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1 자극의 전달

생명1 자극의 전달

작성일 2020.06.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역치 이상의 자극이 와야 흥분이 전도되고 전달될수있나요?? 역치 미만 자극이 오면 그 자극을 받은 부분에서 막전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까진 알겠는데 전도가 되는지 혹은 아세틸콜린 등을 통해 전달까지 되는지,,,ㄷ의 경우 역치이상의 자극이 주어지면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건 당연한데 풀이에서는 마치 역치 미만이어도 소량 분비된다는 식의 뜻인거 같아서요

2.그래프 나오는 문제 중에 그래프에 역치가 표시가 안되어있고 문제에도 역치이상의 자극인지 미만의 자극인지 표시가 안되어있으면서 그 과분극까지 나타나는 전형적인?모양의 그래프가 아니라 그냥 위로 좀 삐죽솟아 있는 그래프는 역치 이상인지 아닌지 어떻게 판단해요??휴지전위도 그때그때 다른데 막전위 차가 0 이상이 된다고 무조건 역치 이상은 아닐것같은데ㅠㅠ이런문제는 어떻게 판단해야하죠






#생명1 자극의 전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역치 이하의 자극을 받으면 탈분극이 일어나고 끝나는데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신경 끝부분까지 갈

파워가 생기는거죠. 그래서 연쇄적으로 일어납니다.

ㄱ. 을 보면 A에 역치 이상이든 이상이 아니든 자극을 주었으니 탈분극이 일어나고 Na이 유입되죠. ㄱ은 틀림

ㄷ. 에서 C에 "역치 이상의 자극"을 주었다고 했으므로 신경 끝부분까지 갈 파워가 있는거죠.

그래서 전도가 이루어집니다.

ㄷ해설에서 활동전위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막전위 변화가 일어났으니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 것으로 설명하는데

활동전위는 -70에서 30이나 35로 변했다는 것을 뜻하죠. C를 자극했을 때의 그래프를 보면 30이나 35를 못찍죠?

그래서 활동전위는 발생하지 않은거에요.

하지만 전도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시냅스 후 뉴런의 막전위 그래프가 변하지 않아야 하는데

변했으니까 전도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전도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므로 ㄷ은 맞는선지

참고로 신경전달물질이 아세틸콜린만 있는게 아니에요.

2. 어떤 그래프인지 가늠이 안가네요...

생명과학1-자극의 전달 질문

... 역치: 자극 중에서도 신경이 반응, 즉 활동 전위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위 수준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활동전위가 일어나기 위한 기준입니다. 역치 전위: 역치와...

생명1 자극의 전달

어떤 한 부분에 역치이상의 자극을 줬다면 그 자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나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역치이상의 자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집니다. 예를 들어...

생명1 자극의 전달

2문단에서 자극 지점 d1로 가정했을 때 신경 A의... 생각하면 자극 지점이 d1이라는 것은 맞지않나요? 무슨... d1이 자극지점이라고 가정할 때 B의 d1에서 d2까지...

생명과학 자극의 전달1

생명과학 자극의 전달 문제 풀이 해주세요 '총 시간=이동 시간+막전위 변화 시간... 2+1/3 ms가 되며, 그래프의 2+1/3 ms 지점을 읽으라는 겁니다. 정확한 값은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