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단어 품사

영어단어 품사

작성일 2017.01.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used,looked,part,end,end,without,noting,around,left,far,against,,perhaps,sort,does,home,place,under,

every등등의품사를아시는것을 최대한  알려주시면 감사합나당..^~^



#품사 영어단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Notabilia! 영문법의 금과옥조(The Golden rule in English grammar)는 문장성분들의 세가지 기능이다.

영문법,2외국어로 영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선생과 학생이라면 누구나, 영어의 문법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최우선 선결조건, 대전제는 체언과 서술어와 수식어 3가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세가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들어가면 평생을 영어공부만 한다하여도 영문법은 이해할 수 없다..

체언(Nominal words)은 우리말로 몸말이고 영어로는 명사적 어류이며 주어와 목적어들이다. 이외의 체언은 전혀 없다.

서술어(Predicative)는 우리말로 풀이말이고 불완전자동사의 본동사를 제외한 모든 본동사와, 주격/목적격보어이다. 목적격보어는 5형식의 목적어만 가지는 게 아니라 소절(준동사)의 목적어와 전치사의 목적어도 보어를 가질 수 있다. 이외의 서술어는 전혀 없다. 불완전자동사의 본동사는 조동사만큼의 기능이고 서술어는 주격보어이다. 학생들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영어교육자들이 서술어와 수식어를 구분하지 못한다. 이뿐 아니라 체언과 보어도 구분하지 못한다. 보어로 쓰인 명사를 체언이라고 착각하고, 보어로 쓰인 분사와 부정사/상태사를 수식어라고 착각하여 학생들에게 지도한다. 이런 형편에서는 영문법은 난공불락의 철옹성이다. 현대문법/통사론은 주어와 동사를 따로 구분하므로 표층구조로는 주어와 서술어가 나누어진다. 그러나 통사론의 분석은 전공자들도 끝까지 이해할 수 없는 난해한 용어로 일반인에게는 무용지물이다. 그럼 왜 이들이 수식어와 서술어의 구분을 하지 못하는가? 형용사 때문이다. 명사수식어/adnoun/형용사를 보어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수식어(Modifiers)는 우리말로 꾸미는 말이다. 명사수식어(adnoun)인 형용사와, 동사와 상태사, 동사/상태사적 명사의 사건이 일어난 시간, 장소, 원인, 이유, 목적, 수단, 방법, 조건, 결과, 부대상황 및 동시동작 등을 부연하는 부사(adverb) 이렇게 2가지이다. 학교문법에서는 없어도 된다고 하는 이 부사는 자동사와 상태사의 목적어로 쓰이고, 목적어의 시간과 장소를 수식하여 문장의 필수성분이 되기도 한다. 부사는 수식이라기 보다는 부가라 할만하다. 통사론에서는 부가사(adjunct)라고 부르는데, 이 부가사외에 공립사와 분립사들도 수식한다기 보다 조동사와 비슷한 보충어라 할만 하다.

이 체언과 서술어, 수식어 가운데 생략하면 비문이 되는 구성성분이 문장성분이고, 문장성분의 구성성분이 8품사이다.

이상의 조건은 영문법을 배우기 전에 미리 알고 들어가야 하는 필수사항이다.

8품사: 문장성분의 성분이다.

The eight parts of speech are transferred to the sentence constituents; those are the subject, lexical verb, object, predicative complement and adjuncts.

명 사: noun사물(things)과 개념(idea)의 이름

대명사: pronoun명사구(noun phrase)의 대용어

동 사: verb명사의 이동동작(act)을 표현한다

상태사: stative명사의 형태상태를 표현한다.

부 사: adverb 서술어 보조사. 동사와 상태사의 event가 일어난 시간, 장소, 원인, 이유, 목적, 수단, 방법, 조건, 결과, 부대상황이나 동시동작 등을 나타낸다.

전치사: preposition명사를 문장에 문법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사. 전치사구는 동사구를 이루어서 문장성분이 된다. 숙어 idiom를 만들어서..

접속사: conjunction문장에 문장과 구를,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연결사. 접속사는 and/but/or 등의 상관접속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게 아니다. 전치사구처럼 주로 종속접속사들이 문장성분이 된다. 주어로도 쓰인다.

독립사: interjection 주어와 동사가 나타나지 않지만 문법적인 타당성에 예외를 용인한다.

⑵ 문장성분 

문장에서 생략하면 비문이 되는 구성성분이다. 주어와 본동사는 기본문장성분이고, 목적어/보어/부가사는 본동사의 선택성분이다. (통사론에서는 서술동사가 범주선택한 보충어가 된다. I. II. III. IV. V는 사전의 5문형표시방식이다)

주어: 의미상으로 서술의 대립적 개념인 주제(theme), 평언(comment)에 대한 화제(topic)를 나타내고, 화자가 제공하는 정보(given information), 능동문에서 보통 행위자, 수동문에서 피동자()임을 나타낸다.

본동사: verb phrase의 마지막에 있는 동사. a lexical/main verb

주격보어: II문형/불완전자동사의 실제/실질적인 서술어 real/main predicative word.

