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H2(g)+O2(g)->2H2O(l)에서

2H2(g)+O2(g)->2H2O(l)에서

작성일 2024.04.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소 2L를 반응시킬 때 생성되는 물의 부피가 2L가 아닌 이유 설명해주세요
물이 아니라 액체라고 하면 맞는 설명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계수비 = 부피비가 되는 경우는 기체 물질에만 해당됩니다.(기체반응법칙)

그러므로 수소 기체 2L, 산소 기체 1L가 반응하면 물이 몇 L가 생성될 지는 모릅니다.

수증기가 발생한다면 2L가 생성되겠습니다.

(그러니 물은 2L보다 훨씬 적은 부피겠죠?)

화학2 모르는거 풀어주셈...

... 2H2(g)+CO(g)→CH3OH(l),델타H2=bkJ 3. 2H2(g)+O22H2O(g), 델타H3=ckJ 답이 (2a+2b+c)KJ 왜 이렇게 나오는지 설명해주세요@@@@@@@@@@@@@@@@@2 헤스의 법칙은 어떠한 경로로...

2H2(g) + O2(g)2H2O(g)의 반응식에서...

2H2(g) + O2(g)2H2O(g)의 반응식에서 1몰의 H2(g)가 반응했다면 생성된 H2O(g)는 몇 g인가? 위 반응식에서 보실 수 있듯이, 2몰의 H₂와 1몰의 O₂가 반응하여 2몰의...

내용 100)2H2 (g) + O2 (g) = 2H2O (l) 이게...

... 쓸데없는 내용 말고 물은 수소 2개와 산소 1개로 구성되므로(H2 O) 수소 분자(H2)가 2개=====> 2H2 와 산소 분자(O2)가 1개=====> 1O2======> 1은 생략하므로 그냥 O2 가...

2 H2(g) + O2(g) → 2 H2O(l) + 572 kJ...

2 H2(g) + O2(g) → 2 H2O(l) + 572 kJ (286 kJ/mol) 이게 무슨뜻이죠? ㅜㅜㅜㅜㅜㅜㅜ 제발요ㅜㅜㅜ H2O 결합 1몰당 286kj만큼의 열량이 나오므로, 총 2H2O니깐...

Si(s) + O2(g) —>S

Si(s) + O2(g) —>SiO2(s) Si (s) + 2H2O (g) —> SiO2(s) + 2H2(g) 위 두 반응 산화환원 산화수로 설명해주세요 첫 번째 식에서 Si는 환원제 O는 산화제 두 번째 식에서...

2H2 + O2 ----> 2H2O

2H2 + O2 ----> 2H2O 이거 부피의 비가 왜 2:1:2 인가요ㅜㅜ 기체의 부피는 분자의... H2 가 2몰이니 44.8L O2는 1몰 22.4L H2O는 (수증기상태임으로 기체) 2몰이니 44.8 L...

2NaO2(s)+2H2O(l)->4N

2NaO2(s)+2H2O(l)->4NaOH(s)+O2(g) 이 화학반응식 물질의 상태 틀린거 없나요?? NaoH는 수용액상태로 액체(l)입니다

평형상태에서 G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2H2 + O2 --> 2H2O 위와 같은 반응이 있을때.. 현 상태에서 G 가 0이면 평형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G값이 음수라면 정반응의 경향성을 나타내고.. 반대로 양수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