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선생님이 되려면 어떠케 해야하나요?

중국어선생님이 되려면 어떠케 해야하나요?

작성일 2011.05.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 중국어선생님이 되고싶어요

 

그럼 중국어과를 가야되죠?????????아닌가요..?

 

뭐 사범대 어쩌구저쩌구하던데..자세히 모르는데 좀 알려주세요 ㅠㅠ

 

4년제 중국어과를 나오면

 

뭐.....임용고시 볼자격이 주어지나요?

 

아니면 교직이수??인가 그게 가능한 과로만 무조건 가야 가능한가요????????

 

자세히좀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국어 교사가 되려면 먼저 임용고시를 통과하여야 합니다.

임용고시를 보려면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있어야 응시가 가능합니다.

정교사 2급 자격증은 사범대나 교육대, 교육대학원을 나오거나 일반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하셔야 자격이 주어진답니다

 

4년제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하시면  교직이수를 할 수 있는 자격을 받아야 합니다.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하였다고 무조건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주어지는것은 아니며 반드시 교직과목을 이수해야 나옵니다.

 

 

 

중국어 임용시험이란?


중국어교사 임용시험이 10여년째 현재와 같은 전공중국어-주관식, 교육학-객관식의 체제로 실시되고 있다. 그간 전공중국어 시험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수가 수험생을 놀라게 한일이 여러 차례 있었다. 그 변화를 간단히 형량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외견상에서 다음과 같은 배점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배점 변화

교육학 30점 + 전공 70점

교육학 20점 + 전공 80점

전공점수가 70점 만점이던 것이 80점 만점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용상의 변화이다. 내용의 변화는 기출문제지를 훑어보고,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만으로는 쉽게 파악되지 않는다. 게다가 기출문제 하나하나에 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해설을 제공하는 전문 참고서조차 아직 미비한 상황이니 문제를 풀어보고 정확한 답을 찾아보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 뿐 만아니라 그 이면에 흐르고 있는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전공중국어 시험은 그동안 출제의 영역과 범위와 분야에 일정한 변화가 있었고, 문제의 발문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으며, 유형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러나 그 동안의 기출문제를 꼼꼼히 검토해 보면 이러한 변화와 함께 또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는 흐름도 포착할 수 있다. 겉모습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사실은 동일한 아이디어의 변형에 불과한 문제도 있고, 발문의 방향이나 방법만 바꾸어서 새롭게 출제한 문제도 잇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시험의 변화와 그 변화 속에서도 유지되고 있는 일관된 흐름을 각 분야별로 검토하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1. 응시자격
교원임용시험의 정식 명칭은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다. 이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시험이 요구하는 응시자격을 갖추어야 하는데, 일단 가장 중요한 사항은 중등교원자격증의 취득이다. 중등교원자격증을 취득하는 경로는 아래의 몇 가지가 있다.


 

■ 중등교원자격증 취득의 경로

1.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에서의 교직과정 이수
사범계열 학과가 아니더라도 교직과정이 설치된 중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중국어과, 중국학과 등에서 2학년에서부터 4학년까지 소정의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사람은 해당 학과(부) 정원의 일정%로 제한되어 있고, 교직과정 이수자를 선발하는 방법은 해당 학과(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학교별 상황을 잘 알고 준비해야 한다.

2. 교육대학원 과정 이수
교육대학원 과정을 이수함으로써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자격증 표시 관련 전공학점(42학점)을 이수하지 않았다면 4학기 또는 5학기인 교육대학원 재학기간을 고려할 때, 교육대학원 과정만으로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각 교육대학원 학칙에 따라 규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지원 교육대학원의 학칙을 열람하고 관계자에게 재학기간 중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지 반드시 문의해 보아야 한다.

3. 각 대학의 사범계열 학과 또는 한국교원대학교
각 대학의 사범계열 학과나 한국교원대학교 해당 학과에서는 졸업과 동시에 해당 과목에 대한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 관련 교육과는 없기 때문에 중국어로 응시하려 하는 경우 지금은 통폐합으로 사라진 ‘중국어교육과’ 출신자만이 여기에해당된다. 이상의 경로를 통해서 중등교원자격증(2급)을 취득했더라도 아래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 응시자격 제한
1. 국가공무원법 제 33조(임용결격사유) 각 1호에 해당하는자

2. 군복무중인 장기 복무자로서 전역예정이 다음해 9월 이후인 자.
-> 그러나 병역법에 의한 의무복무자는 응시가능하기도 함

3. 기타 관계법령에 의하여 임용에 결격사유가 있는 자.

2. 시험의 내용

1. 교육부 고시 전공 이수과목
시험의 내용을 살펴보려면 우선 교육부에서 고시한 이수과목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 교육부 고시 전공 이수과목
중국어교육론, 중국어학개론, 중국문학개론, 중국어문법, 중국어회화, 중국어작문, 중급중국어, 고급중국어, 중국현대문학강독, 한문강독 교육부가 고시한 이 이수과목들은 모든 학교의 교직이수자가 반드시 수강하게 되는 과목은 아니다. 학교의 커리큘럼과 그 운영방법에 따라서, 또 개인의 선택에 따라서 실제 수강하게 되는 과목은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일단 아직 과정을 다 이수하기 전의 학생이라면 상기 과목들은 가급적 수강 또는 청강하는 것이 좋다. 학교의 정규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느냐 없느냐는 시험 준비에 있어서 결코 작은 차이가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모든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일단 중국어학개론, 중국문학개론(혹은 중국문학사), 중국어문법은 꼭 수강하도록 하고, 여력이 된다면 중국현대문학강독, 한문강독(혹은 고전강독 등의 유사 과목)을 수강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임용고시 전공중국어 시험의 내용
시험을 준비하려고 하는 대부분의 수험생은 학교에 과목이 설강되지 않았거나, 이미 수강 기회를 놓쳤거나, 혹은 졸업을 이미 했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정규수업을 수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우리는 일단 상기 교과복과 실제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학습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 임용시험 전공중국어의 학습 분야
1. 중국어 일반(회화, 작문, 독해, 성어.관용어 등의 숙어)
2. 중국어학 개론(총론, 음성.음운, 문자, 어휘, 일부 전통언어학 관련 분야)
3. 중국문학개론(중국문학사)
4. 중국어문법
5. 중국현대문학강독(주요 현대문학작품의 독해)
6. 한문강독(고전산문, 고전시가 및 고대사상.교육사상 관련 텍스트의 독해)
7. 중국어교육론(어학개론의 응용, 교육과정, 교과서.지도서 분석 등)

8. 중국문화
분야별 기출문제의 출제 경향과 내용
기출문제 출제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기출문제 전체를 분야와 범주에 따라 통계를 내보았다. 통계를 내는 데 있어 상당히 많은 문제가 단일한 범주로 분류되지 않는 관계로 두 개 이상의 범주에 중복 집계되었음을 밝힌다. 즉 중복집계로 인해 통계치에 나타나는 퍼센트의 총 합은 100%가 넘으며, 점수의 총합도 70점 또는 80점이 넘는다. 이런 집계방식을 택한 이유는 문제 전체의 비율을 정확히 나누는 데 통계의 목적이 있지 않고, 각 분야나 과목의 비중과 중요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해당 과목과 관련 있는 문제는 모두 해당 과목 문제로 집계된 것이다.

1. 중국어 일반(회화, 작문, 독해, 성어.관용어 등의 숙어)
기출문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통계치로만 보면 아무래도 중국어 능력 평가의 비중이 가장 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문법과 관계되는 부분은 별도의 영역으로 따로 서술하기로 하고, 문법을 제외한 나머지는 크게 독해, 작문, 숙어로 나누어서 문제의 출제 경향과 유형을 살펴보도록 하자.

 

 

■ 독해
독해 문제가 차지하는 비율로만 보면 다른 어떤 영역보다도 그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교육사상이나 어학.문학 관련 지식을 묻는 문제도 설명 내용을 중국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순수하게 독해 능력이 이 시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큰 셈이다. 따라서 독해문제에 대비하려는 목적이 아니더라도 중국어 독해 능력은 기본 수준을 항상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독해 문제의 지문은 그 내용이나 문장의 특징에 따라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 독해 지문의 종류
1. 논설형 : 신문시가, 칼럼, 교육론 등의 문장이 여기에 해당된다.
2. 설명형 : 문학 및 어학 관련 내용이나 중국문화에 관한 서술 등이 있다.
3. 고사형 : 짧은 이야기나 긴 이야기의 일부가 나오기도 한다.
4. 대화형 : 대화체의 지문이 대체로 매년 한 편 정도 출제되었다.
5. 문학작품 : 현대문학 혹은 당대문학 작품이 출제되고 있다.

논설형. 설명형 문장은 대부분 두괄식 또는 미괄식의 논리구조를 가진다. 문장을 읽을 때 내용을 개관하는 부분이 앞부분인지 뒷부분인

지를 빨라 파악하면 전체 문장을 이해하기가 수월하다. 또 문장의 표현과 구사가 딱딱하고 호습이 긴 경우가 많으므로 문장내부의 논리 관계와 문장간의 논리 관계에 주의해야 한다. 어휘나 구절의 뜻은 이해되었는데 내용을 모르겠다면 뭔가 잘못 읽은 것이다.

고사형 문장은 이야기를 담고 있으므로 이야기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야기의 흐름속에서 비유적인 표현이나 대명사 등이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를 잘 파악하면서 글을 따라가야 한다. 설명. 논설형 문장과 달리 군데군데 이야기의 비약이 있을수도 있으므로 사건의 흐름을 머리 속에 그려가면서 읽는 연습이 필요하다. 대화형 문장은 대화체 특유의 표현에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고사형 문장과 마찬가지로 대화 역시 흐름상 비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 전개를 놓치지 않고 잘 따라가는 것이 중요하다. 현행 교과서 수준의 문장에서부터 관용어과 관용 표현이 가득한 대화문과 난이도도 다양한데, 무작정 높은 수준을 쫓아가기보다는 기본적인 수준에 충실하면 자연스러운 이해력의 신장에 따라 난이도 높은 문장도 이해할 수 있게 되므로 연습을 꾸준히 지속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

문학작품은 소설과 산문이 주로 출제되었는데, 현대문학과 당대문학의 전 영역에서 지문이 나오고 있어 시대적인 편차가 있는 편이다. 20년대나 30년대의 문장은 표기에 사용되는 한자가 요즘과 다르거나 심지어 편재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 등장하는 경우도있고, 방언적인 표현이나 고문투의 표현이 섞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문학작품을 읽을 때는 문법적인 지식을 동원해서 문장을 해부하기보다는 때에 따라서는 유연성 있게 이해를 추구하는 것도 방법이다.

