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어 보어자리

목적어 보어자리

작성일 2016.06.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동사뒤에 목적어 보어가오는 자리를 결정하는문제가 많은데
목적어 보어중 어떤게오는지 구별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형용사같은경우는 보어인데 명사같은경우는 목적어 보어 둘다되지않나요??
그리고 목적어 보어자리 비어있는 문제풀다보면 항상 보기중에 형용사,명사 둘중한개만 남네요....이것도 구별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 문제는 답은 풀지만 이유는 모릅니다.왜 모르느냐?멍청한 영문법이 탈입니다.

목적어 뒤에 명사가 나오는 건 4/5형식입니다.

목적어와 명사가 같은 것이면 보어이고

다르면 목적어,즉 직접목적어입니다

She makes me a happy man. me와 a happy man은 같은 사람이면 5형식의 보어이고

She gave me a ball. me와 a ball이 다르므로 목적어,직접목적어입니다.

보어는 딱 3가지입니다

목적어의 동작/이동은 동사인 부정사와 분사입니다.

목적어와 동격은 명사입니다.

목적어의 상태는 상태사입니다.



형용사를 품사라고 착각한 현존하는 전세계의 모든 영문법과 영어교육자들을 향하여 당신들 모두.”


보어를 명사와 형용사라고/분사와 부정사를 형용사라고 가르치려다가는 곧바로 미친/돌대가리라는 폭언을 듣는다. 특히 성문EBS한일영문법은 +α 사기꾼이다.


생각(思考)이라는 것을 할 수 있거나 영어를 배울 의지를 조금이라도 가진 학생이라면 과연 형용사가 명사수식어인지, 문장성분인지를 구분하여 보시라.


형용사의 불편한 진실: 영어교육자들은 돌대가리였다. 진리의 자유를 위하여 추천을 눌러라!


형용사는 품사가 아닙니다. 형용사를 품사로 오인하고, 보어의 품사를 명사와 형용사라 하면, 동사(분사와 부정사)의 품사가 형용사로 전성됩니다. 그러면 상태사와 동사의 하는 일이 명사를 형용하는 게 됩니다. 멍청하기가 하늘을 찌르고도 남는 영어교육자들에게는 말이 되는 이야기지만, 그래서 수백 년을 이어져온 영문법이지만 이제 어리석은 불편한 진실이 밝혀집니다.


몰랐으면 하는 수 없지만 진실을 알고는 절대로 거짓을 묵과하지 못하는 것이, 바로 진실이라는 명제입니다.


발단은 르네상스시대의 영문법학자들이 영문법을 만든답시고 기원전 2세기 고대그리스(로마)철학자 트락스가 만든 고대그리스어문법을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영문법으로 답변확정한 것입니다. 3백년 넘게 지난 1762년 관사(article)와 분사(participle)를 합하여 부가사(adjective)라 하고, 빈자리 하나에 감탄사(간투사/독립사)를 넣어 8품사를 완성하였지요. 관사(article)와 비슷한 부가사(adjective)로 이름은 지었지만 분사 몇 개도 명사의 수식어로 쓰이므로 부가사에 몰아 넣고, 부가사라는 본명이 그래도 이상하였는지 형용사라 부르고, 그 정체를 도무지 모르겠던 상태사도 여기에 쓸어 담기로 하고…. 말도 안 되는 이야기는 계속되었지요. 이제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멍청하기가 그 비교대상을 절대로 찾을 수 없는 영어교육자들의 아리송한 궤변에 종지부를 찍을 막장이론이 나온 것입니다. 형용사는 상태사의 잘못된 이름이다. 이것입니다. 영문법의 입문 ISBN 978-11-85742-42-7 13740


AD: 패륜아를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죄로 간편하게 고발하시려면 간편한 전자법원을 간편하게 이용하세요.


이제, 형용사를 품사라고, 보어의 품사를 명사/형용사라 하면 영어교사/교수/영문법책들/지식in은 돌대가리멍청이, 특별히 성문EBS한일영문법은 돌대가리사기꾼이다


학생들은 이거 계속 질문합니다. 보어에서는


동사(分詞 不定詞)를 왜 형용사라 하느냐?고요. 하도 동사를 형용사라고 우겨대니, 이걸 묻는 정상적인 학생들이 이상한 넘 형국이 되었지요. 학생시절에 이거 이상하다고 생각해 본적 없는 사람 한 명도 없어요. 이게 이상하다고 질문 한번 해보지 않았다면 단연코 착한 분이지요. 선생님 말씀에 맹목적으로 순종하는.


