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용법이랑 형식

to부정사용법이랑 형식

작성일 2012.07.0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Neglecting to clean the filter will cause the unit to work less efficiently.
필터청소를 소홀히하는것은 장비가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을 야기할것이다
이렇게해석은되는데
to work less efficiently에서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 이게 명사적용법인것같은데 명사적용법 형용사적용법 부사적용법중에 어느것이 맞나요??

그리고 이문장은 몇형식 문장이예요??

마지막으로
To solve problem is our goal.
A company wants to build a factory.
이렇게 보통 명사적용법으로쓸때 '문제를'푸는것
'공장을'짓는것 이렇게 목적어가 다잇는데
to work less efficiently 에서는 목적어가 없는데 to부정사뒤에 목적어가 없을수도잇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목적어 뒤의 to부정사가 형용사적이거나 명사적이면 무조건 보어가 아닌 겁니다.

형용사적이면 소위 3형식이며, 명사적이면 4형식이 됩니다.

5형식이 되려면 to부정사는 동사적입니다.

cause the unit목적어가 to work작동하게 한 것이니 5형식이 됩니다.

 to부정사뒤에 목적어가 없을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는 것은 부정사는 동사이므로 자동사도 될 수 있고, 타동사도 될 수 있는 겁니다. 

아래 내용을 덤으로 읽으시기 바랍니다.

()성문영문법.

()‘영문법연구. 서린출판사.1991. 배태영교수님저 & 금성판 뉴에이스 英韓辭典 2 (c) 金星出版社 1990.

(갑론)

1.*보어로 명사와 형용사 만 온다. *형용사 보어와 명사 보어는 별 거 아닙니다. 그냥, 형용사도 명사도 보어로 쓰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2.*테잎강의에서 [be+to부정사] 가 부정사가 주어=부정사 일 경우 명사적 용법이고 나머지는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했는데 확실히 구분을 못하겠네요. 알려주세요~, 형용사적 용법으로 취급합니다.

 (을박)

1. 보어로는 서술[]사가 오고, 명사와 형용사도 서술사로 올 수 있다.

2. be to용법은 [형용사적도 명사적용법도 아닌] 본동사이다.

 

인류역사상 최저부******(지식산업)집단 한국의 학교영문법교재출판계와 영어과목교사. 혹시 이의 있으시면 아래의 질문 몇 개에 답해보십시오.

언젠가 누군가에 의해 진실은 반드시 밝혀지며 누군가의 이전과정에서 이진실을 알고도 묻으려 한 사람 모두 서두의 인종취급을 당하게 될 것은 자명합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를 잊지 마십시오.

 그 힘이 귀하에게 있으니 적어도 제 주장의 진위를 파악하라는 요구입니다.

우리를 위해서라기보다 우리 자녀학생들과 구직전선의 청년들과 후세의 꿈나무들에게 만은 이런 영문법은 절대 안 됩니다.

지난 45년동안 우리나라 모든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을 건너서) 일반 어학원에서 사용하는]학교영문법교재와 영어선생님들이 가르쳐온 것이 어이없는 오역과 오해였으며 황당한 실수였다면 누구라도 믿을 수 없을 것이다 그것도 가장 기초/기본문법인 구조부분이니 ABC 다음에 배우는 부분에서이다. 본동사 다음에 오는 성분이 무엇이냐를 가르쳐야 하는 문제이니 절대 설명하지 않고 넘어갈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현실이며 사실이며 수년 전부터 이를 지적해왔는데 정당한 이 의견에 논리적대응은 하지 않고 무시하는 교육계와 출판계이다.

보어의 개념을 정하지 못했지만 나름 성분의 정의와 개념은 [“부정사가 주어=부정사 일 경우 명사적 용법이고띄엄띄엄, 듬성듬성]세워진 게 있다고 보고.

 질문합니다.

그럼 그러한(명사적용법이면 [의미상]주어와 동격관계이고) 성분의 개념 만으로 성문출판사께서 답하여 보십시오.

질문입니다.

성문 왈 보어로 명사와 형용사 만 온다.”

(1)Be 이외의 어느 동사에 이 규칙이 적용될 수 있습니까?

[be를 제외하면 한 두개 정도는 혹시 있을까 전혀 없거나 극소수입니다만 (갑측)이분들은 모든 동사의 보어로 명사와 형용사 만 온다고 하시는 겁니다.]

 성문 왈 형용사 보어와 명사 보어는 별 거 아닙니다.”

