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국어 음운의 변동

고1 국어 음운의 변동

작성일 2024.04.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흙일'이 '흥닐'이 된다는데 어떻게해서 흥닐이 된건지 궁금합니다

흙-일 에서 ㄺ에서 ㄱ이 탈락되니까 흘-일 인데 여기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고 
제가 잘못 생각한건지 궁금합니다

2)  '넋없다' -> [넉 업다 -> 넉업따 -> 너겁따 ] 라는데 '너겁따' 될 때 ㄱ이 왜 연음한건가요? 


#고1 국어 교과서 #고1 국어 #고1 국어 내신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모의고사 #고1 국어 교과서 pdf #고1 국어 문제집 #고1 국어 자습서 #고1 국어 문제집 pdf #고1 국어 문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흙에서 자음군단순화가 일어나면 [흑]입니다. [흘]이 아닙니다.

흙일 - [흑닐] 자음군단순화 + ㄴ첨가 - [흥닐] 비음화

2. 자음군단순화 혹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난 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오면 연음됩니다. 다만 형식형태소면 겹받침의 경우 뒤의 자음이 넘어가 소리나고 홑받침의 경우 그대로 넘어가 소리납니다. '긁어'가 [글거]로 발음나는 것이 그 예입니다.

고 1 국어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1.뒷말이 반모음 'ㅣ'로 시작될 때는 'ㄴ'이 첨가됨. '내복약[내복냑]' 2. 'ㄴ'의 영향으로 앞의 'ㄱ'이 'ㅇ'으로 변하는 '비음화'로 교체임....

고1 국어 음운 변동과 맞춤법

‘타서’는 어간 타랑 뭐가 결합된건가여 그리고 어떤 음운변동인가요 ‘타서’는 어간 ‘타-’에, 시간의 선후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아서’가 결합한 꼴입니다....

고1 국어 음운의 변동

음운변동 중 탈락에 해당하는 자음군 단순화에서 맑고[말꼬], 핥다[할따] 처럼 겹받침 중에서 하나가 탈락이 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왜 음운이 탈락하고 뒤에 있는 '-고' 나...

고 1 국어 음운의 변동 문제

... (가능 하시면 이음이 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 고등학교 국어 음운 음운의 변동 국어 고등학교 고등학교 국어 고등학생 국어 언어 음운 '부부'에서 'ㅂ'은 동일한...

고1 국어 음운의 변동 질문

... 네, 음운 변동을 공부하고 있으시네요. 기본적으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발음상 편함을 위해서입니다.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를 만났을 때 자음과 모음의...

고1 국어 음운 변동 질문

할 바를 , 볼 것을 발음 어떻게 하나요 할 바를 --(된소리되기)--> [할빠를] 볼 것을 --(된소리되기, 연음 현상)-->[볼꺼슬] * 연음 현상은 음운 변동에 해당하는 현상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