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법 질문 [아주기초][내공100]★

★영어 문법 질문 [아주기초][내공100]★

작성일 2005.01.28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선 고1 올라가는 놈이 8품사도 제대로 모르는놈이 질문해서

죄송하구요.. 성문기초 영문법하다가 모르는게 있어서 그래요..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1. 과거분사 , 현재분사 가 뭔가요?

2. 주격,목적격,소유격이 뭔가요?

3. 평서문,부정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이 뭔가요? 뜻 , 예까지 들어서요..

4. be동사 , 조동사, 일반동사, 동사원형 이 뭔가요?

5. 부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의문사가 뭔가요? 아, 헷갈림

6. 최상급이 뭔가요?

7. 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찾아요?

8. 목적어가 뭔가요?

9. 보어가 뭔가요?

10. 단어 외울때 그 단어의 과거형과 미래형을 어떡해 아나요?

예) 예 달리다 ring-rang-run 맞나?;;ㅎㅎ

11. the 정관사는 특정한 것을 가리킨다 그랬는데, 무슨말?

그냥 a 붙이면 안되요?

12.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 현재진행형이 뭔가요?

13. 수동태가 뭔가요?

14. 부정사가 뭐에요?

15. 구 와 절이 뭐에요?

16. 부정사(구), 동명사(구)가 뭔가요??

17. 진주어, 가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구별 하나요?

18. 서술어,술어가 뭐죠?

19. 주부, 술부가 뭔가요?

20. 준동사가 뭔가요?

21. to 부정사가 뭐에요?



이상 21가지 질문에 답변 해주세요..

내공100+감사내공10+답변채택10 을 다 드리겠습니다~

제가 방학이라서 정말열심히 혼자서 하려고 하는데..

정말 어려워서 안되겠네요.. 문법 기초도 아예 몰라서요~

자세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제일 길게 , 알아듣기 쉽게 써주신분께

채택 해드릴게요.. 좀 기시더라도 그냥 넘어가지 마시구..

제대로 가르쳐 주세요..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과거분사 , 현재분사 가 뭔가요?

* 과거분사 - 이 문법현상은 우리나라 국어문법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써 이해하기 약간 어려우실 걸로 사려되지만 그냥 그런 것도 있구나 하고 받아들이려고
하세요. 과거분사는, 과거의 의미를 조금 더 넘어서, 대과거(아주과거, 먼과거)로부터 과거까지의 일입니다. 그러니깐 우리는 시제를 '과거-현재-미래' 이렇게 구분하는데 미국 이 시키들은 '대과거-과거-현재-미래' 이렇게 구분하는 거죠.

* 현재분사 - 주로 평서문과 명령문에서 많이 쓰입니다. 명령문에서는 모든 동사가 '현재'형으로 쓰여야 하기 때문에 님이 보셨을 때 명령문 문장인데 동사부분에 빈 칸이 있다면 이 동사의 현재형을 넣으시면 됩니다.


2. 주격,목적격,소유격이 뭔가요?

* 주격은 말데로 주어로 쓸 수 있는 자격입니다.
소유격은 소유의 의미를 같는 자격입니다.
목적격은 목적어로 쓸 수 있는 자격입니다.
(예) I(주격) - my (소유격) - me (목적격)


3. 평서문,부정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이 뭔가요? 뜻 , 예까지 들어서요..

* 평서문 - 우선 평서문은 마침표로 끝나는 문장이라 생각하면 되요.
그러니까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자기 생각을 말하거나 남의 물음에 대답하는 내용의 문장"입니다.
즉, ~이다, ~입니다. ~하다 등등등... 설명을 하는 문장이지요.
ex)나는 밥을 먹는다. 학교에 간다. 등등

* 부정문 - 부정문은 조동사 뒤에 not을 붙이는 것이기 때문에 위의 내용에 따라
일반동사는 "do/does + not + 동사원형"
be동사는 " be동사 + not" 입니다.

