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사 말입니다

전치사 말입니다

작성일 2010.08.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kyrnosa님 전치사문제가 하도 답답해서 지식인 돌아다니다가 kyrnosa님께서 답변하신 걸 보았는데 여태까지 찾아다니고 기다리고 있었던 바로 그 답변이었어요 ㅠㅠㅠㅠㅠ

 

kyrnosa님께서 전치사 분류하시는 게 특이하시던데

다른 사람들처럼 of을 ~의라고 하시지 않고 소속감을 나타낸다

with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이렇게 하시는데 정말 ㅠㅠㅠㅠㅠㅠ 찾아헤맸던 그답변

 

이런 식으로 다른 전치사들도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그리고 동사는 어원을 열심히하면 kyrnosa님처럼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요

 

맨투맨 종합문법에서

전치사+추상명사=부사 라고해서

with kindness =kindly 친절하게

with fluency=fluently 유창하게

with ease = easily 쉽게

제가 친절하게 유창하게 까지는 저 나름대로,

with 이 함께하다라는 뜻이니까 친절과 함께, 유창함과 함께.. 사람이 할 수 있는 것과 with을 같이 쓸 수 있다. 그래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 예컨대 with care 처럼... 주의깊게... I say him with care 내가 주의를 가지고 그에게 말하다 = 주의깊게 그에게 말하다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with ease with safety 처럼 사람의 성격에 따른게 아닌 게 나오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아뭐야 사람의 성격만 with하고 같이 쓸 수 있는게 아니라 그냥 그 사람이 하는 행동도 with 하고 같이 쓸 수 있나? 해서 그런가보다 하고 있었는데  그 뒤에 in succession= successively 연속적으로가 나오더라고요 그 뒤부터 in reality 사실상 in haste 급히 on purpose 고의로.... 등등등

생각해보니까 제가 생각했던 대로 하면 모든 것을 with 과 통일할 수 있었겠죠 ㅠㅠ

근데 in 도 나오고 on 도 나오고 이러니까 갈피를 못 잡겠어요..

맨투맨 에서는 전치사+추상명사는 관용적 표현이므로 무조건 외워서 완전히 익히도록 해야한다. 라고 되어 있는데, 한 16개 정도가 나왔거든요 근데 그게

 

A: with kindness    with ease

    with fluency       with safety

    with care           with rapidity

B: without doubt     without hesitation

C: in succession   in reality

    in haste             in earneast

D: by accident       to perfection

    on purpose       on occasion

 

이정도에요 진짜 16개였네요 근데 저 분류해 놓은 게 단순히 with에 따라 in 에 따라.. 등등 이렇게만 분류해 놓은 것이지 왜 with 뒤에는 이게 오고 in 뒤에는 이게 오고 이렇게 설명을 하지 않아서 답답하거든요 ㅠㅠㅠㅠ 그냥 암기만 해 놓으면 잊어먹기 십상이잖아요... 사실 이걸 5년전부터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이런 전치사 문제 같은 것 때문에 법칙같은거 나름대로 계속 찾아다니다가 빡쳐서 때려치고 다시하고 때려치고 그래서 5년 전부터 계속 여기서 제자리 걸음이에요 ㅠㅠㅠㅠ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ㅠㅠ 전치사는 어떻게 쓰는건지 어떤 느낌으로 쓰는건지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ㅠㅠㅠ

영어를 암기하는게 아니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ㅠㅠㅠ

그리고 kyrnosa님 지식 지필 감명깊게 봤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에 내공 100겁니다 앞으로도 많이 활동해주세요 ㅠㅠ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점수 100 이네 하며 들어왔다가 갑자기 제 아뒤가 있어서, 깜짝 놀랐네요.^^

-.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고,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yrnosa님께서 전치사 분류하시는 게 특이하시던데

다른 사람들처럼 of을 ~의라고 하시지 않고 소속감을 나타낸다

with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 그런 건 제가 분류한 게 아닙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전치사를 연구하셔서, 책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 그런데도, 많은 분들이 전치사를 체계적으로 공부하지 않으시는 듯 하더군요, 검색해보세요.

꽤 많은 전치사 관련 책들이 나와 있습니다.

-> 교수님들이 다년간 연구해서 책을 낼 정도로, 전치사는 간단한 부분이 아닙니다. 왜? 남의 것이니까..

-> 특히나, 구동사와 전치사엔 그들의 문화가 담겨있다고 생각합니다.

