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예종 방송영상과

한예종 방송영상과

작성일 2023.01.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023년 기준으로 고2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제가 꿈이 촬영 쪽이라 한예종 방송영상과를 목표로 하고 있고 특성화고에서 내신은 6~7등급때라 지금부터라도 상승곡선을 도전할 예정인데 실기를 볼라고 해도 내신 낮아서 안 되겠죠...? 아님 지원할 수 있나요...?


#한예종 방송영상과 #한예종 방송영상과 입시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한예종 방송영상과 취업 #한예종 방송영상과 경쟁률 #한예종 방송영상과 실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등급 이하에서도 합격생이 종종 나오기때문에

실기를 압도적으로 볼수있게 준비해야할겁니다.

남은기간 내신관리 최대한 해야합니다.

한예종 방송영상과 전형

한예종 방송영상과는 2022학년도부터 언어능력

평가를 <논술형 글쓰기>로 보게됩니다. 영어는

폐지되었고, 논술형글쓰기50%+내신50%입니다.

내신비중이 30%에서 50%로 늘어났으며, 언어-영어

객관식 능력평가가 폐지된겁니다. 2022학년도부터

주관식형 논술형글쓰기이며 2023도 동일합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영상학과 실기 (기출·후기·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53069

영상학과 실기 (수업문의·커리큘럼)

▲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은 전과목/전학년입니다.

반영교과목별 가중치는 따로 없다고 보면됩니다.

생기부에 성적이 표기된 모든 학년의 성적반영합니다.

고3은 3-1까지 반영됩니다.

한예종은 생기부(봉사, 세특, 독서, 출결) 안봅니다.

학생부는 내신을 말합니다. 실기시작 전까지 최대한

내신관리 잘 해야합니다.

내신은 전과목/전학년 반영됩니다. 연극원 연출과는

11월 일반전형을 진행합니다. 입결 비공개입니다.

합격자평균컷은 2.7 전후에서 많이몰립니다.

합격자 최저커트라인 5등급 전후로 보면됩니다.

△ 한예종 영상원 (경쟁률)

평균은 2.7 전후에서 형성되며 4.5등급 까지도 넓게

형성됩니다. 5등급이하에서 합격자가 종종나왔으나,

내신이 50%비중으로 늘어났으니 감안해야합니다.

한예종-서울예대 두 대학을 제외하면 실기를 보는

방송영상과가 주요대학 중에는 없습니다. 기본은

두 대학을 지원하고 그 외는 영화과로 지원합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25318

방송플랫폼의 배급·OSMU·콘텐츠·OTT

https://cafe.naver.com/lordby/911

연출-편집-촬영-음향 용어정리

https://cafe.naver.com/lordby/38827

디졸브와 오버랩의 차이예시

https://cafe.naver.com/lordby/38824

영상의 화면비와 프레임

유통과 배급망은 위 출처로 공부하면 됩니다. 단순히

플랫폼의 개념만 이해하기보다 넷플릭스, 디즈니,

스튜디오드래곤, 지상파, 유튜브 등을 연관지어서

방송-영상 트렌드를 이해해야합니다.

방송영상과는 작문-이미지분석-면접을 봅니다. 단순히

용어만 외워서는 어렵고 이걸 적용해서 영상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어야합니다.

몽타주, 디졸브, 미장센 등의 용어뿐 아니라 디졸브가

적용된 예시와 그것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

전체적으로 정리된 내용을 꼼꼼히 숙지하고 반복해서

적용해보고 이미지분석+구술분석이 핵심입니다.

2021학년도까지 있었던 언어능력평가/영어능력평가

1차과정을 참고하면될겁니다. 2022학년도 부터는

1차가 <논술형 글쓰기>로 대체되나 참고하면됩니다.