* 의문문 - 일단 의문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품사와 그 중 동사를 이해하시는게 중요해요.
품사라하면 단어가 가지고 있는 성격에 따라 분류해 놓은 기준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8가지 품사 중 동사는 "동작이나 상태를 서술하는 말" 정도로 정리하세요.
필수 요건이 "동작, 상태, 서술"입니다. 서술이란 우리말로 "~하다"정도로 문장을 완성시키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go는 "가다"라는 뜻으로 동사지만 going은 "가는 것", "가고있는" 등으로 동명사 내지는 현재분사라하여 동사가 아닌 것이지요.

*명령문 - 명령문

상대방인 you에게 지시하는 문장으로 주어인 you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하는 문장 형식을 말합니다.
1. 긍정의 명령문
" ~해라 " 의 뜻으로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 Be kind to old people. (노인들에게 친절해라)
* Be a good boy. (착한 소년이 되어라)
* Stop crying. (울음을 그쳐라)
* Take your time. (천천히 해라)
- 명령문에 쓰이는 주어 You
명령문은 주어인 you를 생략하고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상대를 명확히 밝히고자할 때는 you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Tom, you go. (탐, 네가 가라)
* You do as I say. (내가 말한 대로 해라)
- 명령문의 앞이나 뒤에 please를 붙이면 " ~해 주십시오 " 라는
부탁의 표현이 됩니다.
* Please sit down. (앉아 주십시오)
* Be quite, please. (조용히 해주십시오)
2. 부정의 명령문
" ~하지마라 " 라는 뜻으로 "Don't + 동사원형" 으로 시작합니다.
Don't~ 대신 Never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Don't tell a lie. (거짓말하지 마)
* Don't waste your time. (시간 낭비하지 마)
* Don't be afraid of the dog. (개를 무서워하지 마)
* Don't walk on the grass. (잔디밭에 들어가지 마)
* Never mind. (상관하지 마)
3. 권유의 명령문
" ~ 하자 ", " ~ 합시다 " 라는 권유의 명령문으로 "Let's + 동사원형 ~"의
형태로 쓰입니다.
Let's ~의 부정형은 Let's not ~ 으로 씁니다.
* Let's play baseball. (야구합시다)
* Let's have a break. (잠시 쉽시다)
* Let's not go out. (밖에 나가지 맙시다)
* Let's not play basketball. (야구하지 맙시다)

* 감탄문 - 감탄문은 이 순서를 반드시 외우세요!
What a 형 명 주 동 (형용사 명사 주어 동사)
What a preety girl you are!

How 형 주 동 (형용사 주어 동사)
How preety you are!

4. be동사 , 조동사, 일반동사, 동사원형 이 뭔가요?

* be동사 - be동사는 세가지의 뜻으로 쓰입니다.
1. ~이다. -- I am a boy (나는 소년 이다.)
2. ~에 있다. -- I am in my room. (나는 내 방에 있다.)
3. ~이 되다. -- I want to be a doctor (나는 의사가 되기를 원한다.)
따라서 위의 세 가지 의미 이 외의 것은 모두 일반동사를 쓰면 됩니다.

* 조동사 - 조동사란 동사를 보충하여 도와주는 보조역할을 합니다..
조동사는 can(할 수 있다),may(~일 지도 모른다),
should(~해야만 한다),must(~꼭 해야되!!) 등등이 있어요...

* 일반동사 - "진행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be+동사ing]꼴이죠. 이 진행형을 쓰기 위해서는반드시 be동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I go to the theater. (나는 영화관에 간다 :반복적 습관적 상태이므로
현재형 go를 쓴것임) -- 여기서 동사는 '간다'이므로 be동사의 세 가지 뜻으로는 쓸 수 없는 것임.
==> I,m going to the theater. (나는 지금 영화관에 가고 있는 중이다.: 현재의 동작에 중점을 주기위해 진행을 씀)
==> The plane leaves (그 비행기는 떠난다) -- 여기서 동사는 '떠난다'는 것이므로 be동사의 세 가지 뜻으로는 쓸 수 없는 것임.