독해문제로 출제된 유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독해 문제의 유형
1. 내용 요약하기
2. 주제구 찾기 / 주제어 찾기
3. 글의 논리 관계에 비추어 특정 단어가 가리키는 의미를 파악하기
4. 중국어를 한국어로 옮기기 / 한국어를 중국어로 옮기기
5. 단어 괄호 넣기
6. 단어를 배열하여 문장 구성하기

1~3은 지문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제이다. 지문의 내용이 체계적으로 파악되지 않을 때는 내용 전체를 하나의 수형도로 만들어 볼 필요가 있다. 즉 글쓴이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한 단어로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에서 시작해서 그 근거로 들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지, 예시는 어떤 것을 하고 있는지 등을 가지 치듯이 연결해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은 글의 내용이나 주제를 요약하도록 요구하는 문제가 글자수의 제한을 두고 있을 때도 활용할 수 있다. 한 단어에서 한 문장으로, 한 문장을 보다 긴 문장 또는 둘 이상의 문장으로 확장해 나가면서 글자수를 맞추는 것이다. 긴 문장을 먼저 쓰고 글자수를 줄이려 하면 무엇을 빼야할지 몰라 난감해 지는 경우가 많다.

4는 문장에 대한 이해력을 묻는 문제인데, 지나친 의역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채점하는 입장에서는 의역이 심한 답안일 경우 알고 쓴것인지 적당히 둘러댄 것인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5~6은 글의 내용과 관련된 것일수도 있고 단순히 문법이나 중국어 실력을 테스트하는 문제일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발음 문제, 어휘 문제 등이 있으나 독해 영역과 아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작문
작문 문제의 유형은 크게 어순 배열형 문제와 한→중 작문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유형 모두 전형적인 통제 작문 문제이지만, 문제 하나하나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문법과 관련된 측면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런 면에서는 문법 문제의 특징도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차트>
어순 배열형 문제는 1998년부터 출제되기 시작하여 그동안 비교적 꾸준히 출제되어 왔다. 별도의 독립된 문제로 출제되었을 뿐 아니라 독해 지문 내의 특정 문장을 어순에 맞게 배열하도록 요구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중 작문 문제는 어순 배열형 문제가 오래 전부터 꾸준히 출제되어온 것과는 달리, 1999년에 한차례 출제되고 그 뒤로 출제되지 않다가 2003년에 다시 등장하여 최근까지 계속 출제되었다.

 

어순 배열형 문제를 풀 때는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결정하는 직적접인 요인을 빨리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把나 被같은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답이 어떤 구조의 문장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허사가 아니라도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술어 성분을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즉 술어가 될 수 있는 동사나 형용사를 중심으로 다른 단어를 결합해 보는 것이다. 주어진 단어들 사이에 상호 결합 관계가 분명한 짝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이들을 묶어서 구로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구를 서로 결합하거나 나머지 다른 단어를 결합시키는 순서로 풀어나가는 것이 좋다,

한→중 작문 문제는 특정 단어를 꼭 사용하라든지 아니면 반대로 어떤 단어나 문장 형식을 쓰지 말라는 조건이 있다면 이 조건의 의미를 잘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주어진 한국어에 맞게 작문한 다름에는 거꾸로 자신이 출제자가 되어 자신이 쓴 답을 놓고 문제를 출제한다면 실제로 문제에 제시된 것과 같이 한국어를 제시하겠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이런 식의 검토는 같거나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작문 답안 가운데에서 출제자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답을 찾기 위한 것이다,


 

■ 숙어
지금과 같은 방식의 임용 전공중국어 시험이 실시된 이래로 숙어(성어, 속어, 관용어, 헐후어)는 단 한 번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출제되었다. 그 동안은 주로 성어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성어와 함께 관용어 또는 관용 표현에 관한 출제되고 있다. 속담에 관한 문제도 출제된 적이 있으며, 헐후어는 잠재적인 출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역시 시험공부 범위에서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차트>
성어 문제는 한 차례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 출제되었는데, 그 유형은 매우 다양하다. 우선 그 유형들을 보자


 

◈ 성어 문제의 유형과 종류
1. 문장의 괄호 안에 적절한 성어를 보기에서 골라 써 넣으시오.
2. 독해 지문의 괄호 안에 알맞은 성어를 보기에서 골라 써 넣으시오.
3.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성어들 중에서 다른 것을 찾아 쓰시오.
4. 성어의 틀린 글자를 바르게 고쳐 쓰시오.
5. 독홰 지문에 등장하는 고사의 내용을 개괄하는 성어를 쓰시오.
6. 성어의 의미에 대한 중국어 설명을 읽고 거기에 해당하는 성어를 쓰시오.

1~3은 보기에 주어져 있는 성어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풀 수 있는 유형이다. 이런 유형의 경우에는 간혹 잘 모르는 성어가 나왔더라도 크게 당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성어란 결국 네 글자로 문장에 준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말이기 때문에 성어 및 중국어(현대문과 고문)를 그 동안 학습한 경험을 동원하면 의미를 추측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4~6은 정확한 표기가 중요한 문제이다. 알고 있는 성어인데도, 그리고 그리 어려운 글자들이 아닌데도 글자가 잘 생각이 나지 않거나 다른 글자와 혼동이 생기거나 하는 수가 있으므로 평소 성어를 익힐 때 손을 자주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차트>
관용어와 관용 표현에 관한 문제는 최근에 출제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출제된 관용어 관련 문제는 보기가 제시되어 잇는 문제였기 때문에 위의 성어 1~3유형에서 설명한 것처럼 당황하지 않고 각각의 관용어 표현 구조를 잘 살펴서 답을 찾아보는 침착한 자세가 필요하다.

2. 중국어학개론(총론, 음성.음운, 문자, 어휘, 일부 전통언어학 관련 분야)
중국어학과 관련된 문제는 해마다 꾸준히 출제되어 왔다.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2000년 기출문제에는 어학 관련 문제가 사실상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90년대 기출문제에는 발음에 관한 문제, 규범에 관한 문제 등 상대적으로 최근에 비해 문제가 다양하지 못하고 한 해의 문제가 한두가지 분야에 집중되어 잇는 반면, 최근 몇 년 동안의 문제를 살펴보면 어학 관련 문제가 교과교육학과 결합하면서 음성/음운, 어휘, 문자, 중국어 일반론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르게 문제가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래 들어 어학 관련 문제가 교과교육학과 결합된 응용문제의 형태를 띠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나름대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우선 문제가 응용문제라는 것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에 머물러서는 곤란하고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충분한 예를 익혀두어야 한다는것을 의미한다. 또 교과교육학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은 그만큼 현실적인 중국어 학습이나 교육과 관련이 잇는 어학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동안 출제된 문제의 종류와 유형을 살펴보자.

◈ 어학 문제의 유형과 종류
1. 각종 개념이나 중국어의 특징에 관한 문제
2. 중국어의 여러 가지 명칭에 관한 문제
3. 음성학, 음운학 관련 개념과 지식을 직접 묻는 문제
4. 한어병음 관련 규범에 관한 문제
5. 발음과 음절 구조, 음운 체계, 등의 분석에 관한 문제
6. 성조 변화, 儿化 등의 음운 현상에 관한 문제
7. 어휘의 구조와 유형, 외래어 유형 등 어휘 관련 문제
8. 간체자 유형에 관한 문제
9. 한자의 조자 방법, 한자의 자체 등에 관한 문제

위에는 종류만 언급되어 있지만, 실제 문제의 출제 비율을 따져보면 중국어의 음운 구조나 음운 현상, 또는 발음 표기 등 음성이나 음운에 관한 문제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근래에는 어휘의 구조나 유형에 관한 문제도 꼬박꼬박 출제되고 있다. 일단 이러한 경향은 현실교육에서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발음 교육이나 간화자 익히기, 어휘 학습 등이기 때문에 음성이나 음운에 관한 문제, 어휘에 관한 문제, 간화자에 관한 문제 등이 교과교육학과 결부되어 출제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음운 구조에 관한 문제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는 두 음절을 서로 비교하여 음절 구조상의 차이를 서술하는 문제나 조음 위치.조음 방법 등의 자음의 자질(features)을 기준으로 동일한 자질을 가진 자음을 찾는 문제 등이 있는데, 이런 문제는 중국어 음절의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음절의 구성요소인 음소들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알고 있다면 풀 수 있는 일종의 응용문제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과거에는 지식 자체를 직접 묻는 경향이 강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그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 응용문제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지식을 다양하게 다른 방식으로 물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운현상에 관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성조 변화 현상에 대한 서술을 요구하는 문제나 선행음절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어기조사의 발음을 묻는 문제, 儿化에 대한 종합적인 서술을 요구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아직까지는 성조 변화 자체에 대해서 각각의 경우를 직접 서술하도록 하는 방식의 문가 주로 출제되었는데 경성 및 동화, 이화, 탈락 등의 현상을 제외하면 이미 대부분의 음운현상은 한 차례씩 다뤄졌기 때문에 앞으로는 이 부분도 다양한 형태로 응용문제화할 가능성이 있다.
어휘나 문제에 관한 문제는 주로 어휘의 구조에 따른 유형 분류를 묻는 문제, 외래어의 유형을 묻는 문제, 어근과 접사 등의 형태소에 관한 문제와 간화자의 유형에 관한 문제 등이 출제되었는데, 물론 중국어 축약어의 유형 등 아직 시험에서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역시 같은 아이디어가 다양하게 다른 방식으로 묻는 응용문제가 주된 경향이 될 것이다.


