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문제

화학 문제

작성일 2010.10.0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하버법에 의해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화학 반응식과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Na(g) + 3H②(g)  ↔ 2NH③(g) ,          △H < 0 

      

 이 반응식을 보고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이기 위한 온도와 압력 조건을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2. 1000기압 200℃에서 암모니아의 수득률이 가장 높다 (그래프 자료)

  그러나 하버법에서 250기압, 450℃ 조건에서 반응을 시켜 암모니아를 얻는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3. 표백제 용기에 '다른 세척제와 같이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문이 붙어있다

 변기  세척용 세제는 주로 H③PO④ 나 HSO④ 이온과 같은 산으로 되어있고 , pH가 2정도이다.

 표백제를 변기 세척용 세제와 함께 사용했을 때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4. 만약 높은 산에 올랐을때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기 위해 호흡을 빠르게 한다면 어떻게 할까?

 호흡의 속도를 빠륵 하거나 느리게 했을때 어떤 pH 변화가 몸안에서 일어나 위험을 초래하는지 그변화 과정을 몸안의 완충 체계 반응과 연관지어 설명하시오.

 

 

 

 

 

 

부탁 ㅎㅎ                  


#화학 문제 #화학 문제집 추천 #화학 문제집 #화학 문제집 pdf #화학 문제 풀어주는 사이트 #화학 문제 해결 사례 #화학 문제점 #화학 문제집 난이도 #화학 문제 해결 #화학 문제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르샤틀리에 원리에 따라 압력, 온도에 대해서 모두 서술해 볼게요. 하버법 반응은 반응물의 개수보다 생성

 

물의 개수가 적으므로 압력을 높여주면 앞력이 낮아지는 쪽으로 평형이동이 일어나서 정반응이 더 촉진됩

 

니다. 따라서 압력은 높여줘야 겠구요, 엔탈피를 보면 발열반응 이네요. 따라서 온도를 낮춰 주는 것이 이론

 

상 수득률을 올리기 위한 방법입니다.

 

 

2. 위 수득률 원리에 따르면 압력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수득률이 높은데 실제 반응은 그보다 기압이

 

낳고 온도가 높은 곳에서 반응을 시키는 데요. 그 이유는 바로 이론상 수득률이 높은 곳에서의 반응은 온도

 

가 낮기 때문에 저 반응이 너무 느리게 일어난다고 하더군요. 따라서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 온도가 이론

 

보다는 높은 곳에서 실제 제조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3. 표백제는 산화제 입니다. 강산에서 수소는 가뜩이나 산화되려는 성질이 강한데 여기에 산화제까지

 

넣으면... 위험해 지겠죠?

 

 

4.글쎄요.. 이건 잘 모르겠네요. 높은 산에서 산소가 희박해서 생기는 문제는 폐포에서의 산소분압이 떨

 

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정맥혈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산소 분압이 낮으면

 

산소헤모글로빈의 해리도가 증가해서 산소랑 잘 결합을 하지 못하게 되죠. 호흡속도는 빠르게 하면 할

 

수록 좋습니다... 호흡을 ventilation 이라고 해서 환기라고 부릅니다. 정맥혈로 부터 이산화탄소를 받고

 

산소를 빼앗긴 폐포가 다시 대기중으로 부터 산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과정이죠. 근데 이런 호흡속

 

도가 도대체 어떻게 체내 ph 변화와 관련을 지을 수 있는지 솔직히 말해서 의문이네요,, 대기중 산소 농

 

도가 적든 높든 체내에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호흡속도가 느리면 몸에 산소부족 현상이 생길 뿐이에요..

 

체내 완충 작용이라 함은 피속에 탄산수소이온이 돌아다니기 때문에 급격한 ph 변화가 생기게 되면

 

이 변화를 막아주는 효과인데요.. 체내 ph 변화라 하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체내에 높아지기 때문에 ph

 

가 낮아지는 것 밖에 없거든요. 호흡과 관련해서는요.

 

 높은 산이나 낮은 평지나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똑같습니다. 이산화탄소

 

는 운동을 해서 세포호흡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지상에서 운동하나 산에서 운동하나 똑같아요.

 

그리고 폐포에서 확산되어 나가는 양도 거의 비슷합니다.. 그 이유는 높은 산이라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지는 않거든요. 높아질수록 오히려 이산화탄소 농도도 희박해지죠. 그렇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좀 모순

 

이네요.. 이 문제는.. 단지 제 생각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산강서고 이과생여러분 화이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애들 답 이거로 통일

강서고화이팅!

대학 화학 문제 질문

나머지 문제들 풀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많이 급해서용.. [설명] 1 Kc [1] 반응식 : !2(g) <---> 2I(g) Kc = 3.8*10-5 -----(1) 2I(g) <---> I2(g) Kc...

화학 문제 도와주세요

문제접근을 각각 1몰랄농도로 맞춰서 풀어야하나요?? 몰랄 농도의 정의가 다음과 같죠. 우선 수용액 A, B를 혼합한다고 했으니 혼합 용액의 용질과 용매가 어떻게 되는지...

대학화학 엔탈피 문제 질문

안녕하세요 대학화학 문제 질문입니다. 첫번째 사진의 유제9.6에서 q를 구하는 과정에서 단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해설에서는 6.5K(C) 이렇게 나타내서 풀었는데 저게...

유기화학 반응

... 유기화학 반응 문제를 풀고있는데 어떻게 반응이 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려요! 도와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다음에 1:1 질문 주실 때는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이...