 


보어는 무엇인가? 보어는 서술어입니다. ★형용사는 무엇인가? 명사수식어입니다


보어의 품사를 명사와 형용사라고, 형용사를 품사라고, 보어를 보충어라 하는 멍청한 성문EBS한일영문법책들, 영어교사와 위의 지식in과 같은 설명을 믿으면 절대로 풀리지 않는 문제입니다. 보어의 품사를 명사와 형용사라 하고서는, 목적어와 보어의 관계를 가르칠 수가 없어요. 왜냐? 이 멍청한 사람들이 현재분사/과거분사/부정사/상태사를 한 바구니에 담아 형용사라 했거든요.


목적어와 보어의 관계는 서술어이고, 명사는 동격, 상태사(형용사라는 거)는 상태, to부정사는 평서문, 현재분사는 진행형, 과거분사는 수동태이지요.


They have/find/get some chair to sit on.


I promised my boss never to be late.


to sit on. “앉을” to부정사가 형용사로 쓰이면 보어라고 그러시지, 명사와 형용사가 보어라고 했으니까요. 그런데, 어떻게 알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건 보어가 아니라고 잘들 압니다. 불가사의한 일이지요. 형용사인데, 보어가 아니라는 걸 어떻게 알았지?


to부정사/현재분사/과거분사는 다음처럼, 동사로 쓰여야 보어가 됩니다.         


She wants her dog not to bark at her guests.


She wants her children studying hard.         


She wants her car washed.


2형식의 주격보어


⑴ 이 부류의 동사는 다음과 같다.


a. be: be, continue, hold, remain, stay, lie, prove, etc.


b. become: become, get, go, come, fall, grow, turn, etc.


c. 오감동사: feel, smell, sound, taste, etc.


d. 외견동사: appear, look, seem, etc.


II문형의 본동사는 연결동사(copular or linking verb) 기능이다


보어를 취하는 동사인 seem, remain, appear 등이 어느 정도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널리 쓰이는 be, come, go, get2형식으로 쓰이면 전혀 의미 없이 단순히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처럼 의미의 많고 적음에 따라 연결동사와 명사, 대명사, 상태사, 현재분사, 과거분사보어 사이에to be의 생략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외견동사인seem, look, appear, proveto be가 남아 있으면 ‘~처럼이라는 간접적 知的意味 부여되고, 생략되면 ‘~으로라는 직접적 知的意味 부여된다. 이 원리는 5문형동사에서도 적용된다. 보어가 서술적으로만 사용되는 asleep, awake, afraid같은 상태사에서는 to be를 생략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to be가 남아 있으면 본동사가 연결동사가 아닌 서술동사의 기능을 한다는 의미가 되므로, II문형과 다른 파생문형이 될 수도 있다


주격보어의 종류


He appear/look/seem/proves (to be) rich.     


He appear/look/seem/proves (to be) a perfect fool.     


The house appear/look/seem/proved (to be) deserted.


☞ 불완전 자동사 중에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come, get, make, turn, fall, go, run 등은 [∼[] 되다], [∼해지다[하게 되다]]로 주로 번역된다.


She fell an easy prey to his power of seduction.                       


Their friendship was already wearing thinner.


He is growing old now.   


Her cheek went red as a rose.       


The leaves turned red as the days passed. (나뭇잎은 날이 갈수록 붉게 변했다.)                    


While he was studying, he fell asleep. (그는 공부하다 잠들어 버렸다.)                    


The milk has gone bad. (우유가 상했다.)                    


She will make a good wife. (그녀는 훌륭한 아내가 될 것이다.)                 


We got married over thirty years ago. 우리는 결혼한 지 30년이 넘는다. (분사상태사보어. 과거분사가 동작주가 없고, 주어의 상태로 해석되면 상태사)      


I got caught in the rain. 비를 만났다.