 

◈ 현대 중국어의 음성/음운, 어휘, 문제 및 규범에 관한 문제
지식 자체를 직접 서술하도록 요구하는 문제에서 점차 그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하는 응용문제가 많아지고 있다
. 따라서 같은 아이디어를 앞으로 다양하게 다른 유형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또 순수하게 언어학적인 지식을 묻는 문제도 있다. 중국어의 특징에 관한 지식 또는 중국어의 역사와 관련하여 알아두어야 할 중국어학 지식을 요구하는 것인데, 주로는 중국언어학의 각종 용어나 개념에 관한 문제들이다. 물론 이 부분도 응용문제화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응용의 여지가 크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출제되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개념이나 용어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 혹은 중국어의 역사와 관련된 주요 용어나 개념 또는 주요 서적이나 주요 인문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는 문제가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 중국어의 역사나 전통언어학(小學) 관련 문제
이론과 지식의 성격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응용의 여지가 현대중국어 관련 분야에 비래 넓지 않으므로 개념, 용어, 저작, 인불 등에 대한 지식을 직접 묻는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3. 중국문학개론(중국문학사)
문학 문제는 초기에 고전 시나 사를 직접 지문으로 제시하고 해당 작품이 속해 있는 유파나 작가 및 그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배경지식을 묻는 문제나 작품의 구성상의 특징에 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한동안 출제되지 않다가 2004년에와서 다시 등장했다.

그러다 점차 서술형 문제가 많이 출제되게 되었는데, 서술형 문제들을 살펴보면 일정한 변화가 보인다. 우선 초기에는 문학사적 사건이나 특정 장르 혹은 특정 시대의 문학적 특징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는 문제였다. 이 때는 글자수의 제한이 아예 없거나 있더라도 제한의 폭이 커서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경우가 많고, 또 서술할 내용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않거나 몇 가지로 서술 내용을 나누어 제시하더라도 답안 자체를 나누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서술의 자유도가 컸다. 그러나 점차 서술형문제는 서술 내용과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게 되었고, 글자수의 제한도 심해졌으며 나중에는 아예 서술 항목을 셋 또는 넷으로 제시한 다음 각 항목별로 글자수를 제한하는 등 답안을 표준화하려는 경향이 커졌다.
또 문학 문제 중에는 설명을 읽고 거기에 해당하는 용어나 인물이나 작품 또는 저작을 쓰는 단답형 문제가 있는데, 2000년 괄호 넣기식 문제로 처음 등장한 이 유형은 서술형 문제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근래 많이 출제되고 있고, 문제의 유형도 중국어 설명을 읽고 답을 쓰는 문제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어 설명을 제시하고 답을 쓰도록 요구하는 문제도 나오고 있다.


 

◈ 유형별 문학 문제의 종류와 내용
▪작품 지문 제시형
1. 작가, 작품, 유파 등에 관한 지식
2. 작품의 구체적인 자구와 관련된 문제 : 대우법, 형식상의 종류, 문장 해석
3.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서술평
1.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큰 사건
2. 시대별 문학 상황, 배경, 특징
3. 유파나 장르에 대한 종합적인 서술

▪단답형
1. 주요 작가명, 작품명, 저작명
2. 중국 문학의 장르 명칭 및 장르별 주요 용어와 개념
이상의 세 가지 유형은 동시에 한꺼번에 출제될 가능성은 별로 없지만, 세 가지 모두 언제든 출제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근래에는 작품 지문 제시형 문제와 단답형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지만 서술형 문제도 ‘○○○에 대하여 X, Y, Z를 고려하여 ①~~,②~~,③~~을 핵심어를 사용하여 각각 ○○자 이내로 서술하라’와 같이 서술 조건, 서술 대상, 서술 항목, 서술 내용
, 서술 분량 등을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답안이 이미 상당치 표준화되었다고 할 수 있고 따라서 향후의 출제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4. 중국어문법
순수한 문법 문제의 비율만을 따진다면 그 비중이 아주 크다고는 할 수 없지만, 중국어문법은 작문이나 독해와 아주 밀접한 연관을 가진 분야이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신경을 많이 쓰는 분야하고 할 수 있다.
가장 전형적인 유형의 문법 문제는 역시 오류문 수정형 문제이다. 이 문제는 문법의 활용능력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류문의수정 근거를 서술하도록 요구하고 있어 그 과정에서 문법지식을 직접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전형적인 문법 문제라고 할 수 있고, 또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출제되어 온 문제라는 점에서도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오류문 수정형 문제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출제되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약간씩의 변화가 있었다. 우선 오류문을 수정할 때 자구의 첨삭을 허용하는 경우와 자구의 첨삭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문제 앞에 예시를 두어 수정 근거를 서술할 때 서술 요령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다가 나중에는 예시를 제시하지 않게 되었다. 수정 근거를 서술하는 문장의 글자수 제한이 조금씩 달랐고, 최근에는 아예 수정 근거의 서술을 요구하지 않고 오류문 수정만 요구하는 문제도 출제되었다.


 

◈ 오류문 수정형 문제의 세부 유형
1. 오류문 수정시 자구 첨삭 허용 여부 : 불허 혹은 허용
2. 수정 근거 서술의 예시 여부 : 예를 제시 → 제시하지 않음
3. 수정 근거 서술시 글자수 제한 : 30자 내외, 20자 내외 → 30자 이내, 40자 이내, 50자 이내 등
4. 수정 근거 서술 여부 : 서술을 요구 → 요구하지 않음
수정 근거의 서술을 요구하는 경우, 지금은 문제에 수정 근거 서술의 예를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과거에는 예를 제시한 경우가 많았으므로 그 때 제시된 예를 살펴보는 것이 근거 서술의 요령을 파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2000년 기출문제의 한 예를 보자.
문항 ⇒ 可以你的词典借用以下吗?
수정 ⇒ 你的词典可以借用以下吗?
근거 ⇒ 조동사는 동사 앞에 놓는다.
이 예에서 우리가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근거가 무엇을 타겟으로 작성되었는가이다. 다시 말해서 왜 ‘조동사는 주어 앞에 올수 없다’가 아니고 ‘조동사는 동사 앞에 놓는다’인가 하는 것이다.
비슷한 예를 들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이 수학 지식에 근거해서 구부러진 선을 직선으로 고쳤다. 그에게 굽은 선을 직선으로 고친 ‘근거’를 묻는다면 뭐라고 말할까? ‘굽어있는 선은 직선이 아니므로’라고 할까? 아니다, 그는 아마도 ‘직선이란 2차원 평면상의 두 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문법 문제도 마찬가지다. 수정의 근거라는 것은 무엇이 올바른 문장의 성립을 보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문법적으로 바른 문장을 바른 문장이게 하는 그것이 바로 오류문을 수정하는 근거인 것이다. 그래서 근거는 수정된 문장을 타겟으로 하여 수정된 문장을 성립시키는 조건을 서술해야 한다.


 

◈ 오류문 수정형 문제의 수정 근거 서술
오류문과 비교할 때 수정된 문장을 문법적으로 바른 문장이게 하는 조건이나 요소가 무엇인지를 찾아서 적절한 문법용어를 구사하여 서술한다.
이 밖에도 문법 문제로는 전치사 괄호 넣기, 양사 괄호 넣기, 보어 괄호 넣기, 보어 고쳐 쓰기, 형식적으로 유사한 두 가지 보어의 비교 등이 출제되었다. 이런 문제들은 모두 문법 능력을 활용하여 풀도록 되어 있는 문제이므로 사실상 문법실력뿐 아니라 종합적인 중국어실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5. 중국 현대문학, 고전문학, 경전 텍스트 독해
현대문학 작품은 비교적 꾸준히 독해 문제의 지문으로 출제되어 왔다. 현대문학 작품을 지문으로 삼았을 뿐, 그 아래 출제된 문제는 대부분 일반적인 독해 문제와 같기 때문에 문제의 유형이나 특징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할 것이많지 않다. 지문으로는 대개 산문이나 소설의 일부가 출제되고 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작품의 작자를 묻는 문제나 작품의 제목을 묻는 문제는 곧잘 출제되고 있으므로 현대문학사에 등장하는 주요작가나 작품에 대해서는 알아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주 잘알려진 작품이 지문으로 나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개는 문제에서 힌트를 주기 때문에 현대문학사 지식을 활용하면 풀 수 있다.

 

고전문학 작품으로는 앞서 3)중국문학 개론 부분에서 언급한 시 ․사를 지문으로 한 문제 되에도 고전 산문 작품이 곧잘 출제되고있다. 이런 지문들 가운데에는 문학사적으로 잘 알려진 산문 작품도 있고, 고사성어를 내용으로 한 고문 문장도 있다. 고문의 허사나 문법에 관한 문제가 간혹 출제되었으며, 해석 문제나 파음자 관련 문제도 출제된 바 있다. 또 고전문학 작품을 지문으로 삼
았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독해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단어나 글자가 가리키는 바를 묻는다든지 하는 식으로 내용의 이해에 관한 문제도 출제되었다.
경전 텍스트가 등장하는 경우는 대개 고대 교육사상이나 사회사상과 관련된 문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문장의 해석을 요구하거나 그러한 해석 능력을 전제로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6. 중국어교육론 (어학개론의 응용, 교육과정, 교과서 ․지도서 분석 등)
교과교육학 분야는 전공중국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교과에 비해 발전이 더디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어학 관련 지식의 응용문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는 중국어교과 교육학 관련 연구서나 교재가 전무한 상황이지만 곧 중국어 교과교육학 관련 서적이 출간된다고 하니 그 이후에는 교과교육학 관련 문제의 유형이나 내용에도 일정한 변화가 예상된다.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도 대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와 중국의 교육사상 혹은 사회사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출제되어 왔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중국사상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했던 측면이 있다. 물론 2004년에는 교육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이 아주 구체적으로 문제화된 바 있기 때문에 일본어와 영어 등의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로 교육과정의 내용과 체제에 대해서는 거의 암기수준에 가깝게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교과서나 지도서와 관련해서는 간접적으로 출제에 반영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교과서나 지도서의 문화 관련 안내박스에 설명되어 있는 내용이 다른 형태로 응용되어 문제로 출제되거나 교과서의 본문이 변형을 거쳐 지문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그런 예이다.

