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영어 문법 확인 부탁드립니다.

간단한 영어 문법 확인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20.06.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We briefly explained that it was a volcanic island. and mentioned the purpose of coming here.

우리는 화산섬이라고 간단히 설명했고, 여기에 온 목적을 언급했다.


#간단한 영어로 #간단한 영어 문장 #간단한 영어 자기소개서 #간단한 영어게임 #간단한 영어단어 #간단한 영어이름 #간단한 영어 명언 #간단한 영어 문구 #간단한 영어 질문 #간단한 영어 퀴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잘됐습니다만

beliefly가 빈도부사가 아니고 원래는 목적어가 간단하다면 목적어의 뒤에 있어야하나 - 후술하는 #요령1,2 참고

We explained something breafly.

여기서는 목적어가 절로서 길기에 차라리 이런 경우는 목적어의 앞에 두어.

We explained breafly that ~ -가 더 좋겠습니다. - #요령 50 참고

---------------------------------------------------------

<부사는 위치가 자유롭다거나, 아무 데나 올 수 있다> 고 말하는 것은 부사에 대한 고찰을 포기하겠다는 뜻으로 이해됩니다.

영어에서 종잡을 수 없는 것이 부사(구)의 위치라고들 하지만, 이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이를 정리해 둔 것이 저의 저서 중에 있어 여기 인용하니

한번 보시면 앞으로는 이 부분에 대해 자신을 가지시게 될 것입니다.

{3} 공식 3 <부 - 수만 – 동, 형, 다부>

(해설) 사는 - 하는데 – 사, 용사, 자기 이외의 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들면)

(1) He speaks slowly.에서 slowly라는 부사는 동사 speaks을 수식하는 부사이고

(2) He is very happy.에서 부사 very는 형용사 happy를 수식하며

(3) He speaks so slowly.에서는 so라는 부사가 slowly라는 자기 이외의 다른 부사를 꾸밉니다.

부사가 형용사나 다른 부사를 수식할 때는 단어는 앞에서, 구는 뒤에서 수식합니다.

그러나 동사를 수식할 때는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특히 부사 very는 동사를 직접 수식하지 못하고 다른 부사를 수식할 때는 앞에서 수식하여 전체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뒤의 양보정신에 따라 문미에서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합니다.

# 요령1 - 부사의 양보정신

He speaks slowly.라는 문장에서, 만약 speaks가 English라는 목적어를 가지면 He speaks English slowly.가 되는데, 부사(여기서는 slowly)가 동사(여기서는 speaks)를 수식할 때는 이와같이 동사의 바로 뒤에 오지만, 그 동사가 보어나 목적어(English)를 가지면, 부사는 그 보어나 목적어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그들 보어나 목적어 뒤로 가서 동사를 수식합니다.

이때 어느 경우나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결국 문장의 끝 부분에 있게 되며, 문장의 앞쪽(주어쪽)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게 됩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요령이 나옵니다.

# 요령 2 - 문장, 구, 절의 끝부분에 있는 부사, 부사구, 부사절 그리고 전명구는 거의가 다(8,90%) 앞쪽(주어 쪽)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 부사구, 부사절이 됩니다.

# 주의19 – 문장 끝에 있는 전명구의 앞중가까동의 예외 – 수동에서의 by ~ 전명구

(예문186-1) = (예문47) The guide did not allow us to bring any camera into the cave.

- 안내인은 (우리가) 동굴 속으로 어떤 카메라든지 가져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예문186-2, 수동2식문) We were not allowed to bring any camera into the cave by the guide.

- 우리가 어떤 카메라든지 동굴속으로 가져가는 것이 안내인에 의해 허용되지 않았다.

