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문제 질문입니다!

예산문제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6.11.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예산문제 2개가 식도 잘 안세워지고 저한테는 어렵게 느껴져서요 ㅜㅜ


1. 왕왕 산업은 현재 사용중인 선반의 대체를 고려하고 있다. 이 선반은 계속 사용하려면 대수리가 필요하며, 수리비용은 2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 선반의 수리전(현재)잔존가치는 1,000만원, 장부가치는 400만원이며, 앞으로 10년에 걸쳐 완전 상각될 예정이다. 한편, 왕왕산업이 고려중인 새 선반은 구입가격이 2,000만원이며, 300만원의 설치비용이 소요된다. 새 선반을 사용하면 매출액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지만 영업비용은 향후 10년동안 매년 200만원씩 감소될 것이며, 새 선반의 10년후 잔존가치는 100만원으로 예상된다. 감가상각은 정액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왕자산업의 법인세율이 40%라고 할 때 다음에 답하라.

(1) 새 선반을 구입할 경우와 현재 선반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하여 증분현금흐름을 구하라.


(2)증분현금흐름을 이용하여 NPV, IRR, 자본회수기간을 구하라. 자본비용이 12%라고 할 때 투자여부를 결정하라.


2. (주) 샘숭은 다음 4개의 투자기회를 가지고 있다. 이 기업의 자본비용은 12%이다.

(1) 각 투자안의 NPV, IRR을 구하고 각 방법에서의 투자순위를 결정하라.

(2)각 투자안의 수익성 지수를 구하고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라.

(3) 투자 기회가 상호배타적일 경우 등가연금법에 의하면 어떤 투자안을 선택할 것인가?



       
 투자기회  A  B  C  D
 투자액  40,000  25,000  40,000  30,000
 연간순현금흐름  12,000  8,000  8,000  6,500
 내용연수  5  5  10

 1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1) 새 선반을 구입할 경우와 현재 선반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하여 증분현금흐름을 구하라.

현재 선반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현금흐름(1)
현재시점 -2,000,000
매년 감가상각비의 감세효과
= (장부가치-잔존가치+자본적지출액)/내용연수×법인세율
>> 잔존가치 1,000만원은 100만원의 오류로 보입니다.
= (4,000,000-1,000,000+2,000,000)/10년×40% = 200,000
내용연수 종료시점 잔존가치 1,000,000

새 선반을 구입할 경우 현금흐름(2)
현재시점 -23,000,000
매년 감가상각비의 감세효과
= (취득원가-잔존가치)/내용연수×법인세율 = (23,000,000-1,000,000)/10년×40% = 880,000
매년 영업비용 세후 절감액
= 영업비용 절감액×(1-법인세율) = 2,000,000×(1-40%) = 1,200,000
>> 영업비용에 감가상각비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내용년수 종료시점 잔존가치 1,000,000

증분현금흐름(2-1)  
현재시점 -21,000,000
매년 세후 영업현금흐름 1,880,000

(2) 증분현금흐름을 이용하여 NPV, IRR, 자본회수기간을 구하라. 자본비용이 12%라고 할 때 투자여부를 결정하라.

순현재가치(NPV)   
= 매년 세후 영업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현재시점 현금흐름
= 1,880,000 × (r=12%, n=10인 연금의 현재가치계수) - 21,000,000 
= 1,880,000 × (1-1/1.12^10)/0.12 - 21,000,000
= 1,880,000 × 5.65022 - 21,000,000
= -10,377,586
정상연금의 현재가치계수 = {1-1/(1+r)^n}/r


내부수익률(irr)
1,880,000 × {1-1/(1+irr)^10}/irr = 21,000,000
 {1-1/(1+irr)^10}/irr = 11.17021
명목현금흐름의 합계액이 1,880,000×10년=18,800,000이므로,
투자금액인 21,000,000보다 적습니다. 따라서 내부수익률은 마이너스(대략 -3%)가 나옵니다.

자본회수기간
명목현금흐름의 합계액이 18,800,000이므로,
내용연수가 종료될 때까지 투자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새 선반에 투자하지 않게 됩니다.


2.

(1) 각 투자안의 NPV, IRR을 구하고 각 방법에서의 투자순위를 결정하라.

투자안A
순현재가치 = 12,000 × (1-1/1.12^5)/0.12 - 40,000 = 3,257
내부수익률 12,000 × {1-1/(1+r)^5}/r = 40,000, {1-1/(1+r)^5}/r = 3.33333
위 식을 만족시키는 r=irr을 시행착오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r=15%일 때 위 식 왼쪽의 현재가치계수 3.35216
r=??%일 때 위 식 왼쪽의 현재가치계수 3.33333
r=16%일 때 위 식 왼쪽의 현재가치계수 3.27429

그 결과 내부수익률은 15%와 16% 사이에 있으므로, 보간법을 적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1%:(3.35216-3.27429)=a%:(3.35216-3.33333) >> a:b=c:d >> 내항의 곱(bc)=외항의 곱(ad)
a%=0.01883/0.07787=0.24%
따라서 내부수익률은 15%+0.24%=15.24%(약 15.24%)가 됩니다.