 

7. 중국문화
근래 들어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 사회적으로 문화와 관련된 트렌드가 형성되면서 중국문화 관련 문제가 빠지지 않고 출제되고 있다. 다만 문제의 심도를 따져보면 아주 깊이 있는 이해를 요구하거나 아주 세부적이고 정확한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므로 상식의 수준에서 중국의 전통이나 풍습, 각종 명절과 기념일, 언어 관념, 동물이나 숫자 상징, 음성 상징, 사회 구조, 제도, 문물, 예술 등의 각 분야에 대해 알아드는 것이 필요하다.

분야별 시험 준비 요령

각 분야별로 시험 준비 요형을 얘기하기에 앞서 슬기롭게 수험생활을 치른 끝에 직장을 그만두고 결혼한 주부의 상황에서 집중력과 끈기를 가지고 좋은 성적으로 합격한 한 선생님의 조언을 요약해서 짧게 살펴보자.

1. 합격수기는 중국어 말고 다른 과 합격자의 것도 읽자. 단, 합격수기는 타인의 경험이니 찬고만 하되, 자신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은 반복해 읽으면서 자극제로 삼자.
2. 자신의 미래 합격수기를 미리 써보자. 공부하다가 딴생각 나고 집중 안 되면 합격수기 비슷하게 써나간다. “이건 이렇게, 저건 저렇게 공부하세요. 전 이렇게 해서 도움 됐어요. 전 이렇게 해서 후회했어요.” 그럼, 동기부여가 될 뿐 아니라 자신의 공부 방법을 곰곰이 따지고 반성하게 된다.
3. 공부하면서 교육학 이론을 십분 활용하자. 메타인지, 귀인이론, 기억/망각이론, 각종 교육방법이론 등등, 교육학 공부, 수험방법에 적용해보면 많은 도움이 된다.
4. 스터디 멤버 사이에는 동료의식과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자곡이라고 생각하자.
5. 선생님과 친해지자. 그리고 강의 때는 가급적 앞쪽에 앉자. 집중도, 효율 등이 확실히 다르다.
6. 여건이 된다면, 인터넷 강의나 tape 보다는 직강이 낫다.
7. 수험 기간에는 외모 관리를 포기하자. 친구약속도 미루자. 경조사도 최대한 빠지자, 아르바이트도 최대한 줄이다. 희생이 필요하다. 딱 1년만……
8. 먹는 데 아끼지 말자. 신경과민으로 병 생기기 쉽다.
9. 자기 상황이 불리하다는, 공부를 너무 안하고 있다는, 시간이 너무 없다는 편견을 버리자, 이런 고민을 하는 당신은 이미 승부욕이 강한 멋진 수험생이다.
10. D-day를 초등임용시험 날짜에 맞추자. 기중을 아예 초등시험으로 잡고, 나중에 1~2주 번다고 생각하자.
11. 귀에 석고를 바르자. 온갖 루머가 난무하는 게 임용고사 수험생 분위기이다.
12. 전공시험, 스펠링에 유의하자. 한자 획 하나만 틀려도 오답, 한글 맞춤법 틀려도 오답이 된다.
13. 합격하면 어찌 어찌 하겠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자, 새로운 동기가 유발된다.
14.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이른 시간이다. 시간 없고 초조한 마음 들 때 이렇게 생각하자. “지금으로부터 한 달이 지나면, 지금 이 시간을 무척 그리워하게 될 거야.”
15. 위에서 이미 말했듯 남 애기는 남 얘기일 뿐, 이 얘기도 참고만 하자.
이 밖에도 많은 합격자들이 ‘자신만의 학습 방법과 전략을 찾을 것’, ‘남들이 좋다고 말하는 자료나 교재에 지나치게 얽매이지말 것’, ‘규칙적인 생활을 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 ‘내적 동기를 찾을것’과 ‘초반에는 뚝심 있게 밀어붙이고 후반에는 요령 있게 학습 방법을 조율할 것’도 합격자들의 경험담에서 자주 언급되는 이야기이다.
1. 중국어 일반
2차 시험에서 중국어 원어 면접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몇 개 지역을 제외하면, 중국어 능력은 오로지 필기시험을 통해서만 평가되며, 필기시험 문제 가운데 중국어 실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 문제는 주로 독해나 작문의 유형으로 출제되고 있다.


 

■ 독해
수험생들이 독해 공부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참고서들을 보면 대체로 기출문제에 지문이 출제된 적이 있는 책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교재 선택 방법이 아니다. 왜냐하면 독해 공부를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문장을 미리 봐두기 위한 공부가 아니라 시험에 출제되는 문장을 일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공부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독해 교재는 자신의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해 선택하는 책이므로 다음과 같은 선택 기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독해 공부용 참고서 선택 기준
1. 책의 편제와 구성이 본인(혹은 스터디 구성원들)의 마음에 드는 것일 것.
2. 문장의 수준이 복습할 때는 부담스럽지 않을 수준일 것.

다음으로 독해 공부의 방법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자. 전공중국어 시험의 독해는 속독을 요구하지 않는다. 정확하고 적절한 내용 파악, 그리고 정교한 문장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 즉 정독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독해 공부는 양과의 싸움이어서는 곤란하다. 언제나 질과의 싸움을 추구하는 공부를 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라도 더 정확하게, 하나라도 더 꼼꼼하게, 하나라도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공부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시간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학습방법을 응용해 볼 수 있다.

◈ 독해 공부의 방법
1. 여러 권의 책을 보기보다는 한 권 혹은 두 권 정도의 책을 반복적으로 본다.
2. 노트를 마련하여 독해 지문, 단어, 표현, 구문, 해석 등을 하나하나 써 본다.
반복을 통해 처음 볼 때는 보지 못했던 것을 읽어내고, 오해했던 것을 바로잡고, 표면에만 머물렀던 해석이 이면에 숨겨진 함의까지 파악하는 해석이 되는 경험을 가져야만 독해력이 자란다. 물론 양을 늘리는 공부를 통해서도 이것은 가능하지만 반복학습보다는 덜 효율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 외국어 교육 경험자들의 조언이다. 그리고 문장을 꼼꼼하고 정확하게 보는 것이 몸에 익어야 하므로 가능하다면 노트를 써가면서 공부하는 것이 좋다. 물론 학습자 자신의 계획에 맞게 양과 수위를 조절해야 한다. 시간이 부족하다면 잘못 이해했던 문단, 틀렸던 문장 같은 것만 노트에 써서 정
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 노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제 시험의 한자 쓰기에서 필획이 혼동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방법도 된다.


 

■ 작문

작문(造句)에 대한 시험의 요구 기준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작문에 대해 요구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것을 먼저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한 말의 일대일 옮김이 아니라 의미의 옮김이다
. 그리고 이는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모든 행위에 있어서 공통된 추구이기도 하다. 그래서 작문의 결과는 어떤 절대적인잣대로 평가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시험은 분명한 평가 기준을 가지고 채점을 해야만 하는 게임이다. 따라서 우리는 시험이 작문 문제에서 요굴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시험은 문제의 제시어와 같은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고 해서 모든 문장을 답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아’와 ‘어’의 차이도 중요할 수가 있다. 아래 예를 보자.

문 : 그가 잠에 들지 못하는 것은 커피를 마셨기 때문이다. (‘是’와 ‘的’ 사용)
A : 喝咖啡是他睡不着的原因。
B : 他睡不着是喝咖啡喝的。

위의 답안 A와 B는 모두 문법적으로 하자가 없는 문장이다. 그리고 문제에 제시된 말의 의미를 중국어로 옮기고 있는 것도 사실이
다. 그러나 우리는 답안 A가 전답으로 처리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왜일까? 그것은 다시 문제의 제시어로 돌아가 보면 알 수
있다.
‘그가 잠에 들지 못하는 것은 커피를 마셨기 때문이다’를 ‘是’와 ‘的’를 사용해서 표현하라는 것은 ‘是~的’구문 중에서 원인을 표시하는 구문을 사용하라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원인을 표시하는 ‘是~的’구문은 답안 B처럼 ‘주어+是+동사+목적어+ 동사+的’의 형식이다. 그런데 답안A는 문제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따르고는 있지만, 문제의 의도에는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작문 문제가 어려운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출제 의도에 정확하게 다가가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출제 의도에 얼마나 다가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 한 가지 방법은 자신이 쓴 답안을 놓고 다시 그것을 문제로 만들어 보는 것이다. 출제자가 ‘ 喝咖啡是他睡不着的原因。’라는 답을 염두에 두고 문제를 냈다면 문제의 제시어에 ‘그가 잠이 들지 못하는 것은 커피를 마셨기 때문이다’라고했을까를 거꾸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여기에 생각이 미쳤다면 답안 A가 그다지 적절하지 못한 답이라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작문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가장 적절하고 좋은 답을 추구하는 학습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단순히 문장이 문법적으로 성립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만을 따지지 말 어떻게 작문하는 것이 문제가 요구하는 답에 더 다가가 있는 것인지를 늘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 작문에서의 실수를 극복하기 위한 노트 활용법
1. 틀렸거나 혹은 정답에 못 미치는 답을 작성했던 문제를 노트에 옮겨 적는다.
2. 잘못 쓴 답과 함께 자신이 그렇게 한 이유를 메모한다. (정답도 함께)
3. 노트를 계속 자성해 가는 한편, 작성된 부분을 반복적으로 복습한다.
이 과정에서는 노트의 활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연습문제를 풀어보면서 정답과 비교했을 때 정답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답안을 작성한 경우에는 그 문제를 노트에 메모하고 자신이 무엇 때문에 부족한 답을 작성했는지도 함께 메모래 보는 것이다. 물론 오답의 경우는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렇게 노트를 계속 작성해 보면 자신의 한계와 편향이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그것을 스스로 의식하게 되므로 같은 실수의 반복을 줄일 수 있다. 어느 정도 노트의 분량이 쌓이면 그것을 반복적으로 훑어보는 것도 매우 효과적이다.

