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할때 개념+기출 병행하는방법

공부할때 개념+기출 병행하는방법

작성일 2017.01.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모든공부가 개념이 중요하잖아요
근데 또 그 개념을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 하잖아요
요즘 국어 공부에서 많이 애를 타고 있는데요.
지금 국어 개념공부로 윤혜정쌤 나비효과듣고 있어요 물론 미니과제라고해서 바로 문제에 적용할수 있지만 양이 너무 적습니다
그래서 기출문제집으로 총만국이 있는데요 이것도 기출문제다 보니까 이걸 어떻게 써먹어야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그날 배운거 하나하나 찾아서 적용해야하는건지
그냥 하루에 하나(45문제)를 풀어야하는건지
근데 개념이 안돼있는 상태에서 기출 45문제를 풀면 그건 그냥 안푸니만 못한거 아닌가요? 풀때도 아마 거의 다 모를텐데... 물론 풀순있겠지만 거의틀릴것같고
정말 고민 많아요ㅠㅠㅠㅠㅠ도와쥬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하고있는방식대로진행하시면서
학생께서괜찮으시다면제가부족하나마국어멘토의역할을맡아국어공부법과문제푸는노하우와스킬위주로지속적으로조언해보고자합니다
무료멘토링재능기부니도움원하면쪽지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부의 핵심은 국어 영역 즉, 텍스트를 읽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국어 영역부터 차근차근 공부하면 모든 과목에 자신감이 붙을 것입니다.



국어 영역 학습

우리는 지금까지 

15문제를 위한 공부를 해왔고 

교육시켜왔습니다.





 


혹시, 국어 영역 공부... 

다음과 같은 '전개 방식', '표현상 특징', '서술상 특징'을 중심으로 공부하고 계신지요?


비문학 영역: 정의·개념, 비교, 대조, 사례, 원인-결과, 주장-근거, 통념-비판 등 전개방식 

시 영역: 형상화, 관습적 표현, 음보율, 음수율, 어조, 감각적 이미지 등 표현상 특징 

소설 영역: 입체적 구성, 인물의 외양 묘사, 요약적 서술, 방언, 의식 흐름 기법 등 서술상 특징 


불행하게도 국어 영역 45문제 중에서 

이러한 '형식을 묻는 문제'는 15문제 정도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30문제는 어떤 문제가 출제되고 있을까요?

바로 '내용을 묻는 문제'입니다.





 

  


영역별로 '형식을 묻는 문제'와 '내용을 묻는 문제'의 

비율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내용을 묻는 문제 = 30문제 내외', 

'형식을 묻는 문제 = 15문제 내외'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15문제


극단적으로 전개 방식은 독서 영역 15문제 중 평균 1문제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어 영역 기본서 및 학습서의 구성은 

'형식적 독해'와 '형식을 묻는 문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 독해력 보완

'형식적 독해'에서 '내용+형식적 독해'로...

내용적 독해 70% + 형식적 독해 30%



, 문제풀이 보완

'형식을 묻는 문제' 중심에서 '내용+형식을 문제' 중심으로...

내용을 묻는 문제 70% + 형식을 묻는 문제 30%






국어영역은 제시문을 읽고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기억할 수 있으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 소개되는 대표적 독해 방법의 하나는 '문제점 제시-해결책 제시', '원인-결과', '비교-대조, 통념-비판, 나열 등'과 같은 전개 방식입니다. 대한민국 수험생이라면 나도 알고 친구도 아는 독해 방법일 것입니다. 그런데 전개 방식이 정말 독해력 향상에 도움이 될까요? 물론 약간의 도움은 됩니다. 하지만 독해력 완성의 핵심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국어 영역 시험에서 전개 방식의 진짜 역할은 무엇일까요?


 


전개 방식을 필두로 한 형식적 독해 개념은 독해력을 완성하는 방법이라기보다는 '문제를 풀기 위한 개념'입니다. 독해의 사전적 의미는 '글을 읽어서 뜻을 이해함'입니다. 다시 말해서 제시문을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독해이지 '비교, 대조, 원인, 묘사, 과정' 등 형식적 개념을 인지하는 것이 독해의 최종 목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독한 국어의 원리’는 독해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국어 영역뿐만 아니라 모든 공부의 근간인 논리적 글 읽기와 문제풀이 전략을 다룬 신개념 학습서입니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식적 독해'와 '내용적 독해'의 구분