They got hurt. 그들은 부상당했다.


전치사구가 주격보어로 오면대개 상태사로 온다.


Someone is in good[bad] health 건강 상태가 좋아[나빠].          


The gardens are at their loveliest. 정원들은 지금 가장 아름답다 


Someone is on leave[strike] 휴가[파업] 상태인


 His accent was of the country. 그는 시골 사투리가 있었다. (명사적이다)


4. S.V.C.A


상태사보어가 목적어를 취하는 구조라고 이해하면 쉽다. afraid, aware, amazed, aghast, angry, certain, confident, conscious, fearful, glad, happy, helpful, insistent, interested, proud, sad, sorry, sure, surprised, thankful, etc.


He stood aghast at the spectacle. 그 광경을 보고 멍하니 서 있었다.


I was interested in seeing[=to see] the city. 그 도시를 구경하는 데 흥미를 가졌다.


He was insistent on buying me dinner. 그는 저녁 식사를 내겠다고 자꾸 우겨댔다.


He is (very) much afraid to pay taxes 세금을 내는 것을 몹시 싫어하다.


I feel glad that you were not hurt in the accident. 그 사고에서 부상을 입지 않으셨다니 다행입니다


She suddenly became aware of his keen eyes upon her. 그녀는 그의 날카로운 시선이 자기에게 쏠려 있다는 것을 갑자기 알아챘다. 


He was confident in her promise. 그녀가 반드시 약속을 지킬 것으로 그는 굳게 믿고 있었다.


He is confident that his patient will recover. 그는 환자가 반드시 회복하리라고 확신하고 있다.


I am extremely thankful to him for his help. 그의 도움을 정말로 고맙게 생각한다.


I was thankful to breathe the fresh air. 신선한 공기를 마셨을 때는 참 기뻤다.         


I am thankful that he came. 그가 온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면 유사조동사로 느껴지는 상태사도 있다. 그러나 상태사이다.


We are eager to learn the truth. 우리는 절실하게 진실을 알고 싶다.         


He is eager that everyone should like his novel. 그는 모든 사람이 자기의 소설을 좋아해 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I am willing to follow you. 함께 가도 상관없습니다(▷ 자진해서 가고 싶다는 것은 아니나 따라있다는 함축이 있어 ready보다 소극적임).         


I am willing for him to help me.[=I am willing that he should help me.] 그의 도움이라면 받아들여도 좋습니다.


5형식동사의 보어는100퍼센트, 모두가 to부정사입니다


5형식의 보어는 to부정사나to be진행의 현재분사/수동의 과거분사/명사/상태사/전치사구 등으로 옵니다. to be는 생략(/삭제)되기도 하고, 인식동사와 force형에서는 삭제가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좀 길고, 쉽지도 않지만 진정으로5형식의 보어를 알고 싶다면 보시기 바랍니다.


5형식동사의 종류(특이 사항)


(a) prefer. prefer,


㉠ 인식동사 believe, suppose, consider, find, assume, think, guess, understand, know, perceive, (인식동사들은 상태동사의 부정사만 보어로 취한다. 비상태동사는 that절로 받는다)


㉡ 지각 동사 see, hear, feel, watch, behold, notice, look at. (보어로 원형부정사로만 온다)


㉢ 사역 동사 get, cause, name, call, christen, elect, appoint, choose....(make, have, let은 원형부정사로 와야 사역동사이다),


(b) believe.


desire, want, like, hate, wish..


(c) force: (목적어는 사람, to부정사는 동작동사/통제 가능동사이다)


force, challenge, compel, dare, oblige, allow, permit, constrain, incite, instigate, prompt, provoke, tempt,[help]...


commend, order, bid, require, request, beg, urge,..


 


명사보어는 목적어의 동격(renaming)이다.’


He is thought (to be) a genius. 그는 천재라고 생각되고 있다.


상태사보어는 목적어의 상태(state)이다.


I thought him (to be) unkind. 그를 불친절하다고 생각했다


see, feel, find, hear, look at, listen to, watch, notice, observe등의 지각동사와, 사역의미를 가진 make, have, letto 또는 to be가 의무적으로 삭제된다. 수동태에서는 생략되었던to가 다시 나타난다. to be는 임의적이다.   


