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윤리 레건 삶의 주체

생활과 윤리 레건 삶의 주체

작성일 2023.10.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레건이 말하는 삶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쾌고감수능력이 꼭 필요한가요? 쾌고감수능력이 없으면 삶의 주체가 될 수 없나요?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존재는 쾌고감수능력을 꼭 가지고 있나요?


#생활과 윤리 #생활과 윤리 교과서 pdf #생활과 윤리 수능특강 pdf #생활과 윤리 목차 #생활과 윤리 문제집 pdf #생활과 윤리 문제 #생활과 윤리 문제집 #생활과 윤리 난이도 #생활과 윤리 기출문제 pdf #생활과 윤리 탐구 주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쾌고감수능력은 필요조건이라고 보심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철학적 역작 중 하나인 "냉정" ("L'Étranger," 또는 "The Stranger"로 번역됨)에서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냉정" 또는 "쾌적한 무관심"을 고려해야 합니다.

카뮈는 쾌적한 무관심(Indifference)을 강조하며, 이는 인생의 무의미함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그는 인생의 무의미함과 절망에 직면할 때에도 결국은 그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카뮈에 따르면, 인간은 쾌적한 무관심을 가지고 삶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쾌고감수능력(쾌락 또는 행복을 추구하는 능력)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쾌적한 무관심은 오히려 쾌락과 슬픔, 행복과 절망, 의미와 무의미함 등의 이중성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카뮈의 철학은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삶을 살아가는 주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쾌적한 무관심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쾌락을 추구하거나 그 덕분에만 주체적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과 윤리 레건 삶의 주체 범위

레건 삶의 주체에 해당되는것들을 알려주세요 감정,지능,쾌락,고통,정체성도 포함 되나요? 5개를 적으라고 하셨는데 쾌락과 고통을 따로 적어도 되는지요 수능특강에는 믿음...

생활과 윤리 레건 테일러

생활과 윤리 문젠데 선지가 다 잘 이해가 안가요ㅜㅜ 레건이랑 테일러 입장 정리해쥬세요.. 동물중심주의인 레건삶의주체인 일부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고...

생활과 윤리-레건

... 해설에는 레건삶의 주체가 갖는 도덕적 권리를 인정할 의무가 도덕 행위자에게 있다고 본다. 라고 나와있는데 이건 또 무슨 뜻이에요? 도덕 행위자 : 도덕적인 행위(배려...

생활과 윤리 레건 질문

... 에 대해 철학자마다 인간>동물>식물>대지 순으로 대상이 점점 커지는데요, 레건은 (삶의 주체로서의) 동물까지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간이 어떠한 생명체보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