 

■ 숙어
성어, 속담, 관용어, 헐후어 등은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암기 위주의 학습을 하고 있다. 특히 그 동안의 단골메뉴였던 성어는 적게는 2~3백 개에서 많게는 1~2천 개까지 리스트를 들고 날마다 일정량을 외우고 있는 수험생을 자주 보게 된다. 이 영역은 이와 같은 기족의 방법으로 학습하면 충분한 것일까? 멸도의 학습전략은 과연 필요치 않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많은 수험생들이 외워야 하는 성어의 양 때문에 부담스러워 하고, 또 외웠는데도 금방 기억에서 사라지고 마는 성어들 때문에 골치 아파하고 있다. 또 관용어가 요새 많이 나오는데, 관용어는 대체 얼마만큼 외워야 하는지 궁금해 한다. 이런 몇 가지 문제는 수험전략상 분명한 교통정리가 필요하고, 또 그에 상응하는 학습방법도 필요하다.
먼저 성어는 유형이나 우선순위를 나누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 성어를 유형에 따라 나눈다면 다음의 몇 가지 틀이 도움이 될 것이다.


 

◈ 성어 유형 나누기
1. 성어고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고사형 성어’.
2. 한국어 성어와 비교할 때 동형동의인 것, 동형이의인 것, 이형동의인 것.
3. 성어의 내부 문법구조에 따른 분류.
4. 성어간의 동의관계 또는 반의관계에 따른 묶음.
중국어의 성어 중에는 그에 얽힌 이야기를 알고 있어야만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것, 혹은 고사에 대한 이해가 성어의 의미 파악에 큰 도움을 주는 것들이 있다. 이미 시험에 출제된 적이 있는 ' 画蛇添足', '狐假虎威','指鹿为马' 등이 그런 예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성어는 따로 분류해서 고사를 파악해 두고, 기회가 된다면 성어고사의 고문 원문도 한 번쯤 읽어 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사형 성어 중에서도 한국어에서 쓰이는 성어와 형태가 같은 것은 형태가 다르거나 한국에 없는 성어보다는 더 우선순위를 두어서 익혀야 할 것이다.
또 한국어에서 쓰이는 성어와 형태 및 의미가 모두 같은 것, 형태는 같은데 의미가 다른 것, 의미는 같은데 형태가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을 따로 정리해 봐야 하는데, 동형동의인 것으로는 ‘천편일률 : 千篇一律’, ‘일거양득 : 一举两得’ 같은 것이 있고, 이 형동의인 것으로는 ‘주마간산(走馬看山) : 走马观花’, ‘여유작작(餘裕綽綽) : 绵绵有余’ 등이 있다. 여기에 속하는 성어들은 한국어와의 유사성 때문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사형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두어서 정리해야 한다.
이외의 대다수 성어는 성어를 구성하는 글자들을 하나하나 해석해보면 의미 파악이 가능하다. 이런 성어들은 각 글자들이 구성하는 문법적 관계에 따라 정리해 보면 편하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식이다.
① 주어(2)+술어(2) : 八仙过海, 毛骨悚然, 尽人皆知, 手足无措 등
② 수식(2)+피수식(2) : 百年大计, 年年不忘, 雨后春笋, 纸上谈兵 등
③ 수식(2)+허사(1)+피수식(1) : 不速之客, 半途而废 등
④ 술어(2)+목적어(2) ;包罗万象, 颠倒黑白 등
⑤ 술어(1)+목적어(3) : 出人头地, 动人心弦 등
⑥ 부사어(1)+술어(1)+목적어(2) : 不成体统,别开生面,独具匠心 등
⑦ 술어(1)+목적어(3) : 为所欲为, 无所不为 등
⑧ 술어(1)+목적어(1)+술어(1)+목적어(1) : 断章取义,立干见影 등
......
이상은 단지 몇 가지의 예시에 불과하다. 학습자에 따라 분류의 틀이나 종류도 달라질 수 있고, 방법도 달리할 수 있다. 성어를 익힐 때 반드시 이러한 분류에 따라서 리스트를 작성하자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구조에서 성어의 의미가 나오는지, 각 글자들의의미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를 이해하면 된다.
이 방법을 권하는 이유는 이러한 학습방법은 ‘이해의 생산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즉 이렇게 성어를 익히면 전혀 모르는 성어를보더라도 쉽게 유형이 파악되고 유형과 글자 의미만을 가지고 성어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무조건 외웠을 때보다는 생산력의 측면에서 훨씬 유리한 방법인 것이다.
이렇게 글자의 의미를 따져가면서 성어를 익히다 보면 어떤 글자는 현대중국어에서 그 글자가 가지는 의미와는 다르게 사용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럴 때는 그 글자가 포함된 성어를 한꺼번에 훑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래의 예를 보자.
爱不释手, 爱不忍释, 如释重负, 手不释卷
현대중국어에서 ‘释’자는 ‘해석하다, 설명하다’ 또는 ‘풀다’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는데, 고문에서는 이 글자가 ‘놓다, 버리다’의 의미를 가진다. 위의 성어들을 보면 '释'자가 모두 ‘놓다, 버리다’의 의미로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특정 글자가 포함된 성어만 함께 모아서 보는 것도 성어의 의미 파악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동의 관계에 있는 성어나 반의 관계에 있는 성어를 묶어서 공부하는 것도 좀 더 입체적으로 성어들을 익힐 수 있게 해준다
.
◈ 속담, 관용어, 헐후어의 학습
1. 각각 1~2백 개 정도의 수량으로 정리된 책이나 자료를 활용하자.
2. 암기위주로 하기 보다는 의미 이해를 위주로 하자.
3. 예문이 있다면 예문을 꼭 보자.
다음은 속담, 관용어, 헐후어 학습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근래에 관용어가 자주 출제되면서 이들 숙어도 시험공부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 숙어들을 성어처럼 대량으로 학습할 필요까지는 아직 없으니 선배들이 추천하는 책을 주로 활용해서 각각 1~2백 개 정도로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속담, 관용어, 헐후어를 익힐 때는 문면에 드러나는 말의 뜻과 그것이 유츄, 인신, 비유를 통해서 실제로 나타내는 뜻을 함께 익
혀야 한다.

▪说曹操,曹操就到。
조조 이야기를 하면 조조가 온다. →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
▪开夜车
밤차를 몰다. → 밤을 새다.
▪外甥打灯笼 → 照旧(舅)。

외조카가 등불을 들다. —외삼촌을 비추다. → 이전처럼(해오던 대로) 하다.
이 숙어들을 이렇게 익혀야 하는 이유는 역시 중국어적인 숙어표현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시험문제가 반드시 공부했던 숙어에서 나오란 법이 없으므로 이렇게 의미 파악을 통해서 실제 쓰이는 뜻을 이해하는 연습을 해두어야 낯선 숙어도 문맥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같은 이유로 예문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헐후어는 아직 출제된 적이 없지만, 다른 숙어와 달리 앞뒤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형식이 독특하므로 그 형식을 잘 알고 있어야겠고, 유독 해음(谐音)현상의 활용이 많으므로 이 점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2. 중국어학개론 (총론, 음성‧음운, 문자, 어휘, 일부 전통언어학 관련 분야)
중국어학개론은 앞서 출제 경향과 내용을 검토하면서 분석한 것처럼 점차 응용문제화하고 있는 –혹은 응용문제화할 수밖에 없는 –현대중국어 관련 분야와 여전히 개념이나 용어에 관한 지식이 중요한 전통언어학 관련 분야를 구분해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
중국 전통학문의 영향 하에서 발전한 문자학, 성운학, 훈고학을 전통언어학이라고 하는데, 이 가운데 훈고학이나 성운학은 대학 커리큘럼 내에서 그다지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는 분야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문자학은 조금 깊이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들 분야에 대해서는 개념과 용어를 중심으로 정리하되 중요한 인물, 사건, 저작 등도 함께 정리해 두도록 한다.
중국어 유형 및 형성에 관한 일반론, 중국어의 발름 체계에 관한 음성학 및 음운론, 어휘의 구조, 형태 등에 관한 어휘론 등은 주로 현대중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들인데, 이러한 분야에 대해서도 물론 개념과 용어를 실제 중국어에 적용하여 여러 가지 현상을 풀어볼 수 있도록 익혀 두어야 한다.

 

◈ 어학개론 : 두 개의 유형, 두 개의 대책
1. 중국어의 역사나 전통언어학(小學) 관련 문제 → 개념, 용어, 사건, 인물, 저작 등을 중심으로 정리
2. 현대중국어의 음성/음운, 어휘, 문자 및 규범에 관한 문제 →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실제 현상에 적용 가능하도록 연습
중국어학개론은 중국어에 관한 언어학적 지식을 다루는 영역이다. 중국언어학의 속성을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개념의 게임’ 이라고 할 수 있다. 용어의 개념이 명확해야 나머지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어학 관련 분야의 학습에는 용어가 가지는 함의에 대해 먼저 분명하게 파악해야 한다.
그런 뒤에 개념만으로는 모호하게 느껴지는 부분을 충분한 예를 통해서 보충해야 할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용어를 제시했을 때 그것의 함의를 설명할 수 있고, 그에 관한 예를 셋 이상 들 수 있어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그런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일단 중국어학 공부는 이를 목표를 삼는 것이 좋다.
3. 중국문학개론 (중국문학사)
중국문학과 관련된 문제는 앞서 기출문제의 경향을 검토하면서 정리한 것처럼 대략 세 가지의 유형으로 정리된다. 작품 지문 제시형과 서술형, 단답형 문제에 대한 대비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중국문학개론 전반에 대한 학습 전략이 나오게 된다.
우선 서술형 문제는 중국문학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사건이아 각 시대별 문학 상황과 그 배경에 대한 서술을 요구하는 문제, 또는어떤 장르의 발생과 역사적인 변천에 대한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중국문학사의 흐름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느냐가 관건이 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중국문학사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문학사적인 흐름만을 익혀서는 곤란하다. 기본적으로 중국 사상이어떤 흐름으로 전개되었고 그것이 문학에 어떤 영행을 주었는지, 시대별로 사회경제사적인 측면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으며 그것이 문학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 각 왕조의 제도나 문물이나 정책은 어떠했으며 그것과 문학의 관계는 어떠한지 등등 문학사의 배경이 되는 요소들에 대하여 파악하고 정리해 두어야 한다.
그런 다음 그러한 배경 요소들 속에서 문학사는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문학 내적인 변화는 각 장르 간에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개되었는지를 정리해 보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르별로 흐름을 정리하면서 거기에 영향을 준 장르와 반대로 거기에영향을 받은 장르를 연결시켜 보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중국문학사 전체의 흐름이 파악되고 그 흐름의 틀 안에서 각각의 장르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가 파악되어야 한다. 가시 말해서 숲이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적인 사항들이 가지는 의미가 빠르게 파악될 수 있다.
단답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이런 정리를 단순하게 ‘항목–내용’으로 요약해서 암기하려고 해서는 곤란하다. 그 보다는 앞서 얘기한 것처럼 문학사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 기초 위에서 문학사를 구성하는 인물, 작품, 저작 및 장르와 용어 등에 대해서 확인을 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숲을 파악하고 숲 안에서 나무들을 하나하나 파악해 가는 방식이다.