I saw her go out. 그녀가 외출하는 걸 보았다. She was seen to go out. 그녀가 외출하는 것이 보였다《수동태에서는 to 부정사를 수반함》        


I saw her knitting wool into stockings. 그녀가 털실로 양말을 뜨고 있는 걸 보았다.


I’d see the house burnt down before I part with it. 집을 내주느니 차라리 불타 없어지는 게 낫겠다.


see, feel, find, watchto do(be)를 동반하면 인식동사가 된다.  


I saw/felt/found that the plan was all wrong.


I saw/felt/found the plan to be all wrong.     


Watch that you don't step in the mud. 흙탕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라.


I’ll make him go there whether he wants to or not. 원하든 원치 않든 그를 거기에 가게 하겠다〔보내겠다〕 이 때의 make에는 강제의 뜻이 있을 때도 없을 때도 있다.       


The spring shower makes the grass grow. 봄비는 풀을 자라게 한다         


His jokes made us all laugh. 그의 농담은 우리를 모두 웃겼다. I was made to do my duty. 나는 의무를 강요당했다. 수동형에는 to가 붙음


인식동사들은that절을 목적어로 취하거나 to love, to be같은 상태동사를 목적격보어로 취한다. 모든 보어를 that절로는 바꾸지만 상태동사만 to부정사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I believe him (to be) honest. 나는 그가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I believe myself to be a good teacher


He thinks everyone to like him. 그는 누구나 자기를 좋아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I didn't believe John tohave died so long ago. 존이 훨씬 전에 죽었다고는 믿을 수 없었다(▷ [죽다]라는 행위가 완료된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므로 가능하다).


인식동사의 비상태적 부정사는 미래시를 나타내기 때문에 반드시 that절로 바꾸어야 한다.     


I think (that) John will come tomorrow. (I think John to come tomorrow.는 안 된다)


force형의 동사들은 목적어는 사람, to부정사는 동작/비상태동사, 보어로 방향부가사가 온다. 부가사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므로 가능하다.


Illness forced him to resign [into resigning] that year. 그 해 그는 병으로 직장을 떠나야만 했다.          


He forced his foot into a shoe 그는 무리하게 발을 구두에 밀어 넣었다


5형식(인식)동사의 보어가 명사로 올 때 목적어나 보어가 개념/실체명사라도 속성이면 전치사구로 (상태사의미의)보어가 된다. 이들은 사전에도 자주 V문형으로 표시되는 것 같다.    


They regard [look upon] him as a fool. 그를 바보로 여기고 있다. 간혹 consider A as B로 쓰는 경우를 보는데, 잘못된 것이다.           


I can't see her as an actress. 그녀가 배우가 되다니 상상도 못할 일이다.   


They have treated me as one of the family. 그들은 나를 가족의 한 사람으로 대해주고 있다.                


He elected suicide as a preferable fate 그는 운명이라고 여기고 자살을 택하였다.    


I have viewed his political opinions as potentially dangerous. 그의 정치적 의견은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5문형(임명)동사의 목적어에게 부여되는 직책도 전치사구로 받을 수 있다. 


They appointed him to a headmastership.] 그를 교장으로 임명했다.                      


I called her by the name of Cathy. 그녀를 캐시라고 불렀다.                     


They chose him as [to be] their president. 그들은 그를 회장으로 선출했다.                          


He named me for the new job. 그는 나를 새 일자리에 임명했다.


The mayor named him (as) Police Chief. 시장은 그를 경찰 서장으로 임명했다.                     


Boss prefers him as manager 그를 지배인으로 발탁하다.


know[Vn(to) do]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알고 있다, 로 쓰이는데 to없는 원형부정사는 완료시제/과거시제인 경우에 한정되고, 이 경우에 본 적이 있다는 지각동사이다. 유념하시기 바란다.     


I have never known him cry before.


know는 인식동사 가운데에서도 가장 강한 인식지식의 의미를 가져서 5문형으로는 쓰지 않고, that절을 보문으로 취하는 걸 선호한다. 아예 안 쓰는 건 아니다.


How did you know him to be a teacher? 그가 선생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았지?