(2)[동사 뒤의 명사는 주어와의 관계에 따라 a보어와 b목적어와 c부가사로 나뉘고 a] She is a student. b] They ate the meat. c] She died yesterday.

 목적어 뒤의 명사도 목적어와의 관계에 따라 a보어와 b직접목적어 c부사로 나뉘며 a] They elected him chairman. b] He gave her some chocolates. c] The man saw the girl yesterday.

 부정사와 분사는 (특히 SVOC문형에서) 귀갑측이 좋아하는 명사 또는 형용사적용법으로 쓰이면 보어 자격을 아예 상실하는데 [명사.목적어]I mean to love you.[명사.간접목적어] I promised my boss never to be late. [한정적,수식적용법의 형용사]He has found a chair to sit.

 이점은 어떻게 설명하시려나 이게 정말 난감하겠습니다만]

이래도 별거 아닙니까?

(3) III – a 를 읽고 답하십시오. 분사가 동사로 쓰일 때와 형용사로 쓰일 때 반대로 해석되는 점은 어떻게 설명하시렵니까?

이외에도 답변할 수도 없는 문제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이상의 규칙들은 귀갑측의 개념과는 달리 일관성 있게 적용됩니다.

그럼 대체 이 황당한 조항의 출처는 어디인가?

그게 한국의 대표 영문법교재인 45년 전통의 성문영문법입니다.

그리고 45년의 긴 세월에 걸쳐 그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수천 또는 수만 영어선생님들은. 노코멘트.

형용사와 명사 만을 보어로 취하는 be를 보면 be의 뒤 즉 보어 자리에 동사류가 오면 be는 조동사가 되고 그 보어자리의 분사와 부정사가 본동사가 된다는 겁니다.

 이런 be조동사 용법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진행형, 수동태, be to용법 이 셋.

우리나라 학교영문법교재와 영어선생님들이 명사적 형용사적이라고 열심히 가르치지만 본동사이니 이런 황당한 일이 어디에 또 있을까?

더 황당한 일이 이번에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be조동사의 본동사가 아닌 정말 be동사의 보어로도 온다는 사실이다. 이걸 몰랐으니 이 사단이 난 거지만..

 감정동사의 분사들은 보어자리에 오면 즉시 품사가 사전적형용사[lexical adjective]로 바뀌어 보어가 되는 것인데.

이번에는 동사가 아닌, 그래서 진행형 수동태가 아닌 보어인 이들 분사형용사를 거꾸로 동사인 진행형과 수동태로 오인하고 실수를 하는 것이다. 또 꽤 많은 분사가 형용사로 be의 보어로 오는데 얘들도 수동태, 진행형으로 하려다가 오역을 합니다.

 또 하나의 기막힌 사실은 준동사가 명사적, 형용사적용법으로 쓰이면 보어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위의 실수를 소수 또는 극소수가 해야 정상인데 모두가 하니 기가 막히다 는 것이다.

아니, be에서 본동사였던 분사가 왜 다른 동사에서는 형용사나 명사가 되는지 의심도 아니 되는가? 하긴 이걸 몰랐고 [학생들에게는 사전을 보라고 입이 닳도록 설파하면서 당신들은 정작 보지 않고.]이걸 의심하지도 아니하니 당연한 이론이 된 것이다.

불완전타동사에서는 언급도 하기 싫지만 말을 하라면 어불성설이고 언어도단이다.

말이 안 되는 소리로 말 꺼내는 내가 창피하다.

영어전공하셨으면 보문의 동사라는 용어 싫건 듣지 않으셨나?

학생 하나가 이 질문을 바로 하니까 맥밀란사전 어쩌구 하는데 혹시 그렇다 쳐도 다른 사전들은 왜 무시하시나. 한국의 모든 영한사전들은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인가? 이걸 (4)번 문제로 답하십시오. 대체 여러 출판사의 영한사전은 왜 참고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왜 굳이 영영 사전으로 하시나.

영한사전도 제대로 못 보시고 오역(誤譯) 오해(誤解) 그리고 거짓말을 다반사로 하면서.

A subject complement that follows the verb be [am, is, are, was, were, has been, are being, might have been,] is the adjective, noun, or pronoun etc.

 1.[본동사 be의 주격보어는 형용사와 명사류이다.] 이걸 말입니다.

2.[보어는 형용사와 명사류이다.] 이렇게 오역을 하고

3.[모든[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는 형용사와 명사류이다.] 이렇게 오해를 한 것입니다.