* 동사원형 - 동사 원형은 그야 말로 변형되지 않은 동사의 원래 본모습을 말하는거에요 과거형이나 현재형등으로 바뀌지 않은 변하지 않은 동사를 말해요


5. 부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의문사가 뭔가요? 아, 헷갈림

* 부사 - 부사란 형용사, 부사 동사를 꾸며주는 말입니다.
He is polite. 예의바르다
He is very poite 매우 예의바르다
She likes toys. 좋아한다.
She likes toys much. 많이 좋아한다.
They study hard. 열심히
They study so hard. 매우 열심히

* 전치사 - 전치사의 정의 : 명사 ·대명사(또는 그에 준하는 말) 앞에 놓여 명사 ·대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
예 : at, in, on, of, from, into, by, to, out, with, before, after, for 등

* 접속사 - 접속사란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and, but, that,if 와 같은 말들을 말한다.
등위 접속사 : 대등 관계에 있는 대등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and, but, or so, for, both A and B, (not only A but also B)
종속접속사 :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that, if whether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when, after, before, since, if, because, so that, as soon as

* 관계사 - 관계사에는 관계대명사와 관계 부사로 나눌 수 있는데요,
관계대명사는 명사 + 접속사로 이루어진거구요,
관계대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으로 나눠지구요,

* 의문사 - 6하원칙상으로 생각해보면 됩니다.
who
when
where
what
how
why


6. 최상급이 뭔가요?

*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에 -(e)st를 붙여 여러 사람[사물] 중에서 '가장~한[하게]'의 뜻을 나타내는 것을 최상이라고 하며 보통 앞에 the를 붙이고 뒤에는 [in-장소] 또는 [of+집단(무리)]를 써서 최상급 구문을 이룬다.


7. 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찾아요?

* 주어 : 언니는 대학생이다.
어머니는 주부시다.
오빠는 고등학생이다.
그는 유치원생이다.
아빠는 회사원이시다. ( 주어는 '누가' 라고 보시면 됍니다.. )


8. 목적어가 뭔가요?

* 목적어란 문장의 목적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목적어에는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데
이둘은 또 자동사 타동사에 의해 목적어가 올수 있느냐 없느냐가 결정
된답니다.예를 들어I send a letter to you. send는 동사로서 타동사이지요 타동사란 항상 목적어를 취해야 문장이 완성하거던여 만약 I send.이런식으로 문장이 끝났다면 당연히 누구에게 무엇을 보냈는지 모르겠져? 문장이란 주어 동사만 있어도 성립되는것이 문장이지만 이렇게 목적어 없이 쓸 경우 약간 이상한문장이겠져? 다음으로a letter은 직접목적어라고 하는데 주로 물건이 옵니다. 그리고 to you는 간접목적어라고 해서 사람이 주로 오구여...
다른 예를 들어보면...I buy some food for him
물론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봐꿔쓸수도 있습니다.
I buy him some food.


9. 보어가 뭔가요?

*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는게 아니라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해줍니다.
우선 보어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주격보어이고, 다른 하나는 목적격보어입니다.
일단 주격보어는 2형식문장에서 쓰입니다.
ex)) I'm a student.
(나는 학생입니다.)
여기서 a student는 주격보어라고 합니다.
주격보어는 주어를 서술해주는 보어입니다.
뜻을 보면 I = a student 가 성립하죠.
따라서 a student는 주격보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목적격보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적격보어는 5형식문장에 쓰입니다.
ex)) I made him a doctor
(나는 그를 의사로 만들었다.)
목적격보어는 말 그대로 목적어를 서술해주는 보어입니다.
him은 그"를"이라고 해석되니 목적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him = a doctor 이니 a doctor은 목적격보어라고 할 수 있죠

10. 단어 외울때 그 단어의 과거형과 미래형을 어떡해 아나요?

