과 함께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의 민족통일전선론 전개.




■ 민족유일당운동의 실패

▶ 민족당주비회 결성(1926.3) : 이르꾸쭈끄 고려공산당 최고려·김석하 등이 상해임정의 창조파계와 국내 서울계 등과 제휴하여 조직. 국내 조선민흥회 성립과도 연결.

▶ 한국독립유일당 북경촉성회(1926.10) : 장건상·원세훈 중심. 이후 상해·남경·무한·광동 등지로 확산.

▶ 만주의 18개 독립운동단체는 전민족유일당조직 촉성회, 전민족유일당조직 협의회로 통일. →국민부, 혁신의회로 양립.(이후 한국독립당과 조선혁명당 조직)

▶ 민족유일당운동의 방법론적 대립에 의한 실패 : ㉠ 연합체 형식, ㉡ 유력단체 중심 형식조직 ㉢ 개인결합 형식




□ 국내 신간회 운동의 추진

■ 신간회의 성립

▶ 비타협주의적 우익대표·사회주의 세력 대표등 28명의 발기, 이상재 회장, 홍명희 부회장으로 결성(1927.2.5)

▶ 단체본위조직이 아닌 개인본위의 조직. 조선노동총동맹·조선청년총동맹 등 대중단체들의 적극 참가로 회원·지회의 급격한 증가.

▶ 일제에 대해 ㉠조선인에 대한 착취기관 철폐, ㉡일본인의 조선 이민 반대, ㉢타협적 정치운동 배격, ㉣조선인 본위 교육제도 실시, ㉤ 사회과학과 사상연구의 자유보장, ㉥식민지 교육정책 반대 등을 주장, 노동파업·소작쟁의·동맹휴학 등을 지도.

▶ 신간회 중앙조직-비타협적 민족주의세력, 지회조직-사회주의 세력이 우세.

▶ 복대표대회(1929.6) - 신간회 강령 및 규약 제정. 신간회 재편. 허헌 집행위원장, 홍명희 등 57명 중앙집행위원, 조병옥 등 8명의 중앙집행위원 후보, 권동진 등 13명 중앙검사위원 선출. (그중 46% 사회주의자)

▶ ‘민중대회사건’(1929.12)을 계기로 허헌 등 90여명 검거, 김병로 집행위원장 등의 중앙본부는 온건·합법노선에 따른 개량화 경향으로 치중.

■ 신간회의 해소

▶ 부산지회의 신간회 해소론 제기(1930.12)

▶ 해소론 - ㉠신간회 지도부의 타협주의 노선 비판, ㉡조직형태가 정당적 형태임을 비판, ㉢강령의 추상성과 구체적 운동지침이 없음을 비판, ㉣객관적 정세 변화에 따른 주체적 조응 조건.

▶ 제2차 전체대회(1931.5)에서 해소안 제출·가결.







3. 해외의 항일무장투쟁과 민족연합전선




1. 1930년대 ‘만주’ 항일무장투쟁




@ 동북인민혁명군에서 조선인의 활동

# 만주지방의 조선인사회의 형성

-만주=동북3성에 조선인이 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기부터.

-1907. 연길의 조선족은 5만여 호 정도, 한족(漢族)은 조선족의 1/4 미만. 1916. 연변의 총인구 26만 5천 명 중 조선족이 20여만 명 정도.

-조선인들이 동만주 및 남만주 지방으로 대량 이주하게 된 계기는 1910년 일제의 강점과 3․1운동에 대한 탄압 때문. 1930년대 이후에는 만주를 반식민지로 만든 일본의 계획적 이민정책도 큰 영향.




# 1920년대 만주의 조선인의 조직활동

-1920년대 초엽부터 연변지역에 사회주의 사상이 전파 - 마르크스주의 영향에 의한 '노동'(1923)이란 조직과 '노동보' 발간. 북만노력청년총연맹(1925)의 '노동청년' 기관지 발간, 재만농민동맹(1928)은 3-4천명 규모의 조직.

-1920년대 후반기 국내 조선공산당의 만주지부가 성

립되어 국내에서보다 오히려 활발한 활동을 벌임.




# 1930년대 만주의 대일 투쟁 조직화

-1928년 조선공산당 해소 후 만주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대개 1930년에 성립된 중국공산당 동만특위에 가입(1국1당주의-국제주의), 일본제국주의와 투쟁 계속.

-1931년에 연변지역의 연길현․왕청현․훈춘현․화룡현에 각기 중국공산당 현위원회가 성립, 기층 조직의 대부분 당원은 조선인.

-'만주사변' 도발로 중국공산당은 '만주 병사공작(兵士工作)에 관한 지시'(1931. 10.)를 통해 유격대를 창건, 유격구 개척 지시.




# 만주지방의 조선인 유격대

-동만지역 : 연길현 적위대(赤衛隊)가 성립(1932). 화룡에서도 적위대․평강유격대 등이 중심이 되어 어랑촌 유격근거지에서 유격대가 결성. 왕청현에서는 18명으로 구성된 돌격대 중심으로 유격대 발족(1932), 훈춘에서는 영복유격대와 영남유격대가 합쳐 훈춘유격대로 발전.

-북만지역 : 지방자위대 토대로 주하(朱河) 반일유격대 성립(1933). 밀산(密山)에서는 중국공산당 밀산위원회(1932)에서 반일유격대가 조직(1934). 탕원(蕩原)에서도 중공 탕위위원회 조직(1929), 20여명 유격대가(1932) 전투를 겪으면서 6백 명으로.