 

왜 in 을 쓰지않고, into 를 쓰는지, 왜 to를 쓰지 않고 for 를 쓰는지를 궁금해하기 전에,

그들이 in 을 쓰는 경우, into 를 쓰는 경우, to를 쓰는 경우를 많이 읽어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느낌, 뉘앙스를

읽어내야 합니다.

 

그 정도는 영영사전을 찾기만 해도, 수많은 예문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집을 향해 가는 것과, 집으로 가는 것이 뭐가 다른지는 문장속에서 느껴야지,

우리말의 조사도 한마디로 딱부러지게 이거다 하기 어려운 것이 많습니다.

 

전치사는 우리말의 부사격조사 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식으로 다른 전치사들도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 전치사관련 책을 하나 구입해서 공부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저보다 훨 체계적일테니까요^^

동사는 어원을 열심히하면 kyrnosa님처럼 될 수 있을까요?

-> 어원을 공부하는 것은, 단어를 잘 까먹지 않기 위함이고,

-> 독해를 잘하려면, 동사는 반드시 영영사전에서 예문을 통해 익혀야 합니다.

 

맨투맨 종합문법에서

전치사+추상명사=부사 라고해서

with kindness =kindly 친절하게

with fluency=fluently 유창하게

with ease = easily 쉽게

제가 친절하게 유창하게 까지는 저 나름대로,

with 이 함께하다라는 뜻이니까 친절과 함께, 유창함과 함께.. 사람이 할 수 있는 것과 with을 같이 쓸 수 있다. 그래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 예컨대 with care 처럼... 주의깊게... I say him with care 내가 주의를 가지고 그에게 말하다 = 주의깊게 그에게 말하다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with ease with safety 처럼 사람의 성격에 따른게 아닌 게 나오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아뭐야 사람의 성격만 with하고 같이 쓸 수 있는게 아니라 그냥 그 사람이 하는 행동도 with 하고 같이 쓸 수 있나? 해서 그런가보다 하고 있었는데  그 뒤에 in succession= successively 연속적으로가 나오더라고요 그 뒤부터 in reality 사실상 in haste 급히 on purpose 고의로.... 등등등

생각해보니까 제가 생각했던 대로 하면 모든 것을 with 과 통일할 수 있었겠죠 ㅠㅠ

근데 in 도 나오고 on 도 나오고 이러니까 갈피를 못 잡겠어요..

맨투맨 에서는 전치사+추상명사는 관용적 표현이므로 무조건 외워서 완전히 익히도록 해야한다. 라고 되어 있는데, 한 16개 정도가 나왔거든요 근데 그게

 

A: with kindness    with ease

    with fluency       with safety

    with care           with rapidity

B: without doubt     without hesitation

C: in succession   in reality

    in haste             in earneast

D: by accident       to perfection

    on purpose       on occasion

 

-. 실망스러우시겠지만, 제가 드릴 수 있는 말은 외우셔야 한다는 것이겠네요.

-. 거꾸로, 우리말의 조사를 생각해 보세요.

 

인내심을 가지고, 용기를 가지고................................라는 표현을 쓰는데,

주저함을 가지고, 침착함을 가지고, 상냥함을 가지고,,,,,,,는 잘 안 쓰고

주저하면서, 침착하게, 상냥하게................................라고 쓰는지 딱부러지게 설명할 수 있나요?

 

물론, 가능합니다. 하지만, 좀 더 깊게 들어가고 복잡해 집니다. 차라리 외우는 게 낫죠.

선외움, 후이해 가 빠를 듯 합니다.

 

영어는 우리말과 1:1 로 대응되지 않습니다.

비슷한 우리말로 해석될 뿐이지, 절대로 어떤 단어가 우리말과 100%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문장을 접하면서,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진짜 의미를 이해하기 전에는

용기있게...라고 써야할 지

용기하게...라고 써야할 지,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우리가, 논리적으로 생각해서, 조사를 붙이는 게 아니라, 입에 붙어서 자연스럽게 하듯이

영어의 전치사도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처소격같은 경우는 기본적인 전치사 의미를 많이 따라가지만

질문하신,

 

A: with kindness    with ease

    with fluency       with safety

    with care           with rapidity

B: without doubt     without hesitation

C: in succession   in reality

    in haste             in earneast

D: by accident       to perfection

    on purpose       on occasion

 

이런애들의 경우, with/without 은 쉽게 이해되지만, 다른 놈들은 그냥 관용적으로 굳어진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단어 외우듯이 외울 수 밖에 없지 않나 생각하네요.

