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질문

한국사 질문

작성일 2023.06.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고려가 어떠한 사회였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 장 적절한 것은?
1)고려는 혈통을 중시하는 신분제 사회였고, 상위 신분층이 지배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므 로 관료제사회라고 할 수 있다.
2)고려는 귀족들이 고위 관직을 거의 독점하는 귀족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과거 제와 전시과제도이다.
3)고려는 출신과 상관없이 누구나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는 귀족사회였 다.
4)고려는 관료제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음서제이다.
5)고려는 혈통을 중시하는 신분제 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음서제이다.

2.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은?
<보기>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생의 교육,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부,목,군,현에 하나씩 설치되었 으며, 그 규모와 지역에 따라 중앙에서 교관인 교수 또는 훈도를 파견하였다.)
1)서원
2)향교
3)성균관
4)서당
5)4부학당

3.다음 <보기>의 정책들을 실시한 공통적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노비안검법 *6조직계제 *규장각 *정방폐지)
1)능력 중심의 인재등용
2)유교정치이념 채택
3)국왕 중심의 통치체제 확립
4)왕권과 신권의 조화
5)민생안정책

4.공민왕대의 대외관계와 관련하여 고려에는 친원파와 친명파의 대립이 나타났다. 이와 관련 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공민왕 때 고려 내부에는 아직 전통적인 친원세력의 기반이 잔존하고 있었으므로 외교정 책 을 둘러싸고 대립이 나타났다.
2)친원파는 전통적으로 원나라와 연결되고 있었던 권문세가로 형성되어 있었다.
3)친명파는 공민왕을 정점으로 신진사대부로 구성되었다.
4)공민왕 때 친원파와 친명파가 서로 대립하게 되는 것은 고려가 명과 정식으로 국교를 수 립 한 이후부터이다.
5)공민왕 때 친원파와 천명파의 대립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한 사건이 명나라의 철령위 설 치였다.

5.고려시대 중 918년~981년까지를 호족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 다음 <보기> 중 호족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이 시대에 왕권을 약하였으며 강력한 호족세력의 지지를 받는 자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 었다.
(나)이 시대의 정권 형태를 호족연합정권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태조는 이 호족의 세력기반을 중앙 행정력에 흡수시켰다.
(라)혜종. 정종, 광종은 형제간으로 왕위가 형제로 이어졌다는 것은 왕권이 약했음을 보여준 다.
(마)노비의 증가는 호족들의 경제적, 군사적 세력의 증대를 의미한다.
1) 가, 나, 다
2) 나, 다, 라
3) 가, 나, 다, 라
4) 가, 나, 라, 마
5) 나, 다, 라, 마

6.조선시대 신분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양인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다.
2)양천제는 조선의 법제적 신분제이다.
3)천민과 반상제의 상민은 같은 신분이다.
4)중인은 양천제의 중요 신분이다.
5)반상제의 양반은 관직자만을 의미한다.

7.여진족이 금을 건국하고 고려를 압박하여 오던 시기의 집권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1)원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하였다.
2)과거와 음서를 통해 관직을 독점하였다.
3)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였다.
4)후에 조선을 전국하는 세력이다.
5)무신 집권기 이래 성리학을 수용하였다.

8.다음 중 조선시대 납공노비(외거노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2)과거에 응시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3)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지고 있었다.
4)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백정이라 불렸다.
5)지방 관청에서 대가를 받고 생활하였다.


#한국사 질문 #한국사 관련 질문 #질문하는 한국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고려가 어떠한 사회였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 장 적절한 것은? 5번

1)고려는 혈통을 중시하는 신분제 사회였고, 상위 신분층이 지배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므 로 관료제사회라고 할 수 있다.

2)고려는 귀족들이 고위 관직을 거의 독점하는 귀족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과거 제와 전시과제도이다.

3)고려는 출신과 상관없이 누구나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는 귀족사회였 다.

4)고려는 관료제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음서제이다.

5)고려는 혈통을 중시하는 신분제 사회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음서제이다.

1번 혈통을 중시한 사회는 귀족적 사회임

2번 귀족을 뒷받침하는 제도로 음서와 공음전이 있다.

3번 출신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음

4번 고려의 관료제 사회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과거제도임

2.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은? 2번

<보기>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생의 교육,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부,목,군,현에 하나씩 설치되었 으며, 그 규모와 지역에 따라 중앙에서 교관인 교수 또는 훈도를 파견하였다.)

1)서원

2)향교

3)성균관

4)서당

5)4부학당

향교에 대한 설명

3.다음 <보기>의 정책들을 실시한 공통적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번

<보기>(*노비안검법 *6조직계제 *규장각 *정방폐지)

1)능력 중심의 인재등용

2)유교정치이념 답변확정

3)국왕 중심의 통치체제 확립

4)왕권과 신권의 조화

5)민생안정책

왕권강화와 관련이 있음

4.공민왕대의 대외관계와 관련하여 고려에는 친원파와 친명파의 대립이 나타났다. 이와 관련 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5번

1)공민왕 때 고려 내부에는 아직 전통적인 친원세력의 기반이 잔존하고 있었으므로 외교정 책 을 둘러싸고 대립이 나타났다.