-남만지역 : 반석(盤石) 중심으로 적위대(赤衛隊) 성립, 이를 기반으로 유격대 창건. 이후 각 지방의 유격대를 기초로 동북인민혁명군이 편성됨.




# 동북인민혁명군의 성립과정 1 - 남만주 일대 중심

-이홍광(李紅光)을 대장으로 반석 노농의용군(勞農義勇軍) 조직(1932). 이후 한족 무장부대와 합류하여 중국노농홍군(勞農紅軍) 제32군 남만유격대로 정식 명명(1933).

-이해 가을, 병력이 2천명으로 증가, 동북인민혁명군 제1독립사(獨立師)로. 2개 독립사로 확장되면서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으로 편성(1934).




# 동북인민혁명군의 성립과정 2 - 동만주 일대 중심

-북간도 일대의 연길․화룡․훈춘․왕청 등 4개 유격대가 중국 노농홍군 제32군 동만유격대로 편성(1933). 9백여 명 병력이 됨. 주진(朱鎭)을 사장(師長)으로 하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로 발전(1934. 3.)

-북한 역사학에서는 동북인민혁명군과 동북항일연군 활동을 조선인민혁명군의 역사로 다룸.

-제2군 독립사는 1934년에 9백여 회의 전투, 안도현 처창즈와 왕청현 라자구 등지에 유격근거지 개척. 일제의 '제3기 치안숙정계획'(1934. 9.-35. 1) 돌파 뒤에는 1천 2백 명의 병력과 980여 자루의 총 소지, 병력의 2/3가 조선인.




# 동북인민혁명군의 성립과정 3 - 북만주 일대 중심

-주하 반일유격대가 동북반일유격대 하동지대(1934. 6.)로, 이후에는 동북인민혁명군 제3군으로 편성(1935. 1.). 밀산유격대는 한족의 구국군(救國軍)과 연합, 밀산 현성(縣城)을 공격하여 큰 전과, 구국군과 합쳐 동북항일동맹군 제4군으로 편성(1934. 9.)

-탕원유격대는 주변의 자위단․경찰대 등을 합쳐 동북인민혁명군 제6군으로 편성(1936). 제1사 사장은 마덕산(馬德山).

-최석천(崔石泉=崔庸健) 등은 요하(遼河)에서 1백여 명의 조선청년이 참가한 군정훈련반을 만들었고, 요하반일유격대 조직(1933).

-이학복(李學福)의 지휘로 우수리강 좌안 일대와 송화강 하류 유역에서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던 요하유격대는 동북인민혁명군 제4군에 편입(1935).




# 중국공산당의 '일월서한'(1933)

-앞서 '만주병사공작에 관한 지시'를 수정해서 '일월서한'(一月書翰, 1933)을 답변확정. 동만․남만․북만 등지에서 활동하던 유격대들이 동북인민혁명군으로 개편.

-내용 : 항일민족통일전선의 강화와 노동계급의 영도권 확보 강조, 일제와 친일주구의 재산 몰수, 소수민족의 기본적 권리와 이익 보장, 소비에트정부의 해체와 인민혁명정부의 수립, 유격대의 인민혁명군으로의 개편 등을 지시.

-각처의 소비에트는 인민혁명정부로 대체. 지주의 토지를 몰수하는 대신 2․8 소작제 고수로 반일지주와의 대립을 완화.

-반일부대들과의 연합작전이 추진(훈춘․왕청현 유격대원과 구국군 부대원이 연합하여 동녕현성을 공격한 전투(1933. 9.) 등).




# '반민생단 투쟁'

-동북인민혁명군의 항일투쟁에 대해 일본은 간도지방 조선사람들의 자치를 표방하며 박석윤(朴錫胤)을 단장으로 하는 친일 반공단체 민생단(民生團)을 조직(1932. 2.) .

-민생단 자체는 별 성과 없이 해산되었으나, 중국공산주의운동 내부의 민족배타주의적 경향과 좌경모험주의에 따라 '반민생단투쟁'으로 동북인민혁명군 내의 조선인이 많이 희생. 4년 동안이나 계속되어 약 560명이 체포, 그 중 간부급 40여 명을 포함한 약 430명의 조선인 투사들을 처형.

-코민테른 지시에 의해 '반민생단투쟁'이 중단되면서(1936. 2.) 동북인민혁명군, 특히 제2군의 군세는 급속히 확대. 군사간부의 60%, 정치간부의 70%, 대원의 50-60%가 조선사람이었으며, 그 4개 단(團) 중 2개단에서는 대원의 80%가 조선사람.




# 동북항일연군의 건설

-코민테른 제7회 대회(1935) 반파시즘 인민전선의 강화를 위해 항일연합전선정부와 동북항일연군의 건설이 지시. 이에 따라 "동북항일연군 군대편제를 통일할 데 관한 선언"이 발표(1936. 2.), 동북인민혁명군․동북반일연합군․동북혁명군․각종 유격대 등은 동북항일연군 제1군에서 제11군으로 편성(1936-37).

-조선인 중심의 간도지방 4개 유격대로 조직된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의 경우, 동북항일연군 제2군으로 개편될 때(1936. 3.) 그 산하에는 3개 사(師)와 교도대(敎導隊)를 합쳐 대원은 2천여 명. 그 중 50% 가량이 조선인, 김일성(金日成)이 사장인 제3사는 대부분 조선인으로 편성.




