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질문합니다:)

영어문법 질문합니다:)

작성일 2023.05.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독해를 풀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지식인에 글을 씁니다.

1. To make something attractive by adding other things 에서 make는 3형식으로 사용되었나요 5형식으로 사용 되었나요? Attractive가 something을 뒤에서 수식하는지 아니면 목적격보어로 사용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other은 things을 꾸며주는 형용사가 맞나요?

2. To do something enjoyable to mark a special occasion 에서 do는 5형식으로 사용이 안될 것 같은데enjoyable이 something을 후치수식을 해주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to mark같은경우 something을 꾸며주는 형용사적 용법인지 아니면 do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적 용법인지 궁금합니다.

3. Kwanzaa, which takes place from December 26 to January 1 in the United States~ .라는 문장에서 take place 까지 동사로 봐야하나요? Place 는 보통 셀 수 있는 명사이니까 동사가 두번 반복된다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take place는 자동사인가요?

4. This means first fruits of the harvest
에서 first 앞에 the가 없는데 그러면 서수가 아니고 그냥 처음의라는 형용사로 봐도 될까요?

5. Green stands for the green landscapes of Africa.
첫번째 Green과 같은경우는 녹색인데 두번째 green은 형용사인가요? 아님 명사로 명사여러개가 반복되는 명사구인가요? 만약 맞다면 명사 여러개로 반복 가능한가요?

6. Red symbolizes the blood of people who died fighting for freedom.
Died 다음에 어떻게 v-ing형태가 올 수 있나요?
목적어 형태인 동명사로온 걸 까요? 분사형태로 왔다면 어떻게 분사형태로 동사 옆에서 쓰일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7. Each of the seven days. Each다음에 day가 생략되었다고 하는데 그러면 each은 대명사인가요 형용사 인가요?

8. On December 31, the last night of Kwanzaa, families gather for a feast~ last의 최상급은 없나요? last는 형용사 인가요? 그리고 gather은 모이다라는 자동사 인가요?

9. Along with Christmas~, Kwanzaa makes the holiday season a very special time. Along with는 전치사 인가요? 아니면 부사와 전치사 인가요? 그리고 make는 4형식 동사고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로 된 절인가요?

10. All across Europe에서 All across는 전역이라는 뜻인데 부사와 전치사로 구성되어 있나요?

11. On the morning of January 1, Austrians welcome the new year with a traditional concert by the Vienna Philharmonic.에서 왜 전치사 In 이 아니고 on이 쓰였나요? 그리고 Vienna Philharmonic앞에 the를 안쓰면 안되나요? 특정한 그룹이여서 the를 쓰는 건가요?

12. These days the concert is broadcast live on television. 에서 어떻게 be broadcast 다음에 live라는 동사가 쓰일 수 있나요?

13. An estimated 50 million people 에서 왜 estimated 50 millions people이 아닌가요?

14. The most common tradition is first-footing. Most는 common을 수식하나요? 그리고 이것도 최상급인가요? 최상급 형용사 다음에 명사도 오는것이 가능하지요? 그리고 first-footing이 진행형인지 동명사인지 궁금합니다.

15. Another famous tradition is linking arms and singing Auld Lang Sym~.이란 문장에서 linking랑 sing은 동명사인데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해석하면 될까요? 그리고 Another의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16. They put pieces of lead in a spoon and melt them over a candle. 에서 왜 스푼앞에 on이 안쓰이고 in이쓰였을 까요 그리고 왜 above가 아니고 over이 쓰였을까요?

17. They use its shape to make Nee Year’s predictions. 에서 to make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인가요 부사적인 용법인가요? make는 어떻게 해석이 가능한가요?

18. If it looks like an island, the person who poured the lead will be lonely. 에서 looks like 이 동사인가요? 그리고 an island 는 목적어 인지 보아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정법의 현재로 현재의 상황에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어서 가정법 현재를 사용한 것이 맞을까요?