4.이게 잘못되었다고 수 차례 알렸지만 계속 이렇게 책에 인쇄하고 판매하고 설명하는 것은 거짓말이라는 겁니다. 그것도 모르고 하는 거짓말이면 몰라도 알고 하는 거짓말이니 사기입니다.

 I. 보어의 개념

1. 보어란?

predicative(서술사) 는 보어와 거의 같다’ (英韓辭典 2 (c) 金星出版社 1990.)

2. 보어로 선택되는 성분은 명사류, 형용사류, 동사류이다.

3. 단어가 보어로 쓰일 때 주어와 보어의 관계는. [목적격보어의 (의미상) 주어는 목적어임.]

(문장성분은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류로 네가지이다.)

•명사는 identify (정체성, 신분, 자격, 신원 등)[or Object•명사인데 보어가 아닌 목적어(Object)이면 (보어가 동격인 것과 반대로) 주어와 다른 것입니다: 통사론에서는 목적어도 complement].

 형용사는 state (상태, 성질, 형편, 모양, 양상, 사태, 사정, 형세).: 서술형용사(predicative adjective) 만 보어로 쓰임.

 동사는 주어서술어관계의 act (동작, 몸짓, 행위, 소행, 운동, 이동)

[보어가 아닌] 부사류로 쓰일 때에는 when where how why 수단 방법 원인 이유 목적 결과 etc.

보어는 predicative(서술사)와 거의 같다. 는 것이 정말 정확한 그리고 중요한 설명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보어를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불완전한 문장에서 그 문장을 완성시키는 말로 오해하는데 《언어학》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불완전한 문장에서 그 서술어의 풀이를 기워 주는 말’ (英韓辭典 2 (c) 金星出版社 1990.) 인 것입니다. 서술어인 본동사가 불완전하니 그 본동사를 보완하여 서술하는 것이므로 서술어인 동사가 오는 게 당연한 것인데, 원래 서술어가 아닌 명사와 형용사도 서술명사와 서술형용사로서 보어로 올 수 있다 이 말입니다. ‘문장을 완성시키는 말로 하면(시간과 장소)부사들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현대문법에서도 보어는 아니며, 현대문법에서는 부가어(adjunct)로 문장의 필수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II. be의 용법

Be has characteristics of both lexical and auxiliary verbs. [be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쓰인다.]

 1. [본동사 be의 주격보어는 형용사와 명사류이다.](영문법연구 22쪽 중간부분)

2. [조동사로 쓰인 be 의 본동사는 분사와 to부정사이다., 진행형, 수동태, be to 용법의 준동사들은 본동사이다. 진행형과 수동태의 beprimary auxiliary verbsbe에 의미가 없는 반면 be to용법은(lexical)modal auxiliary verb 이다. 흔히 진짜 조동사로 생각하는 have to는 법조동사(modal auxiliary verb)이지만 사전적조동사(lexical)가 아닌 유사(가짜)조동사(pseudo auxiliary)이며, 조동사 be는 문법이 정한 조동사의 자격을 완전하게 갖춘 진짜 조동사이다. (135쪽부터 법조동사 부분. 이상은 서린출판사간 영어교사/영문학도영문법연구에서 요약)

 III. verbal 용법

In linguistics, a participle is a word that shares some characteristics of both verbs and adjectives.

 verbal 는 분사와 부정사이며 학교영문법에서 공히 술어/동사적용법이 빠져 있습니다. 이들을 지금까지 형용사 명사 부사적용법 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그랬던 겁니다. 이 글에서 gerund는 파생명사로 nominal word가 됩니다. 우리나라 학교문법에서는 gerundverbal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뭐 동사와도 혼동하는데요. 보어의 개념 자체를 세우지 못한 탓입니다. 이것도 문젯감인데 묻지 않겠습니다.

 1. 본동사로 쓰이는 verbal.

진행형과 수동태, be to용법의auxiliary verb be 에서와 have완료형의 과거분사가 본동사로 쓰이며 그 외 수십 개의 유사조동사에서 to부정사가 본동사로 쓰입니다.

 2. 동사적용법의 보어들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로 오는 verbal은 대부분 동사보어/보어동사(complement verb.)입니다.