# 동북항일연군의 조직확대

-동북항일연군 제1군과 제2군을 합친 6천여 명으로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이 편성,(1936. 7, 양정우(楊靖宇).) 이 때 제2군 1․2․3사는 각각 제1로군 4․5․6사로, 김일성이 사장인 제6사는 역시 조선인 대원이 많았던 제4사와 함께 백두산 유격구 건설.

-이 무렵 제1로군이 편성된 후 이 부대가 특히 조선 쪽으로 작전을 추진할 때는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명칭을 썼다고 함.

-이후부터 백두산지역은 조선인 항일투쟁의 중심지가 됨. 항일연군 제1로군 제6사는 백두산지구 유격구를 건설하고, 조국광복회 조직을 국내에 넓히기 위해, 압록강을 건너 조선의 갑산군 보천보(普天堡)를 공격하여(1937. 6.) 큰 성과.




# 동북항일연군의 재편 1.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은 작전상 경위려(警衛旅)와 3개 방면군(方面軍)으로 개편(1936). 제4사와 제5사가 합쳐 이루어진 제3방면군은 성원의 60%가 조선인. 종래의 제6사는 김일성이 지휘를 맡은 제2방면군으로 개편되어 다시 백두산지구로 진출.

-제2방면군은 제3단장이었던 제3방면군(최현(崔賢) 단장)과 연합작전, 일․만군(日滿軍) 1백여 명을 사살한 안도현 대사하전투(1939. 8.), 일본군 마에다(前田)부대 120여 명을 사살한 화룡현 홍기하전투(1940. 3.)로 적에게 큰 타격.




# 동북항일연군의 재편 2.

-제1차 하바로프스끄회의(1940. 1.)이후 대부대 활동을 중지, 소련으로 이주.(1940. 10.) 블라디보스또끄 근처에 남야영(南野營, B營), 하바로프스끄 근처에 북야영(北野營, A營) 건설.

-두 야영을 합쳐 동북항일연군 교도려(敎導旅)로 개편.(1942. 7.) 국제홍군(國際紅軍) 제88여단으로도 불림.

-교도려에서 최용건(崔庸健)이 부참모장, 김일성․허형식(許亨植)․강신태(姜信泰) 등이 영장(營長). 전체 1천 명의 대원 중 조선인 100-200명으로 추산(1944년 경).

-독일 항복 후, 제88여단에는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대비하여 '조선공작위원회' 성립(1945. 7.). 소련이 대일전에 참전하자 88여단의 조선인 일부는 작전에 참가, 김일성이 인솔하는 조선인의 본대는 원산으로 귀국(1945. 9. 19.)




2. 조국광복회의 성립




@ 조국광복회의 성립의 배경

# 코민테른 제7차 대회

-코민테른 '12월테제'로 조선공산당 해소 후, 1국 1당 원칙에 따라 만주지방에서 활동하던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중국공산당에 가입.

-코민테른은 제7차대회의 방침 이후 조선인들이 만주에서 결성한 통일전선체의 사례가 '조국광복회. 중국공산당도 코민테른 기관지를 통해 '동북인민 반일연합전선'을 주장하면서 간도지방의 조선인 항일통일전선 정당으로 '민족혁명당'의 조직을 제안하기도(1935. 11).




# 조국광복회 성립

-조선인부대의 단독 활동이 전략상 유리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군사조직상에서는 중국군과의 연합 형식을 취하여 '항일연군' 형태를 가짐.

-정치적으로는 조선인 중심의 단체를 조직하기로 하고, 항일연군 제2군 고급간부회의인 동강회의(東崗會議, 1936) 결정에 따라, 오성륜(吳成崙=全光)․이상준(李相俊=李東光)․엄수명(嚴洙明=장익수?) 발기로 재만한인(在滿韓人) 조국광복회 조직.




@ 조국광복회의 강령과 조직활동

# 10대 강령

-"전 민족의 계급․성별․직위․당파․연령․종교 등의 차별을 불문하고, 백의동포는 반드시 일치단결 궐기하여 구적(仇敵) 왜놈들과 싸워 조국을 광복시킬 것"을 선언한 '10대강령'이 발표.

-내용 : 1. 광범위한 반일민족통일전선을 실현하여 진정한 한인의 독립적 인민정부를 수립할 것, 2.한인의 진정한 독립을 위해 싸우는 군대를 조직할 것, 3.일본과 매국적 친일분자의 재산․토지를 몰수하여 독립운동 경비로 할 것, 4.민족적 공․농․상업을 발전시킬 것, 5.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전취하고 모든 정치범을 석방할 것, 6. 남녀․민족․종교적 평등과 부녀의 사회적 지위를 제고할 것, 7.의무 면비(免費)교육을 실시할 것, 8.노동조건을 개선하고 노동재해보험법을 실시할 것, 9.우리 민족해방운동에 대해 선의와 중립을 표시하는 국가․민족과 친선을 유지할 것 등.




# 조국광복회의 주도세력과 조직활동

-김일성이 지휘한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3사(1936년 7월 이후는 제1로군 제6사로 됨) 중심으로 추진된 경우와, 제1군과 제4군 등에서도 추진된 경우도 있음.

-조국광복회는 만주의 장백현 일대와 국내의 함경북도 북부 일원 및 평안북도 북부, 그리고 흥남․함흥․원산 등지에 조직망 구축. 최하 조직단위인 분회(分會)는 회원 3인 이상으로 조직, 분회 3개 이상인 곳에 구회(區會), 구회 3개 이상인 곳에 시회(市會)와 현회(縣會), 현회 3개 이상인 곳에 성회(省會)를 둠.