* 과거형 - 과거형이란 나는 게임을 했었다.
했었다 이것이 과거형이라는 겁니다
현재가 아닌 지난 .. 이전시간에 했던것의 동사가 과거형이라는 겁니다
예를 들면 정말 정말 정말 많습니다..
have - had
이런 식으로 과거형이 있습니다
보통은 본 동사 뒤에 -ed 가 붙고요

* 미래형 - I will live in Seoul
I will be able to fly
I will like banana
I will want to go to the zoo
I won't go to the zoo

예) 예 달리다 ring-rang-run 맞나?;;ㅎㅎ

* '달리다'는요- _- run-ran-run 입니다ㅡ_ㅡ


11. the 정관사는 특정한 것을 가리킨다 그랬는데, 무슨말?
그냥 a 붙이면 안되요?

* 정관사 The
1.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말할 때, 명사 앞에 정관사 the를
붙이고 " 그~" 로 해석한다
2. 문맥이나 상황으로 보아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수 있는
명사 앞에 정관사 The를 붙인다
3. 구나 절에 의해 수식 받는 명사는 특정한 것이 되므로 the를 붙인다
4. 상싱적으로 유일한 것에 정관사 the를 붙인다
5. 서수, 형용사의 최상급, only, last, same, very 등의 수식어가
붙을 때 정관사 the를 붙인다
6. 악기 이름 앞에 the를 붙인다


12.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 현재진행형이 뭔가요?

* 현재시제 - 현재 시제: 동사는 동사원형을 쓰며(예:go. give) 주로 공공연한 습관이나 변경될 수 없는 현재의 일을 쓸 때 사용

* 과거시제 - 과거 시제: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나타내며 동사는 과거형을 씀(예:went.gave)단 그게 현재와 관련이 되있는지는 모름

* 미래시제 - 미래 시제: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내며 동사는 'will + 동사원형' 으르 씀

* 현재진행형 - "am/are/is +동사의 원형~ing" 의 형태로 "~하고 있다, ~하는 중이다" 라는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냅니다.
이 진행형의 "동사의 원형~ing" 는 현재분사 입니다.


13. 수동태가 뭔가요?

* 정의: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그 작용을 받는 서술형식.
이라고 하죠. 쉽게 말해 주어가 당하는것을 말하고
그반대인 능동태는 자기가 목적에게 당하게 하는것을 말합니다.
한국어수동태 예:개가 나에게 죽임을 당했다.(오마나 끔찍!)
한국어능동태 예:내가 개를 죽였다.
영어 Dog is killed by me.
영어 I killed a dog.


14. 부정사가 뭐에요?

* 문장 내에서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됩니다. 형태는 to+동사원형이구요.
세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명사적 용법과 형용사적 용법과 부사적 용법이죠. 그 중에서도 부사적 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목적과 이유·원인, 판단의 근거, 결과, 형용사·부사
수식.. 뭐 그정도가 있죠.
우선 명사적 용법은 to부정사가 주어나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하는 것, ~하기'등으로 해석합니다.
둘째로 형용사적 용법은 to부정사가 앞에 나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석은 '~하는, ~할'정도로 해석하죠.
마지막으로 부사적 용법은 to부정사가 부사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동사를 수
식하거나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부사적 용법의 해석은 각각의 쓰임에 따라 달라집니다. 목적은 '~하기 위해서',
이유·원인은 '~해서', 판단의 근거는 '~을 보니, ~하다니', 결과는 '~해서 …하다', 형용사·부사 수식은 '~하기에'등 여러가지로 해석이 됩니다.
흔히들 부사적 용법의 이유·원인은 감정의 원인 이라고 하죠.
예를 들면, 'Nice to meet you.'에서는 'to meet'이 to부정사입니다. 그런데
해석을 해보면 이렇습니다. '당신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여기서 반가운 이유는
당신을 만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용법은 사람의 감정 'Nice'
의 이유라고 할 수 있죠!
이 쯤에서 각 용법의 예문을 들어 드리겠습니다.
명사적 용법의 예문 : I want to be a model. 나는 모델이 되기를 원한다.
형용사적 용법의 예문 : I have nothing to do. 나는 할 일이 없다.
부사적 용법(목적)의 예문 : She studied hard to be a lawyer.
그녀는 법조인이 되기 위해서 공부를 열심히 했다.
이하는 내용이 많은 관계로 부사적 용법은 목적만 예문을 들겠습니다.