목적격보어: V문형/불완전타동사의 목적어의 서술어 predicative word. to be α or to do.

III목적어: III문형의 목적어(an object)

IV간접목적어: IV문형의 a person with a thing: an indirect object.

V목적어: V문형 목적어 an agent or a subject standing for object`s predicative

IV직접목적어: IV문형의 a thing to a person: a direct object

완전타동사/수여동사와 불완전타동사의 목적어의 성격은 다르다. 동사구(prepositional verb)에서 설명하겠다.

부가사: adjunct 문장성분이 되는 부사이다. 부득이 통사론용어 부가사로 한다. Troy is no more. He is living in Seoul. I can't think of her face. I am thankful that he came. He is (very) much afraid to pay taxes. ① John put the book on the desk. 책상 위에 책을 놓다 ②*John put the book. 동사 put의 경우 부가사 on the desk 는 필수적 문장성분이다. 이 부가사 모두 문장성분이다. 각별히 유념하실 것은 문장성분에서의 부가사와 품사부사에서의 부가사는 다르다. 문장에서 동사/상태사의 목적어, 주격/목적격보어, 자동사의 시간과 장소의 부사 등이 전치사구이면 모두 부가사로 표시되지만 문형에서는 학교문법의 5문형에 따르지 않고, 문장성분 그대로 된다.

⑶ 문장성분들의 기능

체언(nominal):(clause)의 주어/목적어/직접목적어/간접목적어 이외의 체언은 전혀 없다.

서술어(predicative): 본동사와 보어들이다. 이외의 서술어는 전혀 없다

수식어(modifier): ㉠형용사, ㉡부사, 각 성분의 핵어(核語)를 제외한 모든 어휘이다.

㉠ 형용사는 명사에 부가되는 명사수식어(adnoun)이다.

㉡ 부가사(adjunct)는 본동사들과 주격보어를 수식한다.

⑷ 문장과, 품사와, 문장성분과의 관계는 완전히 다르다. 명사는 주어와 목적어가 절대로 아니고 역으로 주어와 목적어는 모두 명사가 아니다. 동사는 본동사가 절대로 아니다. 이하 모든 품사가 마찬가지로 다르다. 전치사, 접속사, 독립사를 제외하면 문장과 품사의 관계는 동일하다. 고로, 문장에서 품사를 분류하는 것은 일부 가능하지만, 문장성분에서 품사를 절대로 분류하지 마시라

(a) 문장과 품사에서 기본주체는 명사(noun)이다.

8품사의 명사/ 대명사/ 동사/ 상태사는 모두 명사(a noun)를 서술과 수식한다.

부사는 동사/상태사와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데, 몇 개의 부사는 명사를 직접 수식한다.

전치사와 접속사는 품사에서 하는 일은 없고, 문장에서 명사를 서술과 수식하고, 단어//절을 문법적으로 연결한다.

독립사는 혼자서 문장이다. 당연히 품사와 문장성분에서 하는 일은 없다.

(b) 문장성분에서 기본주체는 주어와 목적어(subject/object)이다.

문장성분에서의 동사/상태사는 주어/목적어를 서술만 한다.

문장성분에서의 명사/대명사는 스스로 주어/목적어가 되고, 주어/목적어를 서술한다.

전치사/접속사는 스스로 주어와 목적어가 되고, 주어/목적어를 서술하고, 동사와 보어들을 수식한다. 이때의 수식어인 문장성분이 부가사이다. (고로 이 책에서는 관계사절은 부가사가 아니다)

문장성분에서의 부가사는 동사와 보어들을 수식하고 목적어/보어가 된다.

⑸ 부가사(adjunct)는 통사론의 용어이다. Aside syntax terms` mean, never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s, please. 기본문형에서는 (품사의 부가사는 제외하고)문장성분으로 쓰인 전치사구만을 말한다. (, 품사에서의 부가사는 아니다)목적어와 보어로 쓰인 동사구의 전치사구(think of/know on/kick about/make from), 통사론에서의 2항형용사의 목적어(afraid of/to do/that)등과 생략할 수 없는 부사구(She is in the room. The book takes its title from Dante.)들이다. 문장성분은 아니지만 유사보어까지 문장성분부가사로 쳤다.

⑹ 기본문형

SV

The ripe fruit fell off the tree. 익은 열매가 나무에서 떨어졌다.

A bird flies in the sky. 새가 나른다.

SVA.

Kennedy is no more. 케네디는 가고 없다 [시간의 부사]

The box is on the chair. 그 상자는 의자 위에 있다 [장소의 부사]

I don't believe in the generation gap. 세대단절은 없다고 생각한다.[개념/속성목적어]

Tom kicks about his low grades. 톰은 점수가 나쁘다고 항의했다.[개념/속성목적어]

SVC.

He has become a scientist. 그는 과학자가 되었다. 명사보어는 주어의 renaming

He became silent. 그는 잠잠해졌다. 상태사보어는 주어의 상태

Don`t go sharing your emotion. (팝송에서)동사보어는 주어의 움직임.

SVCA

I am proud of your friendship. 당신의 우정을 기쁘게 여깁니다  

We are proud that we served in the army. 육군에 복무했음을 자랑으로 생각한다.    