동사적용법을 형용사적용법과 혼동하는데 비교해 드립니다. 명사적용법도 보여 드립니다.

a. 감정동사들은 분사의 형태로be 의 보어가 되는데 이들은 분사가 되면 품사가 즉시 형용사로 바뀝니다. 중요한 것은 보어에 쓰인 분사라고 모두 형용사가 아니다절대불변의 확실한 증거로 최고의 증거입니다. Jim and Jane are married. 의 감정동사가 아닌married 도 형용사보어가 되는데 이런 보어도 lexical adjective입니다. 현재분사형형용사‘marrying’ 는 보어로 쓰이지 못하는데 한정적으로 만 쓰이기 때문입니다. 주격보어나 목적격보어 등에서 형용사화 분사가lexical adjective로 자주 발견됩니다. 그리고 형용사로 쓰이지 못하는 분사들은 사전에도 형용사라고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궁금하면 사전을 펴서 확인해 보세요. 이러한 분사형형용사는 전체 분사의 10%가량으로 짐작되는데 이들은 해석해보면 바로 구분이 됩니다. 현재분사형형용사는 객체화시켜서 주어는 어떠하다로 해석되면 형용사이고 과거분사는 주어를 주체화 시켜 역시 주어가 어떠하다로 해석되면 형용사입니다. 물론 현재분사형 동사인 진행형에서서는 주어가 어찌 한다 과거분사인 수동태는 주어가 어찌 되었다가 됩니다. 그래서 형용사와 동사의 서술 방법이 완전히 거꾸로 되는 걸 보십시오. 현재분사형 형용사와 과거분사형 동사인 수동태의subject(주어)object(목적어/대상이 주어자리로 상승한 것)이며, 과거분사형 형용사와 현재분사형 동사인 진행형은 subject 가 일치합니다. 형용사 중에 이렇게 대상/목적어를 주어로 하여 서술할 수 있는 형용사는 hard, tough, difficult, easy 등 손에 꼽을 정도로 귀하지만 이 수 십 개의 감정동사의 현재분사형 형용사는 모두가 대상이 주어가 됩니다. 이걸 읽고서도 형용사와 동사의 서술이 동일하다고, 그게 그거라고 하실 분 없을 겁니다. 있다면 뭐이지요.

 surprise.amaze.astonish.frighten.astound.alarm.terrify.horrify.please.delight.satisfy.amuse.content.

 impress.embarrase.bewider.puzzle.conguse.perplex.confuse.dissapoint.discoourage.dismay.interest.

 excite.stimulate.intrigue.fascinate.thrill.absorb.enthroll.grip.rivet.spellbound.motivate.bore.tire.

 exhaust. startle..(더 있습니다.)

감정동사의 현재분사형 형용사는 화자의 입장에서 주어를 객체화 시켜 서술하는 것이고, 과거분사형 형용사는 주어의 입장에서 감정을 느끼는 겁니다. 따라서 감정동사는 진행형과 수동태를 만들 수 없습니다., 보기에 진행형과 수동태이지만 그게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The view was pleasing to the eye. 그 광경은 (화자가) 보기에 즐거웠다.

감정동사의 분사인 pleasing 을 형용사로 해석하여 해석한 겁니다. 이걸 동사인 진행형으로 해석하면 그 광경이 눈에게 즐거워한다.‘도대체 해석이 안 되는 겁니다.

 주어가 감정을 가질 수 없는 명사인데 그 다음을 어떻게 해석하겠습니까?

The child was pleasing to watch. ‘그 아이는 보기만 해도 (화자가) 즐거웠었다를 진행형으로 아이는 뭘 보고 재미있어 한다 이렇게 엉뚱하게 해석해야 할 겁니다..

 I am not interested in detective stories. 탐정 소설에 흥미가 없다.

동사인 수동태로 해석하면 탐정소설이 나를 흥미로워 한다. 참 기막힌 해석이 나옵니다.

the complement verb.(중국교통대학교사이트에서.

b. 목적격보어의 동사는 목적어가 동작(act)를 하는 것입니다.

She made him shave.

John made Mary quit her job.

John caused Mary to quit her job. http://ocw.nctu.edu.tw/course/syntax/W5I.pdf]

목적격보어로 쓰인 동사들입니다.

c. 목적격보어로 쓰인 형용사는 목적어가 그 상태(state)가 되는 겁니다.

She made him happy.

d. 목적격보어로 쓰인 명사류는 목적어의 identify입니다.

She made him a doctor.

cf. She made him a cup of tea.

Identify가 아닌 명사류가 목적어 뒤에 오면 그 명사류는 직접목적어가 되며, 목적어 뒤에 wh-구나 절, that절이 와도 직접목적어로 처리합니다. (I-3. 참조) 이래도 명사보어나 형용사보어나 그게 그거라고 하시고 싶으세요?

 e. 불완전자동사(copular/link verb)의 서술어/보어.