15. 구 와 절이 뭐에요?

* 그냥 끊어 지는 그런 단위를 말하는 겁니다.


16. 부정사(구), 동명사(구)가 뭔가요??

* 부정사(구) - 부정사에서 끊어 읽는 부분

* 동명사(구) - to부정사랑 비슷한데요, 마찬가지로 동명사에서 끊어 읽는 부분



17. 진주어, 가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구별 하나요?

* 진주어 -진짜 주어
가주어- 가짜 주어(진짜 주어 아니면서 주어인 척 나오는 것)
It is hard for me to say.
내가 말하기 곤란해,.
여기서 it 이 가주어,. to say 가 진주어


18. 서술어,술어가 뭐죠?

* 서술어 - 서술어 :말이 달린다..(무엇이 어찌한다..)

* 술어 - 우리나라 말에도 주어부가 있고 서술어부가 있자나요..~
주어는 문장에서 주인역할을 하는것이고
서술어는 주어부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는것이죠~
영어에서도 술어는 주어부를 보충해주는 부분으로
문장 뒷부분을 말합니다!!

19. 주부, 술부가 뭔가요?

* 주부 - 주어가 되는 부분

* 술부 - 주어를 서술하는 부분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영어를 대체로 1-5형식 문형으로 나눕니다.
그런데 간단한 문장이 있는가 하면 복잡한 문장도 있거든요. 그럴때 주부와 술부로 나누면 문장이 눈에 들어오죠.
- A bird (주어) + sings(동사) : 간단하죠.
- The information on which we could rely is severly limited.
The information on which we could rely (주부)
is severly limited(술부)
주된부분과 주된부분의 어떻함을 설명하는 서술어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것 같습니다.


20. 준동사가 뭔가요?

* 준동사 - 준동사는 to 부정사, 분사, 동명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들은 동사의 성질을 간직하고 있으나, 문장에서의 역할이 바뀐 것이므로
준동사라 부릅니다.
to 부정사는 문맥에 따라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고,
분사는 형용사 역할, 동명사는 명사역할을 합니다.


21. to 부정사가 뭐에요?

* 1. We go to school to learn many things. [부사적 용법 : 목적(~위해서)]
> : to learn} 학교에 간다. >
2. I found it difficult to do so. [명사적 용법]
>이 : to do} 힘들다라는 것을 알았다. >
3. To get up early is good for your health. [명사적 용법]
>은 : To get up} 너의 건강에 좋다. >
4. I am sorry to hear that. [부사적 용법 : 원인(~하니)]
> : to hear} 유감스럽다. >
5. He has few friends to play with. [형용사적 용법]
> : to play} 친구들이 거의 없다. >
6. My hope is to go to the England. [명사적 용법]
> : to go} 이다. >
7. He must be foolish to believe such a thing. [부사적 용법 : 이유,판단(~다니)]
> : to believe} 어리석음에 틀림없다. >
8. He grew up to be a great doctor. [부사적 용법 : 결과(~해서 ~되다)]
> : grew up to} 위대한 의사가 되었다. >






좋은 답변 됐으면 좋겠네요^ㅡ^

솔직히 정말 힘들었어요ㅠ_ 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가장 늦었다고 생각할때가 가장 빠른때이다.'

이말에 전 감동 먹었죠...님도 열심히 하시길 바래요...답변 들어갑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과거분사 , 현재분사 가 뭔가요?
과거분사 - 동사의 원형에 -(e)d를 붙여서 만듭니다. 그러나 불규칙하게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거분사는 쓸모가 많습니다. be동사와 만나서는 수동태를 만듭니다.
현재분사 - 동사의 원형에 ~ing가 붙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쓸모가 많아집니다.
첫째, be동사와 만나서 현재 어떤일이 진행되고 있다는 '진행형' 이 되기도 합니다. 또 형용사처럼 쓰이기도 합니다. ~ing를 붙일때는 동사의 끝 모양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있습니다.
그래고 have동사와 만나서는 완료형을 만듭니다.