We are proud to have you stay with us. 묵고 가신다면 영광입니다           

SVO

His invention failed, but he started other men working along similar lines. 그의 발명은 실패했으나, 타인들이 같은 방향의 연구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Time eats the strongest walls. 제아무리 견고한 성벽이라도 세월이 지나면 무너진다.

The new shirt becomes you. 새 셔츠는 네게 어울린다.

SVOA

He gave some money to me.         

I thought I'd better put [set] you straight on the issue. 그 문제를 자네에게 똑바로 알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지.

She gave her only son to the ministry. 그녀는 외아들을 성직자로 바쳤다. 

She gave her only son to the ministry. 그녀는 외아들을 성직자로 바쳤다. 

He put his arm around her waist. 그는 팔로 그녀의 허리를 감쌌다.          

SVIODO

I'll give her a present [=give a present to her]. 그녀에게 선물을 주겠다.    

I persuaded him to go [into going] to the party. 그를 설득하여 파티에 가게 했다.

The travel agent advised us that our trip would be expensive. 여행사는 우리 여행이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

She convinced me that she was honest[=of her honesty]. 그녀는 자기가 정직하다는 것을 내게 납득시켰다

SVOC

The team elected him captain. 팀은 그를 주장으로 선출했다.

명사보어는 목적어와 정체성(identity/renaming)

We have to make all the children happy. 우리는 모든 어린이들을 행복하게 해주어야 한다.

상태사보어는 목적어의 상태.

I heard her sing. (she sang)나는 그녀가 노래하는 것을 들었다.

동사보어는 목적어의 동작(동사의 성질에 따라 서술)

I saw him playing the piano. 그가 피아노 치는 것(he was playing the piano)을 보았다.

We expect her to succeed. 우리는 그녀가 성공하기(she will succeed)를 기대한다.

Tom heard his name called. 탐은 그의 이름이 불리는(his name was called)것을 들었다

 

인류와 인문학을 위하여 결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일어 났습니다.

☞ 형용사는 절대로 품사가 아닙니다.

☞ 형용사는 전세계 모든 영어사전이 설명(a word that qualifies or describes a noun or pronoun)하는 대로 명사의 수식어입니다. 이 명사수식어, adnoun, 형용사를 품사의 범주로 밀어 넣고, 헛발질하는 영어학자, 교육자들을 비호하면 전세계 모든 언어의 문법교육이 망가집니다.

형용사를 품사로 착각한 그 자초지종은 이렇습니다.

기원전 2세기, 그리스의 철학자 디오니시우스 트랙스가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는 그리스어문법 전문서적“문법의 예술 έχνη Γραμματική, Tékhnēgrammatiké)에 있는 고대그리스어문법의 8품사는 명사, 대명사, 관사, 분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입니다.8품사함께 고대그리스어문법을 14세기 어느 날 영문법학자들이 영문법을 만드는 대신, 토씨 하나 건드리지 않고 영문법으로 답변확정합니다. 그로부터 한참 지난 16세기. 이 영문법은 또 다시, 이번에는 아주 정식으로, 역시 아무 수정 없이 영문법으로 답변확정됩니다. 그리고 200년의 세월이 다시 흘러갑니다. 18세기 초, 자국어문법순화운동이 벌어지고, “고대 그리스어문법이 [뭔지]영어와 맞지 않는다.”고 격론이 벌어졌고, 격론 끝에 1762년 『영문법의 입문』(A Short Introduction to English Grammar)이 발간되어 현재의 8품사(①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독립사)5문형의 고전/전통주의 학교영문법의 기초가 정립(?)됩니다.

문제는 형용사인 adjective입니다. 고대그리스문법과 이전의 약 400년간 영문법에서 8품사의 하나인 관사 article1762년 『영문법의 입문』에서 이 adjective로 바뀐 겁니다. article은 관사입니다. 이 관사가 약 400년간 영문법의8품사로 계시다가 아무리 논리도 개념도 없는 이분들이라도 a(n)/the 달랑2개를 거창하게 품사라고 하기에는 좀 그랬는지 adjective로 바꾸었는데 이 adjective의 의미를 아십니까? adjective는 독립적인 문장성분이 되지 못하고, 어느 단어(명사)에 부가하여 사용되는 단어라고 되어 있습니다[자립할 수 없는, 종속적인 금성판 뉴에이스 英韓辭典], 물론 영영사전의 정의(a word that qualifies or describes a noun or pronoun)도 정확하게 풀면 똑같은 의미입니다. 이 정의를 그대로 적용한 대표적인 형용사이고 adjective는 관사와 소유격대명사(=한정사 determiner) 20여 개만입니다.

그럼 article이 왜 adjective가 되었을까요? articleadjective는 거의 비슷한 의미라고 생각되지 않습니까? 맞습니다. article이든 adjective명사를 한정한다는 뜻입니다. 관사 2개에서 20개 남짓 늘려 품사 adjective로 부르는 겁니다. 어쨌든 여기까지 하고 그만했으면 그런대로 좋았을 걸…… 정말 좋았을 걸.