-장백현 일원과 갑산․삼수․풍산 등 3개군의 천도교 종리원(宗理院)을 관할하는 도정(道正) 박인진(朴寅鎭)과 접촉, 그를 가입시키기도 함.

-김일성부대의 보천보 공격에 뒤이은 '혜산사건'(惠山事件, 1937-38)으로 불린 대규모 조국광복회 검거사건으로 권영벽(權永壁)․이제순(李悌淳)․박달(朴達)․박금철(朴金喆) 등 739명의 관련자 체포, 조직 괴멸.

-동북항일연군의 조선인부대가 소련으로 들어간 후에도 소련이나 국내에서 조국광복회 조직이 얼마나 유지되었고, 활동이 얼마나 계속되었는가 하는 것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음.




3. 좌우익 연합전선정부로서의 임시정부 구성




@ 중국관내 연합전선운동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전반)

# 정당중심의 민족해방운동 전개

-민족유일당운동은 실패했으나 정강과 정책을 가진 정당 중심으로 운동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감.

-개인 테러 중심의 독립운동단체였던 조선의열단(義烈團)이 제3차 전국대표대회선언을 발표(1928. 10.), 20개조 정강․정책을 내세우고 정당적 성격을 갖춤.

-정강 내용 : "봉건제도 및 일체 반혁명세력을 삭제하고 진정한 민주국을 건설함" "대지주의 재산을 몰수함" "대규모의 생산기관 및 독점성 기업은 국가에서 경영함" 등. 사회주의 정당의 모습.

-관내지역의 민족주의운동 세력도 "종래의 지방적 파벌투쟁을 청산하여 민족주의운동전선을 통일하고 임시정부의 기초적 정당을 조직" 하기 위해 당의(黨義)와 당강(黨綱)을 갖춘 한국독립당 조직




# 대일전선통일동맹의 성립 (1932.11)

-한국독립당과 조선의열단․조선혁명당․한국광복동지회 등의 대표들이 "우리는 혁명의 방법으로써 한국의 독립을 완성코자 한다" "우리는 혁명역량의 집중과 지도의 통일로써 대일전선의 확대 강화를 기한다" 등의 강령을 통해 연합전선 형성.

-민족주의 세력을 대표하는 한국독립당과 이미 사회주의 성격의 정당이 된 조선의열단이 연합전선 형성.




@ 연합전선 정당 - 조선민족혁명당 성립

# 조선민족혁명당 성립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은 단체중심의 '혁명단체의 제휴' 즉 독립운동단체의 연합체 형태.

-'가장 완전한 대동단결체'를 통한 연합전선 강화를 위해 조선민족혁명당이 성립(1935. 7.)

# 조선민족혁명당의 참여세력

-중국 관내 민족해방운동세력의 좌우익 연합전선 정당으로서 임시정부 해체를 주장하면서 성립된 조선민족혁명당에는 김구(金九) 중심의 '임정고수파'는 합류하지 않음.

-김원봉(金元鳳) 중심의 조선의열단 세력과 한국독립당의 조소앙(趙素昻)․김두봉(金枓奉) 등, 조선혁명당의 최동오(崔東旿)․김학규(金學奎) 등, 신한독립당의 윤기섭(尹琦燮)․지청천(池靑天)․신익회(申翼熙) 등, 재미국민총회 위임대표 김규식(金奎植) 등이 각 당의 재산과 당원을 모두 합쳐 조선민족혁명당 창당.




# 조선민족당의 노선과 한계

-민족해방운동의 우익전선은 심한 배타주의와 지방색에 빠졌고, 좌익전선은 파벌주의와 좌경소아병에 걸렸다고 비판. 국민대표회, 민족유일당운동과 같은 과거의 연합전선운동도 방법론적 미숙과 역량부족 때문에 실패했다고 평가.

-민족혁명당은 과학적 이론에 의해 무장한 강력한 중심적 지도당(指導黨)이 될 것이며, 세계 대세의 발전 추이와 조선민족의 특수 지위와를 명확히 분석하여 민족적 생존노선을 부단히 제시하며, 군중을 혁명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우익의 공허한 애국주의와 좌익의 기계적 공식주의를 청산할 것임을 분명히 함.

-그러나 민족혁명당은 성립 직후부터 주도권을 둘러싼 분쟁, 조소앙 중심 세력이 이탈해서 한국독립당 재건. 또 지청천 중심 세력이 이탈하여 조선혁명당 조직함으로써 연합전선 정당으로서의 의미를 잃게 됨.




@ 중국관내 좌우익의 연합전선의 결성

# 중국관내 우익전선의 통일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이동녕(李東寧)․김구 등 조선민족혁명당에 참가하지 않은 '임정고수파' 중심의 우익세력은 정치․경제․교육 균등의 삼균주의(三均主義)를 표방하고 "토지와 대생산기관의 국유화" "국민생활의 평등화" 등을 강령으로 하는 한국국민당 조직(1935. 11.)

-관내 민족해방운동전선에서 임시정부 김구 중심세력이 조직한 정당의 강령에서 토지와 대생산기관의 국유화를 내세우고 있는 점 주목.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민족해방운동전선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 한국국민당 중심으로 먼저 관내지역 우익전선의 통일운동을 전개.

-한국국민당은 조소앙의 한국독립당, 지청천의 조선혁명당 등과 연합하여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韓國光復運動團體聯合會) 발족(1937. 8.). 중국 관내 우파전선의 연합전선이 성립.