2. 주격,목적격,소유격이 뭔가요?
주격 - 주부의 중심이 되는 부분, 즉 상태나 동작의 주체가 되는 명사, 대명사 또는 명사 상당어구(부정사,동명사,명사절)를 주어라고 합니다.
목적격 -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상, 즉 목적물이 되는 말로서, 동사의 뒤에 와서 <...>,<...>에 해당하는 말이다. 동사에 따라서는 두개의 목적어를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에 해당하는 목적어를 간접목적어,<...>에 해당하는 목적어를 직접목적어라고 합니다. 목적어가 되는 것은 명사, 대명사, to부정사, 동명사 등 입니다.

3. 평서문,부정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이 뭔가요? 뜻 , 예까지 들어서요..
평서문 - 말하는 이가 어떤 사실을 그대로 설명하는 문장을 말하며 긍정문과 부정문이 있다. 일반적인 어순은 이며,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붙이고, 말할때는 끝을 내린다.
예 - I know him.(나는 그를 안다.) 등등 엄청나게 많습니다
부정문 - be동사의 부정문은 의 형태이고, 일반동사의 부정문은 현재시제 일때는 의 형태를 취합니다.
예 - I don't know him,(나는 그를 알지 못한다.)
의문문 - 상대방에게 무엇을 묻는 형태의 문장을 말합니다..
예 - Are you busy now? (너 지금 바쁘니?)
명령문 - 명령, 의뢰 요구, 충고, 금지 등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합니다.
예 - Be kind to others.(다른사람들에게 친절해라.)
감탄문 - 놀람, 기쁨, 슬픔, 희망 등 강한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입니다.
예 - How fast he swims(그는 수영을 매우 빨리하는구나!)
4. be동사 , 조동사, 일반동사, 동사원형 이 뭔가요?
be동사 - 라는 뜻의 be동사는 am, are, is등의 원형입니다.
am이 오려면은 1인칭 즉 , I(나)가 와야 하고
are은 2인칭 즉, You(너)가 옵니다..또
is는 3인칭 즉, she나 he나 인간이름같은게 와야합니다...
조동사 - 동사와 함께 쓰여 그 동사를 도와주는 구실을 하는 동사를 말합니다. 조동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를 본동사라고 하며, 본동사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필연, 의무, 가능 등의 의미를 나타내거나 본동사와 결합하여 시제, 범, 태, 의문, 부정 등을 나타냅니다.
일반동사 - play(놀다), like(좋아하다), have(가지다)......등등 갖가지 움직임들을 나타내는것! 이것이 일반동사입니다. 즉 be동사, 조동사 이외의 동사를 모두 일반동사라고 합니다.
동사원형 - '달렸다', '달린다'라는 말을 우리말의 사전에서 찾으려면? 말할 것도 없이 이 단어의 으뜸꼴을 찾아야합니다. 즉 '달리다' 라는 단어를 찾아야 합니다. 영어에서도 마찬가지! 이처럼 사전에서 찾을수 있는 원래의 꼴을 동사원형이라고 합니다.

5. 부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의문사가 뭔가요? 아, 헷갈림
부사 - 때, 장소, 모양 등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전치사 - 명사, 대명사 등의 앞에 와서 도와주는말입니다
접속사 - 명사, 대명사 등의 앞에 와서 도와주는 말입니다
관계사 - 접속사와 대명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관계대명사와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 부사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둘 다 형용사절을 이끌며, 명사 뒤에 놓여 수식 요소가 됩니다.
의문사 - 상대방에게 무엇을 묻는 형태의 문장을 말합니다.

6. 최상급이 뭔가요?
셋 이상의 것을 비교하여 <...>라는 뜻을 나타내고 싶을때 씁니다.