 

with 는 together 의 뜻으로, 함께하거나, 몸에 지니거나, 소유하거나, 동시에 일어나거나 하는 뜻으로 잘

쓰이는데, 예를 드신 전명구에서는, without 가 반의어로서의 쓰임이니

굳이 외우지 않아도, 영작을 하거나, 독해를 할 때 어렵지 않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나머지는 외워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신 제가 조금 보강한 of 를 첨부하오니, 실망 드림을 용서하세요.^^

그리고, 제게 질문하실 때 점수은 필요없습니다.^^혹 또 하신다면...^^

-------------------------------------------------------------

of 를 제대로 읽어내는 것이 빠른 독해에서 중요하다.

 

the car of the company 그 회사의 자동차

 

of 가 우리말의 ~의 로 잘 해석된다고 하여, of 를 ~의라고 잘못 익히는 바람에 두고두고 독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1. 집합의 원소 of

영영사전에서 of 를 찾아보면, 가장 처음 나오는 뜻이

 

A of B

A ⊂ B, B라는 집합 속에 포함된 A 라는 원소를 나타낸다.

가장 많이 쓰이는 용도로, 우리가 친숙하게 ~의 라고 해석하는 용법이다. 

 

그런데, 정작 'A ⊂ B' 라는 의미는 모른 채, 한영사전의 뜻풀이 ~의 를 of 의 뜻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다.

 

명사를 제외하면, 영어의 대부분은 우리말과 1:1 로 대응되지 않는다.

 

the legs of my father, 아버지의 다리는 아버지에 속한 원소(?)이기 때문에 of 로 표현한다.

 

the car of my father, 자동차가 아버지에 속한 원소일까? 아버지를 벗기면, 자동차가 나올까?

소유자가 아버지임을 나타내니, 소유격을 써서

my father's car 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굳이 of 를 쓴다면,

the car of my father's, 자동차는 my father's 의 원소가 된다.

 

한번쯤은 들어봤을,

a friend of mine 도 같은 이유가 된다.

a friend of me 는 시에나 나올 수 있는 표현이 된다.

 

이러한 of 의 뜻이 LongMan 사전을 보면, 4가지로 구분되어 나온다.

그 차이가 조금씩은 있지만, 넓게보면  'A ⊂ B' 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1used to show what a part belongs to or comes from:
the back of the house
the last scene of the movie
the end of the day
2used to show who something or someone belongs to or has a connection with:
a friend of Mark's
Avocado salad is a favourite of mine.
Product inspection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es themselves.
3used when talking about a feature or quality that something has:
the cost of the meal
the beauty of the scenery
the length of the swimming-pool
4 used to show what group one or more things or people belong to:
some of the students
'Sunflowers' is one of his best-known paintings.
Two of the guests are vegetarian.
a member of the baseball team

 

2. 단위집합의 표현 of

 

우리말에도 여러가지 집합을 나타내는 말이 많다. 마늘 한 접, 물 한 동이, 엽전 꾸러미 등등,

셀 수 있는 것의 묶음 단위일 수도 있고, 물 한 동이처럼 셀 수 없는 것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도

있다.

 

이러한 단위집합의 표현을 영어는 of 를 쓴다.

 

우리말도 마늘 한 접을 모르면 외워야 하듯이, 남의 말이니 더더욱 외워야 하겠다.

그러나, a cup of coffee 커피 한잔 으로 외우는 것은 좋으나,

 

a cup of ~ / a glass of ~ ... ~한잔, 이런식으로 숙어처럼 외우는 것은 말리고 싶다.

 

영어회화를 중점으로 공부한다면, 기초적인 표현들이니 입에 붙도록, 외우는 것이 좋으나, 당장의

수능이나 토익,토플의 리딩 공부를 하는 것이라면, 외우는 것을 말리고 싶다. 그게, 지금 of 를 설명

하는 취지이다.

 

of 를 어느정도 이해하면, 이후 나올 동격의 of 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A of B 하면, 이것을 B의 A 라고 읽는 것이 아니라, A,B 라고 읽어야 한다.

a cup of coffee 를 a cup / coffee 라고 읽는 것이다. IQ 80만 넘는다면,

 

a cup / coffee 에서 커피 한 잔이 안 떠오를 사람은 없다. 우리말 해석은, 내가 연필로 종이에 옮겨

적을때나 하는 것이지, 문장을 독해하면서 머리속으로 해석을 해서는 안된다. 그냥, 단어를 읽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연결하여 상황과 문맥을 읽어가야 한다.

