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촌락문서

신라 촌락문서

작성일 2023.03.2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신라 촌락문서 2년마다 썼나요 5년마다 썼나요?


#신라 촌락문서 #신라 촌락문서 목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년 마다입니다

1933년 10월 『화엄경론질(華嚴經論帙)』의 파손부분을 수리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경질(經帙) 내부의 포심(布心)에 배첩되어 있던 이 문서는 사진 촬영 후에 다시 원상태로 질(帙) 속에 넣었기 때문에 현재는 사진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가로 58㎝, 세로 29. 6㎝ 정도의 저지(楮紙: 닥나무로 만든 종이) 2매에 서원경(西原京: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에 근접한 군(郡)에 속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현(縣)의 관할 아래 있던 사해점촌(沙害漸村: A촌) · 살하지촌(薩下知村: B촌) · 모촌(某村: C촌)과 서원경(西原京)의 직접 관할 아래 있던 모촌(某村: D촌)의 사정이 해서체(楷書體)로 기재되어 있다. B촌의 끝 부분과 C촌의 첫 부분 그리고 D촌의 끝 부분이 화엄경논질을 만들 때 잘려나갔으며, 곰팡이와 좀 등에 종이가 부식되어 보이지 않는 글자가 상당수 있다. 문서의 기록은 주1 기록과 추기(追記)로 나누어진다. 식년기록은 3년마다 이루어졌으며, 추기는 전식년과 당식년의 중간시점에 호구의 감소만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작성시기는 695년(효소왕 4) · 755년(경덕왕 14) · 815년(헌덕왕 7) · 875년(헌강왕 1) 등의 설이 있으며, 이 중에서 815년 설이 그간 정설로 여겨져 왔으나 근래 695년 설도 지지를 받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민정문서 말씀이시죠? 3년마다 썼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933년 도다이 사[東大寺] 쇼소인[正倉院] 중창(中倉)에 보관되어 있던 13매의 경질(經帙) 중 파손된 〈화엄경론 華嚴經論〉을 수리할 때 발견되었다. 해서체(楷書體)로 씌어 있으며 약간의 결락이 있다. 이 문서에는 사해점촌(沙害漸村)·살하지촌(薩下知村)·모촌(某村)·서원경모촌 등 4개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① 촌명(村名)·촌역(村域), ② 호(戶), ③ 인구(人口), ④ 우마(牛馬), ⑤ 토지, ⑥ 수목(樹木), ⑦ 인구·우마의 변동 등의 순서로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는 촌 단위로 기록된 일종의 촌적(村籍)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된 내용을 기록해 두었다가 3년에 1번씩 재작성했다. 작성 연대는 755년(경덕왕 14), 815년(헌덕왕 7), 875년(헌강왕 1)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로는 확정짓기 어렵고 대체로 8~9세기 무렵의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 3년마다 작성했습니다.

신라촌락문서 내용

신라촌락문서에 ‘가문’ 내용이 있나요? 있다면 그 증거도 같이 알려주세요 신라 촌락문서에는 '가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신라시대 촌락(촌락: 한...

신라촌락문서 문제 내공200

... 이 문서는 바로 ‘신라촌락문서’이며 신라장적 혹은 신라민정문서 혹은 정창원 문서라고 부릅니다 이 문서는 해서(楷書)로 씌었으며, 모두 62행(行)으로 되어 있다....

신라촌락문서 내용 좀요

신라촌락문서 내용 2가지 이상만 써주세요 ㅠ 인구를 나이를 기준으로 총 6등급으로 나누었다(정·조·추·소자·제·노) 가구를 상상호에서 하하호까지 9등급으로 나누어...

신라 촌락 문서(민정 문서) 질문

민정문서가 통일신라 문화유산 아닌가요? 정답은 고대 신라 지증왕 당시 동시전이 있었다는 3번인데, 위 문서를 제작한 국가는 통실신라여서... 뭐가 맞는것인지요. 민정문서는...

고1 한국사 신라촌락문서

고1 한국사 신라촌락문서와 민정문서가 다른건가요? 같은겁니다. 그냥 다르게 표현하는이름이 여러 가지 있는겁니다. 남대문을 숭례문이라고 부르듯이요

신라촌락문서

통일신라때 신라촌락문서를 작성한 이유와 촌락을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가요..? 내공100 당시 신라가 촌락문서를 작성할 만큼 행정력이 있었단걸...

신라 촌락 문서는 당나라의 영향을 받

신라 촌락 문서는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서 작성 된건가요?? 아니면 원래 신라에 있던 제도 인가요? 우리 역사에 삼국이 중앙 집권시기 가장 중요한정책이 율령체제입니다 율령...

신라촌락 문서

신라 촌락 문서를 작성한 목적은 무엇인가요? 또한 통일 신라가 촌락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가요?? 신라 촌락 문서는 국가에서 촌락을 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