19. 원형부정사와 동사원형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질문이 많은데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To make something attractive by adding other things 에서 make는 3형식으로 사용되었나요 5형식으로 사용 되었나요? Attractive가 something을 뒤에서 수식하는지 아니면 목적격보어로 사용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other은 things을 꾸며주는 형용사가 맞나요?

--> something 이 목적어고 attractive 가 목적격보어이니 5형식 make 입니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의 보어지요 그럼 결국 attractive 가 something 의 보어로 이걸 꾸민다라고 볼 수도 있지요

이걸 그래서 3형식으로 목적어 + 수식어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가 5형식이란 동사, 문장을 따로 놓고 형식으로 볼 이유가 없지요.

이렇게 형식을 따지는 이유는 딴게 아니고 동사의 용법을 이렇게라도 익히라고 하는 설명입니다

지금 님은 make 는 따지지 않지요 make 가 5형식으로 목적어인 뭔가를 attractive 매력적으로 만든다 이렇게 쓰인다가 핵심입니다 이거 설명할려고 나온 것이 형식인데 make 는 따지지 않고 목적어 목적격보어만 따지는 것은 잘못된 공부입니다.

other things 가 왜 쓰이나요? 앞에 adding 동명사의 목적어이니까요 그럼 목적어로 명사가 와야지요 뭐가 adding 의 목적어인가요? things 지요 그럼 other 는 이 명사를 꾸미주는 한정사입니다 뭐 형용사로 설명하고요.

2. To do something enjoyable to mark a special occasion 에서 do는 5형식으로 사용이 안될 것 같은데enjoyable이 something을 후치수식을 해주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to mark같은경우 something을 꾸며주는 형용사적 용법인지 아니면 do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적 용법인지 궁금합니다.

--> 형식을 왜 따진다고요? 동사의 용법을 형식별로 묶어서 같은 용법끼리 익히고 외우라고 하는 것입니다

something 이 목적어로 보이고 enjoyable 이 뒤에 보이니 이게 목적격보어냐 아니냐 이거 따지라고 나온 설명이 아닙니다. 지금 완전히 잘못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형식에 문장성분 따지는 것은 현상에 대한 설명에 지나지 않고요 핵심은 동사입니다. do 는 5형식 용법이 없는 동사입니다.

enjoyable 이 명사를 후치를 합니다. 즉 3형식입니다. ~thing 의 명사를 형용사가 꾸미면 후치를 합니다.

to mark a special occasion 부정사구의 용법은 something을 꾸며주는 형용사적 용법이 젤 적절하지요

3. Kwanzaa, which takes place from December 26 to January 1 in the United States~ .라는 문장에서 take place 까지 동사로 봐야하나요? Place 는 보통 셀 수 있는 명사이니까 동사가 두번 반복된다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take place는 자동사인가요?

--> 문장에 쓰이는 동사는 문장성분으로 동사이고요. 문장에 이렇게 쓰이는 동사로 쓰일 수 있는 품사의 단어가 또 동사지요. 그럼 take place 가 동사가 될 수 있나요?? 게다가 자동사??

take 가 품사가 동사이니 이게 이 절에서 동사이고요 place 가 명사인 것을 안다면 동사가 두번 반복된다란 말이 어떻게 나올 수 있는지요???

take 는 대표적인 타동사이고요 이것의 목적어가 place 입니다.

4. This means first fruits of the harvest

에서 first 앞에 the가 없는데 그러면 서수가 아니고 그냥 처음의라는 형용사로 봐도 될까요?

--> 처음이건 첫번째건 이렇게 말할땐 뭔가를 놓고선 그 중에서 처음의, 첫번째의 이렇게 쓰지요 그러니 한정이 되서 주로 the 랑 쓰이고요

하지만 영어를 공식처럼 따질 순 없습니다. 영어도 언어이니까요.

그냥 수확의 첫 열매들이란 일반적 표현으로 한정없이 쓰는 경우입니다.