수동 문장에서 <by + 주어>의 전명구는 보통은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인 본동사를 수식하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요령1,2). 그런데 위 문장에서처럼 목적보어에 to 부정사나 기타 준동사(현재분사, 과거분사)가 올 때는, <by + 주어>인 by the guide는 문장 끝에 있는 전명구로서, #요령2에 의하여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기 때문에, 본동사가 아닌 목적보어에 온 to 부정사의 동사인 bring를 수식해야 할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by + 주어>는 항상 본동사를 수식해야 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앞중 가까동>의 예외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런 오해를 피하기 위해 <by + 주어>를 보어가 된 준동사의 앞에 두기도 합니다. 즉, 위의 (예문186-2, 수동2식문)을

We were not allowed by the guide to bring any camera into the cave. 로 쓰기도 합니다.

# 요령50 –요령1,2의 예외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목적어나 보어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목적어나 보어의 뒤로 가는 것이 원칙이나(#요령1), 그 목적어나 보어가 구나 절로서 길거나 목적어나 보어를 수식하는 긴 구나 절이 있을 때는 차라리 목적어의 앞에 옵니다.

(예문549) I spent effectively the years during which I studied in Sydney.

(물음) 부사 effectively는 목적어 the years가 있으니, 그 뒤로 가야 하지 않나요

(#요령 1)에 의하여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목적어의 뒤로 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 그리하여 목적어인 the years 뒤에 가려고 보니 , 이 목적어 (the years)를 장미 (선행사 )로 하는 during which I studied in Sydney 라는 형용사절이 밀접히 관련돼 있어서 , 동사 spent 를 수식하는 부사 effectively 가 목적어인 the years 와 during 의 사이에 끼어 들기가 곤란합니다 .

그렇다고 형용사절의 맨 끝인 Sydney 뒤에 둔다면(#요령1), 문장의 끝에 있는 부사는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여야 하니(#요령2), studied 를 수식하게 되고 spent 를 수식할 수 없으니 – 차라리 위와 같이 목적어와 동사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요령 50).

-------------------------------------------------------

# 요령24 – #요령2의 예외 - 문장, 구, 절등의 끝부분에 있는 전명구 - 앞중가까동의 예외 장미공식으로의 환원

#요령2에서 문장, 구, 절의 끝 부분에 있는 전명구는 8~90%가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한다고 했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해석을 했을 때 말이 이상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장미공식을 적용합니다. 그러나

(예문58) I saw the cat to snatch a goldfish in a fishbowl.

위의 예문중 snatch a goldfish in a fishbowl 이 좋은 예입니다. 이 구에서 전명구 in a fishbowl은 부정사구의 끝 부분에 있는 전명구이기 때문에, #요령2에 의하여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 snatch를 수식하는 부사구로 봐야 할 것이며, 이렇게 해석을 하니 “금붕어를 어항속<에서> 낚아채는 고양이”가 되는데, 이것은 말이 안됩니다. 고양이가 어항속으로 들어가서 낚아챘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렇게 말이 안 될 때는 장미공식을 적용하여 전명구 in a fishbowl이 바로 앞에 있는 명사, goldfish를 수식하는 형용사구(부사구가 아님)가 되서 “어항속에 <있는> 금붕어를 낚아채는 고양이”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그런데 한편 부사는 조동사가 있으면 본동사와의 사이에 옵니다

-----------------------------------------------------

{8} 공식8 <조 - 본, 원형 – 사이, 부 - 동수>

(해설) 동사가 오면 반드시 동사가 오고 그 본동사는 원형동사여야 하며, 그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는 사가 올 수 있어서 사를 식합니다.

# 예를 들면

He can not speak English.에서 조동사 can의 뒤에는 본동사가 오는데, 그때 본동사는 원형동사(speak)가 와야 하며(즉, 과거형인 spoke,과거분사형인 spoken, 또는 현재분사 형태인 speaking등은 올 수 없다는 뜻입니다.), 조동사 can과 본동사 speak 사이에 부사인 not가 와서 동사 speak를 수식합니다.