 

마치, 우리가 시를 읽을 때, 뭔소린지 모를 말들에서 단어가 갖는 이미지와 상황을 떠올리면서

화자의 시적상황과 말하고자 하는 것을 읽어내는 것과 같아야 한다.

 

그래야, 단순히 B의 A 가 아닌, 동격의 of 나 대상의 of 등, 다양한 of 구문을 쉽게 읽어나갈 수가

있다.

 

5used to show what type of substance or thing you are referring to, when talking about an amount:
two kilos of sugar
millions of dollars
a bar of chocolate
6used to say what something contains:
a cup of coffee
several packets of cigarettes
truckloads of refugees
7used to say what type of things or people are in a group:
a herd of elephants
his circle of friends
a bunch of bananas
 
3. 동격의 of
 
동격이란 격이 같다는 말이고, 문법에서의 격은 주격,목적격 의 성질을 말하는데, 여기서의 동격은
그냥 같은 말이라는 소리다. 동격의 of, 동격의 that 에 왜 동격이란 말이 붙었는지는 모르겠다. 괜히
새로운 말을 만드느니, 그냥 보통 일반적으로 쓰는 표현으로 하기로 한다.
 
the city of New York, ... the city = New York
 
뉴욕이라는 도시가 말야.
거기가 바로 뉴욕이라는 도시야.
 
우리도 이렇게, 도시 이름과 도시라는 일반명사를 나열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조사가 발달한 우리
말은 위와같이 조사를 활용하지만, 조사가 없는 영어는 전치사를 쓸 수 밖에 없다. 그 전치사로 영어는
of 를 사용할 뿐이다.
 
a cup of coffee 를 coffee 의 a cup 이라든지, a cup of / coffee 라든지로 읽지 않고,
 
a cup / coffee 로 읽어서, 커피 한잔이라는 이미지로 읽어낸다면,
 
the city of New York 도 the city / New York 으로 읽어서, 머리속으로 도시/뉴욕 으로만 떠 올리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고, 문장에서 다양하게 쓰이는 동격의 of 표현을 손쉽게 읽어낼 수 있다.
 
a postage date of over four years ago, 를 한번에 쉽게 읽어나갈 수 있다.
 
He made a life quest of exactly finding the truth of life.
a life quest =  exactly finding the truth of life.
 
Others weave the attitude of subordination and teamwork into the fabric of everything they do.
the attitude = subordination and teamwork
the fabric = everything they do.
 
8
a) used to state specifically which thing of the general type mentioned you are referring to:
the city of New York
the art of painting
the problem of unemployment
b) used to state specifically what a particular number, amount, age etc is:
at the age of 52
an increase of 3%
 
4. 대상의 of
 
대상이라는 말이 목적어와 오해될 수 있기 때문에, 뭔가 다른 표현을 쓰고 싶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떠 오르는 단어가 없다. ^^..국어공부를 더 해야 할 수준에, 남의 말을 공부하고 있으니..ㅋㅋ
 
영어는 절대 순서가 왔다 갔다 하는 언어가 아니다. 말 하고 싶은대로, 화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말부터 순서대로 늘어놓는 언어다.
 
I saw him when he came.   그가 왔을 때, 나는 그를 보았다.
 
와 같이 우리말로 거꾸로 해석된다 하여, 영어가 순서가 어지럽거나, 뒤에서부터 읽어야 하거나 하는
언어인 건 절대 아니다.
 
중요한 말을 나중에 하는 우리말과, 중요한 말을 먼저하는 영어의 속성 차이에서 오는 것일 뿐이다.
 
독해와 해석 번역은 다르다. 우리가 영어 문장을 읽어가는 것은, 머릿속에서 단어와 어구의 이미지를
떠올려 화자의 말하는 바를 이해하면 되는 것이지만, 해석은 읽는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고, 번역은 남의 말을 바꾼게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말을 쓴 것처럼 자연스럽게
재창조 하는 것이다.
 
I saw him when he came.  
 
이 문장을 원어민들이 "그가 왔을 때, 나는 그를 보았다." 라고 이해할리가 절대 없다.
 