# 중국관내 좌익전선의 통일 - 조선민족전선연맹

-연합전선 정당의 성격이 약화된 조선민족혁명당, 좌파세력의 김규광(金奎光=金星淑)이 중심인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과 최창익(崔昌益)이 중심인 조선청년전위동맹, 그리고 무정부주의자 유자명(柳子明)이 중심인 조선혁명자연맹 등과 함께 한구(漢口)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을 결성(1937. 12.).

-장개석 정부의 도움으로 군사조직으로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조직(1938. 10.), 중국군부대에 배속, 일본군을 상대로 한 정보수집․반전선전․투항권고․포로심문․후방교란 등의 활동 전개.




# 전국연합진선협회의 발족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와 조선민족전선연맹의 성립으로 관내 우파 연합과 좌파 연합 성립. 다시 하나의 전선으로 완성하려는 노력이 우리 민족해방운동전선과 장개석 정부 쪽에서 제기.

-'단체연합회'와 '전선연맹'이 합친 전국연합진선협회(全國聯合陣線協會)발족.(1939. 7.) '진선협회' 발족을 계기로 양쪽의 대표 김구와 김원봉이 함께 「동포에게 보내는 공개통신」발표.

-'진선협회'는 연합전선체로서의 정치 강령 발표 : "봉건세력 및 일체의 반혁명세력을 숙청하고 민주공화제를 건설한다" "국내에 있는 일본제국주의자의 공사(公私) 재산 및 매국적 친일파의 일체 재산을 몰수한다" 등.




# 전국연합진선협회의 해소

-'전선연맹'에 참가한 4개 단체와 '단체연합회'에 참가한 3개 단체가 모여 '한국혁명운동 통일 7단체회의' 개최(1939. 8.). 임시정부 존부문제, 조선의용대 지휘권 문제 등에 의견이 갈려 회의가 결렬.

-그러나 일본제국주의의 패망이 가까워질수록 전체 민족해방운동전선의 통일은 시급했고, 따라서 통일전선운동은 계속되었음.




# 한국독립당의 결성

-'단체연합회'의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 등이 합당하여 새로 한국독립당 결성(1940. 5.)

-한국독립당도 삼균주의 원리에 따라 보통선거제에 의한 정치균등, 토지와 대기업 국유화를 통한 경제균등, 국비 의무교육제에 의한 교육균등을 정강정책으로 답변확정.

-한국독립당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임시정부는 일본제국주의의 패망에 대비하면서 장개석 정부의 도움으로 한국광복군 조직(1940), 건국강령(建國綱領) 발표(1941).

-대생산기관은 국유로, 토지․어업․광업․은행․전신․교통기관 등도 국유로, 토지의 상속․매매 금지, "두레농장, 국영공장, 생산․소비와 무역의 합작기구를 조직 확대하여 농공대중(農工大衆)의 물질과 정신상 생활정도와 문화수준을 제고한다".







4. 민족해방투쟁으로서의 노동자 농민의 투쟁




1. 1930년대 노동자 농민운동




@적색노동조합운동

# 초기 노동자의 조건과 전국 조직

-공장 노동자 수 : 1919년 약 4만 2천명, 1928년에 8만 8천명으로 증가. 일제의 대륙침략이 본격화한 후인 1936년에 약 19만 명으로 증가. 노동자의 수가 많지 않아 조직적 운동이 어려웠으나 열악한 노동조건과 민족적 저항심 때문에 노동운동은 일찍부터 활발하게 전개.

-부두노동조합이 1919년에 전국에 30개. 이를 바탕으로 회원 1만 5천명의 전국적 규모인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가 성립(1920), 곧 해체.

-계급적 목표를 비교적 선명히 내세운, 조선노동연맹회(朝鮮勞動聯盟會)가 조직(회원 2만 명,1922). 다시 "노동자․농민계급을 해방하여 완전한 신사회의 건설을 기한다" 등의 강령을 표방한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결성.(1924)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분리되면서 이낙영(李樂永)을 중앙집행위원장으로 하는 조선노동총동맹이 성립,(1927) 원산총파업(元山總罷業, 1929)을 지도하기도.




#1930년대 이후 노동운동

-일제의 대륙침략에 따라 팟쇼체제화 하는 1930년대에 노농운동은 합법적 대중단체를 해소, 노동자․농민․학생층에 기초한 아래로부터의 통일전선 지향. 1930년대 이후에는 적색 노․농조합이나 반제동맹을 조직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

-적색 노동조합운동은 기존의 공업중심 지역과 1930년대 이후의 병참기지화 정책에 따라 새로 발달한 공업지대를 중심으로 추진. -.931년에서 35년까지 5년간만 해도 적색 노동조합운동 관련사건은 70건에 1,759명이 연루됨. - '조선좌익노동조합 전국평의회'(1931),'태평양노동조합사건'(1930-35)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의 연계

-'신의주 비합법공장노동조합사건', '평양 적색노동조합사건', '겸이포제철소 적색노조사건', '여수적색노조사건', '마산 적색노조사건' 등.

-각 지역의 공산당재건운동그룹과 연관된 활동 - 서울 이재유(李載裕)그룹. 철도국공장․용산공작주식회사(금속), 대륙고무․경성고무(화학), 동성제사․소화제사(섬유), 경성전기회사(전기), 그리고 조선인쇄공장․전매국공장․화신상회 등 약 30개 이상의 사업장에서 공장반을 조직하고 파업을 지도.

-여주․양평 등지의 적색 농민조합운동을 지도, 서울의 각급 학교와 경성제국대학 등을 중심으로 학생층을 조직화 하는 한편, 이를 기초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전개.