--------------------------------------------------

그런데 조동사란 can, may등 타고난 조동사뿐 아니라 이에 준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

# 요령15 - 조동사에 준하는 것들(준조동사)

공식8은 – 조 - 본, 원형, 사이부, 동수 - 인데, 이때 조동사란 원래의 조동사 can, may, must, shall, will---등 외에

(1) 부정문, 의문문을 만들때 쓰는 do,

(2) 수동태(be + 과거분사)를 만들 때 쓰는 be,

(3) 진행형(be + RV +ING)을 만들 때 쓰는 be,

(4) 완료시제(have + 과거분사)를 만들 때 쓰는 have 등도

조동사처럼 바로 뒤에 본동사가 오며 그 사이에 부사가 와서 동사를 수식합니다. 다만 이때 본동사는 원형이 아닙니다. 이는 시제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완료형에서 부사의 위치는 have + 부사 + 본동사(PP) - 이며.

조동사가 2개 이상이면 보통은 첫 번 째와 두 번 째 조동사 사이에 두지만 두 번 째와 세 번 째 동사의 사이에 또는 여러 부사들을 하나씩 분산 배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would not have been ~, ~ can now be safely removed ~ - 따위

--------------------------------------------

# 주의8 – enough가 부사로서 형용사(soft)를 수식할 때는 enough

단어 한 개지만 뒤에서 수식합니다(장미공식의 예외).

(예문 77) This avocado is soft enough to eat.

- 이 아보카도(과일의 일종)는 충분히 연하여 먹을 수 있다(먹기에 충분히 연하다).

----------------------------------------------

# 요령29 -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올 수 있는 것들

문장에서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올 수 있는 요소는 감탄사(oh, wow등), 호칭(이름을 부르는 것) 그리고 부사적 요소(부사, 부사구, 부사절 등)뿐입니다. 이같이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오는 부사적 요소는 원래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적 요소인데, 강조하기 위해서 문장 앞으로 나온 것이므로 해석도 가장 먼저 해줍니다.

이 경우에 문장 첫머리의 부사절에는 그 절이 끝난 곳에 콤마(,)를 찍는 것이 원칙이고, 부사구 뒤에도 찍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질문15 - 부사간의 어순 –

(예문280) If you board this plane, you will arrive in Sydney at ten.

(해석) 당신이 이 비행기를 타면 시드니에 10시에 도착할 것입니다.

위 문장에서 만약 비행기로 “by airplane”를 넣어서 –10시에 도착 할 것입니다 –by airplane을 어디에 넣어야 할까요

(답) 영어에서 부사적인 요소들(부사, 부사구, 부사절 등)을 나열할 때가 가장 복잡하고 다양한데, 여기에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우선 그 길이(단어의 개 수)가 짧은 것부터 긴 것의 순으로 나열합니다. 즉, 가장 짧은 부사, 다음이 부사구, 마지막으로 가장 길이가 긴 부사절의 순서로 나열합니다.

문제는 여기서 처럼 - by airplane, in Sydney, at ten 모두가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된 길이가 같은 부사구 –

<장, 방, 목, 시> (소, 법이나 적, 간)의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따라서 장소의 부사구인 in Sydney가 맨 먼저 오고, 다음이 방법인 by train, 마지막으로 시간의 부사구 at ten을 맨 나중에 두는 것이 원칙입니다. 여기서 방법과 목적은 같은 순위로 봅니다.

# 요령39 –수식어의 나열 순서

위에서는 부사에 대해서 언급했지만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를 포함하여 - 영어의 모든 수식어의 나열 순서는 길이가 짧은 것부터 긴 것의 순서로 나열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여기서 ‘길다, 짧다’는 단어의 개수를 말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는 단어가 가장 짧고, 그 다음이 구, 그리고 절이 가장 긴 것이 되겠습니다.

