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질문

윤리와 사상 질문

작성일 2023.05.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제자백가가 등장한 춘추전국시대 사회상이 뭔가요

2 맹자 순자 묵자 한비자가 각각 주장한 사회혼란 원인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문제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제자백가가 등장한 춘추전국시대 사회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쟁이 끊이지 않는 시기 춘추전국시대는 770년부터 221년까지 약 550년 동안 지속된 중국의 춘추와 전국의 두 시대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이 시기에는 주나라가 쇠퇴하고 진나라가 강성해지면서 전국 7웅이 패권을 다투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백성들은 고통을 겪었습니다.

  • 사상과 학문이 꽃피운 시기 춘추전국시대는 또한 사상과 학문이 꽃피운 시기이기도 합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공자, 맹자, 노자, 장자, 묵자 등 많은 사상가들이 활동했으며, 그들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상업과 도시가 발달한 시기 춘추전국시대는 또한 상업과 도시가 발달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철기와 화폐가 발명되었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도시가 성장했습니다.

  • 새로운 문화가 창조된 시기 춘추전국시대는 또한 새로운 문화가 창조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문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었습니다.

  • 2.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의 역사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 중 하나였습니다.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사회는 부패하고, 백성들은 고통을 겪었습니다. 이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던 사상가들은 사회 혼란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다양한 주장을 했습니다.

  • 맹자는 사람들이 인의(仁義)를 실천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가 혼란스러워진다고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사람들이 인의(仁義)를 실천하면 서로 사랑하고 협력하게 되어 사회가 안정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 순자는 사람들이 이기심 때문에 사회가 혼란스러워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순자는 사람들이 이기심을 극복하고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묵자는 사람들이 법과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기 때문에 사회가 혼란스러워진다고 주장했습니다. 묵자는 법과 제도를 엄격하게 시행하고, 위반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한비자는 사람들이 지도자가 무능하기 때문에 사회가 혼란스러워진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비자는 지도자는 유능해야 하고, 백성들을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권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처럼 맹자, 순자, 묵자, 한비자는 사회 혼란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다양한 주장을 했습니다. 그들의 주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고2 윤리와사상 질문입니다!

고2 윤리와사상 질문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분법적 세계관에 대해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많은채택 부탁드립니다 ^^ 제목 :고2 윤리와사상 질문입니다!...

윤리와 사상 질문

대상불교가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으로 나뉘어지는건 알겠는데 중관 사상과 유식사상이 아닌 대승불교도 있나요? 원효 의천 지눌 얘네가 대승불교를 이어받은거라고는...

윤리와 사상 불교 질문

불교에서는 인간은 죽어서야만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나요? * 견성성불의 과정 ~ 견성(마음의 본성을 깨달음 : 보살의 1지) → 수도(번뇌를 제거해 나감 : 보살의 2지...

윤리와 사상 질문이요

답이 3번인데 4번이 틀린 이유가 뭔가요? 사상가 주희 맞나요? 주희는 지행병진을 주장하면서도 선지후행을 주장해서 4번은 틀린 선지가 됩니다!! 앎을 먼저, 실천을 나중에

윤리와 사상 질문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공'이 정확히 어떤건가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공'의 의미 대승불교에서 '공(空)'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모든 것이 본질적으로...

윤리와 사상, 풍유도 질문

고등 2 과정 중 윤리와 사상 공부하다가 한국 윤리 사상의 계승과 전개 중에 신라의 풍유도가 나왔는데요 내용은 “최치원의 난랑비서와 진감선사비명에 기록된 유.불.도 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