"나는 그를 보았고. 그 때가 그가 왔을 때다." 라고 이해할 것이다.
 
when 은 앞절과 뒷절의 시점이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사이지, '~했을 때' 가 아니다.
이것을 부드러운 우리말로 "그가 왔을 때, 나는 그를 보았다." 라고 해석을 하니, 공부하는 학생들이
"나는 그를 보았을 때 그는 왔다." 가 어색하다고 생각하고, 영어를 뒤에서부터 거꾸로 읽는 버릇을
들이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a cup of coffee 를 a cup/coffee 로 읽듯이,
 
I saw him / he came 으로 읽어보자. IQ 80미만인 분들에겐 죄송하지만, 이 역시 IQ 80만 넘으면,
I saw him 과 he came 이 동시동작이고, 의역을 해서, "그가 오는 걸 보았다." 라고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단지, "그가 왔을 때, 나는 그를 보았다." 와 같은 해석만 보고 문장
독해 연습을 하다보니, 나쁜 버릇이 들어서이지, 조금만 연습하면 어렵지 않다.
 
잠시 엿길로 샜는데, 대상의 of 로 돌아와 보면,
영어는 중요한 말부터 순서대로 한다는 것이다.
 
He robbed her.   그는 그녀를 털었다.
-> 이 문장 뒤에 뭐가 나와야 할까, 내가 이 말을 누구에게 말 했을 때, 그 사람의 response 는 뭘까?
-> 뭘? 뭘 털었는데? 뭘 강도질 한거야? ...가 아닐까?
-> rob 의 목적어는 강도질을 당하는 대상이다, (이래서 대상이란 말을 안 쓰고 싶은데..^^)
4형식의 수여동사에서 받는 사람이 있고, 받는 물건이 있듯이, 소위 분리,탈착,제거,강탈 의 문장은 동작을 당하는 목적어와 분리,탈착,제거,강탈되는 그것, 2가지의 대상이 있게된다.
-> 이 대상을 나타낼 때, of 가 쓰인다.
 
He robbed her of her watch.
-> rob A of B 로 외우는 것은 정말 말리고 싶다.
 
왜, of 를 쓰는 것일까? of 가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내 판단에는 아무 의미가 없기에 쓰는 것일 것 같다.
 
전치사 to 는 목적지라는 상당히 뚜렷한 중심 의미가 있다.
전치사 for 도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I give it for you. 와 같은 for you 라는 중심적 의미가 있다.
 
그러나, of 는 하나의 기호와 같다.
 
a gir of the class
a cup of coffee
the city of New York
 
두 개의 명사 사이에 기호처럼 들어가서, 둘의 관계의 종속성, 대표성, 등가성을 나타내주는
명사의 분리기호와 같은 역할을 한다.
 
the city of New York            도시인데, 그게 뭐냐면, New York 이다.
He robbed her of her watch. 그놈이 그녀를 털었는데, 뭘 털었냐면, 그녀의 시계다.
 
즉, 동격의 of 나 대상의 of 나 굳이 분류를 하였으나, 내 판단에는 같은 용법이라는 것이다.
 
그럼,
 
He supplied them with some foods.
 
왜, 여기에는, 소위 공급,제공,수여 동사등에는 with 를 쓰는 것일까.
of 가 좀 넓은 범위로 쓰이는 것이라면, with 는 그 자체가 for 나 to 와 같이 함께하는, 지니고 있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중심적인 의미를 갖는 전치사로, of 보다는 좁은 범위로 쓰는 것으로 생각한다.
 
He supplied them of some foods. 라고 쓰는 경우가 거의 없을지라도,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지는
않을 것이다.
 
무언가를 제공하고, 가져가고, 수여하고 하는 것들은 주어가 지니고 가서, 또는 지니고 있는 것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좀더 의미를 구체화한 with 가 어울리는 것이다.
 
체언에 조사가 붙어 문장성분의 격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우리말과 달리, 조사가 없는 영어는 단어의
위치가 그 격을 나타낸다 하여 위치어 란 말도 한다. 정해진 위치가 아니면, 함부로 문장에 끼일 수
없다.(부사어 외에) 그 때, 사용되는 것이 전치사다.
 
전치사의 대부분이 전명구(부사구) 형태로 사용되고, 부사구로 읽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일부 형용사
구로 읽히는데, 전치사가 꼭, 부사구나 형용사구로 읽혀야 하는 건 아니다. 
 
He robbed her of her watch. 
 
of her watch 를 부사구로 읽기에는 많이 어색하다. 원어민들이 이것의 문장성분을 부사어로 구분하는
지 rob A of B 의 어법으로만 구분하는지는 전공자가 아니어서 잘 모르겠다.
 