△ 한예종 영상원 1차실기 <언어능력평가 논술형글쓰기>

https://cafe.naver.com/lordby/69921

샘플문제·출제의도

​2021학년도까지 1단계 언어능력평가가 객관식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22학년도는 코로나로 언어능력

평가가 주관식 논술형글쓰기로 바뀌었습니다.

1단계가 언어능력평가 <논술형 글쓰기>로 출제됩니다.

언어능력평가 실기는 코로나가 끝나면 2023학년도에

다시 객관식으로 갈지 알수없으나 기출로 확인하면

됩니다. 2011~2021학년도까지 출제된 언어능력평가

문제는 객관식이었고, 2022이후로 주관식논술입니다.

1차 시험은 원고지에 보게됩니다. 2차 구술면접은

면접관 분위기가 좋은 편입니다. 2차의 1단계에서

자소서와 논술을 어떻게썼는지 질문이 들어옵니다.

현재 방송시스템이 변해가는데 진로와 연관되어

이야기해봐라, 지금 나이에 영향을 많이 준 사람,

다른 수험생보다 나은 점을 어필해봐라 등등의

구술면접 질문을 받게됩니다.

2차 논술형 스토리구성 글쓰기도 정리합니다.

△ 한예종 방송영상과 2차실기 기출

(작문+논술)

https://cafe.naver.com/lordby/17988

방송영상과 기출문제1

https://cafe.naver.com/lordby/25542

방송영상과 기출문제2

https://cafe.naver.com/lordby/911

방송영상과 기출용어

https://cafe.naver.com/lordby/14629

방송영상과 면접스킬

역대 기출문제부터 모두 풀어보고, 피드백을

받는 게 중요합니다. 플랫폼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넷플릭스, 왓챠,

, 구글, CJENM, OTT, VOD 등 제작/

유통/배급/플랫폼 개념을 이해해야합니다.

△ 로버트 J. 플래허티 <북극의 나누크>(1922)

https://cafe.naver.com/lordby/20556

『한예종 기출다큐 + 기출영화』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한예종 특성상 다큐도 많이

출제됩니다. 다큐+영화 두 분야를 준비해야합니다.

몽타주, 미장센, 필름방식 등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영상분석 실기를 제대로 볼수가 있습니다.

▲ 넷플릭스+에이스토리 <킹덤>(2019)

트렌드미디어는 한예종보다 서울예대에서 자주

출제되지만 주요작품이나 플랫폼과 관련된

작품들은 분석을 잘 해둬야합니다.

OTT관련 플랫폼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킹덤>등의 등장으로 국내 드라마 제작사인

이에스토리+넷플릭스도 예상문제입니다.

ex)

Q.매체란?

Q.피칭이란?

Q.포맷이란?

Q.MPEG-2란?

Q.시점샷이란?

Q.미장센이란?

Q.러닝타임이란?

Q.컨티뉴이티란?

Q.교차편집이란?

Q.방송산업형태?

Q.종편의 문제점은?

Q.폴리란 무엇인가?

Q.방송이란 무엇인가?

Q.코덱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Q.페이드의 정확 한 뜻이 무엇인가?

Q.SDTV와 HDTV의 차이점을 논하시오.

Q.코덱과 포맷의 차이점을 논하시오.

Q.지상파와 종편의 차이점을 논하시오.

Q.아날로그와 디지털tv의 차이를 논하시오.

Q.종합편성 방송국과 케이블tv의 현재와 미래

Q.방송의 새로운 플랫폼과 콘텐츠의 유통 논의

Q.렌더링의 정확한 의미와 렌더링을 해야하는 이유

△ 한예종 영상원 방송영상과

(커리큘럼)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작문실기 입니다. 기출로

반드시 써보고, 피드백 꾸준히 받고, 수험생들이

써내는 내용을 자세하게 분석하는 게 중요합니다.

출처분석해설 정리해뒀으니 꾸준히 기출문제로

써보고 수험생들이 쓰는 입시글 숙지하면 도움이

되실거예요.