2)친원파는 전통적으로 원나라와 연결되고 있었던 권문세가로 형성되어 있었다.

3)친명파는 공민왕을 정점으로 신진사대부로 구성되었다.

4)공민왕 때 친원파와 친명파가 서로 대립하게 되는 것은 고려가 명과 정식으로 국교를 수 립 한 이후부터이다.

5)공민왕 때 친원파와 천명파의 대립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한 사건이 명나라의 철령위 설 치였다.

명의 철령위 설치는 우왕 때임

5.고려시대 중 918년~981년까지를 호족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 다음 <보기> 중 호족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번

<보기>

(가)이 시대에 왕권을 약하였으며 강력한 호족세력의 지지를 받는 자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 었다.

(나)이 시대의 정권 형태를 호족연합정권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태조는 이 호족의 세력기반을 중앙 행정력에 흡수시켰다.

(라)혜종. 정종, 광종은 형제간으로 왕위가 형제로 이어졌다는 것은 왕권이 약했음을 보여준 다.

(마)노비의 증가는 호족들의 경제적, 군사적 세력의 증대를 의미한다.

1) 가, 나, 다

2) 나, 다, 라

3) 가, 나, 다, 라

4) 가, 나, 라, 마

5) 나, 다, 라, 마

다. 호족의 세력 기반을 중앙에 흡수한 것은 성종 때임

6.조선시대 신분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번

1)양인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다.

2)양천제는 조선의 법제적 신분제이다.

3)천민과 반상제의 상민은 같은 신분이다.

4)중인은 양천제의 중요 신분이다.

5)반상제의 양반은 관직자만을 의미한다.

1번 양인은 과거에 응시 가능

3번 천민은 반상제에서도 천민임

4번 양인이 양천제의 중요신분

5번 전직 관리도 양반임

7.여진족이 금을 건국하고 고려를 압박하여 오던 시기의 집권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2번

1)원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하였다.

2)과거와 음서를 통해 관직을 독점하였다.

3)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였다.

4)후에 조선을 전국하는 세력이다.

5)무신 집권기 이래 성리학을 수용하였다.

문벌귀족 세력으로 과거와 음서를 통해 관직 독점

1번 권문세족

3번 무신

4번 5번 신진사대부

8.다음 중 조선시대 납공노비(외거노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번

1)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2)과거에 응시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3)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지고 있었다.

4)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백정이라 불렸다.

5)지방 관청에서 대가를 받고 생활하였다.

외거 노비는 토지 소유 가능

2번 노비는 과거 응시 불가능

3번 상민. 노비는 조세, 공납, 역의 의무 없음

4번 고려 시대의 농민

5번 공노보 중 입역노비

한국사 질문

공무원 한국사랑 그냥 한국사 자격증이랑 내용이 많이 다른가요…??! 한국사 자격증 따고 싶은데 공무원 한국사 교재를 사버려서요ㅠㅠ 공무원한국사가 훨씬 자세하고...

한국사 질문

한국사 질문이 어려워서요ㅠㅠ 1. 다음 중 대한제국이 자주독립국임을 보여주는 모습이 아닌 것은? 1. 대한제국은 벨기에 등과 같은 영세중립국을 모델로 하며 유럽열강을...

수능 한국사 질문

... 때 한국사 공부 이투스, 대성마이맥, 메가패스 중에 뭐가 제일 좋은가요? 이거 외에도 좋은 한국사 인강이나...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는 온라인 강의를 찾고 계시다니...

논술 한국사 질문

... 중에 한국사 4등급 이하면 감점되거나 불이익있는 학교 있나요? 세종대 - 한국사 영향없음 인하대 - 의예과 제외. 최저없음 서울과기대 - 최저없음 가천대 - 한국사 영향없음...

수능 한국사 질문

노베이스고요 한국사는 한번도 공부 안했어요 하루 2시간씩 공부하면 얼마나 걸리나요?... 수능 한국사를 처음 공부하는 학생이 하루 2시간씩 공부한다면 약 2~3개월 정도의...

한국사 질문

고1 한국사 질문 ’흥선대원군의 복고개혁과 쇄국정책이 성공했다면 우리나라는 자주적인 근대 국가로 발전했을 것이다‘ 는 가설의 헛점을 비판해보자 이거에 대한 답 좀...

한국사 질문

제 2차세계대전 동맹국 나라랑 연합국 나라들좀 알려주세여 왜 한국사로 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2차대전 시기에는 독일 중심의 추축국과 영프미 중심 연합국이...

수능 한국사 질문이요

수능에 한국사가 얼마나 중요한가요?서울대 갈거 아니면 공부 안해도 된다하는데 맞나여? 한국사는 쉽게 나와서 딱히... 한국사는 쉽게 출제되서 그렇게 부담되지는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