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질문

성리학 질문

작성일 2024.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주희의 성리학 중 심성론에서 양심은 성과 정에 포함되는게 아니라 성에서 파생된 능력 자체인 것인가요?(존양성찰에서 양심을 지켜야 한다고 하는데 그 양심이 선한 요소이기도 해서 성이나 정에 포함이 되는건지 궁금해요)

또한 정 에서 사단이 있는데
사단이 맹자에서는 인간에게 기본으로 있는 선한 마음이라고 했는데 왜 성이 아닌 정으로 구분되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희의 성리학에서 양심은 성과 정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성에서 파생된 능력 자체입니다. 양심은 인간의 내면에 깔려 있는 도덕적 판단력이며, 선한 행동을 선택하거나 악한 행동을 피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선(善)과 정(情)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양심이 성이나 정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성리학에서 성은 인간의 본성이고, 정은 그 본성에 따라 생기는 감정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양심은 이러한 성과 정에서 파생된 능력으로, 성과 정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그 자체로는 독립적인 존재입니다. 양심이 성이나 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성과 정이 각각 인간의 본성과 그에 따른 감정적 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양심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력이라는 별도의 능력으로 다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맹자에서의 사단은 성리학에서의 정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사단은 맹자의 유학에서 나오는 용어로, 인간의 본성에 기인하여 나타나는 선한 마음이나 선한 행동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성리학에서의 정은 맹자의 사단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성리학에서는 정이란 인간의 감정적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본성에서 비롯된 감정적 반응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므로 성리학에서는 사단을 정과는 구분하여 취급하는 것입니다.

윤사 성리학 양명학 질문

... 문장과 성리학의 주희가 주장한 “ ’이‘는 사물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며, ’이‘는... 성리학은 마음도 하나의 사물로 보고 마음 속에도 이와 기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다른...

윤리와 사상 성리학 관련 질문

다음 문장들이 성리학의 입장에서 찬성할 내용인지 아닌지... 입장이고요 성리학에서는 현세의 정치적 문제에 깊게... 문제에서 성리학적 이념에 어긋나면 개거품 물고...

성리학 질문

성리학에서 주희의 사상 중 이랑 기가 있잖아요 이가 형이상학적, 기가 형이하학적... 성리학에서 주희의 사상 중 '이(理)'와 '기(氣)'는 둘 다 형이상학적 개념입니다. 그러나 '이...

윤리와 사상 성리학 질문

성리학은 인간의 본성을 하늘의 이치로 보고, 하늘로부터... 문장을 성리학이 인정한다고 하는데, 선악의 가치를... 게다가 성리학은 맹자를 계승한 학자로써 성선설을 주장하는...

성리학 질문

고려시대 말기에는 과거시험에서 성리학도 봤나요? 그리고 성리학은 종교인가요, 아니면 그냥 학문인가요? 성리학은 학문입니다. 또한 공민왕 시기에 성균관에서 성리학의 사서...

윤사 성리학 질문

을이 주희인 이유 좀여… 성리학인 건 알겠는데 이황, 이이... 문제에서 성리학의 기본 개념만을 제시한다면 구분하기... 문제에서 중국 사상가라고 말하고 있고 성리학적 개념이...

조선의 성리학 질문

... 부터 성리학을 들여왔는데 이후 -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 부터 위정척사운동까지 조선왕조 500년 동안 성리학의... 조선은 성리학자들에 의해 건국되고 그 기초가 마련되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