동사로 쓰일 때의 be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to부정사는 본동사로 쓰여, 보어로 쓰지 못하는데 단, 대부분의 감정동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바로 상태사화하여 보어로 쓰인다.enjoy, love, like, miss, feel 같은 감정동사의 분사들은 상태사로 바뀌지 않아 동사이다


감정동사의 현재분사상태사가 보어로 오면 주어는 (수동태처럼)목적어에 해당되는 객체가 오게 된다.


The news was shocking to all of the members. 그 뉴스는 모든 회원에게 충격이었다.            


The child was interesting to watch. 그 아이를 보고만 있어도 재미있었다.


동사이면 The child was loving to watch TV. 그 아이는 TV 보기를 좋아했다.


감정동사의 과거분사상태사가 연결동사의 보어자리에 오면 주어가 감정을 느낀 것이다. 주어는 당연히 사람이고 진행형처럼 해석한다. 감정동사가 아니어도 감정관련과거분사는 상태사로 쓰인다.


Most men can be reached by money. 대부분의 사람은 돈으로 마음이 동한다.


He was irked by the traffic fine. 그는 교통위반벌금을 내야 하여 기분이 상해 있었다


She was devastated by grief. 그녀는 비탄으로 심신이 짜부라졌다


Mathematicians have been fascinated with the problem. 수학자들은 홀린 듯이 그 문제를 다루어 왔다.


Boys are very interested in the puzzle.


동사이면 Boys are loved by their parents. 말은 좀 이상하지만 이렇게 상태사와 동사는 반대라는 걸 아시기 바란다.


㉠놀람 alarm, amaze, astonish, astound, electrify, frighten, horrify, scare, strike, surprise, terrify. 


㉡즐거움 amuse, comport, content, delight, entertain, impress, improve, please, reward, satisfy. 


㉢당황 bewilder, confuse, disconcert, disgrace, embarrass, ignominy, dishonor(u)r, perplex, puzzle, shame,


㉣실망 deject, despair, disappoint, discourage, dismay.


㉤흥미 absorb, excite, enthrall, grip, interest, intrigue, motivate, rivet, stimulate, spellbound, thrill.


㉥피곤 bore, devastate, enervate, exhaust, tire, wear, 


㉦부담 annoy, bother, burden, irate, irk, infuriate, sophisticate, trouble,


㉧감동 affect, appeal, attract, charm, elaborate, fascinate, impress, influence, inspire, move, reach, touch,


㉨배신감 betray, jilt,  (더 있을 것임, 감정동사를 보시면 검사하시기 바람)


㉩결심 bound, compelled, deliberated, determined, driven, impelled, premeditated, prepared, pressed, pressured, resolved, tempted, urged이들은 주어의 결심/각오/를 해야 하는 심적 중압감을 나타낸다. 이들은 수동태로 느낄 수도 있으나, 물리적이 아니면 감정상태이다.


have/let/make는 사역의 의미가 전혀 없어요. 이 동사들에게 직접/즉시/실행하라는 사역의미를 주려고 to를 생략합니다 진짜 사역동사들은 to를 생략하지 않아요.get, cause, name, call, christen, elect, appoint, choose, force, challenge, compel, dare, oblige, allow, permit, constrain, incite, instigate, prompt, provoke, tempt,[help], commend, order, bid, require, request, beg, urge..


학생에게 묻겠습니다.


똑 같은 위치/자리에서 명사인지/형용사인지를 구별하는 게 가능하겠습니까? 아니면 뭔가 잘못된 거 아닌가 의심이 들지 않습니까?


be to용법의 to부정사의 품사는 동사이고, 문장성분은 본동사입니다. 전세계 모든 영어사전에 있는 이 사실을 천하에 결코 없는 멍청이들 영문법학자/교육자들이 구분을 못합니다.


! 이런 개또라이들. 이러면서 무슨


 


거짓지식보다 무식이 낫다는 서양격언이 있지요. 차라리 모르는 게 낫다는 우리 속담과 비슷하네요. 아마 베이컨의 말이지요. 답변을 답변확정하실 때에는 다른 사람들도 고려하세요. 오답을 답변확정하면 거짓 지식이 진짜로 오인됩니다. 이 글이 진실임은 전세계 모든 영어사전이 보증합니다 거짓지식의 피해자는 학생과 피 같은 교육비를 대시는 학부모의 몫이지요. 바로 하라고 요구 하십시오.


auxiliary v.