------------------------------------------

그런데 여기에 덧붙여 빈도부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 설명드린 내용을 그대로 무료 동영상으로 유튜브에서 [강Sam영어]<원리로 푸는 영어(상)> 제34강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C. 동수부 앞중가까동 – 의 예외 - 빈도(횟수) 부사

공식 5의 장미공식의 예외에 의하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의 약 80%는 동사의 뒤에서 수식합니다. 그런데 나머지 약 20%의 부사는 동사를 앞에서 수식합니다. 이 약 20%의 부사는 대부분 빈도(횟수)부사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almost, also, always, commonly, ever, forever, frequently, generally, hardly, nearly, never, occasionally, often, rarely, scarcely, seldom, sometimes, still, usually 등인데

(1) 조동사와 조동사류가 있다면 (공식8 - 조본원형사이부동수)이 적용됩니다.

(예문344-1) I have never seen a tiger.

(예문344-2) I never saw a tiger.

(예문344-1)에서는 완료형에서 have는 “조동사류”로서 수동이나 진행에서 be 동사와 함께 조동사로 취급되므로(#요령15), 빈도부사 never가 조동사류인 have와 본동사 seen의 사이에 왔습니다. 반면 (344-2)에서는 빈도부사 never가 일반동사 saw의 앞에 왔습니다.

또한 위에서 본대로 조동사가 2개 이상이면

보통은 첫 번 째와 두 번 째 조동사 사이에 두지만 두 번 째와 세 번 째 동사의 사이에 또는 여러 부사들을 하나씩 분산 배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would not have been ~, ~ can now be safely removed ~ - 따위

(2) be 동사가 있을 때는 그 뒤에 옵니다.

(예문345) He is often absent for meeting.

- 그는 모임에 종종 결석한다.

(3) 기타의 동사가 오는 경우에 빈도부사는 동사의 앞에 옵니다.

(예문346) He usually abides by the rule.

- 그는 항상 규칙을 지킨다.

# 빈도부사는 강조되기 위해 문두나 문미에 올 수도 있습니다.

Usually he gets up early.

= He usually gets up early.

= He gets up early usually.

그러나 always는 문미나 문중에 오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

# 주의27 – 각종의 구를 이루는 동사를 부인하는 부사인 부정어 not, never의 위치

동사로 구성되는 각종의 구(부정사구, 동명사구, 동형사구, 동부사구 등)를 부정하는 부사 not, never 등은 부정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 do 따위가 필요없이 이들만이 각 구들의 앞에 옵니다. 예문을 들어봅니다.

(1) 부정사에서

(예문94) It was wise of him not to gamble away his fortune.

(2) 동명사에서

(예문121) Love means not having to say being sorry.

(3) 동형사(분사)에서

(예문256) Materials not collected can be taken to the nearest Waste Transfer Station.

(4) 동부사(분사구문)에서

Not knowing his name, I was embarrassed.

--------------------------

부정사의 동사를 수식하는 분리부정사에서의 부사의 위치

그리고 지금 여기에 설명드린 내용을 그대로 무료 동영상으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 제14강-2/2.(의문사+부정사)(예문101-115)제120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7} 분리(분할)부정사(spilt infinitive)

To 부정사 <to + RV>에서 의미상의 주어 <for(of) + 목적격>를 두거나, 부정어<not, never등>를 붙이는 경우에도, 항상 <to + RV>의 앞에다 두고 to 와 RV 사이에는 아무 것도 둘 수 없는 것이 원칙인데, 오늘날 그 사이에 부사를 두는 문장이 자주 쓰이는 바, 이를 분리(분할)부정사라고 합니다.

(예문113) To thoroughly love others is often impossible.

(복습확인) thoroughly 는 love를 수식하는 부사인데, 보통의 부정사라면 thoroughly는 어디에 있어야 하나요?

(답) others와 is의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부정사구 to love의 한계는 두 번째 동사 is의 앞까지이고, 동사 love를 수식하는 부사 throughly는 수식하는 동사 love의 뒤에 와야 하나, 그 동사가 보어나 목적어(여기서는 others)를 가지면, 그들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목적어인 others의 뒤에 와야 하기 때문입니다(#요령1). 그런데도 여기서는 thoroughly가 to와 love의 사이에 왔기 때문에 이를 분리(분할) 부정사라고 합니다.