@적색농민조합운동

#소작쟁의의 확대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 : 농민 토지 상실과 소작인화, 소작료 고액화, 소작권의 불안정, 마름(舍音) 횡포의 가중 등. 특히 3․1운동 후에는 소작쟁의가 전국적으로 확대

-소작쟁의 발생건수 - 1920년 15건. 1925년 204건, 1930년 726건, 1935년 25,834건, 1937년 31,799건.

-자위수단의 소작쟁의가 빈번해지자 자연발생적이고 분산적인 면(面) 단위 소작인조합(小作人組合)과 같은 농민단체가 조직되기 시작.

-소작인조합 등 농민단체는 1922년경 이미 30여 개 조직, 1933년에는 1,301개.




#농민단체의 전국 조직화

-처음 전국적 조직과 연결된 것은 조선노동공제회. 노동공제회 지부에 농민부와 소작인부를 두어 농민을 조직, 소작인대회를 개최하여 소작쟁의 지도.

-조선노농총동맹도 소작인조합과 같은 농민조직의 확대를 지원, 소작쟁의 지도.

-노농총동맹이 나뉘면서 조직된 농민총동맹(인동철(印東哲)위원장)은 32개 산하단체와 2만 4천여 명의 회원을 가진 전국 농민운동의 총본산이 됨.

-소작쟁의의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농민총동맹은 총독부의 탄압으로 그 활동이 극도로 제약




# 농민운동의 개량주의화

-개량주의 농민운동 - 천도교 신파 쪽의 김기전(金起田)․이돈화(李敦化) 중심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 1925) 결성. 1933년 1,069개 산하단체, 약 5만 명 회원으로 발전.

-1920년대의 농민운동은 지식청년들이 주도하는 교양․계몽주의 중심으로 운영.




# 혁명적 농민운동

-1930년대로 들어서면서 전국 220개 군․도(郡․島) 중 80여 개 군, 도의 적색 노동조합운동 전개.

-농민조합운동의 주도세력 - 1920년대 공산주의운동가들 중 비전향자와 코민테른과의 연계자, 비합법운동으로의 방향전환에 영향받은 각 지방 사회운동가들, 기존 합법적 노․농조합운동의 주역들, 광주학생운동 이후 직접 노․농 현장으로 투신한 학생운동가들, 1920년대 말기부터




2. 조공재건운동과 건국동맹의 활동




@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 조선공산당의 재조직

-코민테른 "12월테제"(1928)로 조선공산당을 해소, 재조직 지령.

-조선혁명을 반제, 반봉건의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이라 규정. 토지문제의 혁명적 해결과, 소비에트 형태를 통한 프롤레타리아트 농민에 의한 민주주의 독재권력의 확립 강조.

-당재건운동에서 파벌투쟁을 단호히 배격, 소수 층이나 학생층이 아닌 노동자․농민이 그 운동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

1930년대 전반기에 걸쳐 배출되고 성장한 선진적 노동자․농민들.




# 초기 당재건운동

-1920년대의 역량을 바탕으로, 전국적 범위의 '당재건준비위원회'를 결성. 1920년대의 파벌을 중심으로 추진될 수밖에.

-서울․상해파 김철수․윤자영의 '조선공산당재건준비위원회'(1929. 2.) : 기관지 「볼세비키」간행. 정치공작원을 국내 주요 도시 파견, 당과 공산청년회․적색 노동조합 등의 세포를 조직하려 함.

-ML파 한빈․한위건의 '조선공산당재조직중앙간부회'(1929. 5.) : 기관지 「계급투쟁」을 발행. 국내의 각 도․군에 조직 확대.

-화요회파 김단야․박민영 '조선공산당조직준비위원회'(1929. 11.) : 기관지 「콤뮤니스트」를 간행. 모스끄바공산대학 졸업생들을 전국 중요도시와 공장지대에 배치, 노동자, 농민 속에서 세포를 조직.

-전국 단위의 당재건준비위원회를 결성, 그 지도에 의해 산업중심지와 농촌지역에 세포조직을 건설하려는 방법으로 진행.




# 1930년대 당재건운동 방식의 변화

-1932년 경부터 농촌지역에 적색 농민조합을, 도시지역에 적색 노동조합 조직, 점차 전국적 노․농조합위원회를 조직할 것을 우선 과제로. 이 과정에서 조직구성원 중의 정예분자를 골라 지역적으로 '공산주의자그룹'을 만들고 이들 '그룹'의 대표들로서 조선공산당을 재조직하려는 방식 추진.

-서울․상해파는 '당재건준비위원회' 해체, '좌익노동조합전국평의회 준비위원회' 조직

-ML파도 공산당과 공산청년회를 먼저 결성하려던 방법에서 적색 노․농조합운동을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방법으로 전환.




# 코민테른 제7차 대회

-반파쇼 인민전선전술을 답변확정, 식민지 피지배 민족의 혁명운동에서 반제국주의적 부르주아 민족주의자와의 연합전선 형성을 표방. 조선에서도 반일 부르주아지를 민족혁명전선에 끌어들일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이같이 전환된 전술을 원조하기 위해 정치공작원을 파견(박창순(朴昌順)과 이순(李淳) 등).