1 [be doing]⑴ …하고 있는 중이다. I am eating [studying]. 식사[공부]하고 있는 중이다.


2 [be to do]⑴ <예정의도약속> …할 예정[작정]이다; …하기로 되어 있다. He is to leave today. 그는 오늘 출발하기로 되어 있다


4 [be done] (▷ 동사는 타동사) …되다, 되고 있다. The gate was opened by the butler. 문은 집사가 열어 주었다


auxil. v. (▷ 변화형은 동사와 같음)<과거 분사와 함께>


1 [have done] <현재 완료형>⑴ <동작의 완료결과> …했다, …해버렸다(▷ has, have<>에서는 보통 's, 've의 단축형을 쓰고 <>에서는 때로는 생략해버리는 경우도 있음). She has gone to America. 그녀는 미국으로 가버렸다


NEWACE(금성판 뉴에이스) English-Korean Dictionary (r), Second edition (c)  Kumsung Publishing Co., Ltd. 1990. 금성판 뉴에이스  英韓辭典2(c)  金星出版社1990.


[영어교사/교수/영문법책들/지식in은 돌대가리멍청이, 특별히 성문EBS한일영문법은 돌대가리사기꾼이다]


이 소리가 마땅치 않으면 위의 전세계 영어사전들이 [선생들이 보어라고, 형용사라고 가르치는]현재분사/과거분사/to부정사가 본동사라 하는 내용을 바꾸시고, He promised me to come earlyto부정사의 명사적용법과 I have/get/find a chair to sit onto부정사의 형용사적용법이 [보어는 명사와 형용사라 했는데]도대체 왜 목적격보어가 되지 못하는지도 해명하시오. 게다가 to부정사는 동사로만 쓰여야 보어가 되는 점도 해명하세요


명사 보어자리

... B,D는 보어 자리에 갈 수 있다는데 보어는 be동사와 목적어 뒤에 있는 거 아닌가요? 주변에 be 동사와 목적어가 없는데 갑자기 보어이야기는 왜 나온건가요? Q. 전치사 뒤에...

부사자리 보어 구분?

... 근데 보어 자리목적어 뒤인데 둘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그냥 해석으로 해야하나요? 부사가동사를 꾸밀때 목적어 뒤에 부사가 올 수도 있잖아요. 근데 보어 자리목적어...

목적어보어의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영어공부는 목적어 보어 차이점 공부하는게 공부가 아닙니다 영어공부는 영어의... 명사 자리에 대명사가 오면 목적격으로 옵니다 for me 이러니 for I 라고 하지 않지요...

목적어 목적격보어 수동

... 목적격보어로 취하는 동사이고 목적어와 목적격보어가 수동관계일 때... 목적격보어 자리에 to be pp 랑 그냥 pp를 쓸 때의 차이점이 뭔가요? 예를...

목적격 보어자리

... 이 문장에서 목적격 보어자리 worked가 working으로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목적어가 목적격 보어를 하는 주최로서요? Do you know Mother Teresa worked...

보어 목적어 목적격 보어

보어자리는 be동사,상태동사,감각동사••로 와서 형용사 명사 오고 목적어는 명사가 오는건 알겠는데 목적격 보어는 뭔가요? 목적어가 두개 있는 구문인가요?...

토익 빈칸에 목적어인지 보어인지

rc 빈칸 채울 때 빈칸이 목적어자리인지 보어자리인지 어떻게 알아내나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ㅠㅠ 주어와 동격이면 보어 The man is a doctor. (The man...

보어 자리에 동사가 올 수 있나요??

... 이 문장에서 him이 목적어고 leave가 목적격 보어라고 문제집에 나와있는데 보어 자리엔 동사가 올 수 없다고 알고 있어서 문장이 이해가...

목적어 목적격보어 수동관계

목적어랑 목적격보어가 수동관계일 때 목적격보어에 과거분사를 쓰잖아요 근데 그때 목적어 앞에 있는 동사에 따라서 목적격보어 자리에 과거분사를 쓸 수 없을 수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