그리고 도저히 이 한정사라 adjective라 형용사(명사를 형용만 하는 단어)라 불릴 연유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이하 상태사(state/stative 로 부릅니다)』는 제발 분리하여 9품사로 하였더면 그냥 저냥 아무(?)일도 벌어지지 않았을 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 아무 일이 벌어집니다. 상태사!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서술과 수식하는 단어인 상태사가 이 형용사로 휩쓸려 들어간 겁니다. 동사와 마찬가지로 상태사도 명사를 서술과 수식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상태사가 동사와 다른 점은 동사변화를 하지 않는 점인데, 이유는 동사는 일시성인데 상태사는 지속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동사에서 상태동사가 있지요. 이들은 진행형과 명령문을 만드는 데 제약이 있는데, 그 성질이 상태사에 그대로 나타납니다(진행형과 명령문을 만드는 조건). 영어권 학자들은 이러한 상태사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연유로, 어떠한 그럴싸한 이유도 조건도 없이 명사의 한정사adjective로 몰아 넣은 겁니다. 인류사에서 가장 멍청한 이론/학문이 세워진 겁니다.

☞ 형용사와 상태사는 완전히 다른 문법범주입니다.

☞ 형용사는 명사의 수식어 adnoun/modifier입니다. 오로지 명사만을 수식만 한다는 말입니다.

(★ 참고로 adjective의 정의는 관사와 동일합니다. 다른 단어에 부가하는 단어)

☞ 상태사는 명사를 수식과 서술하는 겁니다. 동사(분사/부정사), 명사, 대명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와 꼭 같은 기능을 하는 겁니다. 수식과 서술을 한다는 말입니다. 명사를요. 다른 품사들처럼요.

이렇게 형용사와 상태사의 성질이 다르다는 사실과 진실은 국어사전에 그대로 나와 있습니다.

모든 영어사전과 교육자 그리고 여러분께서 생각하시는 형용사의 정의는? 사물의 어떠함을 나타내지요

국어사전에서는 이 형용사를 사물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의 품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국어사전의 정의를 뒤집으면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가 품사인 형용사인 겁니다. 제정신이라면 도저히 구성할 수 없는 논리로 기능이 전혀 다른 사물의 어떠함을 형용하는 단어와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형용과 서술하는) 단어, 2개의 문법범주를 엉터리 조작하여 형용사로 사용하는 겁니다.

2개의 정의 가운데 은 품사가 아니고, 는 품사입니다.

★ 교육현장에서 형용사는, 전세계 모두가 정의하는 형용사와 국어사전만이 정의하는 형용사,2가지 문법범주인 겁니다. 그런 이유로 모든 영어, 영한사전에도 명사 앞에 놓일 수 있는 거의 모든 명사(a school bus)(bush man) 대명사(this book)(my dad) 분사(falling body)(walking robot)들에 형용사 adj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부사(only son, up town, down town)도 몇 개 있고요. 뒤에서 수식하는 전치사(man in the room) 접속사(the man who is standing by the tree)도 영문법에서는 adjective part에서 배우고 있지요.these both the used two nice big round red carved wooden drawing table in the office where the last president was working. 주요명사 table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형용사입니다. 형용사로 쓰인 명사는 정체성identity, 대명사는 지시 index, 동사는 움직임 move, 부사는 한정성 determine입니다. 상태사가 성질이나 상태 state이지요. 국어사전의 정의대로 말입니다. 하지만 모든 영어사전은 국어사전이 품사라고 정의하는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들 cool calm cute beautiful bright dark easy happy hot glad smart big sweet deep silent normal holy green slow high long (상태사)도 위에서 보시듯 명사 대명사 동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들과 동일한 형용사 카테고리로 착각하여 형용사 adj로 표시하는 겁니다.

이 설명은 중학생 이상이고 제정신이면 사전을 몇 십분 보면 누구라도 확인/검증할 수 있습니다. 해보세요.

(형용사는 명사의 어떠함을 나타낸다는)여러분의 논리로는 맞고,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낸다는)국어사전의 논리로는 맞지 않는데 교육현장에서는 묘하게도 어찌어찌 가르치고 이걸 또 어찌어찌 이해하니 돌았다는 겁니다. (1970년대까지 국어사전에서도 형용사의 정의는 명사의 어떠함을 꾸미는 낱말로 현재의 영어사전과 같은 정확한 겁니다. 그때 우리말은 꾸밈씨이었습니다. 그런데 국어사전을 쓰신 우리 선생님들은 도대체 무슨 이유로 명사를 꾸미는에서 (영영/영한사전과도 완전히 다르게)‘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으로 바꾸었을까요? 영어사전에서 형용사라 하는 명사, 대명사, 분사(동사) 부사 이런 기능의 단어,학교’ ‘이것 낙하 이런 단어들을 형용사로 표시할 수는 도저히 맞지 않아 그런 걸 빼고, 남은 행복하다’ ‘느리다’ ‘달다’ ‘예쁘다’ ‘울퉁불퉁하다 이런 단어들의 특성을 생각해보니 품사인 형용사를 정말 우연히 바르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겁니다. 그래도 국어사전을 쓰신 선생님들께서는 형용사가 국어에서는(사실은 영어도 그렇지만) 성질과 상태를 나타낸다는 걸 알아내신 것도 정말 대단하신 겁니다만) 정말 예전의 조재수선생님도 대단하셨습니다. 보어의 정의를 정확하게 서술어라고 하셨습니다. (보어(補語.complement)는 서술어와 거의 같은 말이다. ☞ The Korean Monolingual Dictionary 1996, Microsoft Corporation. Licensed from Mr. Jae Soo Cho.) 그런데 근래에 보충어로 다시 바꾸셨는데요. (《언어학》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불완전한 문장에서 그 서술어의 풀이를 기워 주는 말). 이유가 있습니다. 형용사가 보어라고 하므로, ‘형용의 정의는 수식이니 서술어라 하면 완벽한 궤변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원래 맞는 말인 서술어 대신에 보충어라고 바꾸신 겁니다. 우리 국어선생님들께서는 영어의 형용사 때문에 황당한 설명을 만들고 계신 겁니다. 근래에 이 설명을 찾은 것이지 이 국어사전의 정의로 제가 상태사를 찾은 게 전혀 아닙니다.

