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생물학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 내공 100이요

영어 생물학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 내공 100이요

작성일 2009.10.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발 해석좀 부탁 드립니다

번역기 사용하지 말아 주세요^^

 

Osmosis is the diffusion of water through a cell wall or membrane or any partially-permeable barrier from a solution of low solute concentration to a solution with high solute concentration
Solvent
Solute

Tonicity is a property of a solution in reference to a particular membrane, and is equal to the sum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solutes which have the capacity to exert an osmotic force across that membrane.

Hypertonicity
     A cell in a hypertonic environment is surrounded by a higher concentration of impermeable solute than exists in the inside of the cell.

Isotonicity
     A cell in an isotonic environment is in a state of equilibrium with its surroundings.

Hypotonicity
    The opposite of a hypertonic environment is a hypotonic one, where the net movement of water is into the cell.

Water balance between cells and their surroundings is crucial to organisms / cells
Osmosis causes cells to shrink in hypertonic solutions
And swell in hypotonic solutions
In isotonic solutions
Animal cells are normal, but plant cells are limp, lacking the turgor that helps support some plant tissues

The control of water balance Is called osmoregulation

Movement Across Membranes - bulk transport

Endocytosis – into the cell


#생물학 영어 사전 #생물학자 영어 #생물학 영어 #생물학 영어 단어 #생물학적제제 영어 #생물학 용어 영어 #생물학적 방제 영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영어 #생물학과 영어 #우주 생물학 영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와 같은 부분을 배우시는 것 같아서 이렇게 답을 남기는데, 저도 현재 배우고 있는중이라 많이 부족해요ㅠ_ㅠ

Osmosis와 같은 단어들은 한국어로 번역 하시려고 해도, 삼투학. 이라는 한문어로 번역된 term이기 때문에,

단어 자체를 외우시고 뜻을 이해하시고 외우시는게 좋겠어요. 해석한다기 보다 설명하는 쪽으로 갈게요

 

Osmosis는 plasma membrane의 transport중 하나 인데요.

Passive process라서 ATP가 필요 없어요. 그리고, cell의 물 이동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high concentration 에서 low concentration으로 이동하구요..

solvent는 용매라는 한국어 뜻이 있는데, 용해되는. 혹은 녹이는. 뜻이구요.

solute는 용질이에요. 그래서, 용해되는 물질 . 이라고 보시면 되요.

예를들면 salt 소금은 물에 녹는 용질이구요. salt가 물에 녹는 과정. 을 용매라고 보면 되요 ...ㅜㅜ맞나?

저는 tonicity의 정확한 정의는 건너띄고, hypertonic, isotonic, hypotonic으로 넘어갔는데요.

tonicity는 cell혹은 물질과 surround 물의 관계 .... 흠 저도 영어로 배우다보니..한국어로는 뭔가 한계가 있는듯

ㅜㅜ....

 

hypertonic 환경에서 cell은요. low water concentration안에 high solute concentration이 있다고 보면돼요

예를들어, 물은 100% 맑은 물에다가, 0.9% 소금에 절인 감자가 있다고 보면, 그 감자는 shrink하게 돼요.

음 ... 감자에 있는 소금이 물에 빠져 나간다고 표현하면 이해하기 쉬우려나..? 결국, 감자에 있는 소금이 빠져나가게 되니까 shrink. 결국 쪼그라 들게 되겠죠?

 

isotonic 환경에서 cell은요. same concentration이라고 보면되요. 100% pure water안에 100% pure한 cell이 들어가 있는거에요. 그래서 no change. 변화는 없구요.

 

hypotonic 환경에서 cell은요. hypertonic과 반대로 생각하시면 되요. high water concentration안에 low solute concentration이라고 보면되요.! 그래서 예를들면, 물이 0.9%의 소금물이 있다고 하고, 100% pure 감자가 있다고 봐요. 그럼, 소금물이 감자 안에 들어가겠죠? 그러면서 감자가 불게 되요 -_-; 음...  이해하시려나?

 

전 어떻게 외웠냐면... 물이 cell보다 가벼우면 hypertonic = shrink. 물이 cell보다 무거우면, hypotonic = burst. 물과 cell의 concentration이 같다면 isotonic = no change.

바이오 같은 경우는 term만 외우면 시험이 쉽죠 ...

 

animan cell, plant cell은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ㅠ_ㅠ ....

그리고, 물의 균형을 조절하는건 osmoregulation이라고 해요.

endocytosis같은 경우에는 ... 그림을 이용하면 쉬운데

그리진 못하겠고, 상상하기 쉽게 설명할게요. 아마 시험에 나온다고 해도 그림으로 나올 가능성이 많아요.

cell이 먹히는건 endo. cell이 안에 있다가 밖으로 나오는건 exocytosis.

 

아 부족한 설명으로 제 머리만 복잡해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dterm기간이시라 힘드실텐데 good l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