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홍경래와 전봉준에게 각 1만의 병사를 주고

만약에 홍경래와 전봉준에게 각 1만의 병사를 주고

작성일 2024.02.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평야에서 서로 싸움을 붙이면 누구의 군대가 승리할까요? 가장 인문학적 지식을 총 동원한 답변을 채택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략 홍경래 군은 1만, 전봉준 군은 2만(농민군 포함 3~4만 추정)이었으며, 전봉준 군은 소정이지만 화승총이 존재했다. 홍경래군이 정주성에서 화약으로 성벽이 무너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홍경래 군의 전투력은 1천명의 관군에 패해 전황이 뒤집혔고, 전봉준의 동학군은 일본의 최신 무기로 중무장한 정예 군대 2천명과 싸워 패배 했다는 점을 감안했을때 전봉준 군의 압승이 예상된다.

항목

홍경래(洪景來)

전봉준(全琫準)

생몰연도

서기 1780년 ~

1812년 5월 29일(음력 4월 19일) 11년)

서기 1855년 1월 10일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

출생지

평안북도 용강군 다미면

전라북도 고창군

활동 기간

서기 1811년 ~ 1812년

서기 1894년 ~ 1895년

주요 전투

홍경래의 난(洪景來ㅡ亂)은 서기 1811년(순조 11년) 음력 12월 18일(양력 1812년 1월 31일)~ 1812년(순조 12년) 5월 29일(음력 4월 19일), 평안도에서 일어난 지방차별과 조정 부패에 저항한 농민 반란

서기 1894(고종 31년)에 동학교도 전봉준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봉건·반외세 운동. 1894년 3월 봉건체제개혁을 위해 1차 봉기, 9월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 2차 봉기 항일무장투쟁.

관군과의 전투 양상

- 게릴라 전술 활용

- 대규모 군사 조직 운영

전투 시 특징적인 면

- 농민 군대 운영

- 근대적인 무기 사용

사회적 배경

- 조선 후기 농민 봉기

- 갑오개혁 이후 농민 불만 증가

결과

- 정부군 진압 후 사형

- 일부 목표 달성 후 사망

경과

군수 정시(鄭蓍)와 그의 아버지 정노(鄭魯)를 죽이고, 한때 정주성을 중심으로 청천강 이북 지역을 거의 장악하였다. 홍경래는 스스로 평서대원수라고 칭하고 가산 박천 곽산 정주 이서 의주 안주를 함락하고 한양을 향해 진군했으나 5개월 만에 평정되었다.

동학교도들은 1894년 1월 전봉준을 중심으로 전라도·충청도 일대 농민들을 모아 고부 관아를 습격해 고부민란(古阜民亂)을 일으켰다. 관아를 점령한 전봉준은 정부에 조병갑의 횡포를 시정할 것과 외국 상인의 침투를 금지하라는 등의 요구사항을 제시했으며, 정부로부터 폐정을 시정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10여 일 만에 해산하였다. 그러나 고부민란을 조사하러 온 안핵사 이용태는 오히려 민란 관련자들을 역적죄로 몰아 혹독하게 탄압하였다. 1894년 3월 21일 최시형의 탄생일을 기해 궐기하게 된다. 이 사태를 접한 정부는 장위영 등의 군대를 파견하였으나 농민군은 황토재 승리에 이어 정읍, 흥덕, 고창, 영광, 함평, 장성, 나주, 장성, 태인, 부안 등에서 관군을 무찌른 것은 물론 삼남지방을 휩쓸면서 전주성을 점령하였다.일본의 행태를 전해들은 전봉준은 일본군 척결을 위해 김학진과 손을 잡고 제2차 기병을 준비, 9월 18일 삼례에서 집결(제2차 삼례봉기)하여 서울로 향했다. 그리고 이는 반일감정이 쌓여 있던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현 강원특별자치도) 등 전국적 항일운동으로 확산되었다. 민중봉기가 확산되자 정부는 군을 출병시키고 일본에 출병을 요청하여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동학농민군은 치열한 접전을 펼쳤으나 우세한 화력을 앞세운 일본의 개입으로 고전하게 되었고,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했다.