또 하나, 품사의 사전적 정의는 단어의 의미와 기능과 형태에 따라 나누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소한 영문법의 품사는 (그게 아니라,)‘문장성분의 성분이 품사입니다. ② 문장성분은 문장의 성분이고요. 오로지 ㉠주어 ㉡본동사 ㉢목적어들 ㉣보어들 ㉤부사가 문장성분입니다. 이들은 (동사에 따라 문장에서)생략하면 비문(非文)이 됩니다. ③문장(의 기능)은 ㉠체언과 ㉡서술어와 ㉢(학교문법으로)부사 3가지로만 이루어 집니다. ㉠체언(명사적 어구로 우리말로 몸말’)은 주어와 목적어들만이고, ㉡서술어는 본동사와 보어들만이고, ㉢나머지는 모두 부사입니다. 이 문장성분이 되는 단어들이 품사인데, 형용사는 이 문장성분(과 문장성분이 아니라도 부사)들에 들어 있는 모든 명사를 수식하는 겁니다. 형용사의 수식을 받은 명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것이지, 형용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가 절대로, 전혀 없습니다. 이것도 제정신이면 누구라도 몇 문장만 확인해 보시면 간단하게 확인/검증할 수 있는 일입니다.

영어교육자들 모두의 착각과 정신 없는 논리체계의 백미는 영어 adjective의 뜻입니다. 형용사가 문장성분이 되지 못하는 문법범주라는 증명이 수없이 많지만 그리고 위에서 설명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adjective의 정의에도 있습니다. adjective는 독립적인 문장성분이 되지 못하고, 어느 단어(명사)에 부가하여 사용되는 단어라고 되어 있습니다[자립할 수 없는, 종속적인 금성판 뉴에이스 英韓辭典], 물론 영영사전의 정의(a word that qualifies or describes a noun or pronoun)도 정확하게 풀면 거의 같은 의미입니다. 그럼 이 정의를 그대로 적용한 대표적인 형용사이고 adjective인 관사와 소유격대명사(=한정사 determiner) 몇 개로 주어나 목적어 보어가 되는지 보세요. *He loves my. *The loves your. *A have his. adjective의 정확한 의미는 형용사가 절대로 아니고, 정확하게 한정사determiner입니다 형용사라면 adnoun이나 modifier라고 해야 하는 겁니다. 영어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얼마나 개념 없는지 이해되시나요? 그리고 직접 사전을 펼쳐 adjective도 의미도 확인해 보세요.

☞ ‘행복하다는 단어는 국어사전에서 형용사라고 분류됩니다. 영어의 happy를 따르는 것이지요. 이게 형용사라 부르는 게 무슨 이유로 가능합니까? 논리 말고 그냥 생각으로라도 따져 보세요. 오로지 영문법적으로 가능합니다. 말이 됩니까? ㅉ 영문법학자들의 돌대리 설명에 진심 현명하신 우리 국어선생님들까지 얼마나 혼란을 겪으시는지, 거기에 더하여 국문법까지 얼마나 개판이 되는지

여러분!

품사에서, 명사는 삼라만상과 개념에 붙은 이름이고, 대명사는 명사구의 대용어입니다.

동사는 명사의 움직임(move)이고 상태사는 명사의 상태(state)입니다. ☏ 여기에서 잠깐, 국어에서는 동사와 상태사를 따로 분류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는 아래에 설명합니다.

부사는 동사와 상태사의 사건이 발생한 시간 장소 원인 이유 목적 수단 방법 결과 조건 등을 부연 설명합니다. He went home. She is afraid of darkness. 그리고 home에서 보듯이 명사건 상태사건 부사자리에 오면 부사인 겁니다. I don't want to live a lie. He died young. 그리고 형용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사를 수식하면 모두가 개나 소나 형용사라는 말입니다. 이해가 되십니까?         