전치사구 = 부사구 or 형용사구 라는 고정 관념이 위와같은 전치사 of 의 구문을 읽는 데, 방해가 되고
rob A of B 라는 숙어아닌 숙어를 외우게 만드는 부작용이 있다.
 
전치사는 이후 전치사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즉,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이 문장도 마찬가지로,
 
He robbed her / her watch 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He robbed her of her watch. 를 원어민이 말한다면, 원어민들은 이걸 어떻게 말하고 들을까.
 
He robbed her of her watch.    rob / watch 에 강세를 두어 발음할 것이고, 듣는 사람은 두 단어만으로
주로 문장을 이해하게 된다. he 나 her 는 상황이나 앞뒤 문맥으로 이미 알고 있거나, 알 수 있는것으로
이 문장으로 입력받는 정보는 아닌 것이다. 대명사니까.
 
이 쯤되면, IQ 85 정도 넘으시는 분들은,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지를 눈치 채셨을 것이다.
 
of 는 그냥 기호로 생각하고, 무시하고 읽으시라. 대신, of 좌우의 명사를 확실하게 챙겨서 나열된
명사에서 이미지를 떠올려서 문장을 이해하시라는 말이다.
 
Most average people have a mild case of the disease.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벼운 정도의 그 질병을 가지고 있다.    라는 표현이다.
 
A ⊂ B 로 읽어야 할까?
 
a mild case of the disease 그 질병의 가벼운 정도?
 
a mild case 가 the disease 의 원소는 아닌 듯 하다.
그렇다고 집합의 단위나 동격도 아니다.
have a mild case 가벼운 정도를 가지고 있는데, ~에 대해서? of the disease 그 질병에 대해서
조금 변형된 대상의 of 로 읽어주어도 나쁘지 않다.
 
그럼, 매번 이렇게 of 의 정체를 파악해야 할까?
 
Most average people / have a mild case / the disease.
of 가 없어도, a mild case / the disease 두 개의 명사구가 나란히 있으면,
 
그 질병을 가지고 있는데, 가벼운 정도이다.  
 
라고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연습을 하지 않고, 우리말 어구 해석의 조합으로
문장을 해석해서 이해하려고 해서 어려운 것이다. 그냥, 단어 하나하나의 이미지로 우리말 네이티브
로서의 실력을 십분 발휘하면, 쉬운 것이다.
 
예문들을 쉬운 것만 들었는데, 이런 쉬운 예문들 때문에, 이런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복잡한 구문에서 of 를 빨리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본격적인 설명은, 오늘은 지쳐서, 이후 좋은
예문을 발견하는 대로 올리기로 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치사의목적어 역할

동명사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말이죠..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이라고 말하나요?... 형태는 어떻게 생긴지 완전히 이해 했는데 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이라고 하는지...

목적어,주어,명사,보어,활용사,전치사 의미

... 활용사,전치사 의미 좀 알려주세요.. 쉽게요..ㅠㅠ 영어 동사,목적어,주어,명사,보어,활용사,전치사 의미 제목 그대로 영어에서 동사,목적어,주어,명사,보어,활용사,전치사...

토익 rc 전치사 with

... 문제 전치사 뒤에 목적격이 오면 안되는 이유가 이해가 안되요... * with + (its new) building - 전치사... 수식어 - 전치사 다음에 여러 단어들이 나오더라고...

전치사의 목적어(전O)

전치사 + 전치사의 목적어(전O) ① 명사 or 대명사 ② 동명사(Ving) ③ 전O절 → O절 → N절... 핵심은 전치사는 혼자 쓰이지 않고 자신의 목적어를 취해서 전치사구를 이뤄서...

영어 문법 명사구 전치사

deapite these benefits,이 구에서 전치사 despite가 목적어로... 구에서 전치사 despite가 목적어로 명사구를 취하고있다. 라는말이 무슨말인가요?? deapite 전치사...

전치사랑 형용사랑 무슨차이인가요?

전치사랑 형용사랑 비슷한거 같은데 둘이 무슨차이가 있나요? 질문 전치사랑 형용사랑 무슨차이인가요? 전치사랑 형용사랑 비슷한거 같은데 둘이 무슨차이가 있나요?...

전치사 on

전치사 on 은 뜻이 먼가여 on 은 장소적에선 뭔가 위에 이런... 하지만 전치사를 이렇게 하나 놓고 뜻이 뭐냐 이렇게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결국 전치사는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