형식적 독해란 표현상의 특징, 서술상의 특징, 전개 방식 등과 같이 제시문의 형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제시문을 읽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내용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제시문을 읽고 중심 내용을 뽑아내는 것입니다. 그것도 객관적이고 명시적인 방법을 통해서 말입니다. 우선 비문학 영역에서 중심 내용은 핵심어, 중심 문장, 화제 문장, 문맥, 요지 등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이 책에서는 핵심어(키워드), 화제, 화제 문장(중심 문장), 주제, 요약으로 중심 내용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운문 문학 '시'에서는 '시적 대상, 시적 분위기, 화자 등'을 바탕으로, 산문 문학 '소설'에서는 '서술자, 인물, 사건, 배경 등'을 바탕으로 제시문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비문학 사례를 통해서 내용적 독해를 좀 더 자세히 이해해 보겠습니다.




 




 


독해력의 완성은 '형식적 독해'와 더불어 '내용적 독해'의 이해가 필요하고 이 두 방식은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중 형식적 독해보다 내용적 독해를 더 집중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형식을 묻는 문제는 전체 45문제 중 약 15문제 출제되며, 독해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형식적 독해는 내용적 독해를 위한 수단 중 하나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독한 국어의 원리에서는 '논리문법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내용적 독해 원리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고있습니다. 






 

독한 국어의 공식은 문제풀이 향상 프로그램으로, 독해력에 기초한 문제풀이 방법과 더불어 문제 유형별 적용 방법을 명쾌하게 소개하고 있는 실전서입니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용을 묻는 문제'와 '형식을 묻는 문제'의 구분

'독한 국어의 공식'에서는 문제의 유형을 '제시문 내용을 묻는 문제'와 '제시문 형식을 묻는 문제'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독한 국어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으로, '내용을 묻는 문제'는 독해력(내용적 독해) 기반으로 제시문 속 내용을 묻는 문제입니다. 반면 '형식을 묻는 문제'는 독서(비문학)의 전개방식, 소설의 서술상 특징, 시의 표현상 특징과 같이 형식적 측면을 묻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물론 어떤 문제는 형식을 묻는 문제와 내용을 묻는 문제가 혼합된 문제도 있습니다.


  
 


공부능력의 핵심은 텍스트를 다루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텍스트 논리의 완성을 통하여 집중력, 이해력, 기억력, 사고력 등 공부능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향상할 수 있습니다.
독한 국어 시리즈를 통해서 국어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확통 개념 기출 병행

확통 개념 처음 나갈 쎈 말고 마더텅이나 자이스토리같은 기출 문제집 병행해도 되나요? 급한게 아니라면.. 처음 개념때는 개념공부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

개념공부할 때 기출병행??

... 수특을 병행하면 되나요?? 아니면 계속 인강교재를 복습해야하나요,, 누구는 기출개념 끝내고 봐야한다고 해서요 개념보고 그에 맞는 기출 조금 보고 하면서 나가면...

과탐 개념, 기출문제집

... 기본적으로 개념인강과 기출 문제집을 병행하시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공부방법입니다. 물론, 내신 대비까지... 풀 도움이 많이 되는데요. 문제마다 어디가 맞고 어디가...

인강이랑 병행기출문제집...

... 그래서, 인강 다시 복습하면서 기출 병행하려고 하는데요..... 사용된 개념, 선지별로 오답/정답인 이유, 함정 등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혼자 공부하실 무리 없이...

사탐 윤사 개념 기출

... 탔어요 개념도 김종익으로 듣고 이제 기출 듣는중인데... 윤사 계속하기 (앞으로 공부를 어떻게 해야될지 개념을... 이 방법병행하시면 암기력이 안좋아질래야 안좋아질...

9급 공무원 기본서 + 단원별 기출 문제 병행

... 혹시 공부 하는데 문제점 같은게 있으면 알려주세요!... 기출문제를 병행하면서 학습한 내용을 꾸준히 복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습을 통해 기억력을 강화하고 개념을...

아, 국어 개념 확실하게 잡는 방법도...

... 쪽 개념을 확실하게 잡는 방법이 있을까요...ㅠㅠ 고등국어... 이 경우엔 방법은 하나 뿐입니다. 기출문제를 뽑아놓고, 부족한 파트 문제를 하나하나 분석하며 공부를 해야...

지구과학 개념 기출 병형

... 개념 + 기출 병행이든, 개념 끝+ 기출 와다다 든 , 8월 16일까지 끝낼 생각이긴 한데... 빠뜨린 개념을 챙기는게 좋을것 같아요. 문제 풀면서 공부하는게 더 기억에 남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