5. Green stands for the green landscapes of Africa.

첫번째 Green과 같은경우는 녹색인데 두번째 green은 형용사인가요? 아님 명사로 명사여러개가 반복되는 명사구인가요? 만약 맞다면 명사 여러개로 반복 가능한가요?

--> 영어의 절은 반드시 주어, 동사를 기본으로 갖춰야합니다

stand 이 동사이니 green 이 주어이어야하지요. 주어는 명사만 가능하니 앞에 green 은 명사이고

for 는 전치사이고 전치사는 목적어가 필요하니 이 전치사의 목적어는 뒤에 landscapes 입니다. 그러니 the green 둘 다 이 명사를 꾸며줘야지요

안그럼 목적어가 2개가 됩니다.

6. Red symbolizes the blood of people who died fighting for freedom.

Died 다음에 어떻게 v-ing형태가 올 수 있나요?

목적어 형태인 동명사로온 걸 까요? 분사형태로 왔다면 어떻게 분사형태로 동사 옆에서 쓰일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목적어를 따지기전 die 가 타동사인가요 자동사인가요? 자동사지요

자동사가 어떻게 목적어를 가질 수 있나요?

분사구문입니다. 분사구문은 부사구지요.

7. Each of the seven days. Each다음에 day가 생략되었다고 하는데 그러면 each은 대명사인가요 형용사 인가요?

--> each 를 한정사 즉 형용사로 보면 each day 라고 해야겠지요

하지만 each 는 대명사로도 쓰입니다 부정대명사

8. On December 31, the last night of Kwanzaa, families gather for a feast~ last의 최상급은 없나요? last는 형용사 인가요? 그리고 gather은 모이다라는 자동사 인가요?

--> 저기서 last 는 마지막의 이런 형용사라 이건 비교급, 최상급의 표현이 없습니다. 어짜피 마지막은 정해져 있는 개념이니 더 마지막, 젤 마지막 이건 말이 안되지요

gather 는 자동사입니다.

9. Along with Christmas~, Kwanzaa makes the holiday season a very special time. Along with는 전치사 인가요? 아니면 부사와 전치사 인가요? 그리고 make는 4형식 동사고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로 된 절인가요?

--> along 이란 부사를 with 전치사구가 꾸며주는 구조지요

전치사는 자신의 목적어를 취해서 전치사구를 이루고 이 전치사구는 부사구로 쓰이니 또 다른 부사를 꾸밉니다

하지만 along with 로 같이 익혀둬야지요

지금 make 는 5형식입니다

10. All across Europe에서 All across는 전역이라는 뜻인데 부사와 전치사로 구성되어 있나요?

--> across 도 전치사이니 부사 +전치사구의 구조이고

전치사는 원래 부사가 꾸밀 순 없지만 이건 all 이 강조해서 전치사를 꾸민다라고 보통 예외적으로 설명하긴 하지만 all across 란 표현 자체를 아는게 더 중요합니다.

11. On the morning of January 1, Austrians welcome the new year with a traditional concert by the Vienna Philharmonic.에서 왜 전치사 In 이 아니고 on이 쓰였나요? 그리고 Vienna Philharmonic앞에 the를 안쓰면 안되나요? 특정한 그룹이여서 the를 쓰는 건가요?

--> 아침은 원래 in 을 쓰지만 이렇게 of 전치사구가 구체적 날짜를 꾸며주는 구조에선 on 도 씁니다.

필아모닉은 교향악단이란 일반명사고 Vienna 는 도사 이름이지요 그럼 비엔나에 있는 교향악단이란 유일한 개념으로 the 가 들어가고 이 전체를 하나의 고유명사로 취급해서 이름으로 씁니다 그래서 Philharmonic 도 대문자로 했습니다.

12. These days the concert is broadcast live on television. 에서 어떻게 be broadcast 다음에 live라는 동사가 쓰일 수 있나요?

--> 저기 broadcast 는 동사가 아니라 과거분사인 것은 알지요? 그래서 is broadcast 는 수동태 동사입니다

그럼 또 동사가 올 수 없지요

저기 live 는 생방송으로 이런 부사입니다.