-코민테른의 전술전환에 따라 적색 노조, 농조 해소하고 광범위한 반일대중조직을 결성하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

-한편으로 적색 노동조합과 반일 대중조직의 병행 발전을 기도하는 경우 - 박헌영․이관술(李觀述) 등이 결성한 '경성콤그룹'(1939-41)의 조직에 인민전선부




# 태평양전쟁기 당재건운동

-서울 서중석(徐重錫)․이정윤(李廷允)․김태준(金台俊) 등의 공산주의자협의회(1944. 11.), 함남 '임충석(林忠錫) 그룹', 경남 부산 및 거제도 '윤일(尹一) 그룹'이 활동.

-지리산에는 징용․징병 기피자 70여 명이 하준수(河俊洙=南道富)의 지휘 아래 항일유격대 보광당(普光黨)을 결성.




@ 건국동맹

# 태평양전쟁기 여운형의 활동

-화평사절 건으로 토오교오 방문(1940)에서 일본의 패전 분위기를 접함.

-연안․북경․만주의 이영선(李永善)․최근우(崔謹愚)․박승환(朴承煥) 을 통해서 일본의 패망 예상.

-다시 구속(1942. 12.-43. 6.)되어서도 해방에 대비하여 '조선민족해방연맹'의 조직을 구상. 석방 후 이기석(李基錫=李笑傑)․김태준 등과 인민전선 노선문제를 논의.

-이승엽(李承燁) 등의 '자유와 독립' 그룹 및 김일수(金一洙)․김태준 등의 '공산주의자협의회' 그룹 등에게 민족해방연맹이나 인민전선 혹은 인민위원회 조직을 제의.




# 조선건국동맹조직

-조선건국동맹(朝鮮建國同盟) 조직(1944. 8.) : "조선민족의 자유와 독립의 회복" "국제적 대일 연합전선의 형성" "민주주의 원칙과 노동대중의 해방에 치중한 국가 건설" 등을 강령.

-여운형을 위원장으로 하고 조동호(趙東祜)․현우현(玄又玄)․이만규(李萬珪)․이상백(李相栢) 등 좌우익 구분 없이 운동세력이 고루 참가, 전국 10개도에 책임자를 임명하여 지방조직을 갖추어 감.

-징용․징병 방해, 전쟁물자 수송 방해 위한 농민동맹과, 후방교란과 철도파괴․무장봉기 등을 목적한 군사위원회를 조직, 노농군(勞農軍) 조직을 계획.

-박승환을 중심으로 만군(滿軍) 내 조선인 군인들을 포섭, 조선의용군의 국내 진공을 유도.




# 중국 관내조직과의 연합전선 시도

-건국동맹은 중국 중경의 임시정부 및 연안의 독립동맹과 통일전선을 이루기 위한 연락원으로 최근우․이영선․이상백․박승환 등을 만주․중국지역에 파견.

-연안 독립동맹과의 연합전선 계획에는 군대편제, 유격대 조직과 국내침공을 위한 조선의용대사령관 김무정(金武亭)과의 연락, 유격대 침공 때의 은신처 및 식량 제공 등이 포함.




@ 임시정부 중심의 연합전선 성립

# 연합전선 결성의 긴박성

-일제의 패망이 확실해지자, 중국 관내 운동전선은, 그것에 대비하기 위해 연합전선 형성이 시급해짐.

-일제 패망 전에, 민해운 전선의 군사력이 정식 연합군의 일원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해방운동단체가 연합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민족해방운동단체 전체의 통일이 필요.

-민족해방운동단체의 통일은 새로운 조직체를 구성하기보다, 기존의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연합전선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됨.

-여태까지의 임시정부는 우파 연합전선 정당인 한국독립당 중심의 정부였지만, 여기에 조선민족혁명당원이나 무정부주의자들이 참가하여 연합전선 정부로 바꾸어 가기 시작.




# 연합전선정부로서의 임시정부 강화

-중국공산군 지역으로 옮겨가고 남은, 조선민족전선연맹의 군사력 조선의용대 병력이, 임시정부 군사력인 한국광복군에 편입, 제1지대가 됨.(1942. 5. 김원봉 지대장)

-'전선연맹'의 김원봉을 비롯한 왕통․유자명․김상덕 등이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1942. 10.)

-'전선연맹'의 김규식이 임시정부 부주석이 되고 김원봉․장건상(張建相)․유림(柳林)․김성숙 등이 그 국무위원이 됨으로서(1944. 4.) 마침내 임시정부가 연합전선정부로 확대, 강화.




# 조선독립동맹 결성

-김무정(金武亭), 최창익․한빈(韓斌) 등과 조선의용대원들이 화북조선청년연합회(華北朝鮮靑年聯合會)를 조직.(1941. 1.)

-강령에서 "일본제국주의 아래 있는 조선통치를 전복하여 독립되고 자유로운 조선민족의 공화국을 건설할 것"을 내세우고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동포로써 연합전선을 결성하여 조선민족 해방운동의 선진대오가 되게 할 것"을 선언.

-국민정부지역에서 김두봉 등과 박효삼(朴孝三)․이춘암(李春岩) 등을 비롯한 조선의용대의 지휘부와 대원들이 대거 연안으로 이동해 옴에 따라 '청년연합회'가 발전적 해체하고, 조선독립동맹(朝鮮獨立同盟) 결성(1942. 8.)

-강령에서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에서의 지배를 전복하여 독립 자유의 조선민주공화국을 건설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고, "전국 국민의 보통선거에 의한 민주정권의 건립"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에서의 일체의 재산 및 토지 몰수와 일본제국주의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대기업의 국영화 및 토지분배의 실행" 등을 제시.

-중국 관내 산서성․하북성․하남성․호북성 등지에 지부를 두고 일본군 점령지역과 만주지역에도 공작원을 파견하는 한편, 국제적․민족적 연합전선운동을 전개.