투자안B
순현재가치 = 8,000 × (1-1/1.12^5)/0.12 - 25,000 = 3,838
내부수익률 8,000 × {1-1/(1+r)^5}/r = 25,000, {1-1/(1+r)^5}/r = 3.125  
위 식을 만족시키는 r=irr을 시행착오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 결과 대략 18%

r=17%일 때 위 식 왼쪽의 현재가치계수 3.19935
r=18%일 때 위 식 왼쪽의 현재가치계수 3.12717

투자안C
순현재가치 = 8,000 × (1-1/1.12^10)/0.12 - 40,000 = 5,202  
내부수익률 8,000 × {1-1/(1+r)^10}/r = 40,000, {1-1/(1+r)^10}/r = 5
위 식을 만족시키는 r=irr을 시행착오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 결과 대략 15%

투자안D
순현재가치 = 6,500 × (1-1/1.12^10)/0.12 - 30,000 = 6,726  
내부수익률 6,500 × {1-1/(1+r)^10}/r = 30,000, {1-1/(1+r)^10}/r = 4.61538  
위 식을 만족시키는 r=irr을 시행착오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 결과 대략 17%

순현가치법으로 투자안을 평가하면 순현재가치가 큰 순으로 투자안의 우선순위를 정하게 될 것이므로, 투자안 D>C>B>A가 될 것입니다.

내부수익률법으로 투자안을 평가하면 내부수익률이 큰 순으로 투자안의 우선순위를 정하게 될 것이므로,
투자안 B>D>A>C가 될 것입니다.

(2) 각 투자안의 수익성 지수를 구하고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라.

투자안A의 수익성지수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투자비용 = 12,000×(1-1/1.12^5)/0.12/40,000 = 1.0814
투자안B의 수익성지수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투자비용 = 8,000×(1-1/1.12^5)/0.12/25,000 = 1.1535
투자안C의 수익성지수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투자비용 = 8,000×(1-1/1.12^10)/0.12/40,000 = 1.1301
투자안D의 수익성지수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투자비용 = 6,500×(1-1/1.12^10)/0.12/30,000 = 1.2242

수익성지수법으로 투자안을 평가하면 수익성지수가 큰 순으로 투자안의 우선순위를 정하게 될 것이므로, 투자안 D>B>C>A가 될 것입니다.

(3) 투자기회가 상호배타적일 경우 등가연금법에 의하면 어떤 투자안을 선택 할 것인가?


투자안의 내용연수가 끝나면 동일한 투자자금과 현금흐름을 무한히 반복하여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첫 투자할 때의 내용연수 동안의 현금흐름의 순현재가치라는 연금이 내용연수를 주기로 무한이 반복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 연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여 큰 투자안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투자안 A의 순현재가치

= 3,257 + 3,257/1.12^5 + 3,257/1.12^10 + 3,257/1.12^15 + ...

= 3,257 × 1/(1-1/1.12^5)

= 3,257 × 1.12^5/(1.12^5-1)

= 7,529


투자안 B의 순현재가치

= 3,838  + 3,838/1.12^5 + 3,838/1.12^10 + 3,838/1.12^15 + ...

= 3,838 × 1/(1-1/1.12^5)

= 3,838 × 1.12^5/(1.12^5-1)

= 8,872


투자안 C의 순현재가치

= 5,202 + 3,257/1.12^10 + 3,257/1.12^20 + 3,257/1.12^30 + ...

= 5,202 × 1/(1-1/1.12^10)

= 5,202 × 1.12^10/(1.12^10-1)

= 7,672


투자안 D의 순현재가치

= 6,726 + 6,726/1.12^10 + 6,726/1.12^20 + 6,726/1.12^30 + ...

= 6,726 × 1/(1-1/1.12^10)

= 6,726 × 1.12^10/(1.12^10-1)

= 9,920


등가연금법을 적용하여 상호배타적인 투자안을 평가하면 투자안 D의 순현재가치가 가장 크므로,

투자안 D를 답변확정하게 될 것입니다.


참고로 위 계산은 무한등비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무한등비수열의 합의 공식: a/(1-r), a=초항, r=공비

투자안 D의 초항은 6,726이고, 공비는 1/1.12^10가 됩니다.




& 참고하세요^^

R&D 예산 삭감 문제 관련 질문!

공학 계열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인데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R&D예산 삭감 문제를 가지고 탐구 보고서를 작성할려고 합니다. R&D 예산의 삭감으로 중단되거나 규모가 축소된...

종합예산 문제 관련 질문있습니다.

... 제 생각에는 실제 당기순이익이 5,000이고 예산 당기순이익이 10,000이니까 5,000유리같은데 문제 답에는 5,000불리라고 되어있는데 왜 그런지 설명해주실수있나요?...

교육비 예산 삭감 문제 해결 방안 질문

... 안녕하세요, 교육비 예산 삭감 문제 해결 방안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교육비 예산 삭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교육비...

변동예산차이 분석 문제 질문입니다.

... 제조간접비 예산 ₩600,000은 SP X SQ 이고 실제발생 직접노동시간에서의 제조간접비 예산 ₩660,000은 SP X... 고정제조간접비 예산 = 600,000 - 8,000시간 × 30 = 600...

방콕여행 예산문제

... 그 예산을 좀 정확히 짜고 가는 편이라서,, 조금 문제가 있네요. 대략 아래와 같이... (클럽은 여행 중 두세번정도) - 이건 질문자님 예산에 맞춰서 즐기셔야 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