☞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명사, 동사, 상태사는 모두 형용할 때에도 서술할 때에도 그 성질이 그대로입니다. 동사는 명사의 움직임 a flying bird, A bird is flying. 명사(대명사)는 정체성 an English teacher, The teacher is an English. 상태사는 명사의 상태 a pretty boy, The boy is pretty.. 부사도 형용사로 쓰이면 명사와 같은 정체성이 되지만 형용한 명사를 서술하지는 않습니다. the only son, *The son is only. 전치사구는 주로 서술어로는 상태사 The light turns to green from red, 부사적으로 형용사가 됩니다. The man in the room is ~. 접속사절은 모든 관계사가 형용사절이며, 주격보어로는 동격의 명사적 보어입니다.  

전치사구와(Look at me) 접속사()절은 문장에서 명사절()(I thought that ~) 부사절()(I am afraid that~)로 문장성분이 됩니다. and or but 같은 상관접속사들이 문장성분이 되는 게 아닙니다.

감탄사는 독립적인 문장입니다. *품사 설명이 이렇게 간단할 리는 물론 없지요.

이렇게 품사들은 문장이나 문장성분이 됩니다., 품사는 문장이든지, 문장성분이 되어야 하는 겁니다. 문장이나 문장성분이 되지 못하면 어떠한 단어도, 아무리 많은 분량을 차지하더라도 품사가 아닙니다. 문장에서 형용사는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형용사가 수식한 명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겁니다. 형용사는 단 하나도 문장성분 즉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부사가 되지 않습니다.

★ 영어의 보어는 절대로 보충어가 아닙니다. 보어는 불완전자동사와 불완전타동사의 2/5형식 문장에만 있으며, 목적어로 쓰인 전치사구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listen to the children talking[美에서는 talk]. ㉠명사보어는 정체성(identity)입니다. He is a teacher. They elected John their president. ㉡동사보어는 움직임 ㉢상태사보어는 상태입니다. 상태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는 보어로만 가능하고, 이건 어떻게 아셨는지 형용사의 서술적용법으로 가르치는 겁니다.

다음 3개의 증명을 보시고…….

증명 1 분사는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라는 확정적인 증거

be [bi, <>bi:]

v., auxiliary v.

[be doing]⑴ …하고 있는 중이다. I am eating [studying]. 식사[공부]하고 있는 중이다.

[be to do]⑴ <예정R의도R약속> …할 예정[작정]이다; …하기로 되어 있다. He is to leave today. 그는 오늘 출발하기로 되어 있다

[be done] (▷동사는 타동사) …되다, 되고 있다. The gate was opened by the butler. 문은 집사가 열어 주었다

NEWACE(금성판 뉴에이스) English-Korean Dictionary (r), Second edition (c)  Kumsung Publishing Co., Ltd. 1990. 금성판 뉴에이스  英韓辭典 第2(c)  金星出版社 1990.에서 발췌요약

보시다시피 진행형, 수동태, be to용법의 현재분사, 과거분사, to부정사는 본동사입니다. beauxiliary v 조동사라고 온 세상 영어사전들에 나와 있는데 아 글쎄 이 정신 없는 양반들이 진행형 수동태의 분사들까지, 본동사라고 되어있는 얘네들까지 이걸 형용사라 하는 겁니다. 아니지요. 영어사전 저자들조차 자기들이 동사라고 해 놓고서 다시 (문법적으로는)형용사라고 하는 (궤변을 늘어 놓는)겁니다. 논리가 배배 꼬인 것이지요. ★동사로 쓰이기 때문에 2형식동사 5형식동사에서의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로 쓰인 분사와 부정사는 12345형식/모든 문형이 됩니다. 보어로 쓰인 분사와 부정사의 품사는 동사이기 때문에 그게 가능하다는 겁니다. be에서 본동사이던 분사와 부정사가 왜 보어로 가면 품사가 바뀝니까? 제정신으로 이런 발상이나 논리가 가능합니까?

증명 2 분사가 동사가 아닌 상태사가 되는 영어교육자들께 청천벽력같은 진실!

 그런데 말입니다. 분사 가운데에서 감정동사의 분사들은 분사가 되면 바로 상태사로 전성됩니다. 그러면 be가 본동사가 되고 be의 뒤에 오는 분사는 상태사로 보어가 됩니다. 진행형과 수동태이면 본동사이고 품사는 동사이던 게 말입니다. 여기에서 끝이 아닙니다. 아예 구조가 반대로 바뀝니다.

널 사랑해, 동사 love’네게 관심이 있어, 동사 interest’를 보겠습니다.

I`m loving you.

*I`m interesting you. *표시는 비문(非文)이라는 뜻)

이 두 문장에서 하나만 됩니다. loveinterest나 모두 감정동사 같지만 love는 상태동사입니다. 그래서I`m loving you. 는 됩니다. 상태동사라서 진행형이 안 된다는 분도 있지만 실제로는 씁니다. 왜냐? love는 품사가 동사이기 때문에 진행형이 됩니다.