△ 한예종 방송영상과 자료서적

https://cafe.naver.com/lordby/21215

『방송영상과 기출드라마+기출서적』

​방송영상과는 서울예대-한예종 정도를 제외하면

주요대학의 숫자가 많지않습니다. 지방권입니다.

특히 서울예대 방영과는 실기비율이 국내에서 가장

높기때문에 7등급 전후에서도 합격자가 나옵니다.

▲ 방송영상학과 주요대학

▲ 영상학과

(반영비율+평균등급컷)

방송영상과는 한예종-서울예대 정도를 제외하면

주요대학의 숫자가 많지않습니다. 지방권에서는

비실기로 부산대-공주대에 개설되어 있습니다.

1.5 이내에 들어야하는 성균관대 영상학과를

제외하면 대부분 지방권 비실기는 2.7전후입니다.

이 때문에 실기전형인 방영과-영화과 지원합니다.

【영화과 / 영상학과 합격권 등급컷】

상위권 비실기전형 - 1.3~1.7 (수학반영)

하위권 비실기전형 - 1.7~2.1 (수학반영)

상위권 실기전형 - 2.3~5.0 (수학미반영)

중위권 실기전형 - 2.7~6.0 (수학미반영)

수도권 실기전형 - 4.0~6.5 (수학미반영)

하위권 실기전형 - 5.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실기전형 - 4.0~7.0 (수학미반영)

전문대 비실기전형 - 3.0~5.0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국립 - 2.3~2.7 (수학반영)

지방권 비실기일반 - 3.3~4.3 (수학반영)

주요대학들은 방송영상보다는 영화과로 개설합니다.

서울예대-한예종은 방송영상과 위주로 준비하고,

나머지는 영화과를 지원하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전체적으로 정리해드렸으니 참고해서 실기대비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한예종 방송영상과 입시정보를 포함,

방송영상-영화영상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필요하면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한예종 방송영상과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등급컷 몇이에요? 수학도 보나요?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등급컷은 질문과 연관이 없는 내용이므로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내신...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등급컷...

한예종 방송영상과 내신 등급컷 몇이에요? 수학도 보나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전형방법 1단계 : 내신성적 50% + 언어 능력평가 50% 2단계 : 영상물에 대한...

한예종 방송영상과 입시

... 근데 제가 어떻게 해야하는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ㅠ 입시를 찾아보니 1차와 2차로 나뉘던데 2차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이 안와요ㅠ 그리고 한예종 방송영상과를...

한예종 방송영상과 준비 알아보는데요

영화감독이 꿈이라 한예종 방송영상과 입시를 준비하려고 합니다. 내년에 고3인데 지금부터 어떤걸 준비하면 좋을까요? 혹시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이 있다면 추천받고...

한예종 방송영상과

한예종 방송영상과에 가고싶은데 실기를 준비해야 하잖아요. 학원을 다니는게 좋을까요? 네, 혼자서 준비하는 것이 어려우면 학원을 다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예종 방송영상과 준비하고 있는데...

... 현재 한예종 방송영상과를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생 입니다. 제가 영화연출쪽으로 꿈을 꾸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집에서 반대가 심해서 제가 포기를 했었는데.. 결국 이번에...

한예종 방송영상과 검정고시

한예종 방송영상과 검정고시로도 갈 수 있나요? 방송영상과 경쟁률이랑 방송영상과를 가게 되면 어떤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지도 궁금해요 그리고 연극영화과와...

한예종 방송영상과 정원외

한예종 방송영상과 보통 정원이나 경쟁률이 얼마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한예종 영상원 방송영상과는 일반전형에서 15명, 특별전형에서 5명을...

한예종 방송영상과에 대한 조언 좀...

한예종 방송영상과를 지망하는 고3 수험생입니다. 이번에 시험을 보려고 하는데, 입시에 대한 정보가 전무하더군요. 방송영상과 입시에 대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한예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