7. 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찾아요?
주어....우리말 문장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예 - 나비가 아름답다, 나는 키가 크다, 내 마음은 넓다, 한 여인이 말을 걸었다.
이렇게 은,는,이,가 의 뜻으로 되는게 주어고 이렇게 찾습니다..
나비가에 가가 들어가니까 나비가 주어고...나는 할때 는이들어가니까 나가 주어입니다... 나머지 두개는 알겠죠?

8. 목적어가 뭔가요?
질문 2번에 있습니다.

9. 보어가 뭔가요?
보어 - 동사로는 뜻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그 뜻을 보충하여 주어 또는 목적어를 설명해 주는 말입니다.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가 있습니다.

10. 단어 외울때 그 단어의 과거형과 미래형을 어떡해 아나요?
규칙과거형은 ed나 d를 붙이면 되고요 불규칙 과거형은 어쩔수 없이 다 외워야 합니다... 미래형은 주어 뒤에 will 을 붙여주고 동사원형을 쓰면 미래의 뜻이 됩니다.

예) 예 달리다 ring-rang-run 맞나?;;ㅎㅎ
11. the 정관사는 특정한 것을 가리킨다 그랬는데, 무슨말?
그냥 a 붙이면 안되요?
a, an(부정관사)- '하나의'라는 뜻입니다. 셀수 있는 명사앞에 옵니다.
the(정관사)- '그'라는 뜻입니다. 셀수있는명사, 셀수없는 명사 앞에 다 올수 있습니다.
12.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 현재진행형이 뭔가요?
현제시제 - 현재의 성질, 상태, 현재의 습관, 불변의 진리등을 나타냅니다.
과거시제 - 전에 했던 과거의 일을 나타냅니다
미래시제 - 미래시제는 조동사 will, shall을 사용하여 will(shall) + 동사원형의 형태로 나타내며 단순미래와 의밎 미래가 있습니다.

13. 수동태가 뭔가요?
'주어가 ~을 ......하다'와 같이 주어의 동작이 목적물에 미치는 형태를 능동태
라하고 '주어가 ~에 의해 .......되어지다'와 같이 주어가 다른 것에 의하여 동작을 받는 형태를 수동태하고 합니다.

14. 부정사가 뭐에요?
to + 동사원형을 to부정사 또는 부정사라고 하는데 현대영어에서는 대개 부정사와 원형부정사로 구별하고 있죠..부정사는 동사 본래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목적어, 보어 등을 취할수 있습니다.

15. 구 와 절이 뭐에요?
구 - 두개 이상의 낱말이 모여서 어떤 품사에 상당하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의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절 - 구와 마찬가지로 두개 이상의 낱말이 모여서 문장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에 가 있는것을 절이라고 합니다.
16. 부정사(구), 동명사(구)가 뭔가요??
부정사는 질문14번에 있구요...

동명사 - 동사의 원형에 ~ing를 붙인것이 명사적으로 쓰일 때 이를 동명사라고 합니다.(형용사처럼 쓰이면 현재분사가 됩니다)동명사도 부정사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먹적어, 보어, 수식어구를 취합니다.

17. 진주어, 가주어가 뭔가요? 어떡해 구별 하나요?
It is difficult to learn English.

It = 가주어. to learn=진주어

여기서 it은 아무 뜻이 없습니다. 그저 형식상의 주어로서 부정사 to...를 가리킬 뿐입니다..뜻을 해석해봐서 아무 뜻이 없는건 가주어라고 생각하고 주어가 또있으면 그게 진주어죠...

18. 서술어,술어가 뭐죠?
둘다 같은말입니다...주부의 상태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을 술어라고 합니다..
술부의 중심이 되는말을 술어동사, 또는 동사라고 합니다...

19. 주부, 술부가 뭔가요?
이때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부분(은,는,이,가)을 주부라고 합니다

주부의 상태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을 술부라고 합니다.

20. 준동사가 뭔가요?
주어에 따른 인칭과 수의 변화가 없으며, 동사의 의미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어구를 준동사라고 합니다...준동사에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습니다.

21. to 부정사가 뭐에요?
to + 동사 원형을 to부정사라고 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와~~ 내가 이렇게 많이 답변을 썼다고 하니 입이 다물어 지질 않네요...

