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법윤리

자연법윤리

작성일 2019.05.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연법윤리는 왜 의무론적 접근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건가요? 자연법이 보편타당 항구불변하기때문에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인가요?
그리고 자연법이 자연적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법이잖아요(사람을 해치지 말라 등)
여기서 스토아학파는 인간이 자연법을 파악할 수 있는
이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연법을 파악할 수 있는거라고
말하는데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런게 없나요?
그냥 인간은 자연적으로 알고있다는 의견인가요?
그리고 자기보존 종족보존 등 자연적 성향에 따른
행위를 옳은 행위라고 보잖아요 이것들이 토마스
기준에서 자연법이 되는건가요?


#자연법윤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퀴나스는 신의 뜻이 인간의 이성에 부여되어 있는 법을 자연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은 직관, 이성으로 자연법을 인식할 수 있구요. 아무튼 이렇게 인간에게 부여되어 있는 자연법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행위할 것을 강조합니다.
자연법을 바탕으로 인간이 행위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모든 생명체가 추구하는 자기보존욕구에 따라 자기보존의무, 동물과 인간이 지니는 종족보존 욕구에 따라 결혼과 출산의 의무, 인간만이 지니는 이성에 따라 신과사회에 대한 진리파악에 대한 의무가 있어요.

생활과윤리 자연법 관련질문

... 유용성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자연적 경향이긴 하지만 이것 자체를 자연법에 따른 의무로 보진 않습니다. 자연법 사상은 의무론적 윤리설에 해당합니다.

아퀴나스 자연법윤리

1 이성적 피조물 안에서 영원법의 참여가 바로 자연법이라는 아퀴나스의 윤리에서 이성적 피조물은 인간이죠? 2 피조물은 영원법에 의해 규정된 내적원리에 따라 활동한다고...

칸트와 자연법윤리

칸트도 자연법칙을 소중히여기고 자연법윤리도 자연적으로 주어진보편적인 법을 따른다던데 둘의 차이는 뭔가요? 제 생각으로는 칸트의 자연법칙은 중력의 법칙과 같은 말...

스토아 학파의 자연법 윤리

스토아 학파의 자연법 윤리에서 인간의 감정 구분을 원토적 충동, 건전한 정서, 정념 이렇게 나누어지는 건가요? 아님 3단계로 나누어지는건가요? 서양철학에서 쾌락의 개념은...

안락사 자연법 윤리

... 자연법 윤리에선 신이 우리에게 생명을 줬는데 안락사를 선택하는 것은 신을 거스르는 행위이지 않은가요? 도가 입장에서는 자연에 따라 사는 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자연법 윤리

자연법은 인간의 이성과 직관으로는 인식이 불가능하나요? [질문] 자연법은 인간의 이성과 직관으로는 인식이 불가능하나요? [답변] 자연법은 인간의 이성과 직관으로 인식할...

자연법 윤리

자연법 윤리에서 자연적 경향성과 일치한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여?? 이성을 따른 다는 말입니다! 자연법이 인간의 본성인 이성을 토대로 하기 때문입니다!

생윤 자연법 윤리

자연법 윤리의 장점이 인간존언성, 천부인권 강조이고 단점이 직관이 다를 수 있다는 거인가요? 자연법의 장점은 인간의 권리를 자연권, 즉 신이 주신 권리로 보기 때문에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