- 다른 사람들을 완전히(철저히) 사랑한다는 것은 종종 불가능하다.

(예문114) To suddenly reduce speed on ane xpress way is dangerous.

- 고속도로에서 갑자기 속도를 줄이는 것은 위험하다.

(예문115) My wish is to perfectly master FormulaEnglish.

- 나의 소망은 공식영어를 완벽하게 마스터하는 것이다.

---------------------

동부사(분사구문)를 수식하는 부사의 위치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33강-2/3.무(비)인칭 독립동부사/분사구문(예문317-332)제235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https://youtu.be/jBSTp2sWxFQ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주의30 – to speak frankly와 frankly speaking

동부사의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의 위치

(예문317) Frankly speaking, it is very hard for Koreans to learn English without understanding Formula Eglish.

솔직히 말하면 한국인이 공식영어의 이해 없이 영어를 배우기는 매우 어렵다.

(1) frankly의 위치 비교

“솔직히 말하면”이라는 위의 두 가지 표현은 전자는 to 부정사로, 후자는 동부사로 표현한 것으로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frankly의 위치를 비교해 보면 똑같이 동사 speak를 수식하는데, 전자에서 to 부정사의 동사 speak를 수식할 때는 동사의 뒤에서 수식했고, 후자에서 동부사의 동사 speaking을 수식할 때는 동사의 앞에서 수식했습니다.

(2) 둘다 맞는 표현입니다만 어느것이 원칙에 맞나요?

물론 전자입니다. 즉, 장미공식의 예외에 의하여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80 ~ 90%가(즉, 10 ~ 20%의 빈도부사를 제외하고 – 빈도부사는 후술)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기 때문입니다(동수부 - 앞중가까동).

(예문318) Strictly speaking, Australia is a big island.

- 엄밀히 말하면 호주는 하나의 큰 섬이다.

# 엄격히 말하는 것은 본문의 주어인 Australia가 아니고 일반인들이므로 구태여 의미상의 주어를 넣는다면, 동부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격을 쓰므로 – We strictly speaking, 또는 with를 넣어서 With us strictly speaking이 되겠지만, 이같이 주어가 일반적일 때는 의미상의 주어가 없이 사용하므로, 이를 “무인칭(비인칭)동부사”라고 합니다.

(예문319) Generally speaking,most of Australians live around the coast.

- 일반적으로 말하면 대부분의 호주인들은 해안 주변에 거주한다.

(예문320) Roughly speaking,Maoris are taller than Aborigines.

- 대충 말하면 마오리(뉴질랜드 원주민)들이 아보리진(호주 원주민)들보다 더 키가 크다.

(3) 그런데 여기에 중대한 예외가 있습니다.

– 즉, 동부사의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는 동부사의 앞에서 수식합니다.

(4) 그러나 다음의 경우만은 동부사의 뒤에서 수식합니다.

smiling bright, 밝게 웃으면서

-------------------------

# 요령34 - of로 시작되는 전명구의 특징

문장, 구, 절의 끝 부분에 있는 전명구는 8~90%가 앞중가까동이지만(#요령2), of로 시작되는 전명구만은 바로 앞에 명사나 대명사가 있으면, 그것을 수식하는 형용사구가 됩니다.

--------------------------

'~도 역시' 라고 할 때,

'too'는 문장 맨 끝에, 'also'는 문장 앞쪽에 위치합니다.

There is also another book.

= There is another book, too.

--------------------------------------------

유튜브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https://youtu.be/jBSTp2sWxFQ

간단한 영어문법에 관해 여쭤봅니다 ^^

... 만약 안된다면, 무엇 때문인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간단한 영어문법에 관해 여쭤봅니다 ^^ [1] Jane always gives me advice. 라는 문장을 [2] Jane always...

영어 문법 확인 부탁드립니다!!

... 영어 문법중 틀리거나 이상한? 어색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ㅠㅠ 글에서 특별히 문법적으로 틀린 부분은 보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