*I`m interesting you. 는 안됩니다. 감정동사의 분사는 바로 상태사가 됩니다. 동사가 아니지요. 그래서 진행형도 수동태도 되지 않고 오로지 2형식/불완전자동사의 상태사보어만!!!! 되지요. 그래서 너에게 관심이 있어I am interested in you.라고 하여 수동태처럼 과거분사가 서술어로 옵니다. 이때의 서술어가 동사가 아닌 상태사인 겁니다. 감정동사들이 분사보어로 올 때 진행형/수동태와 정반대로 서술이 됩니다. 모양은 진행형과 같지만 진행형 즉 동사가 아니라 상태사보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감정동사들의 분사는 진행형도, 수동태도 아닙니다. 분사가 동사가 아닌 상태사보어이기 때문에 2형식만 됩니다. 현대문법으로 하면 SVCA문형까지는 됩니다. 이러한 감정동사는 100개 정도에 가까울 겁니다. 그리고 시험에 매번 출제되지만 출제자도 학습자도 교육자도 아무도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벌어지는지 설명하지 못합니다. 상상도 못하지요. 그런데 이건 반드시 알아야만 합니다.

☞ enjoy, love, like, miss, feel 같은 감정동사의 분사들은 상태사로 바뀌지 않아 동사로 진행형 수동태가 됩니다. 다음 글은 저의 책에서 붙입니다.

감정동사의 현재분사상태사가 보어로 오면 주어는 (수동태처럼)목적어에 해당되는 객체가 오게 된다.

① The news was shocking to all of the members. 그 뉴스는 모든 회원에게 충격이었다.            

② The child was interesting to watch. 그 아이를 보고만 있어도 재미있었다.

감정동사이어도 분사가 동사이면 The child was loving to watch TV. 그 아이는 TV 보기를 좋아했다.

감정동사의 과거분사상태사가 연결동사의 보어자리에 오면 주어가 감정을 느낀 것이다. 주어는 당연히 사람이고 진행형처럼 해석한다. 감정동사가 아니어도 감정관련과거분사는 상태사로 쓰인다.

③ Most men can be reached by money. 대부분의 사람은 돈으로 마음이 동한다.

④ He was irked by the traffic fine. 그는 교통위반벌금을 내야 하여 기분이 상해 있었다

⑤ She was devastated by grief. 그녀는 비탄으로 심신이 짜부라졌다

⑥ Mathematicians have been fascinated with the problem. 수학자들은 홀린 듯이 그 문제를 다루어 왔다. 

⑦ Boys are very interested in the puzzle.

동사이면 Boys are loved by their parents. 말은 좀 이상하지만 이렇게 상태사와 동사는 반대라는 걸 아시기 바란다.

㉠놀람 alarm, amaze, astonish, astound, electrify, frighten, horrify, scare, strike, surprise, terrify. 

㉡즐거움 amuse, comport, content, delight, entertain, impress, improve, please, reward, satisfy. 

㉢당황 bewilder, confuse, disconcert, disgrace, embarrass, ignominy, dishonor(u)r, perplex, puzzle, shame,

㉣실망 deject, despair, disappoint, discourage, dismay.

㉤흥미 absorb, excite, enthrall, grip, interest, intrigue, motivate, rivet, stimulate, spellbound, thrill.

㉥피곤 bore, devastate, enervate, exhaust, tire, wear, 

㉦부담 annoy, bother, burden, irate, irk, infuriate, sophisticate, trouble,

㉧감동 affect, appeal, attract, charm, elaborate, fascinate, impress, influence, inspire, move, reach, touch,

㉨배신감 betray, jilt,  (더 있을 것임, 감정동사를 보시면 검사하시기 바람)

㉩결심 bound, compelled, deliberated, determined, driven, impelled, premeditated, prepared, pressed, pressured, resolved, tempted, urged이들은 주어의 결심/각오/를 해야 하는 심적 중압감을 나타낸다. 이들은 수동태로 느낄 수도 있으나, 물리적이 아니면 감정상태이다.

증명 3. 형용사는 품사가 아닌 건 둘째치고, 문장성분이 되지 않는다는 결정적 사실.

목적어 다음에 오는 to부정사는 동사로만 옵니다. 이게 명사적이거나 (He promised me to come early), 형용사나 부사로 오면(He may find a chair to sit on. He may have a pencil to write with.) 목적격보어가 아닙니다. 명사적으로 오면 수여동사의 직접목적어이고, 형용사나 부사로 오면 아예 문장성분이 아닙니다. 보어가 명사와 형용사라고요? to부정사가 목적격보어자리에 명사적으로 오면 보어가 아니라 수여동사의 직접목적어가 되고, 목적격보어자리에 형용사로 오면 보어가 아니라 부사나 형용사가 됩니다. to부정사는 목적격보어자리에 오로지 동사로만 오는 겁니다.

여기에서 잠깐만 삼천포 가는 이야기 하나 하면, 국어에서는 동사와 상태사를 따로 분류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의 설명

국어는 동사와 상태사의 별도시제가 없습니다. 하였다, 아름다웠다. 심지어 명사도 보어(????)로 쓰이면 시제가 이들과 같습니다. 그는 공무원이었다. 그는 공무원이다. 그는 공무원이 될 것이다.