평가

난은 실패하였지만 많은 농민과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조선 정부에 저항하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후 조선 곳곳에서 발생한 농민 봉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내부적으로는 갑오개혁, 외부적으로는 청·일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리고 이후 1919년 3·1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진압 군대 규모

안주 송림리 전투는 평안도 병마 절도사 이해우와 평안도 목사 조종영의 관군 1천명이 반군에게 승리해 전투의 양상을 바꾸게 된다. 반군은 정주성에서 수비에 임한다. 병조참판 정만석이 지휘하고, 순무영 술치, 양서 순무사 이요헌, 중군 박기풍이 지휘하는 정부군 선봉대가 송림리 전투 5일 후에 정주성에 도착한다. 정주성을 제외한 곽산 박천 가산에서 정부군이 승리하고 정주성은 고립된다정부군이 땅굴을 파고 화약으로 성 아래를 폭발하고 성 안으로 진입해 정주성이 함락된다.

홍경래는 총 맞아 죽고 우군칙 홍총각등이 포로로 잡히고 이들은 한양으로 압송되 처형된다. 반란군 3천명이 체포되고 여자 아이를 제외한 1917명이 처형된다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한 일본군 수는 2천여 명이었는데 그중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후비보병 제19대대는 700여 명이었다.

이들은 현역 3년 예비역 4년, 총 7년간의 군생활을 한 베테랑 군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대장 미나미 고시로(南小四郞)은 전투 경력 30년 이상의 베테랑이었다.

이들은 유럽의 군사혁명이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는 근대 독일식 전법을 습득한

최정예부대였다.

전봉준......

... 허가하여주고도 추수기에 강제로 수세하고, 부민을... 만에 1만여명이 동원되었다. 4월말 전봉준은 고부·흥덕... 충청병사 이용복에 청주 영군 200명을 파병해주도록...

전봉준이 한일 조사하기

... 허가하여주고도 추수기에 강제로 수세하고, 부민을... 만에 1만여명이 동원되었다. 4월말 전봉준은 고부·흥덕... 충청병사 이용복에 청주 영군 200명을 파병해주도록...

전봉준에 대하여......

... 허가하여주고도 추수기에 강제로 수세하고, 부민을... 만에 1만여명이 동원되었다. 4월말 전봉준은 고부·흥덕... 충청병사 이용복에 청주 영군 200명을 파병해주도록...

백명의 위인들의 업적 아는 분들만..

... 장군 전봉준 순교 김대건 서화가무 황진이 못살겠다 홍경래 삼일천하 김옥균 안중근은 애국 이완용은 매국 별...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하였다. 단종:[1441...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내공많음)

... 전봉준 순교 김대건 서화가무 황진이 못살겠다 홍경래... 물려 주고 아사달에서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동명왕... 진주병사(晋州兵使) 최경회(崔慶會)의 사랑을 받았다고...

동학 농민 운동

... 관서농민전쟁(홍경래난)이나 1862년 삼남지방을 휩쓴... 전봉준은 김도삼, 정일서, 최경선 등의 보좌를 받으며 고부군의 제반 일들을 처리했다. 이때 그는 관내 마을...

밑에 있는 분들의 업적과 그인물이...

... 정약용 전봉준 김대건 황진이 홍경래 김옥균 안중근... 그는 태자 등 1만 2000여 명과 함께 소정방(蘇定方)에게 끌려 당나라에 압송되었다가 그곳에서 병사하였다. 계백...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의 업적...

... 황진이, 홍경래, 김옥균, 안중근, 이완용 (20명) 5절... 물려 주고 아사달에서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동명왕... 전봉준 -조선 후기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지도자....

조선의 왕들의 업적

... 왕의 업적을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으면 좋구요[예)... 추대하고 1만 명의 군대로 평안도에 침입하여... 즉위한 지 2년 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