 

◈ 문학개론 : 숲에서 나무로
문학사 전체의 흐름을 파악한다. / 장르의 발생과 변화의 궤적을 이해한다.
→ 정치적 배경, 사회적 배경, 경제적 배경, 사상적 배경과 함께 시 대별, 장르별 주요 인물, 작품, 저작, 명칭, 용어에 대해 정
리한다.
→ 문학사의 흐름 안에서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중심으로
다음으로 작품 지문이 주어지는 문제들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분량의 작품에 대한 독해와 그 특징에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검토할 작품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대학 교재로 유통되는 작품선집류의 책을 기분으로 삼는 것이 좋다. 그리고 작품 강독 수업에서잘 다루어지지 않는 장르는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고, 주로 다루어지는 고전시, 고전산문, 당송사 등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작품을 읽을 때는 곧바로 작품으로 뛰어드는 것보다는 작품을 읽기 전에 그 장르의 형식상의 특징을 문학사 책이나 문학개론 책을통해서 정리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유파에 따라서 나타나는 특징이나 작품의 작자에 대해서도 미리 알아보고 난 다음 작품의 독해로 들어간다.
작품을 읽으면서는 앞서 검토한 장르의 특징이나 유파의 특징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피면서 읽어나가되, 고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자구의 해석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준비가 어떤 작품이 시험에 나올 것을 예상하고 그것에 대비하는 것이 아니라 미처 본 적이 없는 작품이 시험에 나오더라도 읽고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 문학작품 강독 : 문학개론 지식을 최대한 활용
장르의 특징, 유파의 특징, 작품의 작자를 먼저 알아본다.
→ 그런 다음 그 특징들이 구체적인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핀다.
→ 자주의 해석에 주의하면서 ‘독해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
→ 내용이나 구절을 기억하는데 급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중국어문법
문법은 수험생들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영역이다. 그런데 문법을 공부하면서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가 배우고 익히는 문법은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진 실용적인 것이며, 따라서 문법 공부도 중국어 학습의 보조 수단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생각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문법을 공부할 때 문법책에서 설명하는 어떤 규칙을 머리로 기억하는 것보다는 그에 앞서  그와 관련된 중국어 문장이나 표현을 익혀두는 것이 좋기 때문이며, 최소한 이 두 가지가 함께 병행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중국어 자체는 잘 모르면서 문법 규칙만 머리 속에 담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바꾸면 ‘이론→사실’의 방향으로 공부하기보다는 ‘사실→이론’의 방향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법 실
력은 언제나 중국어 실력에 비례하게 되어 있다.

 

◈ 중국어 문법 : 중국어를 먼저, 문법규칙은 그 다음에
문법 참고서를 볼 때는 규칙에 대한 실명보다 예문을 더 우선적으로
→ 실제 중국어에서 그 규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모르면 규칙은 무용지물
문법 문제는 오류문 수정형 문제가 많고, 그 외에 어순 배열 문제, 주요 문법 성분 괄호 넣기 문제 등이 있는데, 무엇보다도 ‘어
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것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역시 허사와 관련된 문제이고, 보어에 관한 문제나 문장의 구조적 특징
에 관한 문제도 있다.
이런 사실은 문법 공부도 오답노트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문법 연습문제를 풀면서 자신이 틀렸던 것 혹은 잘 몰랐던 것은 반드시 노트에 메모하고, 나중에는 그것을 반복적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법 문제는 항상 맞느냐 틀리냐의 문제이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잘 몰랐고 왜 틀렸는지를 파악하고 그 부분을 장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실수를 줄이는 방법이 된다.


 

◈ 문법 문제 대비 ; 오답노트를 활용
문법문제는 결국 정오(正誤) 판단의 문제 →스스로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아야 쉽게 정복
5. 중국현대문학, 고전문학 강독
많은 현대문학 작품과 고전문학 작품을 다 섭렵할 수는 없는 문제이므로 우선적으로 시중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작품선집을  참고하여 주요 작품을 읽어보도록 해야 한다. 굳이 작품의 우선순위를 매긴다면 여러 권의 작품선집에 모두 등장하는 작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거기에 문학사적인 중요도를 함께 고려하면 어느 정도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문학작품을 지문으로 한 문제는 기본적으로 독해문제이기 때문에 앞서 독해 학습 요령을 서술하면서 이야기했던 사항들을 똑같이 적용해 볼 수 있다.
그 외에 지문이 문학작품이기 때문에 출제되는 문제는 주로 작품의 제목, 작자의 이름, 작품의 장르적 특징, 유파의 특징, 문학사적 의의 등이다. 따라서 작품을 강독할 때는 이와 같은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문학작품 강독 : 문학사적 지식에 유의
작품과 관련된 문학사적 지식을 항상 함께 확인 → 작품의 제목, 작자, 장르적 특징, 유파의 특징, 문학사적 의미 등
또 고문을 읽을 때는 현대중국어와 다른 허사의 특징이나 문장 구조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문도 어순이 중요한 문법 관계를 나타내 주며, 허사를 쓰느냐 안 쓰느냐에 따라서 혹은 어떤 허사를 쓰느냐에 따라서 문법 관계와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문을 읽을 때도 어순상의 특징과 허사의 활용을 주의 깊게 보아야 하며, 현대중국어 문장에는 나타나지 않는 특유의 요소들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이런 고문의 특징은 사자성어에도 많이 나타나므로 평소 익혀두었던 사자성어에서 비슷한 특징을 가진 예를 연결 시켜 생각해 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된다.

6. 중국어교육론 (어학개론의 응용, 교육과정, 교과서․지도서 분석 등)
교과교육학 부분은 앞서 출제 경향 검토 부분에서 지적한 것처럼 아직까지는 어학개론의 응용문제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어학개론에서 다루는 내용에 충실을 기하고, 그것을 스스로가 응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학습하는 것이 좋겠다.
또 지도서를 검토해 보면 어학개론 지식이나 문법 지식 등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곳곳에 적시되어 있는데, 이를 잘
검토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즉 교육과정의 세부적인 내용 하나하나는 물론, 교육과정 전체의 얼개에 대해서 잘숙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에게 교육과정의 이해는 필수적인 것인 만큼 시험에서도 언제든 수험생에게 그것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7. 중국문화
앞서 얘기한 것처럼 중국문화에 관한 문제는 심층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가 아니라 중국의 사회, 전통, 풍습, 명절, 기념일,
예술 등에 대한 상식을 요구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대비도 그러한 시험의 요구 수준에 맞게 해야 한다
.
그런 점에서 가장 좋은 자료는 역시 각 교과서와 지도서에 소개되어 있는 중국문화 관련 내용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출제된 것만보면 교과서나 지도서에 소개되어 있는 내용 정도를 알고 있으면 충분한 그런 문제들이었다.
또 각자의 필요에 따라 문화 관련 서적을 직접 읽고 공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 시중에 많은 책이 나와 있으므로 그 가운데서 시험의 요구 수준에 맞고 정리도 잘 되어 있는 책을 골라 틈틈이 읽어보는 것도 좋겠다.
중국어 임용고시 주요 참고 도서와 설명참고서는 수험생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본인이 보기 편한 책을 선정하여 확실히 자기 것으로 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
국어 임용고시 주요 참고서는 많이 보는 책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혹 학원 수업을 들었던 분이나 들으려고 계획하는 분이면 학원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우선적으로 열심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이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들을 우선적으로 교재에 싣고 수업시간에 다루기 때문입니다.

 

(一) 어 학
〈문법〉
实用现代汉语语法, 劉月华 등 저,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원서)
现代中国语文法, 劉月华 등 저, 李靚植 외 共译, 大韩教科书株式会社
중국어문법(올인), 류기수, 시사중국어문화원, 2003
중국어포인트999, 류기수, 중국어문화원, 1998
현대중국어문법, 맹주억 저, 청년사, 1998
최신 중국어법 노트, 김태성 지음, 문예림
현대중국어실용어법, 최병덕 외 옮김, 고려원, 1996
학교문법, 류기수, 도서출판 컴리빙닷컴
중국어문장 바로쓰기(Ⅰ), 김현철 외 편역, 신아사
중국어문장 바로쓰기(2), 김현철 외 편역, 신아사 (얇음)
實用漢語語法三百点, 戴雪梅 외, 新世界出版社(원서)
쪽집게 중국어 문법, 류기수, 도서출판 열린배움지기
퀴즈퀴즈중국어중국어문법, 胡振剛․兪稔生 저, 기화룡 역, 시사중국어문화원
汉语病句辨析九百例, 程美珍 主编, 北京, 华语教学出版社(중국어문장바로쓰기2 원서)
實用漢語語法三百点, 戴雪梅 张若莹 著,新世界出版社(원서)

→ 설명
오문장 수정문제는 해마다 4-12점 정도로 출제된다. 문법책을 한 두 번 본 후에는 문제를 통하여 다시 이론을 재확인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문법책 역시 위에 소개된 책 이외에도 정리가 잘 되어 있으면서 자기가 보기 편한 책을 선택하여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문법책에서도 문제를 겸하고 있어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다.