영어는 동사에만 시제가 표시됩니다. 이유는? 동사는 즉시/일시성이고 상태사는 지속성, 명사는 영구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사는 현재, 과거, 과거분사, 현재분사로 시제변화가 있고, 명사와 상태사는 변화가 없는 겁니다. 그런데 상태사는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에 항구적인 방향으로, 서술적으로 쓰일 경우 지속성이 조금은 일시성으로 바뀌게 됩니다. She was a kind girlkind는 그녀의 항구적인 특질입니다. She was kind.는 그녀의 특질이 친절한지는 알 수 없고, 과거의 어느 시점만을 설명하는 겁니다.

이처럼 동사의 일시성과 상태사의 지속성으로 명사의 서술어인 동사와 상태사가 영어에서는 따로 분류/구분되지만 국어는 따로 분석할 이유가 없는 겁니다. 서술사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어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지요. 보어라는 영문법에서의 용어 대신에 주어(명사)를 서술하는 모든 단어를 서술사로 하면 되는 겁니다., 국어에는 연결동사가 없습니다. 조사로 영어의 동사와 명사, 상태사의 시제를 표시합니다.

영어는 상태사가 서술어로 쓰이려면 연결동사가 있어야 합니다. (국어에는 이런 게 없는 겁니다), 동사는 학교문법으로 1,3,4,5문형에서 주어를 서술하는데, 상태사는 2문형의 보어와 5문형의 주격보어로만 서술어가 되는 겁니다. 위에서 예전에 국어사전은 보어를 서술어라고 정의했다고 했는데요. 바로 이런 사정을 이해하신 겁니다. 지금은 보어를 보충어라고 하는데요. 형용사는 수식어인데, 이걸 서술어라고 하려니 도저히 입을 열 수 없는 겁니다. 이해가 되십니까?

이렇게 명확 관하한 사실들이 널리고 널려 있는데 학자들은 왜 몰랐을까요? 더구나 위에서 보듯이 충돌하고 모순되고 말도 전혀 되지 않는 상황을 감내하면서 말입니다.

Lotto645 1등을 천 번 연속 당첨될 확률이 지금까지 형용사를 품사로. 형용사 안으로 상태사를 몰아 넣을 확률인 겁니다.

각각의 언어는 고유한 어법을 가지는 게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모든 언어학자들은 영문법을 따라 자기네 언어문법을 꿰어 맞추는 데 몰두합니다. 결코 이런 고약한 문법을 인류에게 그대로 물려 주어서는 안됩니다. 인류사/언어학계에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여십시오. 아주 간단합니다. 이 글을 그대로 영어학교수들과 성문 EBS 한일출판사 등에 확인하십시오., 양심적으로 하시든지 논리적으로 하라 하십시오, 정말 시급히 고쳐야 합니다.

문제는 이겁니다.

영어는 물론 모든 언어에 형용사라는 문법범주는 분명히 있습니다. 명사의 수식어입니다. 형용사가 수식하여 준 명사가 문장성분이 되는 겁니다. 형용사는 절대로 문장성분이 아니고, 문장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명사는 (인도/유럽어에서)관사나 한정사가 반드시 있어야 할 경우는 있습니다. 그건 문장구성의 문제가 아닌 문법의 문제로 그렇다면 위에서 얘기했듯이 adjective(한정사)라는 품사로 두어 9품사로 하면 됩니다.(사실은 그리 하여도 논리적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형용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문장이나 문장성분이 되고, 형용사는 문장이나 문장성분과 아무 관련이

영어단어 품사?

planting 이 단어 품사가 동사인가요? planting 이 단어 품사가 동사인가요? 동사 입니다 =>동사가 동사,동명사(명사적), 현재분사(형용사적)으로 쓰입니다

영어단어 품사

Commercial이 상업적인 상업의 둘 다 되는데 상업적인은 형용산데 상업의는 뭔가요 품사가? '상업의'는 '명사+조사' 구조입니다.

영어 단어 쓰면서 품사 쓰잖아요

형용사 동사 명사 이런거 영어로 막 동사는 v 이런식으로 표시하잖아요 형용사는 영어 그 앞글자 쓰는거 뭐라쓰고 동사는 뭐라쓰고 명사는 뭐로 쓰고 부사는 뭘로...

영어 단어 품사

... 형태가지구 품사 어케구분하나요 ly붙으면 거의 부사인것처럼 좀 대부분 어떻게 구분하는 지 뭐 붙어야하는 지 알려주세오 ㅜ 단어의 형태로 구분하는게 순서가...

영어단어 품사 알려주세요(내공200)

영단어 품사 알려주세요 명사나 이런거요 영어로 적어주시면 좋아요 아래 영어단어들 보시고 단어 1개씩 품사 뭔지 알려주세요 runny nose...

영어 단어 품사변화형(??)

영어 단어들 각 품사변화형?? 좀 알려주세요ㅜㅜ 예시로 Central: 명사(center), 동사(centralize), 형용사(Central), 부사(centrally)...

영어단어 품사

... (부사, 타동사, 자동사, 형용사, 대명사, 접미사, 조동사, 관사, 전치사,감탄사, 약어 등) 영어단어 품사 명사는 N, 동사는 V처럼 영어로 약자를 쓰는데 다른 품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