이렇게 답변 길게 쓴건 첨입니다...좋은답변 되셨길 바라구요...

영어 꼭 정복하세요!! 저보다 설명을 더 잘한분도 계시네요...

답변확정은 별루 바라지 않구요..그냥..^^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냥 문법책 한권을 사서 정말 책이 찢어 질때까지 열심히 읽고 노력하세요...

제가 보기엔 완전 문법책 한권 내용을 다 물어보신 거 같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이 아닌 것을 답해드려서 죄송합니다.

그러나 님이 정말로 영어공부를 열심히 하실거 같아서 권유를 하고 싶어서

그럽니다.

저는 고등학교 졸업까지 영문법의 영자도 몰랐습니다.

다행히 수능세대라 나름대로 명문대 들가는데 지장은 없었지만요 ^^*

지금을 비교하면 토익 940점정도에 외국인과 엥간한 전문지식 아니면

프리토킹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님이 질문하셨던 질문내용중에 상당수를

들어본 적도 없습니다. 현재완료가 present perfect를 말한다는 것을 최근에

알았습니다.

한국토익책중 유명한 김대균씨의 토익 900뽀개기에보면

영문과 교수가 "5형식이 뭡니까?" 라고 대답한적이 있다고 합니다.

질문자분은 시험에 맞춘 영어를 공부하시는 중이신데 그렇게 공부하시면

대학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대학 들가서도 고생하고 회사가서도 고생합니다

저도 정말 피를 깍아서 배웠습니다. 외국에서 얼굴 철판깔고 지나가던 케네디언들

한테 억지로 말걸면서 배웠습니다.

서점에 가셔서 외국에서 나온 문법책을 보십시요. 라이팅이 잔뜩 들어있는걸로요

기초에 반복이라 답답하시겠지만 영어는 그렇게 익히는 겁니다

레벨별로 5단계정도 있는 영어문법책(라이팅 위주의 외국책, 특히 캠브리지에서

나온 책들을 추천합니다)을 레벨 1부터 10까지 보십시요.

영어공부는 50%는 암기이지만 50%는 반복입니다.

듣기는 일명 찍찍이"기계식 미니카세트"사십시요. 한국에 영어교사분들에게 죄송

하지만 회화에 적은 고등학교, 중학교 영어선생님들입니다. 그 선생님들 발음은

무시하고 카세트 테이프가 들릴때까지 듣다가 들리면 문장단위로 최대한 비슷하게

따라하십시요.

Every effort you make will be rewarded. 란 말이있습니다.

열심히 하세요 ^^* 노력은 배반하지 않습니다.

영어 문법 기초공사 부실..내공100

... 이상입니다 내공 100거니깐 좀 가르쳐주세요 무슨 공부를 하시더라도 기초적인 어휘-문법-구문이 갖춰져야 합니다.... 이번 질문을 계기로 새롭게 문법 공부에 전념해 보세요!...

영어 문법 질문 내공 100

제가 영어 문법 숙제 하는데 한가지 모르는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아주 기초적이고 쉬운... 내공 100 우선 님이 질문하신 be동사와 Do의 차이점을...

아주 기초 문법 질문입니다.(내공100)

... 아주 작으시군요"); break; case 16: document.write("키가 작으시군요"); break; case 17: document.write("아주... 자바 스크립트는 대소문자 구분이 아주 심한...

영어문법기초 문제집 추천 ! !!!!(내공 있슴)

... 말인데 영어문법 기초 문제집 괜찮은거 좀... 공부하시다가 막히시면 질문 올리시구요! 참고하세요!!! 영어... 3Mhz가 듣기에 아주 좋은 방송입니다. 원어민들과 원어민 수준의...

영어 문법책 추천 내공 100

... 사용하고싶은 영어문법책은 아주 쉽고, 기초설명이... 좋겠습니당ㅠㅜ ☆내공 100☆ “유니크 쏙쏙 영문법“을... 각종 질문에 대한 답변도 해드립니다. Longman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