Don't go wasting your emotion

Lay all your love on me

Don't go sharing your devotion

Lay all your love on me

팝송 후렴인데 wastingsharingcopular go의 보어로 이런 go도 거의 의미가 없고 술어동사역할은 보어인 현재분사가 하는 겁니다. 보어는 predicative와 거의 같다.는 말이 이런 겁니다. 어느 토익교재에서 이들을 gerund 로 소개했는데요. 글쎄 진행형도 동명사라고 하는 판에 이건 애교로 보아줘야죠.

 말도 많은 be to용법을 한번 더 얘기하면, to부정사는 lexical/main verb /본동사라는 점을 다시 확인시켜드립니다. II번을 읽으면 학교문법의 근간인 보어로는 명사와 형용사 만 온다.”는 조항은 설자리가 전혀 없는 말이 됩니다. 어차피 이 조항은 영어와는 상관없는 서기 10년경 고대 라틴어문법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Neglecting to clean the filter will cause the unit to work less efficiently.
필터청소를 소홀히하는것은 장비가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을 야기할것이다
이렇게해석은되는데
to work less efficiently에서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 이게 명사적용법인것같은데 명사적용법 형용사적용법 부사적용법중에 어느것이 맞나요??

 

-> 여기서 to work는 명사적 용법으로 목적보어자리에 온 것입니다.

위 문장은,

cause 목적어 목적보어(to부정사)로,

5형식 문장입니다.

그리고 이문장은 몇형식 문장이예요??

마지막으로
To solve problem is our goal.
A company wants to build a factory.
이렇게 보통 명사적용법으로쓸때 '문제를'푸는것
'공장을'짓는것 이렇게 목적어가 다잇는데
to work less efficiently 에서는 목적어가 없는데 to부정사뒤에 목적어가 없을수도잇나요?

 

-> to 부정사 뒤에 무조건 목적어가 오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to 부정사에 쓰인 동사가,

타동사냐,

자동사냐에 따라,

뒤에 목적어가 올 수도 있고 못 올 수도 있습니다.

위 문장에서 solve는 해결하다--> 타동사이고.

                  build 도 짓다 --> 타동사입니다.

하지만 work는 타동사/자동사 모두 가능하지만,

위 문장에선 자동사로 쓰였으므로 뒤에 목적어가 필요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Neglecting to clean the filter will cause the unit to work less efficiently.
필터청소를 소홀히하는것은 장비가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을 야기할것이다
이렇게해석은되는데
to work less efficiently에서 덜효율적으로 작동하는것 이게 명사적용법인것같은데

명사적용법 형용사적용법 부사적용법중에 어느것이 맞나요??

 

 

 

 

cause란 동사의 목적어가 the unit

to work 은 목적어 the unit 의 보어로 쓰인 경우입니다.

명사적 용법이구요.

명사적 용법은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인 경우를 말합니다.

 

cause (동사) / the unit ( 목적어) / to work (목적보어) /less efficiently.

 

 

5형식 문장입니다.

S + V + O+ O.C 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to work은 자동사로 쓰였습니다.

특정한 영향을 미치다, 작용을 하다.

 

Your age work against you in this job.

이 직업에서는 당신의 나이가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영어 to부정사 용법 질문

... 5형식으로 목적격보어로 쓰이는지, 4형식으로 간접목적어로 쓰이는지 헷갈리네요 영어 to부정사 용법 질문 park**** 조회수 3 작성일2분 전 It tells me to drink...

5형식 목적격보어 to부정사 용법질문

5형식문장에서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가 올때 명사적 용법의 목적어로 쓰인건가요 보어로 쓰인건가요? Assining students to independently read, think about,and...

to부정사 용법

... >> 여기서 to부정사는 5형식의 목적보어 자리에 나옵니다. 이렇게 목적보어에 오는 to부정사는 형용사적용법입니다. 도움이 되었기 바랍니다.

to 부정사 용법

... 부사적용법입니다 (inspire/ motivate yourselves to continue 목적보어 ~ 라는 5형식 문장의 수동태로 볼 수도 있습니다) 예문 출처: Collins COBUILD...

To부정사 용법

... 이 문장에서 to differ~에서 toto부정사의 어떤 용법으로 해석이 어떻게 되나요? 5형식의 목적격 보어로 사용된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