-'독립동맹'의 국점수작은 여운형 중심의 조선건국동맹과 연결되어 1945년 국치일(國恥日, 8. 29.)에 중국 연안에서 '전조선민족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으나 일제의 패망으로 실현되지 못했음.

-장건상을 연안에 파견, 임시정부와 독립동맹 사이의 연합전선 수립에 합의하고, 그것을 위해 독립동맹 주석 김두봉이 중경으로 가기로 했으나 역시 일본제국주의의 패망으로 실현되지 못했음.

-독립동맹의 군사력 조선의용군은 중국공산군 8로군과의 합동작전으로 대일전투에 참가하여 호가장(胡家庄) 전투 등에서 전과를 올렸고, 임시정부 광복군의 제1지대는 주인연락대(駐印連絡隊)를 파견하여 영국군과 공동작전을 폈으며, 또 그 제2지대와 제3지대는 중국주둔 미국 전략첩보기구 OSS와 합작으로 국내침투요원을 훈련하여 국내정진군(國內挺進軍)을 편성하기도 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간약 하게

기미독립운동(己未獨立運動)이라고도 한다. 1910년 이래 한국은 일본의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통치하에 놓여 있었는데,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한민족의 항일독립투쟁은 각지에 의병(義兵)을 낳고 널리 민족계몽운동으로 발전하여 갔다. 일본은 이와 같은 민족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하여, 헌병경찰제도를 실시하여 항일독립운동 투사들을 학살 ·투옥하고, 일체의 결사(結社)와 언론활동을 금지하였다. 교육정책에 있어서도, 우민정책을 실시하여 민족의식의 성장을 억누르고, 고도의 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박탈하였다.

이러한 무단정치는 한국의 고유문화를 말살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지 ·광산 ·철도 ·금융 등 모든 분야의 이권을 독점 경영하였으며, 한민족의 경제발전마저 극도로 제한하였다. 한국의 지도자들은 해외로 망명하고, 특히 무력투쟁으로 혹은 외교활동을 통하여 조국의 국권회복을 위한 선두에 섰다. 한편 국내의 대다수 농민들은 소작농(小作農) ·화전민(火田民) 등으로 전락하였으며, 생활난으로 인하여 만주(滿洲) 등지로 유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일본의 폭압(暴壓)은 ·학생 ·종교인뿐만 아니라, 농민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국민의 반일감정(反日感情)을 불러일으켰다. 한국이 일본의 무단정치를 겪고 있을 무렵, 1914년에 일어난 제1차 세계대전이 독일의 패전으로 끝나고, 1918년 1월 미국대통령 윌슨은 14개조로 된 전후(戰後) 처리원칙을 파리 강화회의(講和會議)에 제출하였는데, 그 가운데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 스스로 결정한다’고 하는, 민족자결(民族自決)의 원칙을 제창하였다. 이것은 세계의 피압박민족에 대한 자극제가 되었다. 이 민족자결주의의 새로운 원칙은 항일투쟁을 계속해오고 있던 독립운동가들에게 용기를 불어넣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조류 속에서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高宗皇帝)가 갑자기 승하(昇遐)하게 되자 일본인들에 의한 독살설(毒殺說)이 유포되어 한민족의 일본에 대한 증오는 극도에 달하였다. 해외에 있던 독립운동가들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도 활동해왔으나 1917년 스톡홀름만국사회당대회(萬國社會黨大會)와 뉴욕의 세계약소민족회의 등에 대표를 파견하여 한국의 독립을 국제여론에 호소하였다.

 

이라고 합니다.*^^*

3.1운동 요약좀 해주세요

제가 한국사시간에 자율주제탐구발표를하려고하는데 일딴 3.1운동에대해서하려고합니다.근데 쌤이 요약본을 써서 가져오라고하십니다.3.1운동에 관한거 요약 좀...

구미시 3.1운동 대해서 알려주세요

...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허위선생이 구미에서 3.1 운동을 조장할 수 있지만, 실제로 역사적으로 이러한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독립운동가...

3.1 운동에 대해서

...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활동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4. 3.1 운동 후에 생긴 독립운동에 대해서 제발 부탁 드립니다. 시간은 단 2틀 뿐입니다. 제발 내일까지만 3.1 운동은 일본...

3.1운동에 대해서(내공100)

3.1운동에 대해서 짧게 적어주세요.(내공냠냠은 신고합니다.) 답)일본 식민지 지배하의 한국에 1919년3월1일을 기하여 일어난 범민족 항일독립운동 3.1운동탑...

3.1운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3.1운동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패스업원격평생교육원입니다 다음은 제 예전 지식인 답변을 가져온 것입니다 3.1 운동의 배경에는 미국 대통령인 윌슨의...

3.1운동에 대해서...

제가 사회숙제로 3.1운동에 대해서 조사해 가야 하거든요? 내일까지 꼭 해가야 해서.. 3.1운동의 과정,배경,의의,영향에 대해서 알기 쉽게 (그렇다고 짧지않게) 좀 갈켜 주세요...

3.1운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3.1운동의 준비과정,주요인물, 전개과정, 의의 3.1운동의 영향과 3.1운동 이후의 독립운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배경)) 일본은 한일합방을 전후하여 침략에 항거하는 의병전쟁과...

서울 3.1 운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서울에서 일어난 3.1 운동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3.1 운동은 1919년 3월 1일, 일제의 무단 통치에 항거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대규모 독립 만세 운동입니다. 3.1 운동은 서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