 

〈문자학과 성운학 참고〉
中国语学概论,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국어란 무엇인가, 최영애, 통나무
中国言语学, 曺喜武, 조선대학교출판부
中语学基础, 金相根 编, 중앙대출판부, 1995
〈부분적 참고〉
中国言语学史(上,下), 李炳官, 金铉哲 등 共著, 도서출판 宝盛, 1999
汉字学总论, 李敦柱, 博英社 (문자학, 성운학, 훈고학 설명)
훈고학의 이해, 周大璞 著, 정명수․장동우 옮김, 동과서

 

(二) 문학사
中国文学史(Ⅰ․Ⅱ), 김학주 외 공저,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8
中国文学史, 金学主 저, 新雅社, 1996
中国文学发达史, 劉大杰, 中华书局(원서)
中国文学史(一, 二, 三, 四), 游国恩 등 主编, 人民文学出版社, 1994(원서)
→ 설명
임고준비를 위하여는 문학사 공부를 너무 난해한 수준으로 할 필요가 없다. 평이한 내용
의 교재로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원서는 부분적으로 내용을 참
고하며 또 고유명사를 확인할 때 필요하다. 모든 고유명사는 간체자로 연습한다.

 

 

(三) 독 해
<현대한어〉
*高级汉语口语,章纪孝 主编,北京语言文化大学出版社 (두차례 이상 출제됨)
*高级汉语教程(1,2,3),北京语言文化大学出版社 (세차례 이상 출제됨, 1권과 2권에서)
中级汉语教程(上, 下), 北京语言文化大学出版社
汉语高级教程(1,2),姚殿芳 主编,北京大学出版社
文学閱读, 任以珍 杨寄洲 姚可心 编, 北京语言学院出版社(한차례 출제됨)
高级汉语口语(上,下),祖人植,任雪梅 编著,北京大学出版社
高级中国语․Ⅱ, 韩昌洙․安炳国 공저,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解说新中国语(3~5권), 北京语言学院 编, 중국어세계사

 

고급HSK(독해문장)
(문화)中国文化面面观, 华语教学出版社
(문화)走进中国(中级本, 高级本), 北京大学出版社
(문화)说汉语谈文化, 北京语言大学出版社
*”는 그동안 임고를 준비하는 많은 분들이 보는 자료입니다. 그런데 최근의 임용고시 독해 수준을 보면 어려운 독해문장 보다는평이한 혹은 중급수준의 독해지문이 대부분 제시됩니다. 위에 제시된 책이 아니더라도 북경어언문화대 교재위주의 책으로 공부해도 무난하다고 봅니다. 다만 중급수준의 독해교본으로 꼼꼼히 공부함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설명 1

 

(1) 독해 범위는 ?
구체적 범위는 크게 『고대작품, 현대한어, 현대문학작품, 고사성어』이다.

(2) 강독할 때 무엇을 알고 넘어가야 하는가?
『글의 요지파악, 문장어순, 어휘, 발음부호, 전치사와 접속사 그 외 각종 보어의 정확한 사용, 양사』시험문제는 대체로 이러한
것을 묻는다.

(3)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할까?
독해공부는 각자의 시간과 소화량에 알맞게 해야 한다. 좋다는 자료를 무조건 다 볼 수도 없고 그렇게 하여 한번씩 본다하여도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 독해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계획을 세워 하되 시험 전에 반드시 『세 번 이상 반복학습』한다는 계획을세워야 한다. 고대한어는 시간이 걸리는 분야인 만큼 일찍부터 시작하여 후반기에는 복습위주로 하고 현대문학도 시간이 소요되는분야이다. 시험시일이 임박해질수록 새로운 문장을 보는 양은 줄이는 것이 좋다.
단어와 주요문구의 암기는 단어장을 만들어 지하철을 탔을 때 등의 짜투리 시간에도 수시 로 익힌다. 물론 책상 앞에서는 적으면서 공부해야 한다.
→ 설명 2

 

〈한문〉
古文眞寶(文篇), 朴一峯譯著, 육문사
汉文读解法, 崔完植 외 공저, 明文堂, 1999
中国古典의 理解, 장영기 외 편저, 도서출판 원미사, 2001
중국 고전산문 바로읽기,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어문학원SISA Education
古文觀止譯注, 吉林文史哲出版社(원서, 대륙)
古文觀止, 三民書局(원서, 대북)
당송팔대가의 산문세계, 오수형 편역, 서울대학교출판부
中国历代散文选读,催完植 外 共著,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中国教育思想史(第一卷), 孙培青․李国钧 主编,华东师范大学出版社,1995
诗․词选集
고사성어 중국어, 조경희 김성동 지음, 도서출판 케이시
汉语成语小辞典, 商务印书馆(원서)
→ 설명
한문은 임용고시 범위에 포함되면서 5점 정도로 꾸준히 출제되었고, 최근 몇 년은 주로 論语 위주의 四书에서 출제되었는데, 03년 임용고시에는 고대한어(詩, 散文 등)에서 출제배점이 높았습니다. 한문강독에 관한 책은 시중에 많이 나와 있는데, 한권 선정하여 중문과 수업내용과 관련된 부분만 해설과 원문을 함께 봐 두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성어는 해마다 4 - 8점 정도로 꾸준히 출제되 었습니다. 선정하여 정리된 자료를 활용하여 연초부터 꾸준히 하여야 효과를 봅니다. 성어는 각 사이트에서도 자료가 많이 제시되어있습니다.

 

〈현대문학〉
中國現代文學史, 金時俊, 지식산업사
中國現代文學作品選 , 金時俊 朴云錫 편주, 지식산업사(주석 상세함)
중국, 현대문학, 이화영 엮음, 동양문고
중국 현당대 문학 작품선, 서의영 김경석 편저, 학고방(주석 상세함)
중국현대문학작품선, 김영구 김시준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魯迅文集, 竹內好 역주, 김정화 옮김, 일월서각(일월총서53)
노신선집[1] 소설․수필, 노신문학회 편역, 여강출판사
新編中國現代文學作品選(上, 中, 下), 複旦大學出版社(원서)
20世纪中国文学名作小说卷(一~四), 钱理群 主编, 广西教育出版社(원서)
20世纪中国文学名作小说卷(一)
20世纪中国文学名作散文卷, 钱理群 主编, 广西教育出版社(원서)
→ 설명
현대문학 역시 작품 수는 매우 방대하다. 현대문학은 1910년대 후반 ~30년대 주요 작가들의 작품 위주로 공부함이 좋을 듯 하다
. 현대한어에 소개된 책 가운데에도 현대문학작품이 많이 실려 있다.

 

〈시사〉
“시사”는 임고범위에 명시된 것은 아니지만 출제범위 중 『고급중국어』에 포함되어 출제 될 가능성은 있다. 자주 이용하는 사
이트 하나를 소개하면, 야후→中国→各地报纸→韩国 혹은 中国으로 들어가 한국신문(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중역) 혹은 중국신문
에서 주요 이슈가 되는 기사를 중심으로 가끔씩 읽는 것이 좋다. 특히 11월에는 꼭 봐 두는 것이 좋다. 신문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기사의(정치성과 민감한 외교사안의 기사는 제외)시사 용어는 반드시 익혀둔다. 주요 이슈 용어를 떠나서 기본 외래어는 반드시 익혀둔다.

 

 

 

중국어 임용고시 정보!

중국어 임용고사는 임용고사의 출제위원에 누가 선정되었는냐에 따라서 시험의 유형이 많이 변합니다.

매년 출제위원은 대부분 다른 출제위원이 선정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예전 시험지를 보는 것은 별로 도움이 되지않아요.

다만 시험의 유형을 참고할 뿐이죠.


1.공부방법

1)고등학교 교과서 1편 2편을 본다


#이유--a.대부분의 수험생이 난이도가 낮은 것을 무시함

b.문법의 설명이 잘되어있음


2)고급의 문장을 많이 본다.

한어수평고시 문제--독해,


3)시사중국어

인민일보등



4)고사성어 및 속담


5)어학분야

학교에서 배우는 어학관련 책

# 대부분의 학생이시험 점수가 낮았음--0점에서 3점정도(15점만점)


6)중국문학

방송대 교재가 좋음

이것은 알아서공부함-전공이니 언급안함.

시를 번역해본다.


7).교과교육학을 공부

교육부에서 출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중국어부분을

반드시 본다.

일선고교에 책이 배포됨


2. 주의사항

1)중국어 번역과 작문 실력이 좋으면 합격율이 높은 것 같음

2)고교수준 단어의 발음을 정확히 알아야함


3.시험범위

1.고교중국어

2.문법

정확한 문법의 용도를 반드시 알아야한다

많은 사람들이 쉬운 용법을 알지 못한 경우가 많았음

HSK문법을 본다

3.독해

상당히 수준이 높음

4.어학

5.문학-교수에 따라서 출제 않하는 경우가 있음

그러나 반드시 공부해야한다

다른 외국어는 반드시 출제함


가장 중요한 변수는 교육학을 만점 받는다는 각오로 열심히 공부해야한다

그이유는 전공 시험의 합격자 점수가 상당히 낮기때문이다.

분당의 중어교사 우치갑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울시 청담고등학교 중국어 교사 문현경입니다.

  

 [ 필독 ] 

 제가 지금부터 드릴 말씀은 순전히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 正道가 될 수는 없습니다. 각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하나씩 채워간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시고 마음자세도 바로 잡으셨으면 합니다. 어떤 책이든 완벽하게 모든 것을 충족시켜 주는 것은 없으니 기본서를 정하고 빠지거나 부족한 내용은 여러 책을 통해 보충해 나가세요. 실력있는 자만이 최후에 웃을 수 있습니다!!!


 ▶  전공(70점)과 교육학(30점) 공부를 병행하되 단락별로 분량을 감안하여 무리하지 않게 적절히 시간안배를 하세요.