13. An estimated 50 million people 에서 왜 estimated 50 millions people이 아닌가요?

--> 50,000,000 의 숫자지요 수번째 콤마에 해당되는 디짓 million 으로 이건 단수로 써야지요

200 은 two hundred 라고 하지요 two houndreds 라고 하지 않지요

14. The most common tradition is first-footing. Most는 common을 수식하나요? 그리고 이것도 최상급인가요? 최상급 형용사 다음에 명사도 오는것이 가능하지요? 그리고 first-footing이 진행형인지 동명사인지 궁금합니다.

--> common 형용사의 최상급을 만들려고 most 가 꾸며줍니다.

최상급, 비교급은 부사 형용사만 되지만 최상급, 비교급이 된 부사, 형용사라고 해도 여전히 부사, 형용사입니다

다시 말해 원래 문장에서 어법에 맞게 형용사, 부사에 쓰이는 것이 비교급도 되고 최상급도 됩니다

그럼 형용사의 기능은 보어 아님 명사를 꾸며주는 것 둘 중 하나지요 지금은 명사를 꾸미고 있고 이게 최상급이 된 것입니다.

최상급이 되었다고 품사가 바뀌는게 아닙니다.

15. Another famous tradition is linking arms and singing Auld Lang Sym~.이란 문장에서 linking랑 sing은 동명사인데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해석하면 될까요? 그리고 Another의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 주어 동사 보어 2형식이고요

각 문장에 문장성분은 하나씩만 있어야지요. 보어로 동명사구 2개가 오니 and 가 병렬로 연결합니다

그러니 주어는 보어이다 이 2형식에서 보어로 두개가 오는 구조로 해야합니다.

another 는 최소 3개 이상에서 앞에서 하나를 말하고 그외에 또 다른 하나 이런 의미로 명사를 꾸며줍니다.

16. They put pieces of lead in a spoon and melt them over a candle. 에서 왜 스푼앞에 on이 안쓰이고 in이쓰였을 까요 그리고 왜 above가 아니고 over이 쓰였을까요?

--> 스푼 위에 높여진 것의 상태적 의미라면 on 이 더 적절하고요

납 조각들을 뭔가로 퍼 올리는데 스푼으로 퍼 올리는 도구적 상화으로 in 을 썼습니다.

above 는 장소적으로 말그대로 ~위에 이런 의미고요

스푼을 들고서 촛불 위에서 들고 있었겠지요 over 가 좀 더 이런데 어울립니다.

17. They use its shape to make Nee Year’s predictions. 에서 to make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인가요 부사적인 용법인가요? make는 어떻게 해석이 가능한가요?

--> 그들은 그것의 형태를 사용한다 + 새해의 예측을 하기 위해서 부사적 용법이 젤 맞네요

make 다음 명사가 오면 그 명사의 동사의 의미로 주로 쓰입니다 prediction 은 예측이란 명사니 예측을 한다

18. If it looks like an island, the person who poured the lead will be lonely. 에서 looks like 이 동사인가요? 그리고 an island 는 목적어 인지 보아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정법의 현재로 현재의 상황에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어서 가정법 현재를 사용한 것이 맞을까요?

--> 동사는 하나만 와야한다니까요

look 이 동사지요 like 는 전치사입니다.

an island 는 like 전치사의 목적어지만

look 을 우리가 2형식 동사로 보고 명사보어가 오면 like 전치사랑 쓰이는 것으로 해서 2형식으로 설명하지요

그래서 이런 한국식 영문법으로 설명하면 an island 는 보어로 설명합니다

핵심은 look 에 like 전치사가 쓰인다 이거고요

19. 원형부정사와 동사원형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 동사가 인칭변화나 시제변화를 하지 않은 상태를 동사원형이라고 합니다.

He likes me. He liked me. 이 동사들의 원형은 like 지요

I like him. 지금 like 는 원형이지요.