  예를 들어 1일차/ 전공: 문학사-선진문학(1), 독해    교육학: 교육의 기초(1)

            2일차/ 전공: 문학사-선진문학(2), 독해    교육학: 교육의 기초(2)

 


▶  전공 준비는 크게 문학사, 음성학, 문자학(한자와 관련된 자료들), 독해, 어법, 작문, 시사, 고문 등으로 나뉩니다.


▶ HSK카페 여러 게시판과 학습자료실을 꼼꼼히 보시고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얻으세요. 숨은 보물들이 많이 있어요.

예) 자료실→학습정보자료실(109,117, 123, 203, 204, 212번 등 다수)

    게시판→'선생님 선생님 우리 선생님'코너


 [교육학]

  교육학은 제 경우에 겨울방학 때 노량진에서 교육학 강의를 2달 들었으나 워낙 분량이 방대하고 그 날 바로 복습을 하지 않아서 그 흐름을 읽힐 정도였습니다. 개학 후 교생실습 하랴 여러 핑계로 실제로 제가 임용시험을 본격적으로 준비한 것은 7월부터이고 교육학도 강의 들은 책으로 끝까지 정독하며 공부했는데 거의 한달 반 정도 걸렸어요. 이미 말씀드렸다시피 전 그 해 낙방을 했지요.

  혼자 공부할 수도 있겠으나 내용이 너무 많아 이왕이면 본인 스타일에 맞는 강사의 학원강의나 인터넷 동영상 강의 듣기를 추천합니다. 교육학의 큰 맥을 잡고 방대한 내용을 강사의 보충설명을 들으며 이해하고 따라가는데 도움이 됩니다. 강의테이프 녹음한 것도 괜찮으나 시각적인 부분이 빠져 있어 처음 교육학을 공부하는 분들께는 별로 권하고 싶지 않네요. 강의테이프는 나중에 다시 정리하고 싶으면 그 때 들으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교육학은 사실 끈기있게 공부하기 어렵지만 이걸 놓아 버리면 준비하는 내내 심리적 부담이 되므로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세요.(★강조★)

  교육학 문제집은 시험 두세달 전부터 정리하는 차원에서 풀어보시면 될 듯 하네요. 그 때되면 시중에 여러 문제집이 나옵니다.

  마무리에서 빼놓지 말아야 할 것은 기출문제를 꼼꼼히 보면서 답의 정오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틀린 답은 왜 틀렸는지까지 명확히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기존에 언급했던 보기들을 가지고 다시 문제를 만들기도 하니까요.


◈참고◈

희소고시학원  www.heeso.co.kr

조화섭교육학  www.chohwasup.pe.kr

한민석교육학   http://hanminseok.com



 [전 공]



 1. 문학사

  방통대 것을 기본으로 하시면 무리가 없을 겁니다. 부족한 것은 다른 책들을 보면서 채워넣으시구요.

  서술형으로 나오는 것이 흐름이므로 중국 문학 전반에 대해 각 시대적 특성과 문학과의 관계를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처음에는 그 시대적 배경과 주요문학의 흐름을 연결하여 이해하시면서 자기 나름대로 계보를 만들어 가고 그 다음에는 그 다음에는 세분화해서 각 시기에 융성했던 문학의 특징과 대표작가 주요작품 등을 정리하면서 공부해보세요. 주요작가나 문학파, 문학작품 들을 비교분석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이해와 암기를 되풀이하신 다음 마무리에서는 꼭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을 엄선하여 자기가 문제로 만들고 스스로 답안 작성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각 시대 비교나 그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양식의 특징과 역사적 배경과의 관계, 주요작가에 대한 비교, 서술 등 공부하다 보면 중요하다 싶은 것이 보일 거라 생각합니다.


 2. 음성학/ 문자학/ 어법

  음석학, 문자학의 경우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는 분들은 우선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셔서 주요 어학 책들의 목차를 비교하여 중복되는 부분을 우선 순위로 하여 공부하시면 그것이 기본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어법은 기본서를 선정하여 공부하되 너무 두꺼워 처음부터 부담되지 않도록 유의하셔야 합니다. 기본어법을 숙지한 후 부족한 부분은 다른 책들을 보며 채워보세요. 문제들도 풀어 보시고 틀린 문장은 왜 틀렸는지도 어법적으로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독해 / 시사/ 작문

  암기해야 할 것들도 빠듯한데 모르는 단어 찾아가며 독해까지 꾸준히 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그래도 꾸준히 쌓아 놓은 독해 실력이 고사장에서는 발휘되겠지요. 문장을 많이 읽어본 사람이 문맥 파악을 빨리 하고 문제 풀이에도 유리한 법이니까요. 문장 속의 단어와 관용구, 사자성어 등을 틈틈이 정리하여 외우세요.

  시사용어도 인민일보나 cctv 기사문을 통해 큰 이슈가 되는 것들을 중국어로 뭐라고 하는지 알아두시고 감각도 익히세요. 컴퓨터, 인터넷용어 중 우리가 흔히 쓰는 것들도 알아두어야겠죠.


 4. 고문

  고문이라 하면 보통 사서나 고대산문, 고대시가 등의 한문 문장을 말합니다. 대학 강의 중 이와 관련하여 개설되어 있는 수업을 들으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문장 해석, 대의파악, 교육적 의미 등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거의 최근 몇 년간 거의 한 문제 이상 나왔었는데 저도 막연하게 느껴지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깊이 생각해보면 교사에게 국한되기 보다는 크게 보아 중국과 관련된 전공을 가진 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소양으로 생각하면 이왕 공부할 거 조금은 마음 편하시겠죠.


   아래 책들은 그저 임용시험 준비를 막연하게 생각하시는 분들께 참고 하라고 적어 놓을 뿐이니 이 점 유의해 주세요!


 [참고자료]


1. 문학사

중국문학사Ⅰ/Ⅱ,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방통대 교재)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외 다수


2. 음성학, 문자학

[★강추★]現代漢語, 北京大學中文系現代漢語敎硏室 編, 商務印書館

- 가끔 어떤 책의 내용이 맞는지 혼동될 때 이 책을 기준으로 공부하면 무리가 없음

- 내용이 체계적이고 특히 '제1장, 제2장, 제3장'을 강추

중국어란 무엇인가, 최영애, 통나무

중국어학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簡明實用漢字學, 李大遂 編著, 북경대학출판사

기타 등등


3. 독해

   매일 문장을 접하는 것이 좋고 스터디 그룹을 짜서 공부하면 보다 많은 작품을 짧은 시간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實用漢語高級敎程 1/2/3/4, 華語敎學出版社

高級漢語敎程 上/中/下, 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현대문학작품선독,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기타 산문집


4. 어법

[★강추★]漢語語法槪要, 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번역본 : 현대 중국어 문법, 조영신 편저/이재승 역, 경남대학교 출판부

- 우선 책이 얇아 부담없음

- 기본 어법이 쉽고 간략하게 빠짐없이 정리되어 있음

족집게 중국어 문법, 류기수, 도서출판 컴리빙닷컴

학교문법, 류기수,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 고등학교에서 강조하는 기초문법을 파악할 수 있음


5. 고문

중국어로 읽는 중국고문, 류성준, 신아사

: 해석 자료를 구하여 대조해 가며 읽어 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임


 6. 사자성어

: 평소 독해하면서 나온 단어들을 정리하고 기타 홈페이지에 올려진 고사성어 자료 활용



<임용고시반 강의 교재 및 참고 도서>

 

 

-전종한 교수 제공-

A. 강의 교재:

1) 한어 어법: 《汉语语程》, 北京言文化大, 德金 .

2) 중국 어학: 《중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3) 중국 고대 문학: 《중국고전문학의 전통》,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4) 중국 현당대 문학: 《중국현대문학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5) 고대 한어: 프린트물로 대체.

6) 중국 문화와 상식: 《中文化》, 北京言文化大, 鑑堂 .

B. 참고 도서:

1. 《중국현대문학작품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 《중국어작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3. 《현대중국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4. 《중국공연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5. 《중국명문감상》,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6. 《중국현대문학작품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7. 《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5천년》, 예담, 氷心 外 저.

8. 《중국문학개론》, 신아사, 김학주 저.

9. 《중국현대문학사조사》, 신아사 ; 오중걸 저, 정수국천현경 역.

10. 《汉语教学参法》, 北京大出版社, 张宝 著.

11. 《中国现当代文, 北京大出版社, 李平 .

12. 《中国现当代文, 中人民大出版社.

13. 《古代汉语学读本》, 文出版社, 李新魁 .

14. 《古代汉语特殊法》, 蒙古人民出版社, 廖振佑 著.

15. 《中国当代文思潮史》, 上海社院出版社, 李 著.

16. 《中国现当代文作品导读, 中人民大出版社.

17. 《汉语语程》, 北京言文化大.

18. 《王力古代汉语字典》, 中华书局, 王力 主编.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또는 중국대학을 가서 한국에서 중국어 선생님을 하려면 어떻게해야 하는지,... 잘 아시는분 답변 기다립니다... 부탁드려요 1. HSK 자격증으로 한국대학가는 방법 각...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내가 어떻게 해야할지를 몰라서..휴 가고싶은 대학은... 수시로 원서를 넣게될때 중국어 자격증이 있어야 하나요?... 어떻게 하면 중국어 선생님이 될수있을까요......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금 초등학교 교사가 꿈이에요. 초등학교 교사가 되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요? 고등학교 내신 성적이 최소한 2등급 이내에 들어가셔야...

사회 선생님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회 선생님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사회선생님이 되려면 현재 교사가 되고 싶으시다는 거겠죠 먼저 교대 사범대 교원대에 진학하셔야합니다. 교육대학교는...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인체의 구조와 기능, 기초간호임상실무 과목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건 쪽 전공과목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담임선생님께...

한자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한문선생님이 되려면 어느대학을 나와야하나요? 그리고 한자 자격증은 어느정도까지... 사범대는 4년제 대학과 함께 다녀야하나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3. 중국어, 일본어는...

한자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한자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구체적으로 부탁드려요) 2. 성균관 대학교 한문교육학과를 들어가려면 경쟁률이 많이 쎈가요? 3. 자격증은 몇급 정도 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