또 부정사를 만들때도 to 다음에 동사를 원형으로 써줘야하지요

원형부정사는 to R 에서 to 가 생략되고 R만 남은 것을 원형부정사라고 합니다

5형식 사역동사, 지각동사가 취하는 목적격보어에 쓰이는 것을 원형부정사라고 합니다

또 2형식 보어에서 to R 부정사구가 명사적용법으로 보어로 쓰일때 간혹 to 생략하고 원형부정사를 쓰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To make something attractive by adding other things 에서 make는 3형식으로 사용되었나요 5형식으로 사용 되었나요? Attractive가 something을 뒤에서 수식하는지 아니면 목적격보어로 사용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other은 things을 꾸며주는 형용사가 맞나요? by 는 수단, 원인 을 뜻합니다. 그래서 by ~는 make[cause: 원인, 인과관계=5형식 동사]와 호응합니다. 단순히 make[produce-제작, 생산=3형식동사]를 의미하지 않는 이유입니다...그러므로 by ~ 가 없는 문장이라면 3형식도, 5형식도 성립되는 문장이 됩니다.

2. To do something enjoyable to mark a special occasion 에서 do는 5형식으로 사용이 안될 것 같은데enjoyable이 something을 후치수식을 해주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to mark같은경우 something을 꾸며주는 형용사적 용법인지 아니면 do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적 용법인지 궁금합니다. (1) 사람들이 즐거워할만한 일을 함[ to do something enjoyable ]으로써 -- 그것을 보고 - 무슨 특별한 행사가 있을 거라고 [mark a special occasion ]생각하게 됩니다. (2) 그러나 그러한 즐거워할만한 일을 하는 행위자(doers)의 입장에서는 -- 무슨 특별한 행사임을 표현하는 목적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3) 결론은 '목적'을 뜻하는 "to mark ~ "가 되든지, 객관적 독자의 입장에서 "to mark ~ "를 그 목적의 결과로 읽을 수도 있는 이치이므로... (4) To do something enjoyable 에 대하여 to mark a special occasion은 목적, 혹은 결과 -를 의미하는 '부사적' 의미관계로 성립합니다.

3. Kwanzaa, which takes place from December 26 to January 1 in the United States~ .라는 문장에서 take place 까지 동사로 봐야하나요? Place 는 보통 셀 수 있는 명사이니까 동사가 두번 반복된다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take place는 자동사인가요? phrasal verb(구동사)로 보면, 자동사가 맞지만, 단어로서는 take place는 타동사+목적어 입니다.

4. This means first fruits of the harvest

에서 first 앞에 the가 없는데 그러면 서수가 아니고 그냥 처음의라는 형용사로 봐도 될까요? first 의 의미는 여기서는 '가장 중요한, 의미있는'이라는 의미의 일종의 비유적 표현이 관용화되어서 쓰였다고 생각됩니다.

5. Green stands for the green landscapes of Africa.

첫번째 Green과 같은경우는 녹색인데 두번째 green은 형용사인가요? 아님 명사로 명사여러개가 반복되는 명사구인가요? 만약 맞다면 명사 여러개로 반복 가능한가요? green은 명사이며, green landscapes에서의 명사 green은 landscapes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초록(의 빛깔을 가진) 풍경이라고 할 수 있지요. 우리말에도 "달빛 그림자"라고 하면 "명사+명사"이지만, 사실의 의미는 "달빛(이 빚어내는) 그림자"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러한 표현을 수사법적 표현이라고 합니다.(직유법)

6. Red symbolizes the blood of people who died fighting for freedom.

Died 다음에 어떻게 v-ing형태가 올 수 있나요?

목적어 형태인 동명사로온 걸 까요? 분사형태로 왔다면 어떻게 분사형태로 동사 옆에서 쓰일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who died fighting for freedon = who died (when he was) fighting for freedom..의 의미로서, when 부사절의 엄격한 형식에 매이지 않고 현재분사 fighting ~으로서 간략히 표현하는 작문법을 '분사구문'이라고 부릅니다.

7. Each of the seven days. Each다음에 day가 생략되었다고 하는데 그러면 each은 대명사인가요 형용사 인가요? 7일 중의 각각의 하루 하루를 말하므로 물론 '대명사'입니다. day가 "생략되었다"고 하면 each는 관형사인 형용사이지만,

"생략이 아니라" "each day = each"로 사용하는 것이 어법이라고 보면 each 자체는 '대명사'입니다.

8. On December 31, the last night of Kwanzaa, families gather for a feast~ last의 최상급은 없나요? last는 형용사 인가요? 그리고 gather은 모이다라는 자동사 인가요?

9. Along with Christmas~, Kwanzaa makes the holiday season a very special time. Along with는 전치사 인가요? 아니면 부사와 전치사 인가요? 그리고 make는 4형식 동사고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로 된 절인가요?

10. All across Europe에서 All across는 전역이라는 뜻인데 부사와 전치사로 구성되어 있나요?

11. On the morning of January 1, Austrians welcome the new year with a traditional concert by the Vienna Philharmonic.에서 왜 전치사 In 이 아니고 on이 쓰였나요? 그리고 Vienna Philharmonic앞에 the를 안쓰면 안되나요? 특정한 그룹이여서 the를 쓰는 건가요?

12. These days the concert is broadcast live on television. 에서 어떻게 be broadcast 다음에 live라는 동사가 쓰일 수 있나요?

13. An estimated 50 million people 에서 왜 estimated 50 millions people이 아닌가요?

14. The most common tradition is first-footing. Most는 common을 수식하나요? 그리고 이것도 최상급인가요? 최상급 형용사 다음에 명사도 오는것이 가능하지요? 그리고 first-footing이 진행형인지 동명사인지 궁금합니다.

15. Another famous tradition is linking arms and singing Auld Lang Sym~.이란 문장에서 linking랑 sing은 동명사인데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해석하면 될까요? 그리고 Another의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16. They put pieces of lead in a spoon and melt them over a candle. 에서 왜 스푼앞에 on이 안쓰이고 in이쓰였을 까요 그리고 왜 above가 아니고 over이 쓰였을까요?

17. They use its shape to make Nee Year’s predictions. 에서 to make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인가요 부사적인 용법인가요? make는 어떻게 해석이 가능한가요?

18. If it looks like an island, the person who poured the lead will be lonely. 에서 looks like 이 동사인가요? 그리고 an island 는 목적어 인지 보아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정법의 현재로 현재의 상황에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어서 가정법 현재를 사용한 것이 맞을까요?

19. 원형부정사와 동사원형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질문이 많은데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어 문법 질문

핑크 형광색 of what은 전치사 + 관대인가요? 맞다면 where로 고칠 수 있나요? 핑크 형광색 of what은 전치사 + 관대인가요? ------------- 맞습니다. 맞다면 where로 고칠 수...

영어 문법 질문 !

...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ㅜㅜ nother way to speed up the process would to make the...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ㅜㅜ ---------------------------------- Another way to...

영어 문법 질문합니다

... 봐주세요 질문영어 문법 질문합니다 비공개 조회수 8 작성일12분 전 I want to Cheorwon(x) -> I want to visit Cheorwon. I visited the 2nd...

영어 문법 질문They are riding horses

안녕하세요, 영어 문법 헷갈리는 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발그림 양해 부탁드려요 1번 그림의 경우 두사람이 말을 타고 있는데요 이걸 말로 표현하면 They...

중3 영어 문법

... 수준의 영어 문법을 연습해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어려운 문제라도 괜찮아요! 계속 도전하면서 노력해보세요. 언제든지 질문이 있으면 물어봐...

영어 문법 질문

... 영어 문법 질문 비공개 조회수 13 작성일32분 전 London is the most exciting place that I have ever been. 답지를 보면 이 문장은 been 뒤 to 가 들어가야한다고 되어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